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045B1 -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 Google Patents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3045B1 KR101423045B1 KR1020120140348A KR20120140348A KR101423045B1 KR 101423045 B1 KR101423045 B1 KR 101423045B1 KR 1020120140348 A KR1020120140348 A KR 1020120140348A KR 20120140348 A KR20120140348 A KR 20120140348A KR 101423045 B1 KR101423045 B1 KR 101423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
- reed switch
- sound
- sensing
- genera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92 metal group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41 whis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빛을 방출하는 기능을 구비하면서 침입방지를 위한 플래시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플래시 장치는, 호각음을 발생하는 음원 발생부;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호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마그넷에 의해 온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가 상기 마그넷에 의해 온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flash device for preventing intrusion while having a function of emitting light is disclosed. The flash device includes: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histle sou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whistl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ody;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the magn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to output a whistling sound to the speaker by sensing the presence of the reed switch when the reed switch is turned on by the magnet and turning on the sensing sen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기능에 침입방지를 위한 경고기능이 추가된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s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rusion prevention flash device to which a warning function for preventing intrusion is added to a flash function.
종래의 플래시 장치는 광을 출력하여 어둠을 밝히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구비하면서 호각음 출력기능을 부가하여 경고장치로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conventional flash device is basically equipped with a function of outputting light to illuminate the darkness, and is configured to use a whistling sound output function as a warning device.
가령, 플래시 장치를 빛을 방출하는 기능으로 사용하다가 위험요소가 발생하였거나 예측되는 경우 호각음 출력버튼을 눌러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using the flash unit as a light emitting function, if a hazard occurs or is predicted, the whistle sound output button is pressed to output a whistle soun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플래시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직접 호각음 출력버튼을 눌러야만 호각음이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호각음 출력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flash device, a whistle sound is output only when the user directly presses the whistle sound output button. Therefore, when the user does not hold the whistle sound, the whistle sound output function can not be perform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플래시 기능과 호각음 출력기능을 구비하면서 침입방지용 경고장치로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sh device which is basically equipped with a flash function and a whistling sound output function and can be used as an intrusion prevention warning device.
상기의 목적은, 호각음을 발생하는 음원 발생부;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호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마그넷에 의해 온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가 상기 마그넷에 의해 온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histle sou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whistl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ody;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the magne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to output a whistling sound to the speaker when the reed switch is turned on by the magnet, Prevention flash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점멸/전원 버튼, 호각음 출력버튼 및 충전 표시램프가 설치되고, 하면에는 거치를 위한 한 쌍의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는 전원 입력을 위한 USB 포트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LED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피커가 설치된다.Preferably, a blinking / power button, a whistling sound output button, and a charging indicator lamp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pair of brackets for mounting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pair of brackets A USB port, an L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a speaker at the other end.
바람직하게, 상기 LED의 전방에는 유리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유리 커버의 전방 측 몸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신호봉이 결합된다.Preferably, a glass cove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LED, and a screw is formed on the front side body of the glass cover to join the signal rod.
상기의 목적은, 하면에 한 쌍의 브라켓이 돌출 형성된 몸체; 호각음을 발생하는 음원 발생부,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호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마그넷에 의해 온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가 상기 마그넷에 의해 온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브라켓이 끼워지는 안내홈을 구비한 거치블록을 구비한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거치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거치블록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body having a pair of brackets protruding from a bottom surface thereof;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a magnet, and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a magn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o output a whistle sound to the speaker by sensing the sensed temperature when the magnet is on and turning on the sensing sensor and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And a mounting block having a mounting block hav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bracket is inserted, wherein the magnet is mounted on the mounting block such that the magnet is opposed to the reed switch as the body is engaged with the mounting block And a flash device assembly.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도어나 창문틀에 부착된 거치대에 플래시 장치를 장착할 경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해 고휘도 LED를 통하여 고휘도의 섬광을 방출하거나, 음원발생부로부터 생성된 고음의 호각음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여 경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flash device is mounted on a door or a window frame, a flash of high brightness is emitted through a high-brightness LED against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r a high-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rning through the speaker.
또한, 플래시 장치가 거치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충격센서가 동작하지 않아 안전하게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flash device is detached from the stand, the shock sensor does not operate, and can safely perform its original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래시 장치의 하면을 보여준다.
도 3은 플래시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플래시 장치의 다른 기능의 하나를 보여준다.
도 5는 플래시 장치를 자전거 핸들에 장착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6은 플래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las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bottom of the flash device.
Fig. 3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mounting the flash device on a cradle.
Figure 4 shows one of the other functions of the flash device.
Figure 5 shows mounting the flash device to the bicycle handl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flash devic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또는 이해가 쉽게 되도록 부분적으로 과장되게 표현될 수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r for ease of understan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플래시 장치의 하면을 보여준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flas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ottom view of the flash device.
플래시 장치(10)는 몸체(11)와 몸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령 나사 결합하는 캡(12)으로 이루어진다. The
몸체(11)와 캡(12)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나, 가령 내충격성을 구비하도록 금속 합금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몸체(11)의 상면에는 점멸/전원 버튼(15), 호각음 출력버튼(16) 및 충전표시 램프(17)가 설치되고,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하면에는 거치를 위한 한 쌍의 브라켓(20, 22)이 돌출 형성된다.A flashing /
또한. 하면에서 브라켓(20, 22) 사이에는 전원 입력을 위한 USB 포트(18)가 장착된다.Also. A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11)의 타단에는 스피커(도 5의 113)가 설치되어 호각음을 출력한다.Although not shown, a speaker (113 in FIG. 5)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캡(12)의 내부에는 빛을 방출하는 LED(도 5의 111)가 설치되고, 전면측에 유리 커버(14)가 덮인다.An LED (111 in FIG. 5) for emitting light is provided inside the
유리 커버(14)의 전방 측에서 캡(12)에는 나사(1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것처럼, 신호봉이 결합될 수 있다.A
도 3은 플래시 장치를 거치대에 장착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준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mounting the flash device on a cradle.
거치대(30)는 벽이나 기구물에 부착하도록 나사구멍(31a)이 형성된 받침대(31)와, 양측에 안내홈(33)이 형성된 거치블록(32) 및 거치블록(32)의 상면에 장착된 마그넷(34)으로 이루어진다.The mounting table 30 includes a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한 쌍의 브라켓(20, 22)은 거치대(30)의 거치블록(32)의 안내홈(33)에 끼워져 결합하는데, 결합이 완료되면 마그넷(34)은 몸체(11)의 하면의 특정 부분에 접촉하게 된다.2 is engaged with the
도 4는 플래시 장치의 다른 기능의 하나를 보여준다.Figure 4 shows one of the other functions of the flash device.
상기한 것처럼, 캡(12)의 유리 커버(14)의 전방 측에 형성된 나사(13)에는 신호봉(40)의 나사(41)가 결합된다.The
신호봉(40)은 가령 투명하거나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래시 장치(10)로부터 방출된 빛, 특히 점멸되는 빛은 신호봉(40)을 통과하여 모든 방향으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신호봉(40)으로부터 빛이 방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도 5는 플래시 장치를 자전거 핸들에 장착하는 것을 보여준다.Figure 5 shows mounting the flash device to the bicycle handle.
도시한 것처럼, 플래시 장치(10)는 브래킷(50)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핸들(5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As shown, the
따라서, 몸체(11)의 상면에 설치된 점멸/전원 버튼(15)을 이용하여 야간 주행시 플래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고, 호각음 출력버튼(16)을 이용하여 주행 중 타인에게 경고할 수 있다.Therefore, the flash function can be used during night driving by using the flashing /
이하, 본 발명의 기능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플래시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flash device.
플래시 장치(10)는, 몸체(11)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104), 경보발생부(110, 111, 112, 113), 전원관리부(120), 및 충격센서(104)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발생부(110, 111, 112, 113)로부터 소리나 빛을 발생하도록 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한다.The
경보는 LED 구동부(110)의 제어하에 고휘도 LED(111)를 통하여 고휘도의 섬광을 방출하거나, 음원발생부(112)로부터 생성된 가령 높은 데시빌(dB)의 호각음을 스피커(113)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alarm is generated by emitting a high-intensity flash through the high-
또한, USB 포트(18)는 전원관리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관리부(120)에 의해 제어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지(1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USB 포트(1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축전지(122)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충전표시 램프(17)를 구비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플래시 장치(10)는 리드 스위치(105)를 구비하며, 리드 스위치(105)는 마그넷(34)에 의해 온/오프 된다.The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플래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as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사용자가 점멸/전원 버튼(15)을 누르면 제어부(102)는 LED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LED(111)를 발광시킨다. 이때, 제어부(102)는 점멸/전원 버튼(15)을 누르는 순서대로 점멸 - 전원 온(ON) - 전원 오프(OFF)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이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lashing /
또한, 사용자가 호각음 버튼(16)을 누르면, 제어부(102)는 음원발생부(112)를 제어하여 스피커(113)를 통하여 높은 데시빌의 호각음이 출력되도록 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한편, USB 포트(18)에 USB 케이블의 단자가 연결되면, 전원관리부(120)는 이를 감지하여 USB 포트(18)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축전지(122)가 충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전상태를 충전표시 램프(17)를 통하여 표시한다.When the terminal of the USB cable is connected to the
도 3을 참조하면, 플래시 장치(1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20, 22)은 거치대(30)의 거치블록(32)의 안내홈(33)에 끼워져 결합하는데, 결합이 완료되면 마그넷(34)은 몸체(11)의 하면에 접촉한다.3, a pair of
도 5에 도시된 기능적 구성은 인쇄회로기판의 형태로 구현되는데, 인쇄회로기판은 몸체(11)의 내부에 장착된다. The functional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inted circuit board, which is mounted inside the
이때, 마그넷(34)에 대향하는 몸체(11) 부분에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리드 스위치(105)가 위치하도록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so that the
따라서, 플래시 장치(10)가 거치대(30)에 거치되면, 마그넷(34)에 대향하는 리드 스위치(105)가 자기력에 의해 접점이 연결되면 온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2)에 전달하고, 제어부(102)는 충격센서(104)를 온 시킨다.Therefore, when the
그 결과, 충격센서(10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대해 동작대기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가령, 거치대가 도어나 창문틀에 부착된 경우, 강제로 도어나 창문을 열기 위하여 충격을 가하면, 충격센서(104)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102)에 전달하고, 제어부(102)는 LED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고휘도 LED(111)를 통하여 고휘도의 섬광을 방출하거나, 음원발생부(112)로부터 생성된 고음의 호각음을 스피커(113)를 통하여 출력하여 경고하거나 또는 이들 양자를 동시에 수행한다.As a result, the
반면, 플래시 장치(10)를 거치대(30)로부터 분리하면, 리드 스위치(105)가 마그넷(34)과 격리되어 리드 스위치(105)의 접점이 분리되어 제어부(102)는 더 이상 온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므로 충격센서(104)를 오프 시킨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분리된 상태의 플래시 장치(10)는 외부로 아무리 충격을 받더라도 호각음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게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10: 플래시 장치
11: 몸체
12: 캡
13: 나사
14: 유리 커버
15: 점멸/전원 버튼
16: 호각음 버튼
17: 충전표시램프
30: 거치대
31: 받침대
32: 거치블록
33: 안내홈
34: 마그넷10: Flash device
11: Body
12: Cap
13: Screw
14: Glass cover
15: Flash / Power button
16: Whistle button
17: Charge indication lamp
30: Cradle
31: Base
32: Mounting block
33: guide groove
34: Magnet
Claims (4)
상기 플래시 장치는,
호각음을 발생하는 음원 발생부;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호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마그넷에 의해 온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가 상기 마그넷에 의해 온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1. A flash apparatus for emitting light,
The flash device includes:
A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histle sound;
A speaker for outputting a whistle sound generated by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 sensing sensor for sensing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ody;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the magnet; An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to output a whistle sound to the speaker by sensing the presence of the reed switch when the reed switch is turned on by the magnet, Of the flash unit.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점멸/전원 버튼, 호각음 출력버튼 및 충전 표시램프가 설치되고, 하면에는 거치를 위한 한 쌍의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는 전원 입력을 위한 USB 포트가 장착되고,
상기 몸체의 일단에는 LED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상기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lashing / power button, a whistling sound output button, and a charging indicator lamp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 pair of brackets for mounting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a USB port for power input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brackets Mounted,
Wherein an LED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body and the speake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상기 LED의 전방에는 유리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유리 커버의 전방 측 몸체에 나사가 형성되어 신호봉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방지용 플래시 장치.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glass cover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LED, and a screw is formed on a front side body of the glass cover so that a signal rod is coupled.
호각음을 발생하는 음원 발생부, 상기 음원 발생부에서 발생된 호각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몸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마그넷에 의해 온 오프되는 리드 스위치, 및 상기 리드 스위치가 상기 마그넷에 의해 온 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센서를 온 시키고 상기 감지센서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 발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스피커로 호각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브라켓이 끼워지는 안내홈을 구비한 거치블록을 구비한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거치블록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가 상기 거치블록과 결합함에 따라 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장치 어셈블리.A body on which a pair of brackets protrude;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a magnet, and a reed switch which is turned on and off by a magne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o output a whistle sound to the speaker by sensing the sensed on-state of the magnet and turning on the sensing sensor, and controlling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ing sensor. And
And a mounting block having a mounting block hav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bracket is fitted,
Wherein the magnet is mounted to the mounting block such that the magnet faces the reed switch as the body engages the mounting bloc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348A KR101423045B1 (en) | 2012-12-05 | 2012-12-05 |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348A KR101423045B1 (en) | 2012-12-05 | 2012-12-05 |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623A KR20140072623A (en) | 2014-06-13 |
KR101423045B1 true KR101423045B1 (en) | 2014-07-24 |
Family
ID=5112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348A Active KR101423045B1 (en) | 2012-12-05 | 2012-12-05 |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3045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200Y1 (en) | 2002-09-06 | 2002-12-16 | 권오성 | Door lock generating alarm |
KR20040019550A (en) * | 2002-08-28 | 2004-03-06 | (주) 소담 | apparatus for sensing impact |
KR20090091841A (en) * | 2008-02-26 | 2009-08-31 | (주)유엔엘 | Locking system of bicycle for lending |
KR101021028B1 (en) | 2010-10-20 | 2011-03-09 | 고희창 | Body-worn alarm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348A patent/KR1014230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19550A (en) * | 2002-08-28 | 2004-03-06 | (주) 소담 | apparatus for sensing impact |
KR200298200Y1 (en) | 2002-09-06 | 2002-12-16 | 권오성 | Door lock generating alarm |
KR20090091841A (en) * | 2008-02-26 | 2009-08-31 | (주)유엔엘 | Locking system of bicycle for lending |
KR101021028B1 (en) | 2010-10-20 | 2011-03-09 | 고희창 | Body-worn ala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72623A (en) | 2014-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4409B1 (en) | Taillight for Bicycle and Method for thereof | |
JP3139162U (en) | flashlight | |
KR101423045B1 (en) | Flash device for protecting trespassing | |
EP1394029A2 (en) | Bicycle lighting system | |
US20110037395A1 (en) | Vehicle having a solar-powered light emitting device | |
CN109150154B (en) | Inductive switch structure for vehicle | |
EP1672796A3 (en) | Optical proximity switch | |
TWI523785B (en) | The direction of the bicycle display device | |
CN213118544U (en) | Multifunctional intelligent voice acousto-optic alarm flashlight | |
JP6680821B2 (en) | Door device | |
JP6067170B1 (en) | Voltage detector | |
CN214538267U (en) | Gun type forehead thermometer with lighting function | |
CN112002582B (en) | Non-contact button | |
JP2012252817A (en) | Intelligent and energy saving led lamp having low light and total light emission | |
CN208919979U (en) | A kind of solar energy speaker headlamp for bicycle | |
CN220018570U (en) | Sensing mechanism and door magnetic sensor | |
KR101634240B1 (en) | Lighting Device for Trunk of Automobile | |
CN217584203U (en) | Swimming pool projecting lamp | |
US7005806B2 (en) | Light device having automatic control device | |
TWM460014U (en) | Bicycle direction indicator light | |
KR20130007104U (en) | Wireless Microphone Battery Indicator | |
JP7054831B2 (en) | Load controller and transmitter | |
JP3163865U (en) | LED guide light | |
CN108389365B (en) | Earthquake alarm device | |
KR200411684Y1 (en) | Automotive light emitting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