[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3301B1 -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 Google Patents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301B1
KR101423301B1 KR1020120129404A KR20120129404A KR101423301B1 KR 101423301 B1 KR101423301 B1 KR 101423301B1 KR 1020120129404 A KR1020120129404 A KR 1020120129404A KR 20120129404 A KR20120129404 A KR 20120129404A KR 101423301 B1 KR101423301 B1 KR 10142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artificial
attachment
delete delete
livest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5509A (ko
Inventor
남명모
이주
김기승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20129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3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5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30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참가리비 인공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인공종묘 채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는 부착치패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바둑판형 틀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착치패 수용틀;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이 높이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을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재 그물망 및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본체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합성수지재 망사자루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Apparatus for promoting efficiency in seed attachment and intermediate rearing of Patinopecter yessoensis}
본 발명은 참가리비 인공 종묘생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참가리비 인공종묘생산 중에서 중간 양성과정에서 치패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구조의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은 서해 및 남해안과 달리 해안선이 단조롭고 대륙붕 사면이 급경사를 이루어 수심이 깊고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바다이며, 북한한류와 동한난류가 서로 교차함으로서 명태, 오징어 등 한난류성 어종이 혼합 서식하여 이용가치가 높은 풍부한 수산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수심 200m 이심에는 2℃ 이하의 고유 심층수가 형성되어 있으며 심해생물인 대구, 털게, 대게, 붉은 대게 등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최근 30년간 동해 표면수온이 약 0.6℃ 정도 상승하여 한류성 어족인 명태자원이 극감하고 갯녹음현상 확대로 천해어장의 생산성이 저하됨에 따라 동해안 해양환경 특성에 적합한 새로운 양식품종을 개발하고 양식품종의 생산성을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가리비는 전 세계적으로 360여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사랑과 미의 여신인 비너스를 그린 보티첼리가 『비너스의 탄생』을 가리비 껍질 위에 그린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조개이다. 가리비류 중 상업성이 있어 양식이나 어획의 대상이 되는 종은 Chlamys, Mimachlamys , Aequipecten , Palliolum , Decatopecten, Pecten 무리에서 약 30 종 이상이 있으며, 이중 ChlamysPecten 무리에 속하는 종들이 상업적으로 이용성이 높다. 한국에는 주문진가리비, 참가리비, 비단가리비, 해만가리비 등이 서식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동해안에 분포하는 참가리비(Patinopecten yessoensis)는 Pecten 무리에 속하며, 한해성이 강한 종으로서 동해안의 중북부 이상의 연안에서부터 오호츠크, 사할린, 쿠릴열도에까지 분포하고 있다.
참가리비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Mollusca), 이매패강(Bivalvia), 사새목(Filibranchia), 국자가리비과(Pectinidae), 참가리비속(Patinopecten)에 속한다.
참가리비는 암수가 다른 자웅이체로서 주로 수심 20~50m의 세립질 모래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동해안 지역 특산종이라 할 수 있다. 참가리비는 바다에 서식하는 부유생물을 여과하여 섭식하고 있으며 그 맛이 가장 좋은 3년생 정도가 되면 각장 15cm, 무게가 200g 이상으로 성장하게 된다.
참가리비 양식은 1980년대 경북 영일만에서 일부 양식이 시도되었으나, 본격적으로 양식이 이루어진 곳은 강원도 연안으로 1991년 처음으로 6.2톤의 생산량을 기록한 이래 1994년 605톤, 1996년 1,200톤으로 매년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1997년 가리비의 대량폐사 이후 1998년 536톤, 1999년 555톤으로 매년 감소추세를 보여주었다. 2001년의 대량폐사와 아울러 자연채묘의 부진으로 인한 종묘확보의 어려움과 자연산 치패의 폐사로 가리비 양식산업은 위기에 처하게 되자 중국에서 가리비 치패를 이식하여 명맥을 유지하게 되었다.
동해수산연구소는 2003년부터 참가리비 산업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후 기존 시스템 내에서의 생산 잠재력은 30천톤, 기지건설을 통할 경우 약 100천톤의 생산 잠재력이 있음을 평가하고 2010년부터 3개년의 생산확대 정책으로 100% 수입대체 및 수출 전략상품으로 개발을 위한 양식발전 방안을 수립하였다. 참가리비 생산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 우선 폐사원인 구명이 요구되었고, 실시간 어장환경정보관측시스템을 개발하여 2003~2005년에 걸쳐 폐사원인이 “일간수온급변”임을 확인하였다. 2005년 수온저항성이 있는 인공종묘를 대량생산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강원도 시험어장에서 현장시험에 성공함하였으며 개발된 기술을 실용화하기 위해 패류 대량 인공종묘 생산시설이 구비된 강원도수산자원연구소와 MOU를 체결하여 인공종묘 5천만(당시 우리나라 전체 참가리비 양식산업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요구량은 4천만)을 생산하는데 성공하였다.
동해수산연구소의 참가리비 인공종묘생산 성공은 대량폐사로 인해 가리비 양식사업을 포기한 양식어업인들을 다시 가리비 산업계로 불러들이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참가리비 수온저항성 인공종묘생산 기술이 원천적으로 개발됨에 따라 연구소에서는 기술을 민간이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연수과정을 거쳐 왔고, 마침내 2011년부터 강원도바다양식협회에 기술전수를 통해 민간산업화를 지원하기로 하고 어업인들과 함께 인공종묘 5천만을 생산하였으며 2012년부터는 어업인들이 직접 인공종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업인들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해수산연구소에서는 가리비양식 어업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우량 모패성숙 기법개발과 인공종묘 대량생산기술을 확립하고 중간양성 등 양성관리기법을 개발하여 가리비 양식산업이 활성화되도록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한편, 참가리비는 동해의 우리나라(북한포함), 일본, 및 러시아 연안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고급패류로 국제적으로 중국과 일본에서 대형 시장이 형성되어 있고, 우리나라와 러시아도 시장 규모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표적 참가리비 수입국인 중국은 시장규모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1982년 이래 동해안의 참가리비를 수입하여 자국연안에서 양식 산업화를 위한 꾸준한 노력을 경주한 결과 성공하였으나, 2000년대 말에 들어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생산량이 급감하여 다시 수입을 우려하고 있는 상태에 있다. 중국의 참가리비 양식은 1982년에 일본으로부터 모패를 이식하여 인공종묘생산 성공과 함께 발해만에서 부상뗏목에 의한 양식에 성공한 이후 현재는 밧줄 연승식에 의한 채롱양식과 씨뿌림(대련)에 의한 양식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량 인공채묘에 의해 종묘생산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해성인 참가리비 양식어장의 환경악화로 수하식 양식에서의 대량폐사가 발생하고, 굴 등 해적생물 등의 부착이 심해져 품질이 크게 저하되고 있어 생산량은 점차 크게 감소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국내에 수입되는 중국산은 연간 약 3천톤 정도로 집계되고 있다. 일본의 지진과 방사능 유출로 인해 일시적으로 증가할 수는 있겠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결코 위협적이지 못할 정도로 중국 가리비 산업은 점차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중국 참가리비는 우리나라 강원도 산에 비해 질적으로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첫째, 참가리비는 주요 요리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 요리로 판매되기 때문에 가격을 맞추기 위해 참가리비 크기가 작고 상품성이 떨어지는 상품이 구내에 많이 수입되고 있다.
둘째, 국내에 반입된 중국산은 운반기간과 통관절차에 7∼10일이 소요되므로 활패상태로 수조에서 보관하더라도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장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일본과 북한, 경우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수입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본은 양식산업이 가장 발달한 나라로서 생산량이 불안한 중국과는 달리 매년 30만톤 전후를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자국의 소비뿐만 아니라 중국과 우리나라에 수출을 하고 있는 실정이나 2011년 대지진과 원자력발전소에 의한 방사능 물질 유출로 당분간 국내로의 참가리비 수입은 힘들 것으로 판단된다. 러시아의 생산량은 년간 1만톤 정도이며, 러시아의 참가리비는 대부분 자연산이라고 볼 수 있으며 생산치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
러시아의 참가리비는 일부 양식산이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은 수백톤에 불과하며 가리비가 유럽에서 선호되는 패류인 점을 감안하면, 러시아는 양식생산지로서 그다지 큰 장점이 없으며 자연산은 패주가 크기에 비해 양식산보다 작고 질기므로 러시아산의 참가리비 수입이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산 참가리비 생산량은 공식적으로 보고된 적은 없으나 유통상태를 판단할 때, 최소한 4∼5천톤 이상이 양식되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산이 우리나라에 수입된 시점은 2003년부터로 추정되며 북한의 참가리비 양식은 중국의 자본과 기술에 의해 생산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점은 북한은 동해안 전체를 걸쳐 양식이 가능하므로 북한의 양식 잠재력은 기술과 자본이 뒷받침된다는 전제로, 5만톤까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참가리비 생산량은 일본 300~400천톤, 중국 50~200천톤, 러시아 10천톤, 북한 4천톤, 우리나라 약 5백톤 정도이며, 국제 가격은 등급에 따라 3~5불/kg에 해당하여 극동 아시아지역에서만 연간 총 15~25억불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향후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때 국제적으로 막대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가리비의 생활사는 방출된 난이 정자와 수정되면서 시작되는 데, 난은 분리 침성란으로 난경 80㎛ 내외, 포란 수는 만 3년 패(각고 10~12㎝)에서 1억 개 내외, 5~6년 패(각고 15㎝ 전후)에서 1억 8천만 개 내외이다. 수컷의 경우 만 2년째부터 정자를 생산하기 시작한다.
강원연안의 경우 연중 최저수온(2월 하순)이 점차 상승하는 3월 초순부터 생식소가 발달하기 시작하여 수온 8.0~11.5℃(산란임계온도 8℃) 전후인 4월 중순에서 5월 중순경에 2~3회에 걸쳐 산란이 이루어진다. 참가리비 유생먹이는 식물성 플랑크톤인 Nitzschia closterium, Pavlova lutheri , Isochrysis galbana, Chaetoceros calcitrans Tetraselmis suecica 등을 혼합하여 공급한다.
참가리비 조기산란 모패는 수온 7℃ 이하에서 성숙된 모패가 생식선지수가 좋으므로 국내에서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모패관리 시 동계수온이 낮은 적지를 조사하여 모패관리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 16℃에서 수정란은 나선상 난할(spiral cleavage)을 시작하여 낭배기(gastrula stage)를 거쳐 약 1∼2일 후에는 담륜자(trochophore) 유생 시기가 되어 부상 유영하며, 이때부터 먹이섭식을 시작한다.
수정 2~3일 후에는 편모를 가진 초기피면자(early veliger)인 경첩모양의 D형 유생기(D-shaped larva)가 시작되고, 약 12일 후에는 초기원각(prodissoconch shell)을 형성하여 각정기 유생기(umbo stage larva)가 시작되며, 이때 각정(umbones)이 형성된다. 이후 이들 각정기 유생은 성숙하여 약 20~22일 후에는 240~280㎛의 크기의 대형 부유유생기로 섬모를 가지며 발(foot)과 안점(eye spot)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소위 족피면자(pediveliger)시기를 2~3일 동안 거치게 되며, 수정 후 23~25일 후에는 팜사나 경심그물망 등의 기질에 부착하여 부착치패로 생활하게 된다.
따라서 참가리비는 약 25일간의 부유유생 시기를 거치게 되며, 채묘 시기는 수정 후 안점이 나타나고 발이 출현하는 유생이 50% 정도 출현하는 시기인 23~25일 이전에 채묘기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채묘한 후 껍질이 형성되는 시점인 15~20일 정도로 계속하여 실내에서 사육하여야 하며 환수는 1일 2회(1/3씩) 2시간 정도 환수하고 수조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채묘후 15∼20일 동안 매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야 한다. 가리비 종묘의 평균각고는 450㎛ 이상 되어야 안정된 것으로 판단하며 현미경 관찰 결과 껍질 형성이 확인되면 가이식을 준비하여야 한다.
채묘 15∼20일 후 바다 수온으로 1일 1℃씩 낮추어 준다. 이때 유의할 점은 껍질이 형성되는 등 부착상태와 치패가 안정된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부착한 유생은 변태를 시작하여 연막(velum)이 소실되고 아가미(gills)가 나타나며, 각정부위 위에 새로운 패각(dissoconch shell)을 만들어 성장하며 6~10mm 크기에 도달하면 부착기질로부터 탈락하여 저서생활에 들어간다.
채묘 및 가이식 이후 성장된 치패의 중간관리 목적은 어린 치패가 부착하여 성장하는 시점이 여름으로 고수온, 저염분, 용존산소 감소,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의 증가, 채묘기 안에서 치패의 고밀도 서식에 의한 먹이생물의 부족 등 참가리비 서식에 부적합한 환경이 되므로 치패 선별 및 관리기법에 의해 치패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고, 해적생물인 불가사리 등으로부터 어린 치패를 보호하여 건강한 치패로 육성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산용 치패는 각장 8~12㎜ 전후가 되는 것이 적당하며 적기에 치패를 채취하지 않으면 채묘기 안에 함께 서식하고 있는 불가사리가 참가리비 치패를 잡아먹을 수 있는 크기로 성장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진주담치 등이 먹이경쟁으로 치패 성장에 지장을 주게 되고 부착기에서 탈락된 치패는 환경이 열악한 주머니 밑바닥에 쌓이게 되어 폐사하거나 기형패 또는 성장이 저하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채묘기를 관찰하여 채취 적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고성장기인 치패를 저밀도로 분산 관리함으로써 짧은 기간 내에 각장 3~5㎝ 크기의 건강한 중간패로 성장시켜 어미용 본양성이나 바닥양식용 중간패로 성장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참가리비 중간패는 고온이나 공중노출 또는 담수에 저항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하루 중 서늘한 이른 새벽부터 시작하여 오전 12시 이전에 선상에서 선별작업을 끝내는 것이 좋으며, 기온 23℃ 이하인 맑은 날씨를 택하여 신속하게 실시하여야 한다. 만 1년 된 어린 개체는 각고 6㎝에 전후에 이르고, 2년 후에는 10~11cm(중량 100~150g), 3년 후에는 12~14cm(중량 150~300g)으로 상품 크기가 되며, 일부는 10년까지 성장하여 20cm(중량 1kg)에 이르기도 한다.
동해안에서 참가리비 양식의 성공으로 인하여 전국적으로 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광상품으로 인기가 높았으나 1997년 이후 1,400톤의 생산량이 대량폐사로 인하여 600톤 이하로 격감하여 가리비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급이 힘들게 되었다.
또한 1999년 채묘 물량이 부족하여 치패의 생산량이 1998년의 110,000 천마리에 비해 9,088천 마리로 극히 저조하며 자연 채묘에 의한 종묘의 공급에 큰 차질이 우려되기도 하였다.
참가리비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큰 동해안의 주요 품종으로서 양식어업인 소득원 증대에 크게 이바지하여 왔으며, 최근 들어 해양여건 등의 불안정으로 인해 양식효율이 저조한 실정임에도 소득 창출원으로 여전히 기대치가 아주 높은 품종이다. 그러므로 우선 국내 양식장 내에서 성숙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정 환경 해역을 발굴하여 모패 집단을 집중 관리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우량 모패를 확보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모패를 활용하여 민간에서 어업인들 스스로의 기술에 의해 품질이 우수한 종묘를 인공으로 대량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종묘생산 기술을 개발, 보급하는 것이 참가리비 양식산업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품질이 우수한 참가리비 채묘를 인공으로 대량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종료를 생산할 수 있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는 부착치패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바둑판형 틀이 형성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착치패 수용틀; 및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을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재 그물망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부착치패를 인입하기 위한 제1개폐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은 제1 그물망 및 제2 그물망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물망의 홀과 상기 제2 그물망의 홀 각각이 반홀이 되도록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의 홀은 1.5mm 내지 3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는 봉 형상의 거치대; 및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는, 원형틀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 상기 상부 고정틀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고정틀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틀과 상기 하부 고정틀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부착지패 수용틀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고정틀은 중심부에 걸림 고리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 고리 각각과 연결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상기 장치는,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부착치패를 인입하기 위한 제1개폐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은 제1 그물망 및 제2 그물망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물망의 홀과 상기 제2 그물망의 홀 각각이 반홀이 되도록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의 홀은 1.5mm 내지 3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사자루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본체의 그물망보다 그물망 홀이 작은 망사로 되며, 상기 망사자루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걸이부 로프가 통과 할 수 있는 홀이 있으며, 망사자루 측부에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전체를 인입하기 위한 제2개폐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물망의 홀은 0.4mm 내지 0.7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 다수의 부착치패 수용틀을 여러 층으로 차곡차곡 수용할 수 있어 부착치패 수용틀이 엉킴 없이 많이 수용할 수 있고, 참가리비 유생 부착기에 본 장치를 위아래로 뒤집어 주면 유생을 상하층에 균등하게 많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참가리비 유생부착이 완료되어 바다로 이식할 때 본 장치 전체를 그물망 홀이 작은 망사자루에 넣어 바다로 바로 옮겨 이식할 수 있어 부착종묘의 스트레스를 획기적으로 줄여 부착종묘의 탈락과 폐사율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부착종묘가 일정 크기의 치패로 성장할 때 외부 망사자루를 제거하여 치패의 성장과 중간육성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참가리비 인공 종묘생산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동해안에서 참가리비가 가장 중요한 양식품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참가리비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위하여 환경무인연속측정장치 (TMS)에 적용하여 지역별로 양성수심에 설치하여 냉수괴, 저염분, 고수온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폐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착치폐 수용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기재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감싸도록 구비된 망사자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100)는 부착치패 수용틀(140) 및 합성수지재 그물망(130)을 포함한다.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140)은 부착치패를 일정한 간격으로 수용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획부(141)가 바둑판식으로 형성된다. 또한 표면에는 상기 합성수지재 그물망(130)이 덮혀져 있다.
상기 합성수지재 그물망(130)은 복수 개의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140)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될 때, 복수 개의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140)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100)는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140)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부착치패를 상기 부착치패 수용부 내에 인입하기 위한 제1개폐부(150)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다. 또한, 상기 제1개폐부(150)는 지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130)은 제1 그물망(161) 및 제2 그물망(162)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물망(161)의 홀과 상기 제2 그물망(162)의 홀 각각이 반홀이 되도록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그물망(161, 162)의 홀은 1.5mm 내지 5mm 범위 내의 크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5mm 내지 3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는 봉 형상의 거치대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100)는 사각틀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110), 상기 상부 고정틀(110)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 하부 고정틀(12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고정틀(110)과 상기 하부 고정틀(120) 사이에 상기 복수 개의 부착지패 수용틀(140)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상부 고정틀(110)은 상기 각 면 중심부에 걸림 고리(111)가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고리(111) 각각과 연결된 걸이부(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100)는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140)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부착치패를 인입하기 위한 제1개폐부(150)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개폐부(150)는 지퍼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그물망(130)은 제1 그물망(161) 및 제2 그물망(162)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물망(161)의 홀과 상기 제2 그물망(162)의 홀 각각이 반홀이 되도록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그물망의 홀(160)은 1.5mm 내지 3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다.
도 3은 도 1에 기재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를 감싸도록 구비된 망사자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사자루(170)는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걸이부 로프가 통과할 수 있는 걸이부 홀(17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망사자루(170) 측부에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100) 전체를 인입하기 위한 제2개폐부(172)가 지퍼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망사자루(170)의 홀은 0.4mm 내지 0.7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 다수의 수용틀을 여러 층으로 차곡차곡 수용할 수 있어 수용틀이 엉킴 없이 많이 수용할 수 있고, 참가리비 유생 부착기에 본 장치를 위아래로 뒤집어 주면 유생을 상하층에 균등하게 많이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참가리비 유생 부착이 완료되어 바다로 이식할 때 본 장치 전체를 그물망 홀이 작은 망사자루에 넣어 바다로 바로 옮겨 이식할 수 있어 부착종묘의 스트레스를 획기적으로 줄여 부착종묘의 탈락과 폐사율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부착종묘가 일정 크기의 치패로 성장할 때 외부 망사자루를 제거하여 치패의 성장과 중간육성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참가리비 인공 종묘생산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동해안에서 참가리비가 가장 중요한 양식품종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참가리비의 안정적인 생산 및 공급을 위하여 환경무인연속측정장치(TMS)에 적용하여 지역별로 양성 수심에 설치하여 냉수괴, 저염분, 고수온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폐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110: 상부 고정틀
111: 걸림 고리 112 : 걸이부
120: 하부 고정틀 130 : 그물망
140 : 부착치패 수용틀 141 : 구획부
150 : 제1개폐부 160 : 그물망 홀
161 : 제1 그물망 162 : 제2 그물망
170 : 망사자루 171: 걸이부 홀
172: 제2개폐부

Claims (13)

  1. 참가리비의 유생을 채집하여 일정 크기의 부착치패로 육성시키기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에 있어서,
    사각틀로 형성된 상부 고정틀 및 하부 고정틀과,
    사각틀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된 2개 이상의 부착 치패 수용틀과,
    상기 상부 고정틀, 하부 고정틀 및 부착 치패 수용틀을 감싸도록 형성된 합성수지재 그물망과,
    일측이 상기 상부 고정틀과 하부 고정틀의 각 면 중심부에 형성된 걸림 고리에 연결되고, 타측이 봉 형상의 거치대에 고정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걸이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 각각에 걸이부 홀이 형성되고, 지퍼형태의 제2개폐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 전체를 넣을 수 있는 망사자루;를 포함하고,
    상기 망사자루는 상기 본체의 그물망보다 작은 크기의 망 홀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부착치패 수용틀이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는 내부에 상기 부착치패를 인입하기 위한 제1개폐부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그물망은,
    제1 그물망 및 제2 그물망이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1 그물망의 홀과 상기 제2 그물망의 홀 각각이 반홀이 되도록 겹쳐지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그물망은 1.5mm 내지 3mm 범위 내의 크기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자루는,
    상기 제2개폐부가 일 측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자루의 홀은 0.4mm 내지 0.7mm 범위 내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KR1020120129404A 2012-11-15 2012-11-15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Active KR10142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04A KR101423301B1 (ko) 2012-11-15 2012-11-15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404A KR101423301B1 (ko) 2012-11-15 2012-11-15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09A KR20140065509A (ko) 2014-05-30
KR101423301B1 true KR101423301B1 (ko) 2014-07-28

Family

ID=50892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404A Active KR101423301B1 (ko) 2012-11-15 2012-11-15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3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14U (ko) 2018-05-02 2019-11-12 오장영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20200000112U (ko) 2018-07-05 2020-01-15 오장영 먹이투입구가 형성된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20210057482A (ko) 2019-11-12 2021-05-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체패류 양성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818B1 (ko) 2015-02-02 2017-04-07 제주특별자치도(제주특별자치도해양수산연구원장) 홍해삼의 중간육성틀을 이용한 홍해삼의 중간육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종묘 방류방법
KR102291155B1 (ko) 2020-09-15 2021-08-18 김낙현 가리비 채취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864U (ko) * 1986-05-06 1987-11-13
JPH03111273U (ko) * 1989-12-28 1991-11-14
JP3121419U (ja) * 2006-02-22 2006-05-18 佐々木商工株式会社 貝類養殖篭
KR100877074B1 (ko) * 2007-03-20 2009-01-09 하영수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8864U (ko) * 1986-05-06 1987-11-13
JPH03111273U (ko) * 1989-12-28 1991-11-14
JP3121419U (ja) * 2006-02-22 2006-05-18 佐々木商工株式会社 貝類養殖篭
KR100877074B1 (ko) * 2007-03-20 2009-01-09 하영수 지퍼를 형성한 어패류 육성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814U (ko) 2018-05-02 2019-11-12 오장영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20200000112U (ko) 2018-07-05 2020-01-15 오장영 먹이투입구가 형성된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KR20210057482A (ko) 2019-11-12 2021-05-2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개체패류 양성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509A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63617B (zh) 一种熊本牡蛎的人工繁育方法
CN102939924B (zh) 一种拟目乌贼人工育苗的方法
CN100546467C (zh) 双白壳虾夷扇贝的培育方法
CN101637136B (zh) 一种池蝶蚌幼蚌的繁育方法
CN103404462B (zh) 一种刀鲚土池育苗的方法
CN106234266B (zh) 一种活牡蛎礁区藻-贝-参生态增养殖的方法
CN100405898C (zh) 背瘤丽蚌人工生产方法
KR101423301B1 (ko) 참가리비 인공 종묘 부착율과 중간육성 향상을 위한 참가리비 인공 채묘 및 육성 장치
CN104255623B (zh) 一种波纹唇鱼的人工育苗方法
CN206402939U (zh) 一种单体牡蛎养殖笼
Southgate Pearl oyster culture and pearl production
CN100444725C (zh) 高产抗逆杂交扇贝品种的育成方法
CN106386607A (zh) 一种克氏原螯虾分级池塘多茬养殖方法
CN103518653B (zh) 海湾扇贝反季节繁育方法
CN101341862A (zh) 一种橙黄壳色华贵栉孔扇贝的制种方法
CN102144585A (zh) 池蝶蚌与大宗淡水鱼混合养殖方法
CN102405870B (zh) 一种海湾扇贝的同代多点复合选育方法
CN102090357B (zh) 古蚶贝工厂化育苗方法
CN109362610A (zh) 莱氏拟乌贼苗种培育方法
CN113349117A (zh) 一种脉红螺池塘生态育苗的方法及装置
CN103461224A (zh) 刺参杂交育种中种参的选择方法
CN111149742B (zh) 一种唐冠螺幼体制备及培养方法
CN104126535B (zh) 一种波纹唇鱼的人工繁殖方法
CN115735819A (zh) 一种岩牡蛎与葡萄牙牡蛎的杂交制种方法
Abelin et al. Current status of scallop culture in Braz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718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8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