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20689B1 - 차량용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689B1
KR101420689B1 KR1020107028762A KR20107028762A KR101420689B1 KR 101420689 B1 KR101420689 B1 KR 101420689B1 KR 1020107028762 A KR1020107028762 A KR 1020107028762A KR 20107028762 A KR20107028762 A KR 20107028762A KR 101420689 B1 KR101420689 B1 KR 101420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heel
contact
retaining
retaining element
whe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181A (ko
Inventor
라이문트 네벨
위르겐 마크켄센
올리버 아돌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1002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834Hand whe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Air Bag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 몸체, 스티어링 휠 몸체에 움직임가능하게 보유되는 가동 요소로서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한 복원 요소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눌려질 수 있는 가동 요소, 및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에 의하여 접속되는 경적 접촉부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이 제공된다. 경적 접촉부가 보유 요소(32) 내에 보유되는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을 구비한다는 점과, 유사하게 보유 요소(32)에 의하여 보유되는 접촉 요소(36a, 36b)가 케이블 코어들(44a, 44b) 각각 안으로 연장된다는 점에 의하여, 경적 접촉부를 제작함에 있어서의 경제적인 효과가 얻어진다. 두 개의 접촉 요소들(32a, 32b)은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티어링 휠{Vehicl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관한 것이다.
거의 모든 자동차의 차량용 스티어링 휠은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에 견고하게 연결된 스티어링 휠 몸체와,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해 복귀 요소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눌려질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구비하며, 그 요소의 하향 눌림에 의하여 경적 접촉부가 접속된다.
많은 경우들에 있어서, 아래로 눌려질 수 있는 가동 요소는 가스 백 모듈이거나 또는 그것의 일부분이다. 앞의 것의 경우, 가스 백 모듈 전체, 즉 실질적으로 하우징, 하우징 내에 접혀져 있는 가스 백, 하우징에 연결된 가스 발생기, 및 하우징에 걸쳐 있는 커버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스프링들 및 안내 요소들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에 보유되고, 제1 경적 접촉부는 하우징에 고정되며, 제2 경적 접촉부는 스티어링 휠 몸체에 고정되는바, 경적 접촉부들 둘 다는 전선으로 연결된다.
다른 설계안에 있어서, 가스 백 하우징은 스티어링 휠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하우징에 걸쳐 있는 커버 요소만이 복귀 요소의 힘에 반하여 아래로 눌러질 수 있는데, 그 복귀 요소는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그 하향 눌림에 의하여 경적 접촉부가 전술된 바와 같이 접속된다.
DE 20 2004 000 953 U1 에 의하여, 경적 접촉부의 접속 시 서로 접촉하게 되는 두 개의 전선들이 스티어링 휠 측에만 제공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하여는, 경적 접촉부가 위치되는 영역에, 스티어링 휠 몸체는 경적의 작동시 서로 접촉하게 되는 두 개의 전선들이 연장됨에 있어 통하게 되는 요부를 갖는다. 그 요부의 영역에 위치되지 않은 두 개의 전선들은 각각 일체적인 스프링 탄성 요소들이고, 그 두 개의 전선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진다. 가동 요소를 아래로 누르는 때에, 밀침부는 두 개의 전선 섹션(wire section)들 중의 하나에 눌려져서, 그 하나의 전선 섹션이 아래로 눌려지고 두 번째 전선 섹션과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형의 경적 접촉의 장점은, 일반적으로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인 단 하나의 부품만이 경적을 위한 전기 연결을 필요로 하게 되고, 예를 들어 가스 백 모듈인 스티어링 휠 몸체에 이동가능하게 보유되는 요소는 경적을 위한 전기 연결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가스 백 모듈의 간단한 설치에 있어서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단점은, 스티어링 휠 몸체에 있어서 필요한 전선 섹션들의 설치가 상대적으로 번거롭다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제조가 간편한 일반적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을 갖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적 접촉부는 보유 요소에 보유되는 두 개의 케이블 코어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보유 요소에 보유되는 개별의 접촉 요소는 상기 케이블 코어들 각각 안으로 연장된다. 두 개의 접촉 요소들은 보유 요소의 밖으로 연장되어 가동 요소의 하향 눌림 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그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이 스트랜드 와이어인데, 예를 들면 적어도 2-코어 케이블의 일부인 구리로 된 스트랜드 와이어이다. 그러한 2-코어 케이블들은 표준의 부품이고, 그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 또한, 보유 요소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매우 단순한 구조의 부품일 수 있다. 보유 요소에 케이블 코어를 장착시키는 것은 기계적으로 단순하며, 특히 스티어링 휠의 외측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대량의 사전 조립(pre-assembly)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가 간편한 일반적인 차량용 스티어링 휠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로 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고로,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두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도시되어 있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D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 방향으로 본 모습이고,
도 3a 는 도 3 에서 B 방향으로 본 모습이고,
도 4 는 경적이 작동되는 때의 도 2 에 해당되는 모습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 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6 은 도 5 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3 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7 은 도 5 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경적이 작동되는 때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 은 사전 장착된 조립체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 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 에 대응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 은 도 10 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경적이 작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 는 접촉 요소들을 구비한 제5 실시예의 보유 요소의 제1 절반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 사시도로 표현되어 있으며,
도 13 은 도 12 에 도시된 품목(item)들이 제2 사시도로 표현되어 있으며,
도 14 는 도 12 에 도시된 품목들과 제1 절반부의 홈 내에 보유된 2-코어 케이블이 도 12 에 따른 표현 방식으로 표현되어 있고,
도 15 는 도 14 에 도시된 품목들이 도시되어 있되, 보유 요소의 제2 절반부가 제1 절반부에 스냅결합(snapping)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에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10)의 허브 영역(hub region)을 통한 단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차량용 스티어링 휠(10)은 스티어링 휠 몸체(12) 및 가스 백 모듈(14)를 구비하는데, 가스 백 모듈은 허브 영역 내에 위치된 스티어링 휠 몸체(12)의 요부 내에 보유된다. 가스 밸 모듈(14)은 복귀 요소로서 작용하는 나선 스프링(19)들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12)와 연결된다. 스티어링 휠 몸체(12) 내에 가스 백 모듈(14)의 정밀한 위치를 한정하는 위치선정 수단(positioning means)이 제공된다. 가스 백 모듈(14)은 실질적으로 하우징(16), 하우징(16) 내로 접혀지는 가스 백(17), 가스 발생기(18), 및 하우징을 덮는 커버 요소(16a)를 포함하는바, 그 커버 요소는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경적을 위한 작동 표면을 이루기도 한다.
선택된 예를 기초로 하여 도시된 바에 따르면 두 개의 경적 접촉부(20)들이 제공되는데, 실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세 개 또는 네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그러한 경적 접촉부(20)의 설계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 먼저 도 2, 3, 및 3a 를 참조하면, 도 2 는 도 1 의 D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A 방향으로부터 본 모습이며, 도 3a 는 도 3 의 B 방향으로부터 본 모습이다.
경적의 작동 시에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전류가 통하여 흐르게 되는 두 개의 전류 도전성 요소들은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인데, 이들은 2-코어 케이블(40)의 일부분이며, 케이블 코어들(44a, 44b)에 부가하여 2-코어 케이블도 절연부(42)를 갖는다. 이 절연부는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을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은 구리로 된 스트랜드 와이어들이다. 그러한 2-코어 케이블(40)은 일반적으로 매우 유연하며 쉽게 배치될 수 있다.
경적 접촉부(20)의 영역에서, 2-코어 케이블(40)은 보유 요소(32) 내에 형태 및 강제 끼움 방식(form- and force- fitting manner)으로 보유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유 요소(32)는 제1 절반부(32a) 및 제2 절반부(32b)를 구비하는데, 이들은 예를 들어 나사체결, 스냅결합 또는 접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서로 대면하는 두 개의 절반부들(32a, 32b)의 표면들 각각은 홈을 가지는바, 이로써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코어 케이블(40)이 두 개의 절반부들(32a, 32b) 사이에 수용된다. 제1 절반부(32a)는 홈의 방향, 즉 장착된 상태에서 2-코어 케이블(40)의 방향에서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보어(34)들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제1 보어(34a)는 제1 케이블 코어(44a)로 이어지고, 제2 보어(34b)는 제2 케이블 코어(44b)로 이어진다. 접촉 요소(36a, 36b)의 제1 다리부(37a, 37b)는 이 보어들(44a, 44b) 안으로, 개별의 케이블 코어(44a) 안으로 각각 연장되는바, 접촉 요소들(36a, 36b)의 제1 다리부들(38a, 38b)은 2-코어 케이블(40)의 절연부(42)를 관통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2-코어 케이블(40)은 특수하게 준비될 필요가 없는바; 2-코어 케이블(40)의 어느 위치가 보유 요소(32) 내에 놓이게 되는가에 의한 차이가 없다. 접촉 요소들은 굽혀진 시트 금속 스트립(sheet metal strip)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요소들(36a, 36b)의 제2 다리부들(38a, 38b)은 도 3 및 도 3a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유 요소(32)의 상측 측부에 놓여 있다.
조립은 매우 간편하다: 2-코어 케이블(40)의 해당 섹션이 보유 요소(32)의 두 개의 절반부들(32a, 32b) 사이에 삽입되고 클램핑 방식으로 그에 의하여 보유된 후, L자 형상인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의 두 개의 제1 다리부들(37a, 37b)이 그를 위하여 제공된 보어들(34a, 34b) 안으로 간편히 삽입되되, 그 삽입은 제2 다리부들(38a, 38b)이 보유 요소(32)의 상측 측부 상에 놓일 때까지 이루어지며, 미리 제작된 접촉 요소들(36a, 36b)은 이 상태에서 제1 다리부들(37a, 37b)이 각각의 케이블 코어(44a, 44b) 내로 연장되도록 된 치수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두 개의 L자 형상의 접촉 요소들(36a, 36b)은 예를 들어 접착에 의하여 보유 요소(32) 상에 확고하게 추가적으로 고정된다.
이에 대한 대안예로서,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은 보유 요소(32)의 제1 절반부(32a) 안으로 주물 제작될 수도 있는데, 이로써 제1 절반부를 제2 절반부에 대해 부착 또는 개별적으로 고정시키는 때에 제1 다리부들의 단부들이 해당되는 케이블 코어 내로 침투한다. 또한, 보유 요소의 두 개의 절반부들(32a, 32b)이 일체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름 힌지(film hinge)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차량용 스티어링 휠의 최종 설치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를 통하여 연장되는 2-코어 케이블을 포함하는 보유 요소(32)는, 예를 들어 나사체결(나사는 미도시)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에 설치되고, 이로써 경적 접촉부의 제1 구성요소를 이룬다. 여기에서 예시되는 부유식 모듈(부유식 모듈형)형 스티어링 휠의 예에서는 가스 백 모듈(14), 예를 들어 하우징(16)의 베이스(base) 상에 배치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 제2 구성요소(50)는 작동 블록(52), 및 작동 블록의 베이스에 배치된 금속 요소(54)와 같은 전기 도전성 요소를 구비한다. 가스 백 모듈(14)이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하여 아래로 눌려지면(즉, 경적이 작동되면), 금속 요소(54)는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의 다리부들(38a, 38b) 둘 다와 접촉하게 되고, 해당되는 전기 회로가 접속되어서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이 도전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도 4 참조).
이에 대한 대안예로서, 보유 요소(32)의 제2 절반부(32b)가 스티어링 휠 몸체에 미리 견고히 고정되거나, 또는 그와 함께 일체적으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제2 절반부(32b)에 대한 제1 절반부(32a)의 고정 및 2-코어 케이블(40)의 삽입은 스티어링 휠 몸체에서 이루어진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2-코어 케이블(40)에 수 개(여기에서는 3개)의 보유 요소(32)들이 배치될 수 있는바, 이로써 제공되는 모든 경적 접촉부들에 관하여 단 하나의 단일한 2-코어 케이블(40)만이 필요하고, 그 2-코어 케이블은 그 유연성 때문에 스티어링 휠 몸체(12)에 매우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스티어링 휠 외측에서의 사전 조립 또는 스티어링 휠에서의 조립이 가능하다.
두 개의 부분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보유 요소(32)를 제공하는 대신에, 2-코어 케이블(40) 주위로 해당 보유 요소를 주물 제작 또는 사출 성형하여 그것을 단일체로 제작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이 경우, 스티어링 휠 외측에서의 사전 조립은 필수적이다. 도 5 내지 도 7 에는 예시적인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도면들은 예시적인 제1 실시예의 도 2 내지 도 4 에 대응되는 도면들이다. 기본적인 구조는 예시적인 제1 실시예와 동일하여 따로 상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접촉 요소(36a)가 두 개가 아닌 세 개의 다리부들(37a, 38a, 39a)을 구비한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다리부(37a)는 해당되는 보어(34)를 통하여 제1 케이블 코어(44a) 안으로 연장되고, 제2 다리부(38a)는 보유 요소(32)의 상측 측부 상에서 연장된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3 다리부(39a)는 제2 다리부(38a)로부터 제2 접촉 요소(36b)의 제2 다리부(38b)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다리부(39a)는 제2 접촉 요소(36b)의 제2 다리부(38b) 위로 연장되되 힘이 없는 상태에서는 제2 다리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된 외형을 갖는다 (도 5 참조). 여기에서는 작동 블록(52)으로만 이루어지는 제2 구성요소(50)를 아래로 누름에 의하여, 제1 접촉 요소(36a)의 제3 다리부(39a)는 제2 접촉 요소(36)의 제2 다리부(38b) 상으로 아래로 눌려지고, 이로써 전기 회로가 접속된다. 힘이 없게 되는 상태에서는, 제3 다리부가 도 5 에 도시된 위치로 탄성 복귀된다. 이와 같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촉 요소(36a)가 그에 해당되는 탄성 특성을 가져야 한다.
도 9 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경적 접촉부의 제2 구성요소가 추가적인 목적을 위하여 기능하는바, 즉 스티어링 휠 몸체에 가스 백 모듈을 정확하게 위치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제2 구성요소는 멈춤 후크(62)를 구비한 안내 볼트(60)로서 구성된다. 이 안내 볼트(60)는 스티어링 휠 측에 있는 안내로(guideway)에서 안내되는데, 그것은 U자 형상으로 제작되며, 제1 아암(70), 제2 아암(72), 및 제2 아암(72)의 상측 단부로부터 U자의 내부 안으로 연장된 탄성 아암(74)을 구비한다. 그 탄성 아암(74)은 안내 볼트(60)를 제1 아암에 대해 가압하여, 안내 볼트를 적어도 X방향으로 위치선정시킨다. 제1 아암은 추가적으로 어깨부(shoulder; 70a)를 구비하는바, 여기에 대하여는 멈춤 후크(62)의 접촉 표면(62a)이 나선 스프링(19)들로 인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Z방향으로의 위치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안내로들이 세 개 제공되면 - 따라서 세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제공되면 - 아래로 눌려지지 않은 가스 백 모듈의 위치는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아암(70) 및 제2 아암(72)은 보유 요소(32)로부터, 즉 보유 요소의 제1 절반부(32a)로부터 연장된다. 그러므로, 보유 요소(32)는 이중의 기능을 갖는바, 즉 경적 접촉부의 일부분으로서의 기능과 가스 백 모듈의 위치선정을 위한 스티어링 휠 측에서의 안내로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보유 요소는 두 개의 멈춤 돌출부(76)들을 구비하는바, 이에 의하여 보유 요소가 스티어링 휠 몸체의 탄성 영역(전체적으로 발포체로서 형성됨)의 요부 안으로 맞물려질 수 있다. 비대칭적으로 배치된 핀(78)은 측방으로 뒤바뀐 설치를 방지한다.
안내 핀(60)의 하측 측부는 작동 표면(64)으로서 구성되는데, 작동 표면에 의하여 제1 접촉 요소(36a)의 제3 다리부(39a)가 제2 접촉 요소(36b)의 제2 다리부 상에 가압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동 표면(64)에서 전기 도전성 요소(예를 들어 금속 요소)를 갖는 설계도 유사하게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보유 요소는 스티어링 휠 몸체와 견고하게 연결되는데, 많은 경우에는 이것이 바람직하기도 한 것이다. 그러나,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보유 요소(32)는 보유 부분(80) 상에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보유되는데, 보유 부분(80)은 두 개의 보유 아암(82)들을 구비하며, 스티어링 휠 몸체와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 보유 부분(80)은 전기 도전성 요소로서 금속 요소(54)를 구비한다. 안내 홈들(미도시)은 보유 요소(32) 내에 마련되는바, 이들은 보유 부분에 대한 보유 요소의 축방향이 아닌 방향으로의 위치 선정을 한정한다. 압력 스프링(84)들은 보유 요소(32) 및 보유 부분(80) 사이에서 연장되는데, 이것은 경적이 작동되지 않는 때에 보유 요소를 금속 요소로부터 이격되게 떨어지도록 유지시키고 보유 아암들의 후크 섹션(hook section; 82a)들에 대해 가압되게 한다 (도 10 참조). 가스 백 모듈은 밀침부(86)을 구비하는바, 가스 백 모듈이 아래로 눌리는 때에 밀침부는 보유 요소(32) 상에서 눌려지고, 보유 요소를 금속 요소(54) 상으로 가압시킨다 (도 11 참조).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보유 요소(32)의 설계도 당연히 가능하다. 보유 아암(82)들은 도 10 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바, 보유 요소(32)는 스티어링 휠 몸체에 미리 장착된 보유 부분(80)의 아암들 안으로 맞물려질 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제4 실시예에서, 보유 요소(32)는 보유 부분(80)에서 보유되는바, 그것은 순수히 축방향의 움직임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대안예로서는, 보유 요소를 보유 부분에 어떤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보유시키는 것도 가능한데, 그 축은 상기 축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어, 보유 요소의 회전 움직임이 축방향성 구성요소를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보유 요소가 보유 부분에, 즉 그 축에 스냅결합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첫 두 가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예시적인 제4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바, 특히 밀침부를 제외하고는 경적 접촉부를 가스 백 모듈 또는 스티어링 휠 몸체 상에 사전 장착(pre-mount)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기계적으로 매우 섬세하지 않은 밀침부만이 다른 개별의 구성요소에 남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5 에는 제5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에서,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을 구비한 보유 요소(32)의 제1 절반부(32a)는 제1 사시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 에서 도 12 의 품목들은 후방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4 는 도 12 와 동일한 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2-코어 케이블이 설치된 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 는 도 14 와 동일한 방향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보유 요소의 제2 절반부가 제1 절반부에 스냅결합된 후가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예의 기능은 도 9 에 도시된 제3 실시예의 기능과 유사하다. 따라서, 경접 접촉부는 추가적인 용도를 갖는바, 즉 가스 백 모듈을 정확하게 위치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를 위하여, 탄성 아암(74)을 갖는 제2 아암(72)과 제1 아암(70)이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공된다. 이 두 개의 아암들은 멈춤 후크(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되지는 않음)를 갖는 안내 볼트와 관련하여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제3 실시예에 대한 차이는 다음과 같다:
먼저, 2-코어 케이블(44)의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은 동일한 수평 평면 상에 놓이지 않고, 스티어링 휠의 축방향에서 서로의 위에 놓여진다. 이 축방향은 도 1 에 도시된 스티어링 칼럼(130)에 의하여 또는 도 1 에 도시된 가스 백 모듈의 평행한 하향 가압 방향(D)에 의하여 정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2-코어 케이블을 스티어링 휠 몸체 안으로 굽히는 것을 용이하게 만들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의 수직 위치선정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은 다음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두 개의 접촉 요소들은 J자 형상 스트립(100a, 100b)을 구비하는바, 이들 각각은 좌측 다리부(102a, 102b), 하측 다리부(104a, 104b), 우측 다리부(106a, 106b), 및 상측 다리부(108a, 108b)를 구비한다.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의 모든 다리부들은 공통의 수직 평면을 자르도록 배치되어 그 스트립들의 법선 방향들이 그 수직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된다. 좌측, 하측, 및 우측 다리부들은 각각 보유 요소(32)의 제1 절반부(32a)의 개별 요부(122a, 122b)에 보유된다. 각각의 우측 다리부(106a, 106b)로부터, U자 형상 블레이드(110a, 110b)는 수평 방향에서 홈(120) 안으로 그리고 2-코어 케이블(40)을 향하여 연장되어, 제1 (상측) 케이블 코어(44a)가 제1 접촉 요소(36a)의 U자 형상 블레이드(110a)의 아암들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둘러싸이고, 제2 (하측) 케이블 코어(44b)는 제2 접촉 요소(36b)의 U자 형상 블레이드(110b)의 아암들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 14 참조). 상기 두 개의 U자 형상 블레이드들(110a, 110b)은 서로에 대하여 수직과 수평 둘 다의 방향으로 이격된다.
제1 접촉 요소(36a)의 J자 형상 스트립(100a)의 상측 다리부(108a)는, 제2 접촉 요소(36b)의 J자 형상 스트립(100b)의 상측 다리부(108b)를 넘어 연장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제1 접촉 요소의 상측 다리부(108b)는 제2 접촉 요소의 상측 다리부(108b) 상으로 탄성복귀 방식(resilient manner)으로 눌려질 수 있는바, 이에 의하여 두 개의 접촉 요소들(그리고, 이에 따라 두 개의 케이블 코어들) 간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하향의 눌림은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내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도 13 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요소(32)의 제1 절반부(32a)는 접촉 요소들의 상측 아암들(108a, 108b) 옆에 견고한 블록(124)을 보인다. 이 블록(124)의 상측 가장자리(124a)는 힘을 받지 않는 상태의 제1 접촉 요소의 상측 다리부(108a)의 최상측 지점과 같은 하측 수직 위치에 배치된다. 제1 접촉 요소(36a)의 상측 다리부(108a)가 안내 볼트에 의하여 아래로 눌려지고 상측 다리부들(108a, 108b) 둘 다가 양호한 전기 접촉을 이루어, 제1 접촉 요소(36a)의 상측 다리부(108a)의 U자 형상 전방 단부(109)가 약간 탄성복귀성으로 변형되는 때에, 블록(124)의 상측 가장자리(124a)와 제1 접촉 요소의 상측 다리부의 최상측 지점이 동일한 수직 위치에 있게 된다. 안내 볼트의 폭 및 위치는, 그것이 상측 아암들(108a)은 물론 블록(124)을 넘어 도달하도록 정해진다. (조립 중, 또는 경적의 작동 중에) 그 위치에 도달한 후에 안내 볼트에 더 많은 힘이 가해진다면, 안내 볼트는 블록(124)에 의하여 정지되고, 추가적인 힘은 블록(124)에 의하여 완전히 차단되어서 제1 접촉 요소의 상측 아암(108a)의 너무 강하고 복귀될 수 없는 변형이 확고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이 블록(124)은 정지부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15 에는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보유 요소의 제2 절반부(32b)는 제1 절반부의 홈(120) 안으로 스냅결합되고, 2-코어 케이블을 클램핑 방식으로 보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명칭의 일관성을 위하여 "절반부"라는 표현을 유지하고 있으나, 보유 요소(32)의 제2 절반부(32b)는 제1 절반부(32a)보다 명확히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제공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보유 요소들 및 2-코어 케이블(40)은 스티어링 휠 몸체에 보유되고, 작동 블록들, 안내 볼트들, 또는 밀침부는 가스 백 모듈의 일부를 이룬다. 물론, 이와 같은 구성은 역으로 될 수도 있는바, 즉 케이블, 보유 요소들을 가스 백 모듈에 배치시킬 수도 있다.
2-코어 케이블의 장착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 또는 가스 백 모듈의 저부에 안내 링(guiding ring)이 제공될 수 있다. 이 안내 링은 2-코어 케이블의 섹션들을 수용하는 스냅-인 부분들(snap-in parts) 또는 홈 섹션들(groove sections)을 구비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과 그것의 가스 발생기 각각의 접지를 위하여 2-코어 케이블 중의 일 코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부유식 커버(floating cover)"의 구조에서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10: 차량용 스티어링 휠 12: 스티어링 휠 몸체
14: 가스 백 모듈(gas bag module) 16: 하우징(housing)
16a: 커버 요소(covering element) 17: 가스 백
18: 가스 발생기(gas generator) 19: 나선 스프링(helical spring)
20: 경적 접촉부 32: 보유 요소
32a: 제1 절반부(first half) 32b: 제2 절반부(second half)
34: 보어(bore) 36a,b: 접촉 요소
37a,b: 제1 다리부(first leg) 38a,b: 제2 다리부(second leg)
39a: 제3 다리부(third leg) 40: 2-코어 케이블
42: 절연부(insulation) 44a,b: 케이블 코어
52: 작동 블록(actuating block) 54: 금속 요소(metal element)
60: 안내 볼트(guide bolt) 62: 멈춤 후크(detent hook)
64: 작동 표면(actuating surface) 70: 제1 아암(first arm)
72: 제2 아암(second arm) 74: 탄성 아암(elastic arm)
76: 멈춤 돌출부(detent projection) 78: 핀(pin)
80: 보유 부분(holding part) 82: 보유 아암(holding arm)
84: 압력 스프링(pressure spring) 86: 밀침부(ram)
100a,b: J자 형상 스트립(J-shaped strip)
102a,b: 좌측 다리부(left leg) 104a,b: 하측 다리부(lower leg)
106a,b: 우측 다리부(right leg) 108a,b: 상측 다리부(upper leg)
109: U자 형상 전방 단부(U-shaped front end)
110a,b: U자 형상 블레이드(U-shaped blade)
120: 홈(groove) 122a,b: (접촉 요소용) 요부(recess)
124: 블록 124a: 상측 가장자리(upper edge)
130: 스티어링 휠 칼럼(steering wheel column)
D: 하향 누름 방향(pressing down direction )

Claims (25)

  1. 스티어링 휠 몸체(steering wheel body; 12), 복귀 요소(return element)의 힘에 반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에 대해 아래로 눌려질 수 있게 스티어링 휠 몸체(12)에서 움직일 수 있게 보유되는 가동 요소(movable element),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에 의하여 접속되는 경적 접촉부(horn contact; 20)를 구비한 차량용 스티어링 휠로서,
    경적 접촉부(20)는 보유 요소(holding element; 32)에 보유되는 2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을 구비하고, 접촉 요소(contact element; 36a, 36b)는 케이블 코어들(44a, 44b) 각각으로 연장되어 케이블 코어와 접촉하며, 그 접촉 요소는 유사하게 보유 요소(32)에 의하여 보유되고,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은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보유 요소(32)의 반대측에는 경적 접촉부의 제2 구성요소가 제공되고, 제2 구성요소는 가동 요소가 아래로 눌리는 때에 접촉 요소들(36a, 36b) 중의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며,
    제2 구성요소는, 가스 백 모듈(14)을 스티어링 휠 몸체(12)에 대하여 위치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안내 볼트(60)로서 구성되고,
    보유 요소(32)는 안내 볼트(60)를 위한 안내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케이블 코어들(44a, 44b)은 적어도 2-코어 케이블(two-core cable; 40)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블 코어들(44a, 44b)은 스트랜드 와이어(stranded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40)은 적어도 2개의 보유 요소들을 통하여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32a, 32b)는 L자 형상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7.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는 두 개의 절반부들(32a, 32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8. 제 7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은 절반부들 중의 하나(32a)에 접착, 임프레싱(impressing), 또는 주조(cast)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9.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36a, 36b)은 비-용접(weld-free) 및 비-솔더링(solder-free)의 연결 기술에 의하여 기계적으로만 케이블 코어들(44a, 44b)과 도전 방식(conducting manner)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0.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요소들 중 하나(36a)의 섹션(section; 39a)은, 다른 접촉 요소(36b)의 섹션(38b)을 넘어 연장되고,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 시에 다른 접촉 요소(36b)의 섹션(38b)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접촉 요소의 섹션을 넘어 연장된 접촉 요소의 섹션에 가해질 수 있는 힘을 제한하는 정지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2.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도전성 요소(54)가 제공되고, 전기 도전성 요소는 가동 요소의 아래로의 눌림 시에 두 개의 접촉 요소들(36a, 36b)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3.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동 요소는 가스 백 모듈(14) 또는 가스 백 모듈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4.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는 가동 요소와 확고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5. 제 7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의 일 절반부(32b)는 가스 백 모듈(14)의 일체적인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는 스티어링 휠 몸체(12)와 확고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7. 제 7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의 일 절반부(32b)는 스티어링 휠 몸체(12)의 일체적인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8. 제 1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는 보유 부분(80)에 의하여 가스 백 모듈(14)에 움직임가능하게 보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19. 제 1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32)는 보유 부분(80)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 몸체(12)에 움직임가능하게 보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보유 요소는 보유 부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1. 삭제
  22.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 볼트(60)는 멈춤 후크(6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3. 삭제
  24.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2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 코어들(44a, 44b)은, 스티어링 휠의 축방향에서 적어도 보유 요소(32) 내에서 서로에 대해 상하로 놓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티어링 휠.
KR1020107028762A 2008-06-25 2009-06-25 차량용 스티어링 휠 KR101420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29770.4 2008-06-25
DE102008029770 2008-06-25
PCT/EP2009/004588 WO2009156153A1 (en) 2008-06-25 2009-06-25 Vehicle steering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181A KR20110025181A (ko) 2011-03-09
KR101420689B1 true KR101420689B1 (ko) 2014-07-17

Family

ID=4105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8762A KR101420689B1 (ko) 2008-06-25 2009-06-25 차량용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98115B2 (ko)
EP (1) EP2303638B1 (ko)
JP (1) JP5225464B2 (ko)
KR (1) KR101420689B1 (ko)
CN (1) CN102076524B (ko)
WO (1) WO200915615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54B1 (ko) 2020-04-07 2021-09-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20101505A (ko) 2021-01-11 2022-07-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0430A (ko) 2021-08-25 2023-03-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7363A (ko) 2021-09-09 2023-03-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40140422A (ko) 2023-03-16 2024-09-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07569B4 (de) 2010-02-10 2014-04-30 Autoliv Development Ab Sicherheitsanordnung
EP2390143B1 (en) * 2010-05-31 2013-12-04 Volvo Car Corporation Connec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module
DE102013008819B4 (de) 2013-05-25 2020-07-23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EP2910425B1 (en) * 2014-02-20 2020-08-05 Dalphi Metal España, S.A. Horn circuit
DE102017102217A1 (de) * 2017-02-06 2018-08-09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Hupenbetätigungseinheit
KR102505744B1 (ko) * 2018-02-07 2023-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 장치
FR3085909B1 (fr) * 2018-09-13 2021-05-28 Autoliv Dev Volant de vehicu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commande d'avertisseur sonore
DE102019105802A1 (de) * 2019-03-07 2020-09-1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Hupenbaugrupp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Fahrzeuglenk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Hupenbaugruppe
FR3102115B1 (fr) * 2019-10-18 2022-09-16 Autoliv Dev Dispositif d'avertisseur sonore de volant de véhicule
JP7347149B2 (ja) * 2019-11-18 2023-09-20 Joyson Safety Systems Japan合同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651A (ja) * 2000-05-31 2001-12-11 Nippon Plast Co Ltd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5531464A (ja) 2002-07-02 2005-10-20 オートリブ ディヴェロプメント アクチボラゲット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060016613A1 (en) * 2004-07-21 2006-01-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Intermittent connection device
EP1772314A1 (de) 2005-10-08 2007-04-11 RAFI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betriebene Signal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5977A (en) * 1932-02-17 1935-12-31 Fred I Getty Circuit closer for steering wheels
US3525536A (en) * 1968-10-11 1970-08-25 Eaton Yale & Towne Vehicle safety apparatus positioned on steering wheel
US4581508A (en) * 1984-11-07 1986-04-08 Superior Industries International, Inc. Horn button contact assembly
DE29813239U1 (de) * 1998-07-24 1998-10-0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63743 Aschaffenburg Kontaktvorrichtung
DE19908385C2 (de) * 1999-02-26 2001-11-15 Petri Ag Kontaktprofil für die Hornauslösung
DE19927032A1 (de) *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IT1308842B1 (it) * 1999-09-24 2002-01-11 Gallino Plasturgia S R L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avvisatore acustico per un volante diazionamento.
DE20017527U1 (de) * 2000-10-12 2001-02-22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63743 Aschaffenburg Fahrzeuglenkrad
DE20108596U1 (de) * 2001-05-22 2001-09-27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 Co. KG, 63743 Aschaffenburg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Gassackmodul
JP2003022727A (ja) * 2001-07-05 2003-01-24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6830263B2 (en) * 2002-02-08 2004-12-14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for attaching an airbag module
JP4322080B2 (ja) * 2003-09-22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DE202004000953U1 (de) 2004-01-22 2004-05-27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CN1989584A (zh) * 2004-07-21 2007-06-27 Fci公司 间歇连接装置
DE102005002945A1 (de) * 2005-01-18 2006-07-27 Takata-Petri Ag Generatorträger für ein Fahrerairbagmodul zum Einbauen in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es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US7348508B2 (en) * 2006-05-05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Horn switch apparatus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JP4927569B2 (ja) * 2007-01-12 2012-05-0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組付装置
DE102008028126A1 (de) * 2008-06-13 2009-12-17 Autoliv ASP, Inc., Ogden Lenkradeinhe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1651A (ja) * 2000-05-31 2001-12-11 Nippon Plast Co Ltd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5531464A (ja) 2002-07-02 2005-10-20 オートリブ ディヴェロプメント アクチボラゲット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20060016613A1 (en) * 2004-07-21 2006-01-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Intermittent connection device
EP1772314A1 (de) 2005-10-08 2007-04-11 RAFI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elektrische betriebene Signalanlag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454B1 (ko) 2020-04-07 2021-09-0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20101505A (ko) 2021-01-11 2022-07-1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0430A (ko) 2021-08-25 2023-03-0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30037363A (ko) 2021-09-09 2023-03-1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KR20240140422A (ko) 2023-03-16 2024-09-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1650A1 (en) 2011-05-05
KR20110025181A (ko) 2011-03-09
US8398115B2 (en) 2013-03-19
EP2303638A1 (en) 2011-04-06
CN102076524A (zh) 2011-05-25
WO2009156153A1 (en) 2009-12-30
JP2011525687A (ja) 2011-09-22
JP5225464B2 (ja) 2013-07-03
CN102076524B (zh) 2014-06-04
EP2303638B1 (en)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0689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EP0404450B1 (en) Electrical junction connector having wire-receiving slots
US20060175816A1 (en) Horn switch
US74908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horn contact mechanism
CN114365355A (zh) 用于导体的连接端子
JP3311572B2 (ja) 電気接続用配線板
CN107394424B (zh) 弹簧接线端子
JPH0955235A (ja) 電気接続用配線板
CN1937125B (zh) 电开关
CN1199918A (zh) 过压保护组件
FI67453C (fi) Elektrisk kontakt
CN116667019A (zh) 弹簧接线端子
CN113169464B (zh) 弹簧接线端子
US7126073B2 (en) Intermittent connection device
US20220384967A1 (en) Terminal
WO2008012608A1 (en) Connecting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ground connection
US6299471B1 (en) Press-connecting connector
GB2225166A (en) Push-button switch
US6087606A (en) Waterproof switch with single conta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5308707A (zh) 开关,用于制造开关的方法和电子模块系统
US12098963B2 (en) Temperature sensor assembly
CN112310666B (zh) 接线端子
JP4627368B2 (ja) 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EP4184723A1 (en) Electric terminal, terminal assembly,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terminal assembly
JP2533070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