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063B1 -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8063B1 KR101428063B1 KR1020080009822A KR20080009822A KR101428063B1 KR 101428063 B1 KR101428063 B1 KR 101428063B1 KR 1020080009822 A KR1020080009822 A KR 1020080009822A KR 20080009822 A KR20080009822 A KR 20080009822A KR 101428063 B1 KR101428063 B1 KR 101428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frame
- lower guide
- guide
- interlock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용지가 인입되기 위한 용지인입구(12)가 일측에 형성되는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프레임(10)의 내외측으로 수평이동되는 지지판(32)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32)은 용지가 일시적으로 집적되는 일시집적부(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상부가이드(60)가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32)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부(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는 하부가이드(70)가 승강되게 설치되어 용지의 정보처리가 끝나면 상기 용지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지가 하부가이드에 한 장씩 고르게 집적될 수 있으므로 용지를 회수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자동화기기, 용지, 집적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화기기의 내부에서 인입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기기는 그 수행되는 기능이 모두 자동화되어 별도로 조작하는 사람이 없이도 동작될 수 있는 기기를 말한다. 이와 같은 자동화기기의 예로서, 현금자동지급기나 증명서발급기 등이 있다.
상술한 자동화기기외에 지로용지를 수납하고 자동으로 결재처리를 해 주는 지로용지 처리기기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지로용지 처리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로용지 처리기기에는 우선 사용자가 지로용지(이하 '용지'라 한다)를 인입하기 위한 용지인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용지인입구를 통과한 용지는 이송롤러 및 이송벨트의 구동에 의해 지로용지 처리기기의 내부로 이송된다.
상기 지로용지 처리기기의 내부로 이송된 용지는 정보인식부를 지나게 된다. 상기 정보인식부에서는 상기 용지에 기록된 정보를 이미지로 처리하여 지로용지 처리기기의 제어부 등으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지에서 입수된 정보를 통해 결재가 처리된다.
이때, 상기 용지는 사용자가 결재를 종료할 때까지 일시집적부에 집적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일시집적부에는 용지를 집적하기 위한 집적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집적롤러는 상기 지로용지 처리기기의 내부에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용지가 밀착되도록 한다.
만약에 사용자가 한 장의 용지만 인입한 경우에는 상기 집적롤러에 말려 있는 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결재처리가 끝나면 회수부로 이송된다. 또한, 사용자가 여러 장의 용지를 처리할 경우에는 처음에 인입된 용지가 상기 집적롤러에 말려 있는 상태에서 다음으로 인입된 용지가 함께 말리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용지가 상기 집적롤러에 말려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결재처리가 끝나면, 상기 회수부로 이송된다.
상기 회수부로 이송된 용지는 은행직원에 의해 지로용지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지는 회수부로 이송되기 전에 일시집적부의 집적롤러에 집적된다. 이때, 상기 용지의 매수가 적은 경우에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상기 용지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는 상기 집적롤러에 용지가 중첩되어 말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적롤러에서 잼이 발생하여 용지가 회수부로 정상적으로 이송되지 못하고 이송되는 과정에서 걸리거나 접히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시집적부에서 용지를 집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용지가 인입되기 위한 용지인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가 일시적으로 집적되는 일시집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방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주는 상부가이드와; 상기 상부가이드에 의해 눌러지는 용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설치되어 용지의 정보처리가 끝나면 상기 용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판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은 링크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종동축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는 금속판의 양단부를 직교하게 벤딩하고, 벤딩된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가이드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는 연동프레임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연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에는 상기 연동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판 일측이 걸어지는 연동캠에 동력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동캠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지집적장치와; 상기 용지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용지인입구로 인입된 용지에 있는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와;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지집적장치에 집적되어 있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롤러와; 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풀리에 감아지는 이송벨트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벨트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아이들롤러는 상기 하부가이드가 상승할 때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게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축에는 상기 상부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공이 삽입되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화기기의 내부로 인입된 용지가 지지판에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판의 이동에 의해 하부가이드의 상단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가이드가 하강되어 하부가이드에 용지가 고르게 집적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용지의 집적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용지가 하부가이드에 한 장씩 고르게 집적될 수 있으므로 용지를 회수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집적장치가 구비된 자동화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동화기기의 외관 및 골격은 프레임(10)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일반적으로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서, 적 어도 양측에 단부판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물론, 상기 프레임(10)은 양측에 구비된 단부판 외에 별도의 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용지인입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용지인입구(12)는 용지가 인입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구동모터(1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4)는 용지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터(14)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16)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16)에는 구동벨트(B)가 걸어진다. 상기 구동벨트(B)는 아래에서 설명될 인입롤러(18) 및 이송롤러(9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용지인입구(12)에 인접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인입롤러(1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18)는 상기 프레임(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인입롤러(18)는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9)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롤러(18)의 상부에는 인입롤러(18)에 대응되는 아이들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20)는 상기 프레임(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1)에 구비된다. 상기 인입롤러(18)는 상기 구동모터(14)로부터 구동벨트(B)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용지를 인입시킨다.
상기 인입롤러(18)에 의해 인입된 용지는 정보인식부(22)로 이송된다. 상기 정보인식부(22)는 상기 용지에 프린팅되어 있는 정보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정보인식부(22)에서는 상기 용지에 프린팅되어 있는 정보를 인식하여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결재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보인식부(22)를 통과한 용지는 일시집적부(30)로 이송된다. 상기 일시집적부(30)는 상기 용지를 일시적으로 집적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용지에 대한 정보처리가 끝날 때까지 용지를 보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일시집적부(30)에서는 인입되는 다수개의 용지를 한 장씩 집적하고 용지에 대한 정보처리가 끝나면 한 번에 용지를 회수부(100)로 이송시킨다.
상기 일시집적부(30)에는 이송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32)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32)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32)은 한 쌍이 단부판을 형성하는 프레임(10)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슬라이딩공에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10)의 내외측을 이동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32)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되면서 상기 일시집적부(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일시집적부(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용지가 지지판(32) 상에 위치하면 일시집적부(30)를 개방하여 용지가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지지판(32)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4)의 회전축에는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트레인(35)이 구비된다. 상기 기어트레인(35)은 상기 구동모터(34)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모터기어(35a)와, 상기 모터기어(35a)와 맞물리고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축(36)에 구비되는 연결기어(35b)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측면에는 지지브라켓(35')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브라켓(35')은 구동축(36)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구동축(36)은 상기 연결기어(35b)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36)에는 링크(37)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링크(37)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32)의 일측에 구비되는 종동축(38)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37)는 두 개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종동축(38)은 상기 지지판(32)에 구비되는 연결브라켓(39)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종동축(38)이 구동축(3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되면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종동축(38)의 이동에 연동하여 프레임(10)의 내외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프레임(44)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연동기어(42)에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연동기어(42)는 상기 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기어(42)는 상기 프레임(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연동프레임(44)에 상기 구동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연동기어(42)는 상기 연동프 레임(44)에 구비된 기어부와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기어(42)가 상기 구동모터(40)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 상기 연동프레임(44)이 용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동프레임(44)은 도 6a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동프레임(44)에는 상기 프레임(10)에 구비된 고정돌기(46)가 삽입되는 삽입슬롯(48)이 구비된다. 상기 삽입슬롯(48)은 상기 연동프레임(44)에서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프레임(4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가이드(60)의 가이드돌기(62)가 삽입되는 연동슬롯(50)이 형성된다. 상기 연동슬롯(50)은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연동프레임(44)에 연동하여 승강되는 상부가이드(6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상기 연동프레임(44)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 즉,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대략 금속판의 양단을 직교하게 'ㄷ'자 형상으로 벤딩한 것으로서, 벤딩된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상기 일시집적부(30)에 용지를 집적할 때 용지의 상면을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상기 지지판(32)이 외측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하강하여 집적된 용지의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초기상태에서 상기 지지판(32)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에는 상기 연동슬롯(50)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62)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돌기(62)는 상기 연동슬롯(50)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상부가이드(60)의 승강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6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롤러(90)의 롤러축(92)에 삽입되는 상부가이드슬롯(64)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가이드슬롯(64)은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0)에는 하부가이드(70)가 승강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가이드(70)는 상기 일시집적부(30)에 집적된 용지를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부(100)로 이동시키기 위해 용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가이드(70)는 상기 상부가이드(60)와 마찬가지로 대략 금속판의 양단을 직교하게'ㄷ'자 형상으로 벤딩한 것이고, 벤딩된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판에 용지가 차례로 집적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가이드(7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연동캠(82)의 연동돌기(84)가 삽입되는 하부가이드슬롯(72)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74)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74)의 기어부(도시되지 않음)에는 연동기어(76)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기어(76)에는 구동풀리(78)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78)에는 구동벨트(80)가 걸어진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하부가이드(70)를 승강시키기 위한 연동캠(8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동캠(82)은 도 6a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회전중심 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동캠(82)은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판 일측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동캠(82)이 회전되면 상기 하부가이드(70)는 이에 연동하여 승강된다.
상기 연동캠(82)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가이드(7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72)에 삽입되는 연동돌기(84)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84)는 상기 가이드슬롯(72)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가이드(70)가 승강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동캠(82)의 반대면에는 연동풀리(86)가 구비되고, 상기 연동풀리(86)에는 상기 구동벨트(80)가 걸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부에는 아이들롤러(88)(도 6a 참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상기 프레임(1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89)에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송벨트(94)와 함께 용지를 회수부(10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용지가 회수부(100)로 이송될 때에는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판보다 더 돌출되어 용지에 밀착된다.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는 이송롤러(9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90)는 상기 구동모터(1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일시집적부(30)에 집적되어 있던 용지를 회수부(100)로 이송시킨다. 상기 이송롤러(9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롤러축(9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90)는 상기 롤러축(92)에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구비된다. 상기 롤러축(92)에는 구동풀리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풀리에는 이송벨트(94)가 걸어진 다. 그리고, 상기 롤러축(92)에는 상기 가이드슬롯(72)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일시집적부(30)에 집적되어 있던 용지에 대한 정보처리가 끝나면 용지는 회수부(100)로 이송된다. 상기 회수부(100)는 처리가 끝난 용지를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용지인입구(12)를 통해 인입된 용지는 인입롤러(18) 및 아이들롤러(20)에 의해 정보인식부(22)를 지나게 된다(도 7a). 상기 인입롤러(18)는 구동모터(14)의 구동에 의한 동력을 구동벨트(B)로부터 전달받아 회전된다.
상기 정보인식부(22)에서는 상기 용지에 있는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상기 정보인식부(22)에서 인식된 용지의 정보는 자동화기기에 구비된 제어부에 전달되어 사용자의 결재 등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정보인식부(22)를 통과한 용지는 일시집적부(30) 쪽으로 인입롤러(18) 및 아이들롤러(20)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용지는 상기 일시집적부(30)에 한 장씩 차례대로 집적이 되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용지가 집적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상기 용지가 일시집적부(30) 쪽으로 이송되기 전에 지지판(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집적부(30)의 일부를 폐쇄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용지가 상기 지지판(32) 상에 위치(도 7b)하게 되면,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34)의 구동에 의해 이 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34)가 구동되면 구동모터(34)의 동력이 기어트레인(35)을 통하여 구동축(36)에 전달된다. 상기 구동축(36)은 회전되고 상기 링크(37)도 구동축(36)과 함께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37)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종동축(38)이 이동하게 되고, 상기 종동축(38)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판(32)이 프레임(10)에 형성된 슬라이딩공(도시되지 않음)을 따라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판(3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시집적부(30)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지지판(32)이 상기 일시집적부(30)를 개방하면 상기 용지가 하방으로 낙하된다(7c). 그리고, 상기 용지는 도시된 하부가이드(70)의 상판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모터(40)가 구동된다.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연동하여 연동기어(42)가 회전되고, 상기 연동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연동프레임(44)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동프레임(44)이 이동되면 상기 연동프레임(44)에 연동하여 상부가이드(60)가 하강하게 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상기 연동슬롯(50)에 삽입된 가이드돌기(62)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가이드(60)는 상기 롤러돌기(92)에 삽입된 상부가이드슬롯(64)을 따라 하강된다.
상기 상부가이드(60)는 하강되어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단에 고르게 접적되도록 한다(도 7d).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부(30)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의 반복에 의해 상기 용지가 한 장씩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단에 집적된다(도 7e). 이와 같이, 상기 용지가 한 장씩 상부가이드(60)에 의해 고르게 집적되므로 잼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사용자가 용지를 모두 수납하여 상기 하부가이드(70)에 집적이 되고 용지의 정보처리가 끝나게 되면, 상기 용지를 회수부(100)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때, 우선 상기 지지판(32)이 상기 구동모터(40)의 구동에 의해 일시집적부(30)를 개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모터(74)가 구동되고 상기 구동모터(74)의 동력을 연동기어(76) 및 구동벨트(80)가 연동캠(82)에 전달한다. 상기 연동캠(82)은 상기 구동모터(74)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 6b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으로 각각 회전된다. 상기 연동캠(82)은 회전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되면 상기 하부가이드(70)를 상승시키게 된다(도 7f).
상기 하부가이드(70)가 상승되면 상부에 구비된 아이들롤러(88)가 이송벨트(94)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이들롤러(88)는 상기 하부가이드(70)의 상단보다 더 돌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4)가 구동되면 상기 이송롤러(90)가 회전되고, 상기 이송벨트(94)가 회전되면서 상기 아이들롤러(88)와 함께 용지를 회수부(100)로 이송하게 된다(도 7g). 상기 회수부(100)에 보관되어 있는 용지는 은행직원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용지가 상기 회수부(100)로 이송되면 상기 하부가이드(70)는 연동 캠(82)의 회전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하강되고, 상기 지지판(32)은 상기 일시집적부(30)의 일부를 폐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집적장치가 구비된 자동화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판이 작동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를 구성하는 지지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의 동작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용지가 집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2 : 용지인입구
14 : 구동모터 18 : 인입롤러
20 : 아이들롤러 22 : 정보인식부
30 : 일시집적부 32 : 지지판
35 : 기어트레인 36 : 구동축
37 : 링크 38 : 종동축
44 : 연동프레임 46 : 고정돌기
48 : 삽입슬롯 50 : 연동슬롯
60 : 상부가이드 62 : 가이드돌기
64 : 가이드슬롯 70 : 하부가이드
72 : 가이드슬롯 82 : 연동캠
84 : 연동돌기 86 : 연동풀리
88 : 아이들롤러 90 : 이송롤러
92 : 롤러축 94 : 이송벨트
100 : 회수부
Claims (11)
- 용지가 인입되기 위한 용지인입구가 일측에 형성되는 프레임;상기 프레임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용지가 일시적으로 집적되는 일시집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지지판;상기 지지판의 상방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승강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해 상기 일시집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용지의 상면을 눌러주는 상부가이드; 및상기 상부가이드에 의해 눌러지는 용지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프레임에 승강되게 설치되어 용지의 정보처리가 끝나면 상기 용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하부가이드를 포함하며,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가이드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구동원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는 연동프레임이 더 구비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지지판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제 2 구동원은 링크의 일단이 연결되는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은 상기 지지판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종동축에 연결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상부가이드 및 하부가이드는 금속판의 양단부를 직교하게 벤딩하고, 벤딩된 양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동프레임에는 상기 용지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연동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가이드에는 상기 연동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가이드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3 구동원이 설치되고, 상기 제 3 구동원은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판 일측이 걸어지는 연동캠에 동력을 전달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연동캠은 상기 하부가이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도록 형성되는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용지집적장치;상기 용지의 이송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 4 구동원;상기 용지인입구로 인입된 용지에 있는 정보를 인식하는 정보인식부;상기 제 4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용지집적장치에 집적되어 있는 용지를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및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용지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를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롤러와;상기 이송롤러의 단부에 구비된 이송풀리에 감아지는 이송벨트와;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가이드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벨트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아이들롤러를 포함하는 자동화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아이들롤러는 상기 하부가이드가 상승할 때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판보다 더 돌출되게 이동되는 자동화기기.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롤러축에는 상기 상부가이드에 형성된 가이드공이 삽입되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822A KR101428063B1 (ko) | 2008-01-30 | 2008-01-30 |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9822A KR101428063B1 (ko) | 2008-01-30 | 2008-01-30 |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809A KR20090083809A (ko) | 2009-08-04 |
KR101428063B1 true KR101428063B1 (ko) | 2014-08-07 |
Family
ID=4120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9822A KR101428063B1 (ko) | 2008-01-30 | 2008-01-30 |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806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464A (ko) * | 1997-12-13 | 1999-07-05 | 구자홍 | 매체 자동집적장치 |
KR20070014951A (ko) * | 2005-07-29 | 2007-02-01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지폐수납기구 |
KR20070040475A (ko) * | 2005-10-12 | 2007-04-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
-
2008
- 2008-01-30 KR KR1020080009822A patent/KR101428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49464A (ko) * | 1997-12-13 | 1999-07-05 | 구자홍 | 매체 자동집적장치 |
KR20070014951A (ko) * | 2005-07-29 | 2007-02-01 |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 지폐수납기구 |
KR20070040475A (ko) * | 2005-10-12 | 2007-04-17 |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 지로장표의 자동처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83809A (ko) | 2009-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24499B (zh) | 介质处理装置 | |
EP2502830B1 (en) | Accumulating and strapping apparatus | |
CN102007059A (zh) | 控制矩形单张纸,特别是纸币,分别输入至容器中和从容器中输出的单张纸处理设备 | |
KR100966675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EP3067283B1 (en) | Paper sheets pre-processing apparatus | |
KR100711316B1 (ko) |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 |
JP4034307B2 (ja) | 用紙後処理装置 | |
KR20090067358A (ko) |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 |
JP5917876B2 (ja) |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 |
KR101428063B1 (ko) | 자동화기기의 용지집적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화기기 | |
JP5289262B2 (ja) | シート搬送装置と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CN101799952B (zh) | 自动柜员机的传送模块 | |
KR100966676B1 (ko) | 금융자동화기기 | |
JP5964632B2 (ja) | シート後処理装置 | |
JP5933279B2 (ja) |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システム | |
KR100699568B1 (ko) | 매체 임시집적장치 | |
JP4305886B2 (ja) | 記録紙後処理装置 | |
JPS6181330A (ja) | 紙葉類の取出装置 | |
JP5844598B2 (ja) | 画像形成システム | |
JP4681463B2 (ja) | 用紙後処理装置 | |
KR20090104355A (ko) | 지로수납기의 이송장치 | |
JP6191946B2 (ja) | シート収納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後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システム | |
JP4288727B2 (ja) | シート収容装置 | |
KR20090067356A (ko) | 금융자동화기기 | |
WO1996006789A1 (fr) | Mecanisme de deplacement lateral dans un appareil de transport de feuil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