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2930B1 -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930B1
KR101422930B1 KR1020120125350A KR20120125350A KR101422930B1 KR 101422930 B1 KR101422930 B1 KR 101422930B1 KR 1020120125350 A KR1020120125350 A KR 1020120125350A KR 20120125350 A KR20120125350 A KR 20120125350A KR 101422930 B1 KR101422930 B1 KR 101422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oil
bobbin
wind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8904A (ko
Inventor
엄재근
장세훈
권창용
천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9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5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8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9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01F27/2885Shielding with shields or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8Shielding
    • H01F27/289Shielding with auxiliary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8Auxiliary core members; Auxiliary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2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for non-linear operation
    • H01F38/023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for non-linear operation of inductances
    • H01F2038/026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for non-linear operation of inductances non-linear inductive arrangements for converters, e.g. with additional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 간에 전자기파의 차폐가 가능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들을 구분하며, 상기 코일들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리판에 의해 권선 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격리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일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이면서도 제조 과정에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모니터(Monitor), PC(Personal computer), OA(Office automation) 기기 등과 같은 각종 전자 기기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전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 기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각 전자응용기기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시켜주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한다.
최근에는 전원공급장치 중 스위칭 모드를 이용하는 전원공급장치(예컨대, Switch Mode Power Supply; SMPS)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SMPS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스위칭 트랜스포머는 일반적인 트랜스포머(Transformer)에 비해 코어(Core) 및 보빈(Bobbin)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전압, 저전류의 직류전원을 전자응용기기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응용기기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전자기파를 차폐하기 위해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금속의 실드(shield) 테이프를 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경우, 1차 코일을 권선하고 그 위에 금속 테이프를 테이핑 한 후, 다시 2차 코일을 권선해야 하므로 제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기파의 차폐가 가능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7-2830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간에 전자기파의 차폐가 가능하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들을 구분하며, 상기 코일들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리판에 의해 권선 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격리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빈에 권선되고, 상기 격리판은 수지 재질의 편평한 판에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권선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판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평면 형상이 ′⊂′ 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권선부의 권선 공간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격리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빈에 권선되고,상기 격리판은 수지 재질의 편평한 판에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품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보빈과 별도로 격리판를 구비한다. 그리고 격리판을 보빈에 결합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차폐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격리판과 보빈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한 후 코일을 권선하므로, 종래와 같이 코일 권선 과정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별도의 실드 테이프를 테이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다양한 격리판을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빈에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복수 개의 격리판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격리판을 선택하여 보빈에 결합한 후 코일을 권선하여 코일 부품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코일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보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일 수 있으며, 보빈(10), 코어(40), 코일(50), 및 격리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빈(10)은 코일 부품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빈(1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부(12)와, 권선부(12)의 일단에 형성되는 단자체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선부(12)는 관(管)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3)와, 몸체부(13)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플랜지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3)는 내부에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관통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13)의 외부면에는 코일(50)이 권선된다.
플랜지부(15)는 몸체부(13)의 양단 즉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15)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15a)와 하부 플랜지부(15b)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3)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15a), 및 하부 플랜지부(15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코일(50)이 권선되는 권선 공간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15)는 권선 공간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체결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체결부(20)는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하부 플랜지부(15b)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체결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에서 부분적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하부 플랜지부(15b)와 단자체결부(20)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체결부(20)는 하부 플랜지부(15b) 자체가 단자체결부(20)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단자체결부(20)에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34)들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후술되는 격리판(30)이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22)을 구비한다.
삽입 홈(22)은 내부에 삽입되는 격리판(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몸체부(13)의 외주면에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홈(22)은 몸체부(13)의 외주면에서 플랜지부(15)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 홈(22)에 삽입되며 끼워진다. 따라서 삽입 홈(22)은 격리판(30)의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은 삽입 홈(22)에 끼움 결합되며 고정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 홈(22)은 P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나 두께가 미세하게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리판(30)의 두께가 P 방향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커지도록 형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마찬가지로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일 수 있다.
격리판(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보빈(10)의 몸체부(13)에 삽입되어 보빈(10)을 완성한다. 격리판(30)은 보빈(10)의 권선부(12)에 결합되어 코일들(50)을 구분하며, 코일들(50)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보빈(10)의 몸체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격리판(30)은 코일(50)의 권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권선부(12)에 삽입되며 보빈(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격리판(30)은 전자기파 즉, EMI를 차폐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격리판(30)은 플랜지부(15)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투영 시 플랜지부(15)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플랜지부(15)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격리판(30)은 몸체부(13)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평면 형상이 ′⊂′ 형상의 금속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부(13)의 외주면이 곡면을 가지므로, 격리판(30)도 ′⊂′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의 단면이 ′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격리판(30)은 평면 형상이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리판(30)은 필요에 따라 다수개가 나란하게 이격되어 몸체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자기파(EMI)를 차폐함과 동시에 편평한 판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판(30)은 금속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지 재질의 편평한 판을 도금하거나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에 도전성 분말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준비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빈(10)에 결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리판(30)은 다수개가 각각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폭의 격리판들(30)을 구비하는 경우, 보빈(10)에 권선되는 코일(50)의 권선 두께에 따라 대응하는 폭의 격리판(30)을 선택하여 보빈(10)에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격리판(30)을 준비하고, 코일 부품(100)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격리판(30)을 선택하여 보빈(10)에 결합한 후 이용할 수 있다.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코일(5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의 관통공(11)에 일부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는 그 형상에 따라 'EE' 코어, 'EI' 코어, 'UU' 코어, 'UI' 코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보빈(10)에 권선된 코일(50)과 코어(40) 간의 절연을 확보하기 위해, 보빈(10)과 코어(40) 사이에는 절연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개재될 수 있다.
절연 커버는 코어(40)와 보빈(10)이 대면하는 코어(40)의 모든 내부면에 대응하여 개재될 수 있으며, 코일(50)과 코어(40)가 대면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절연 커버로는 절연 테이프나 수지 재질의 커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50)은 보빈(10)의 권선부(12)에 권선되며,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각각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 개의 개별 코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개별 코일 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격리막(30)에 의해 분할되는 권선 공간에 각각 권선될 수 있다. 따라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격리막(30)에 의해 상호 간에 전자기파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50)은 통상의 절연 코일(예컨대, 폴리우레탄 와이어, polyurethane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의 와이어를 꼬아 형성한 연선(撚線) 형태의 코일(예컨대 리쯔 와이어, Litz wir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절연성이 높은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을 이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보빈(10)과 별도로 격리판(30)을 구비한다. 그리고 격리판(30)을 보빈(10)에 결합하여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차폐막을 형성한다.
따라서 격리판(30)과 보빈(10)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 결합한 후, 코일을 권선하므로, 코일 권선 과정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별도의 실드 테이프를 테이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다양한 격리판(30)을 준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보빈(10)에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복수 개의 격리판(30)을 마련하고,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격리판(30)을 선택하여 보빈(10)에 결합한 후 코일을 권선하여 코일 부품(100)을 완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코일 부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격리판(30)는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도록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의 격리판(30)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4), 코일 부품(100)이 실장된 전원 공급부(5), 및 커버(2, 8)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 8)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2)와 백 커버(back cover, 8)를 포함하며,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4)은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등이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SMPS, 5)는 디스플레이 패널(4)에 전원을 제공한다. 전원 공급부(5)는 인쇄 회로 기판(6)에 다수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이 적어도 하나 실장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5)는 샤시(7)에 고정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4)과 함께 커버(2, 8)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끼움 결합을 통해 격리판이 보빈의 삽입 홈에 끼워지며 고정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의 구성과 반대로, 보빈의 몸체부에 삽입 홈이 아닌 돌기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격리판의 내측면에 홈을 형성하여 돌기가 홈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격리판과 삽입 홈 사이에 접착 부재를 개재하여 슬라이딩 결합이 아닌 접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코일 부품 중 절연형 스위칭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인버터용 트랜스포머나 고주파 필터 등 코일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부품이나,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격리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경우, 이를 코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을 1차 코일로 구성하고, 격리판으로 구성되는 코일을 2차 코일로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100.....코일 부품
10.....보빈 11.....관통 홀
12.....권선부 13.....몸체부
15.....플랜지부
20.....단자체결부 22.....삽입 홈
30.....격리판 34.....외부 접속 단자
40.....코어 50.....코일

Claims (11)

  1.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들을 구분하며, 상기 코일들 사이에 발생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을 포함하며,
    상기 권선부는 상기 격리판에 의해 권선 공간이 구획되며, 상기 코일은 상기 격리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빈에 권선되고, 상기 격리판은 수지 재질의 편평한 판에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일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코일의 권선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권선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코일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리판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코일 부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상기 플랜지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평면 형상이 ′⊂′ 또는 ′ㄷ′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 홈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며 상기 보빈과 결합되는 코일 부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코일 부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판은,
    폭이 각각 다르게 형성된 복수 개로 구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코일 부품.
  10. 다수의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를 포함하는 보빈; 및
    도전성을 갖는 편평한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권선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권선부의 권선 공간을 다수 개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리판;
    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격리판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보빈에 권선되고,
    상기 격리판은 수지 재질의 편평한 판에 도전성을 갖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코일 부품.
  11.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 부품이 기판 상에 실장되어 형성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 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전원 공급부를 보호하는 커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25350A 2012-11-07 2012-11-07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422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350A KR101422930B1 (ko) 2012-11-07 2012-11-07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5350A KR101422930B1 (ko) 2012-11-07 2012-11-07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04A KR20140058904A (ko) 2014-05-15
KR101422930B1 true KR101422930B1 (ko) 2014-07-23

Family

ID=50888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53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22930B1 (ko) 2012-11-07 2012-11-07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4876A (zh) * 2016-12-19 2017-03-15 常熟市谷雷特机械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屏蔽功能的变压器骨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251B1 (ko) * 2014-09-15 2016-12-27 주식회사 솔루엠 코일 부품과 이를 구비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30570B1 (ko) * 2018-01-25 2019-10-10 주식회사 이랜텍 평판형 트랜스 및 이의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207U (ko) * 1990-01-30 1991-10-16
JP2003163120A (ja) * 2001-11-27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変圧器
JP2006295094A (ja) * 2005-04-12 2006-10-26 Sanee Denki Kk シールドトランス
KR20120025441A (ko)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9207U (ko) * 1990-01-30 1991-10-16
JP2003163120A (ja) * 2001-11-27 2003-06-06 Mitsubishi Electric Corp 変圧器
JP2006295094A (ja) * 2005-04-12 2006-10-26 Sanee Denki Kk シールドトランス
KR20120025441A (ko) * 2010-08-11 2012-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04876A (zh) * 2016-12-19 2017-03-15 常熟市谷雷特机械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屏蔽功能的变压器骨架
CN106504876B (zh) * 2016-12-19 2018-02-06 国网湖北省电力公司荆门供电公司 一种具有屏蔽功能的变压器骨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8904A (ko) 2014-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8141B2 (ja) トランスフォーマー及びこれを備える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88819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886657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832022B (zh) 变压器以及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US20150116068A1 (en) Coil component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88891B1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CN102832023B (zh) 变压器以及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CN102856049B (zh) 变压器及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US20140153209A1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40865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20140160644A1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2856051B (zh) 变压器及使用该变压器的显示装置
CN202855505U (zh) 线圈组件及显示器设备
KR101422930B1 (ko)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138700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06570A (ko) 트랜스포머와 이를 구비하는 파워 모듈
KR20120138713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4184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10008846U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KR101489814B1 (ko) 코일 부품
KR20130042172A (ko) 전자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4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4011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7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