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740B1 -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 - Google Patents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1740B1 KR101421740B1 KR1020080094335A KR20080094335A KR101421740B1 KR 101421740 B1 KR101421740 B1 KR 101421740B1 KR 1020080094335 A KR1020080094335 A KR 1020080094335A KR 20080094335 A KR20080094335 A KR 20080094335A KR 101421740 B1 KR101421740 B1 KR 101421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bf
- fanr
- activation
- message
- mobile s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71—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contro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85—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e.g. to a polling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국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상향링크 TBF(Temporary Block Flow) 및 하향링크 TBF를 확립 또는 재설정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TBF에 대한 FANR(Fast Ack/Nack Reporting) 활성화 여부와 상기 하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모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와 상기 하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TBF와 상기 하향링크 TBF를 중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 상이한 FANR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더라도 이동국의 동작을 명시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에 관한 것이다.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은 유럽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을 표준화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개발된 무선 기술이며,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GSM이 제공하는 회선 교환 데이터 서비스(circuit switched data service)에서 패킷 교환 데이터 서비스(packet switched data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소개되었다. EDGE(Enhanced Data Rate for GSM Evolution)는 GSM이 사용하는 GMSK(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대신에 8PSK(8 Phase Shift Keying)를 채용하여 데이터 속도를 높인다.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는 EDGE를 사용하는 GPRS를 나타낸다.
GPRS/EGPRS 트래픽에 사용되는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PDCH(Packet Data Channel)라 한다. PDCH에 맵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패킷 전송 초기화에 필요한 제어 시그널에 사용되는 PCCCH(Packet Common Control Channel),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PDTCH(Packet Data Traffic Channel) 및 전용 시그널링을 위한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 등이 있다.
GPRS/EGPRS 트래픽에 사용되는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PDCH(Packet Data Channel)라 한다. PDCH는 패킷 전송 초기화에 필요한 제어 시그널에 사용되는 PCCCH) 및 사용자 데이터와 전용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에 사용되는 PTCH(Packet Traffic Channel)를 포함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PDTCH(Packet Data Traffic Channel)라 하고, 전용 시그널링을 위한 논리채널을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라 한다.
최근에는 보다 다양한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hcheme)을 지원하는 EGPRS2(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Phase 2)가 개발되고 있다. EGPRS가 GMSK와 8-PSK만을 지원하는데 반해, EGPRS2는 GMSK, QPSK, 8PSK, 16QAM(16 Qa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32QAM의 5가지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을 추가적으로 지원한다. EGPRS2는 EGPRS2-A와 EGPRS2-B라는 2 레벨이 있다. EGPRS2-A는 GMSK, 8PSK, 16QAM 및 32QAM을 지원하고, EGPRS2-B는 GMSK, QPSK, 16QAM 및 32QAM을 지원한다.
이하에서는 EGPRS를 지원하거나, EGPRS와 EGPRS2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EGPRS 시스템이라 한다.
다양한 변조 및 코딩 방식을 통해 EGPRS 시스템은 다중 전송률(data rate)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PDTCH를 통해 다양한 전송률로 전송된다. 링크 적응 과정(link adaptation process)에서, 전송률은 링크 품질(link quality)에 기반 하여 조정된다. 링크 품질이 좋으면, 데이터는 높은 전송률로 전송된다. 반대로, 링크 품질이 나쁘면, 데이터는 낮은 전송률로 전송된다. 링크 품질보다 더 높은 전송률을 위한 변조 및 코딩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데이터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링크 적응은 주어진 링크 품질에서 특정 변조 및 코딩 방식을 사용하여 가능한 가장 높은 전송률을 사용하여 데이터 수율(throughput)을 증가시킨다.
EGPRS 시스템에서, 링크 적응은 RLC(Radio Link Control)/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 의해 수행된다. RLC/MAC 계층은 이동국과 기지국에 각각 위치한다. RLC 개체로 들어오는 LLC 계층의 PDU(Protocol Data Unit)들이 RLC 개체에 의해서 RLC/MAC 블록 단위로 분할된 후 RLC/MAC 블록 단위로 통신한다. 각 RLC/MAC 블록은 BSN(Block Sequence Number)에 의해 번호가 매겨진다. BSN는 수신 RLC/MAC 개체와 송신 RLC/MAC 개체간에 RLC/MAC 블록을 추적하여(track), 오류 블록을 수정하는 데 사용한다. 하향링크 전송에서,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수신 블록의 상태를 요청하고, 이동국은 상태 보고(PACKET DOWNLINK ACK/NACK) 메시지로 응답한다. 상향링크 전송에서,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수신 블록의 상태를 요청하고, 기지국은 상태 보고 메시지(예를 들어, PACKET UPLINK ACK/NACK 메시지)로 응답한다.
MAC/RLC 계층에서 사용되는 과정들은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GSM/EDGE Radio Access Network;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Mobile Station (MS) - Base Station System (BSS) interface; Radio Link Control/Medium Access Control (RLC/MAC) protocol (Release 7), 3GPP TS 44.060 V8.1.0 (2008-05)에서 기술되고 있다. 상기 3GPP TS 44.060의 10.3a.3절과 10.3a.4절은 다양한 MCS에 대한 상향링크 RLC/MAC 헤더(header)와 하향링크 RLC/MAC 헤더를 나타낸다. 헤더에 포함되는 필드(filed) 중 USF(Uplink state flag)는 동일한 타임슬롯상에서 다음 상향링크 무선블록의 소유자(owner) 또는 사용을 지시한다. RRBP(Relative Reserved Block Period) 필드는 이동국이 네트워크로 PACKET CONTROL ACKNOWLEDGEMENT 메시지 또는 PACCH(Packet Associated Control Channel) 블록을 전송할 싱글 상향링크 블록을 특정한다. ES/P(EGPRS Supplementary/Polling) 필드는 RRBP 필드의 유효 또는 비유효를 지시한다.
EGPRS 진화의 일부분으로써, 레이턴시 리덕션(Latency Reduction)이 제안되고 있다. 레이턴시 리덕션은 RTTI(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와 FANR(Fast Ack/Nack Reporting)이라는 두가지 방법으로 구성된다. RTTI 구성(configuration)에 의하면, 무선 블록(radio block)이 PDCH-pair를 통해 전송되어, 하나의 무선 블록이 전송되기 위해 기존 BTTI(basic transmission time interval) 구성에 의하면 20ms가 걸리던 주기를 10ms로 줄이는 방법이다. FANR에 의하면,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을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지 않고, 무선 블록에 ACK/NACK 정보를 피기-백(piggy-back) 시키는 방법이다. 추가적인 메시지의 할당 없이 ACK/NACK을 송신 및 수신가능하게 한다.
FANR 활성화는 네트워크가 이동국에 하향링크 할당 메시지 또는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를 줄 때 포함되어 전송되며, FANR의 활성화가 지시되면 단말은 FANR를 통해 상향링크 송신 또는 하향링크 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3GPP TS 44.060의 5.2절에 따르면, 레이턴시 리덕션을 지원하는 이동국은 RTTI 구성 또는 BTTI 구성에서 FANR이 활성화된 TBF((Temporary Block Flow)를 할당받을 수 있다. 만약 이동국에 FANR이 활성화된 TBF가 할당되면,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국에 할당된 모든 동시 제공(concurrent) TBF들에 대해 FANR을 활성화시킨다. 이는 FANR은 모든 동시 제공 TBF들에 대해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네트워크는 상기 상향링크 TBF와 하향링크 TBF를 동시에 할당 또는 재할당하는 경우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개별적으로 명령한다.
현재 이동국은 모든 동시 제공 TBF들에 동일한 FANR 활성화/비활성화를 적용하지만, 네트워크가 이동국에게 상향링크 TBF와 하향링크 TBF의 FANR 활성화/비활성화를 상이하게 명령하는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이동국의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되고 있지 않다. 즉, 네트워크가 이동국에게 상향링크 TBF에 대해서는 FANR 활성화를 지시하고, 하향링크 TBF에 대해서는 FANR 비활성화를 지시하는 경우이다. 만약 이동국이 임의로 모든 동시 제공 TBF의 FANR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한다면, 네트워크는 이동국이 FANR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모르기 때문에 하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EGPRS 시스템에서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이동국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상향링크 TBF(Temporary Block Flow) 및 하향링크 TBF를 확립 또는 재설정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상향링크 TBF에 대한 FANR(Fast Ack/Nack Reporting) 활성화 여부와 상기 하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모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상기 상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와 상기 하향링크 TBF에 대한 FANR 활성화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 할당된 상기 상향링크 TBF와 상기 하향링크 TBF를 중지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의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에 대해 상이한 FANR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더라도 이동국의 동작을 명시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GPRS(Enhanced GPRS) 기반의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 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10; Mobile Station, MS)은 사용자가 가지고 다니는 통신 장비를 의미하며, UE(User Equipment),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 Base Station Subsystem, BSS)은 BTS(22, Base Transceiver Station)과 BSC(24, Base Station Controller)를 포함한다. BTS(22)는 하나의 셀 영역 내의 이동국(10)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고, 이동국(10)과의 동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BSC(24)는 적어도 하나의 BTS(22)를 MSC(Mobile Switching Center; 30)와 인터페이스시킨다.
MSC(30)는 GMSC(Gateway MSC, 60)를 통해 PSTN(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 65)이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등과 같은 이종 망과 기지국(20) 간을 접속시킨다.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40)는 임시적인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하고, MSC(30) 서비스 영역에서 모든 이동국(10)의 로밍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HLR(Home Location Register, 50)는 홈 네트워크의 모든 가입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70)은 가입자들의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를 담당한다.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80)는 이동국(10)의 현재 위치로 패킷을 라우팅하여, PDN(Public Data Network, 85)과 같은 외부 패킷 데이터망과 인터페이스한다.
이하에서, RR(Radio Resource) 모드(mode)는 회선 교환 방식이든 패킷 교환 방식이든 아니면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을 동시에 지원하는지를 나타내는 상 위 계층에서 이동국이 머물고 있는 무선자원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아이들 모드(Idle mode)는 아무런 RR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전용 모드(Dedicated mode)는 RR(Radio Resource) 연결(connection)이 설정된 것을 말한다. RR 연결은 정보 흐름의 상위 계층의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2개의 피어 개체(peer entity)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인 연결을 말한다. 패킷 아이들 모드(Packet Idle Mode)는 TBF(Temporary Block Flow)가 제공되지 않는 것을 말하고, 패킷 전송 모드(Packet Transfer Mode)는 이동국에 무선자원이 할당되어 적어도 하나의 TBF가 제공된 것을 말한다. TBF는 패킷 데이터 물리 채널 상에서 LLC(Logical Link Control) PDU(Protocol Data Unit)의 단방향 송신을 지원하는 2개의 무선자원 개체 간에 사용되는 물리적 접속을 말한다. 적어도 하나의 TBF가 패킷 전송 모드에서 제공된다. TBF는 TFI(Temporary Flow Identity)에 의해 식별된다(identify). TFI는 네트워크에 의해 각 TBF에 할당되고, 각 방향에서 동시에 제공되는(concurrent) TBF들 사이에 유일하다(unique).
도 2는 이동국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동국(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RF부(RF unit, 53), 디스플레이부(display unit, 54), 사용자 인터페이스부(user interface unit, 55)을 포함한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이동국 구동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및 일반적인 파일을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54)는 이동국의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 잘 알려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55)는 키패드나 터치 스크린 등 잘 알려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F부(53)는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radio signal)을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51)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 및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의 기능들을 구현한다. 프로세서는 무선 블록(Radio Block)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예를 들어, RLC/MAC 블록)을 생성한다. 데이터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RLC 데이터 블록 및 ACK/NACK 정보를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TBF를 확립(establish) 또는 재설정(reconfigure)한다.
도 3은 무선 블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무선 블록은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데 사용되는 단위이다. 무선 블록은 PDCH(Packet Data Channel)을 통해 전송된다.
도 3을 참조하면, EGPRS 시스템에서 하나의 프레임(frame)은 8개의 타임슬롯(timeslot)(TS0, TS1, ..., TS7)으로 구성된다. 무선 블록은 서로 다른 프레임에 속하는 4개의 연속된(consecutive) 타임슬롯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무선 블록은 4개의 연속된 프레임에서 제1 타임슬롯(TS0)을 하나씩 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타임슬롯(TS0)에 대해 취하고 있으나, 다른 타임슬롯을 취할 수도 있다.
도 3의 구조에 의하면, 하나의 무선 블록은 4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동안 전송된다. 1 TTI은 하나의 프레임을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다.
무선 블록은 2개의 PDCH를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PDCH를 하나의 PDCH-pair 라고도 한다. 도 3의 구조를 BTTI(Basic Transmission Time Interval) 구조이라고 할 때, 이를 RTTI(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라 한다. RTTI 구조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에서 2개의 연속된 프레임을 통해 무선 블록을 전송하며, 따라서 하나의 무선 블록은 2 TTI동안 전송된다.
도 4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ACK/NACK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네트워크와 이동국 간에 TBF를 확립(establish)하거나 재설정(reconfigure)한다. TBF의 확립이란 새로운 TBF를 설정하는 것을 말하고, TBF의 재설정이란 기존의 TBF의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TBF의 설정 또는 재확립을 위해 사용되는 메시지로는 PACKET DOWNLINK ASSIGNMENT 메시지, PACKET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MULTIPLE TBF DOWNLINK ASSIGNMENT 메시지 및 MULTIPLE TBF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등이 있다.
TBF의 확립 또는 재설정시에 네트워크는 주어진 TBF에 대해 FANR(Fast Ack/Nack Reporting)이 사용될지 여부를 알려준다. 예를 들어, 다음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ACKET DOWNLINK ASSIGNMENT 메시지에 포함되는 IE(information element)의 일부로써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가리킨다.
< Packet Downlink Assignment message content > ::= ... { 0 | 1 -- '1' indicates Fast Ack/Nack Reporting is activated < EVENT_BASED_FANR: bit (1) > } ... |
'EVENT_BASED_FANR' 필드는 사건 기반 FANR의 사용 여부를 지시한다. 네트워크는 TBF의 확립 또는 재설정시에 이동국에 보내는 메시지에 FANR 활성화 필드를 포함시킨다. FANR 활성화 필드는 데이터 블록 내에 ACK/NACK 정보를 포함시킬지 여부를 가리킨다. 데이터 블록이란 무선 블록을 통해 전송되는 블록을 말하며, 이하에서는 데이터 블록을 RLC/MAC 개체들간에 교환되는 RLC/MAC 블록으로 하여 기술한다.
단계 S220에서, 네트워크는 하향링크 RLC/MAC 블록을 전송한다.
단계 S230에서, 할당된 TBF에 대해 FANR이 활성화되면, 이동국은 하향링크 데이터 블록(RLC/MAC 블록)의 수신 상태를 상향링크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ACK/NACK 정보를 통해 기지국에 알려준다.
ACK/NACK 정보는 하향링크 RLC/MAC 블록의 수신 상태를 말한다. ACK/NACK 정보는 하향링크 RLC/MAC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RLC 데이터 블록의 디코딩 성공 여부나 RLC/MAC 헤더의 디코딩 성공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K/NACK 정보는 1비트, 2비트 또는 그 이상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트 수에는 제한이 없다.
FANR이 활성화되면, 한쪽 방향에 할당된 TBF에 대한 데이터 블록의 수신 상태를 다른 방향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BTTI 구조에서 하나의 무선 블록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4 TTI가 필요하고, 별도의 메시지로 수신 상태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TTI가 필요할 수 있다. 하향링크 데이터 블록의 수신 상태를 상향링크 데이터 블록에 포함되는 ACK/NACK 정보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별도의 ACK/NACK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가 필요없다. 또한, TBF의 설정시에 데이터 블록내에 ACK/NACK 정보의 포함 여부를 지시함으로써, 해당하는 TBF에 대해서는 별도의 ACK/NACK 정보의 송신 및/또는 수신 여부에 관한 시그널링이 불필요하다.
도 5는 데이터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RLC/MAC 블록은 RLC/MAC 헤더, 적어도 하나의 RLC 데이터 블록 및 ACK/NACK 정보를 포함한다. RLC 데이터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상위 계층 PDU를 포함한다. RLC/MAC 헤더는 RLC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정보 및 상기 ACK/NACK 정보의 포함 여부를 지시한다.
도 6은 데이터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RLC/MAC 블록은 최대 4개의 RLC 데이터 블록을 포함하고, ACK/NACK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은 FANR 지원을 위한 RLC/MAC 헤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RLC/MAC 헤더는 TFI 필드, PANI 필드, USF(Uplink state flag) 필드 등을 포함한다. TFI 필드는 RLC 데이터 블록이 속하는 TBF를 식별한다. USF는 동일한 타임슬롯상에서 다음 상향링크 무선 블록의 소유자(owner) 또는 사용을 지시한다. PR(Power Reduction) 필드는 현재 RLC/MAC 블록의 파워 레벨 감소를 지시한다. 본 예에서 BSN(Block Sequence Number) 필드는 RLC/MAC 블록에 2개의 RLC 데이터 블록이 있다고 하여, BSN1과 BSN2가 있다. BSN2는 BSN1에 상대적인 값이다. CES/P(Combined EGPRS Supplementary/Polling) 필드는 이 필드에 의해 예약되는 다음 상향링크 무선 블록이 어떤 필드를 포함하는지를 가리킨다. CPS(Coding and Puncturing Scheme indicator) 필드는 데이터 블록들에 사용되는 채널 코딩과 천공(puncturing)의 종류를 가리킨다.
PANI 필드는 수신한 하향링크 RLC/MAC 데이터 블록에서 PAN(Piggy-backed ACK/NACK) 정보의 유무를 지시한다. 즉, 네트워크는 수신한 상향링크 RLC/MAC 블록의 RLC/MAC 헤더에서 PANI 필드를 먼저 찾는다. PANI 필드가 RLC/MAC 데이터 블록에 PAN(Piggy-backed ACK/NACK) 정보가 있음을 지시하면, 네트워크는 수신한 RLC/MAC 데이터 블록에 PAN(Pitty-bakced ACK/NACK) 정보가 있음을 인지하고 PAN 필드가 삽입된 형태의 채널 디코딩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적 상황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는 이동국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전술한 이동국의 구성 중 하나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610에서, 하향링크/상향링크 TBF가 확립(또는 재설정)된다. 하향링크/상향링크 TBF는 동시에 확립될 수 있고, 또는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가 별도로 확립될 수 있다. 하나의 이동국에 상향링크 TBF와 하향링크 TBF를 동시에 할당(또는 재할당)하는 메시지로는 PACKET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MULTIPLE TBF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PACKET CS RELEASE INDICATION 메시지, PS HANDOVER COMMAND (PS Handover Radio Resources 2) 메시지, DTM HANDOVER COMMAND (DTM Handover PS Radio Resources 2) 메시지 등이 있다.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가 확립(또는 재설정)되면서,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 각각에 대해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될 수 있다. 다음 표는 PACKET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에 포함되는 IE에서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가리킨다.
< Packet Timeslot Reconfigure message content > ::= ... { 0 -- Fast Ack/Nack Reporting is not activated for the downlink TBF; this value shall be indicated if a downlink TBF is not addressed | 1 -- Fast Ack/Nack Reporting is activated for the downlink TBF < EVENT_BASED_FANR: bit (1) > } { 0 -- Fast Ack/Nack Reporting is not activated for the uplink TBF | 1 -- Fast Ack/Nack Reporting is activated for the uplink TBF ... |
단계 S620에서,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에 대해 모순된(inconsistent) FANR 활성화/비활성화가 이루어진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 모두 FANR이 활성화되거나 모두 FANR이 비활성화되는 것과 같이 모순되지 않은 FANR 활성화/비활성화가 이루어지면, 정상적인 하향링크 전송 및/또는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단계 S630에서, 만약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에 대해 모순된 활성화/비활성화가 이루어졌다면 비정상적 해제(abnormal release) 처리를 수행한다. 모순된 활성화/비활성화는 예를 들어, 상향링크 TBF는 FANR이 활성화되고, 하향링크 TBF는 FANR이 비활성화된 경우이다. 비정상적 해제는 이동국이 진행 중인 모든 TBF들을 중단한다(abort). 패킷 전송 모드에 있는 이동국은 패킷 아이들 모드로 귀환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상향링크 TBF들의 확립을 개시한다. 듀얼 전송 모드(dual transfer mode)에 있는 이동국은 전용 모드(dedicated mode)로 귀환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상향링크 TBF들의 확립을 개시한다. 만약 이동국이 새로운 상향링크 TBF의 확립에 실패하면, 이동국은 상위 계층으로 RLC/MAC 실패를 보고한다.
네트워크와 이동국간에 RLC/MAC 블록을 성공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와 이동국간에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가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FANR이 비활성화된 RLC/MAC 헤더의 구조와 FANR이 활성화된 RLC/MAC 헤더의 구조는 서로 다르므로, FANR 활성화/비활성화가 잘못 알려지면 RLC/MAC 블록을 성공적으로 디코딩하기 어렵다. 또한 FANR이 활성화 되었는데 이동국이 활성화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경우, 헤더 구조뿐 만 아니라 RLC/MAC 블록의 채널 디코딩 구조도 달라지기 때문에 수신한 모든 데이터가 디코딩시 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현재 표준 스팩에 의하면, 하향링크/상향링크 TBF를 동시에 할당/재할당하는 경우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개별적으로 지시하게 되어 있고, 또한 이동국은 모든 동시 제공 TBF들에 대해 동일한 FANR 활성화/비활성화을 적용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하향링크/상향링크 TBF에 대해 모순된 FANR의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할 경우 이동국의 동작에 대해 개시되고 있지 않다. 이동국이 임의로 모든 제공 TBF의 FANR을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경우, 이동국과 네트워크간에 FANR 활성화/비활성화가 모순될 수 있어 RLC/MAC 블록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가 하향링크 TBF와 상향링크 TBF에 대해 모순된 FANR 활성화/비활성화를 지시하면, 이동국은 비정상적 상황으로 처리하여 TBF 전송을 종료한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디자인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다른 전자 유닛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메모리 유닛이나 프로세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이동국의 요소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무선 블록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하향링크 전송에서 ACK/NACK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데이터 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데이터 블록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FANR 지원을 위한 RLC/MAC 헤더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정상적 상황 처리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Claims (6)
-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비정상적 상황을 해결하는 이동국에 있어서,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부; 및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네트워크로부터 제1 TBF(Temporary Block Flow) 및 제2 TBF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고;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Fast Ack/Nack Reporting)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모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및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 할당된 상기 제1 TBF와 상기 제2 TBF를 중지하되,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이 활성화되고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서로 모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FANR이 활성화되면 RLC(Radio Link Control)/MAC(Medium Access Control) 블록은 RLC/MAC 헤더, 적어도 하나의 RLC 데이터 블록 및 ACK/NACK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RLC/MAC 헤더는 상기 ACK/NACK 정보의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는 패킷 하향링크 할당 메시지, 패킷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 패킷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 다중 TBF 하향링크 할당 메시지, 다중 TBF 상향링크 할당 메시지, 다중 TBF 타임슬롯 재설정 메시지, 패킷 CS 해제 지시 메시지, PS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및 DTM 핸드오버 명령 메시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 활성화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 할당된 모든 TBF를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TBF와 상기 제2 TBF는 서로 다른 메시지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비정상적 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네트워크로부터 제1 TBF(Temporary Block Flow) 및 제2 TBF를 설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Fast Ack/Nack Reporting)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모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서로 모순되는 경우 할당된 상기 제1 TBF와 상기 제2 TBF를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이 활성화되고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상기 제1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와 상기 제2 TBF에 대한 FANR 활성화 여부가 서로 모순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2/585,696 US8249008B2 (en) | 2008-09-23 | 2009-09-22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bnormal situation in EGPRS system |
CN2009801328650A CN102132517A (zh) | 2008-09-23 | 2009-09-22 | 用于在egprs系统中处理异常情况的方法和装置 |
PCT/KR2009/005389 WO2010036004A2 (en) | 2008-09-23 | 2009-09-22 |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bnormal situation in egprs system |
EP09816397.5A EP2329617A4 (en) | 2008-09-23 | 2009-09-22 |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ANOMALOUS SITUATIONS IN AN EGPRS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9954308P | 2008-09-23 | 2008-09-23 | |
US61/099,543 | 2008-09-2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4666A KR20100034666A (ko) | 2010-04-01 |
KR101421740B1 true KR101421740B1 (ko) | 2014-07-24 |
Family
ID=4221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4335A KR101421740B1 (ko) | 2008-09-23 | 2008-09-25 |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249008B2 (ko) |
EP (1) | EP2329617A4 (ko) |
KR (1) | KR101421740B1 (ko) |
CN (1) | CN102132517A (ko) |
WO (1) | WO2010036004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204002B2 (en) * | 2009-04-21 | 2012-06-19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Methods and apparatus to prioritize mobile station transmissions in response to network acknowledgment polling |
EP2839599B1 (en) * | 2012-04-20 | 2021-10-0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Dual training sequence codes |
GB2503919B (en) * | 2012-07-12 | 2015-03-11 | Broadcom Corp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temporary block flow establishment |
WO2014047899A1 (en) * | 2012-09-28 | 2014-04-0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control |
CN112640344B (zh) * | 2018-08-29 | 2023-09-19 |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 用于nr-u上的自包含突发的混合harq反馈方案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58190A1 (en) * | 2006-05-16 | 2007-11-21 | Siemens S.p.A. | Method for safely transmitting short ACK/NACK bitmaps in ARQ process inside edge compliant systems |
US20080307284A1 (en) | 2007-06-06 | 2008-12-11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temporary block flow to which a piggybacked ack/nack field is addressed |
US20080311918A1 (en) | 2007-03-21 | 2008-12-18 | Spencer Paul S | Usf coding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0006803A (pt) * | 1999-12-10 | 2001-12-11 | Lucent Technologies Inc | Sistema e método para reduzir retardo de fala emelhorar a qualidade de fala utilizando meiosblocos |
CN101132544B (zh) * | 2006-08-25 | 2010-05-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无线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01136727B (zh) * | 2006-09-01 | 2010-05-12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上报是否正确接收到数据的方法 |
KR101129823B1 (ko) * | 2007-08-24 | 2012-03-27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피기백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US9942007B2 (en) * | 2007-10-01 | 2018-04-10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fast ACK/NACK response operation with 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2 uplink |
EP2241151B1 (en) * | 2008-02-15 | 2016-12-1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Accessing a communications channel |
-
2008
- 2008-09-25 KR KR1020080094335A patent/KR10142174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
- 2009-09-22 EP EP09816397.5A patent/EP2329617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9-22 WO PCT/KR2009/005389 patent/WO2010036004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9-09-22 CN CN2009801328650A patent/CN102132517A/zh active Pending
- 2009-09-22 US US12/585,696 patent/US824900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58190A1 (en) * | 2006-05-16 | 2007-11-21 | Siemens S.p.A. | Method for safely transmitting short ACK/NACK bitmaps in ARQ process inside edge compliant systems |
US20080311918A1 (en) | 2007-03-21 | 2008-12-18 | Spencer Paul S | Usf coding |
US20080307284A1 (en) | 2007-06-06 | 2008-12-11 |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 temporary block flow to which a piggybacked ack/nack field is addresse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00074104A1 (en) | 2010-03-25 |
EP2329617A2 (en) | 2011-06-08 |
US8249008B2 (en) | 2012-08-21 |
CN102132517A (zh) | 2011-07-20 |
EP2329617A4 (en) | 2014-03-19 |
WO2010036004A2 (en) | 2010-04-01 |
WO2010036004A3 (en) | 2010-07-22 |
KR20100034666A (ko) | 201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18517B1 (en) | Method of supporting data re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EP2693676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response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 |
EP2443769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downlink ack/n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US8619723B2 (en) | Method of requesting and reporting link quality in an EGPRS2 system | |
KR2008006588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arq/harq 지원 방법 | |
US20090175227A1 (en) | Method of requesting and reporting link quality in an EGPRS2 system | |
JP2010514249A (ja) | Egprsシステムのチャネル品質報告方法 | |
KR20050065552A (ko) |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단말기 및 시스템 | |
US881129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one-phase access in a communication system | |
US20050180325A1 (en) | 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radio system, packet control unit, and remote network element | |
KR101421740B1 (ko) | 비정상적 상황을 처리하는 이동국 | |
KR101397320B1 (ko) | Egprs2 시스템의 링크 품질 보고 방법 | |
US20050180324A1 (en) | Method of controlling data transmission, radio system, packet control unit, and base station | |
KR101467575B1 (ko) | Egprs2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무선자원 요청 방법 | |
KR20090046652A (ko) | Egprs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송신 방법 | |
KR20100050126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해석 방법 | |
KR20090078948A (ko) | Egprs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 전송 방법 | |
KR101409092B1 (ko) | Egprs2 시스템의 링크 품질 보고 방법 | |
KR20100021554A (ko) | Egprs2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 |
KR20090102525A (ko) | Egprs2 시스템에서 패킷 채널 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 |
KR20090102524A (ko) | Egprs2 시스템에서 셀 정보 전송 방법 | |
KR20090076758A (ko) | Egprs2 시스템의 링크 품질 보고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