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209B1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Google Patents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209B1 KR101426209B1 KR1020130111621A KR20130111621A KR101426209B1 KR 101426209 B1 KR101426209 B1 KR 101426209B1 KR 1020130111621 A KR1020130111621 A KR 1020130111621A KR 20130111621 A KR20130111621 A KR 20130111621A KR 101426209 B1 KR101426209 B1 KR 101426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e
- foot
- woven
- covering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0—Stocking pro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1—Elastic or flexible yarns knitted into the upper end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여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땀의 흡수는 용이하도록 한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의 형태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서, 발을 완벽하게 감싸는 형태가 아닌 발가락 부분만을 돌려서 패킹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또한 구성적으로는 발의 폭을 좁혀주면서도 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와 발바닥에서 미끄러져 벗겨지지 않도록 발의 쐐기뼈 끝단부분을 돌려 탄성을 이용하여 발에 착용시키는 탄력부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발에 걸린 상태이지만 의도치 않으면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용이 간편하지만 착용감이 우수하고 땀의 흡수기능과 유행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의 형태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서, 발을 완벽하게 감싸는 형태가 아닌 발가락 부분만을 돌려서 패킹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또한 구성적으로는 발의 폭을 좁혀주면서도 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와 발바닥에서 미끄러져 벗겨지지 않도록 발의 쐐기뼈 끝단부분을 돌려 탄성을 이용하여 발에 착용시키는 탄력부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발에 걸린 상태이지만 의도치 않으면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용이 간편하지만 착용감이 우수하고 땀의 흡수기능과 유행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여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땀의 흡수는 용이하도록 한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의 형태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서, 발을 완벽하게 감싸는 형태가 아닌 발가락 부분만을 돌려서 패킹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또한 구성적으로는 발의 폭을 좁혀주면서도 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와 발바닥에서 미끄러져 벗겨지지 않도록 발의 쐐기뼈 끝단 부분을 돌려 탄성을 이용하여 발에 착용시키거나 또는 발뒤꿈치에 걸어 발에 착용시키는 탄력부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발에 걸린 상태이지만 의도치 않으면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용이 간편하지만 착용감이 우수하고 땀의 흡수기능과 유행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덧버선은 평직조와 봉제라는 공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여성들의 발에 신는 착용물이다. 덧버선과 비슷한 종류의 것으로 양말이라는 물품도 있는데, 이는 형상적인 면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즉, 덧버선이나 양말이나 모두 발에 착용하여 신발을 신은 후에 발에서 발생되는 땀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지만 그 형상과 패킹이 되는 형태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이 건 발명의 내피는 그 형상과 사용의 목적에서 전혀 달리하는 물품이다. 이 건 발명의 명칭을 기재하면서, 내피란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사실 종래 양말이나 덧버선과 유사하게 발에 착용하는 물품은 분명하지만 착용이라고 하기보다는 덧씌우는 형태로 발가락 부분에 걸리게 하고, 또 발을 완벽하게 수용하는 것이 아니고 발가락 부분만을 감쌀 수 있도록 했기에 별개의 물품이라 판단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발에 착용하는 물품은 분명하지만 종래의 양말이나 덧버선과는 전혀 다른 정말 프론티어적인 새로운 물품을 창안한 것이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의 물품과 같은 내피를 선행기술로 기재할 수 없기에 종래 사용되던 덧버선의 실시예들을 하기에 설명한다.
종래의 덧버선은 대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사, 아크릴사, 면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양말을 짖는 평직조기를 사용하여 직조한다. 이러한 평직조의 방법을 통해서 직조가 발달되어질 즈음, 본 발명의 출원인은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을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를 통해서 그 직조기는 물론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소개한 바 있다. 즉, 별도의 고무사를 투입하여 필요한 부분에는 탄성을 주어 발의 안락함을 더 부여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종래 덧버선의 개발단계를 살펴본다. 실례로 도시된 도 1을 통해서 종래의 덧버선을 살펴보면, 종래의 덧버선의 경우도 앞꿈치부(20), 바닥부(10), 뒷꿈치부(30)로 이루어진다. 이 형태의 덧버선은 양말을 직조하던 평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된 것으로 발이 들어가는 개구부(11)를 양말의 개구부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다. 사실 양말의 경우 발목을 지나 종아리 부분에서 양말의 끝단이 착용되기에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함이 타당하나 덧버선과 같이 발목에 끝단을 두어야 하기에 타당하지 않다.
발목의 경우 원형의 단면이 아니고 타원형의 단면이고 걸어다니는 동작에 의해서 발뒷꿈치부분이 자주 벗겨질 소지가 많다. 따라서 동일한 탄성으로 조이는 종래의 개구부(11)는 개선의 소지가 있었다.
따라서 타원형의 개구부(11)를 가진 덧버선도 제안되었지만, 뒷꿈치가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결국 도2의 도면에서처럼, 개구부(11)에 탄력 레이스(19)를 박음질하여, 탄성을 향상시킨 실시예도 있었다.
이러한 덧버선은 더욱 개선되어 이 건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도시된 도 3과 같은 덧버선이 제안되었다. 이는 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0-2215호로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이다.
발목을 감싸는 개구부를 형성하되, 발뒷꿈치부분과 발등 부분에만 특별한 탄성을 가지는 밴드부를 직조로 형성하여 탄력이 필요한 부분에만 탄성을 준 것이다. 이 건의 경우 개구부 상단의 밴드부가 쌍으로 형성되는데, 발뒷꿈치부분과 발등부분에 2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의 종래의 덧버선도 약간의 문제가 발생되는데, 밴드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투입되는 고무사의 가격이 고가이기에 직조비용이 높다. 또한 뒷꿈치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용이하지만, 발등부분에 형성하는 밴드부는 제직이 어려워 사실상 불량률이 높다. 그리고 발목만을 죄어 착용감을 안락하게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발의 폭을 지그시 감싸 발의 폭이 벌어지는 현상을 막아주기 위한 덧버선은 아니었던 것이다.
나아가 종래의 덧버선은 발을 완벽하게 수용시키는 형태로 착용을 완성하기에 신고 벗는 과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평직기를 이용하여 직조의 형태로 제작하되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여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땀의 흡수는 용이하도록 한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덧버선의 형태에서 완벽하게 벗어나서, 발을 완벽하게 감싸는 형태가 아닌 발가락 부분만을 돌려서 패킹하는 형태로 사용되며, 또한 구성적으로는 발의 폭을 좁혀주면서도 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밴드부와 발바닥에서 미끄러져 벗겨지지 않도록 발의 쐐기뼈 끝단부분을 돌려 탄성을 이용하여 발에 착용시키거나 또는 발뒤꿈치에 걸어 발에 착용시키는 탄력부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발에 걸린 상태이지만 의도치 않으면 빠지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착용이 간편하지만 착용감이 우수하고 땀의 흡수기능과 유행을 따라갈 수 있도록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는, 발가락의 상단을 폭으로 덮으며 좌우방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발가락의 폭을 좁히도록 형성되는 고무사로만 이루어진 밴드부(10)와, 밴드부(10)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덮어주는 커버(20)와 발가락의 측면을 덮는 측방(22) 및 발가락의 저면을 덮어주는 발가락바닥(23)로 이루어져 발의 족지골 부분을 덮는 발가락커버부(A1); 상기 발가락커버부(A1)에서 연장되어 발허리뼈(=중족골) 상단은 개방한 개방부(11)를 형성하고, 측방의 측면(21) 및 하단의 바닥면(25)으로 이루어지도록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A2); 상기 발바닥커버부(A2)의 끝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볼록한 발의 쐐기뼈 끝단을 돌려 오목한 발바닥을 탄성력으로 감싸도록하거나 발뒤꿈치를 감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40);로 이루어진 발가락내피(100)를 구성하여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되,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땀을 흡수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따른, 밴드부(10)의 좌우 양단에서는, 측방(22)의 첫단인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이음라인(30)과 그 이음라인(30)의 끝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라인(31)을 형성하여, 발가락 부분의 측방(22)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키고 : 발가락을 커버하는 커버(20), 측방(22), 발가락바닥(23)는, 아크릴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스판사로 이루어진 혼합사로 직조하며 : 밴드부(10)와 탄력부(40)는, 커버(20), 측방(22), 측면(21), 발가락의 저면인 발가락바닥(25) 및 발바닥커버부(A2)와는 다른 색상의 고무사로 직조하여 미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따른, 발가락내피(100)에는 필요한 부위에 다양한 색상의 직조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 모양을 새기어 미감을 향상시키고 :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를 하거나 또는 1.6-3cm의 폭으로 직조하며 : 1.6-3cm의 폭으로 직조한 탄력부(40)의 경우, 직조된 탄력밴드부(42)의 중심부에 접음부(44)를 구분하여 겹으로 접은 후 그 끝단부분을 박음질(45)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에 따른,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 0.3-1cm의 평직조부(43) 및 다시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한 번의 직조 과정에서 발가락내피를 완벽하게 제조할 수 있기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양말이나 덧버선과는 다르게 발가락 부분에만 패킹하는 방식으로 착용하기에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가락 부분에만 착용을 하기에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도 착용감이 우수하고, 여름철 샌들을 신은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땀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요즘의 트랜드에 따라 양말을 벗고 신발을 신는 사용자들에게도 신발의 내측에서는 땀의 흡수가 용이하여, 악취가 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발의 뼈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가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가 발에 착용된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를 측방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발가락내피의 탄력부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 8의 발가락내피를 도시하되, 탄력부만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발가락내피의 탄력부를 도시하되, 도 8, 9와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양말 편직기를 이용하여 직조한 다른 형태의 덧버선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발의 뼈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가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가 발에 착용된 상태를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를 측방에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발가락내피의 탄력부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도 8의 발가락내피를 도시하되, 탄력부만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발가락내피의 탄력부를 도시하되, 도 8, 9와는 다른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종래 이미 발에 착용하고 있었던 양말이나 덧버선과는 완벽화게 차별화된 발가락내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3 내지 10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발가락의 상단을 폭으로 덮으며 좌우방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발가락의 폭을 좁히도록 형성되는 고무사로만 이루어진 밴드부(10)와, 밴드부(10)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덮어주는 커버(20)와 발가락의 측면을 덮는 측방(22) 및 발가락의 저면을 덮어주는 발가락바닥(23)로 이루어져 발의 족지골 부분을 덮는 발가락커버부(A1)가 있고, 상기 발가락커버부(A1)에서 연장되어 발허리뼈(=중족골) 상단은 개방한 개방부(11)를 형성하고, 측방의 측면(21) 및 하단의 바닥면(25)으로 이루어지도록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A2)가 있으며, 상기 발바닥커버부(A2)의 끝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볼록한 발의 쐐기뼈 끝단을 돌려 오목한 발바닥을 탄성력으로 감싸도록하거나 발뒤꿈치를 감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40)가 결합하여 발가락내피(100)를 구성한다. 즉, 이 건 발명인 발가락내피는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되,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땀을 흡수시키도록 한다.
우선 이 건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발에 착용하는 내피이기는 하지만 착용이라고 하기보다는 걸친다고 표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발가락내피(100)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양말과 덧버선과는 완벽하게 구분되는 물품으로, 종래의 양말과 덧버선은 발을 전체적으로 덮어 땀의 흡수를 돕고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반하여, 이 건 발명의 발가락내피(100)는 발가락부분만 돌려 걸칠 수 있는 발가락내피(100)이다. 이 발가락내피(100)는 발가락부분만 돌려서 걸칠 수 있는 형태이기에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건 발명은 바로 이렇게 발가락에서 빠지기 쉬운 내피가 마치 착용된 것과 같은 형태로 발가락부분에 밀착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 착용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발을 이루는 뼈구조를 인지하고 직조의 형태로 제작되어지는 발가락내피(100)의 특성을 고려하여 착용구조를 창안한 것이다.
이 발가락내피(100)는 2가의 형태로 착용이 될 수 있는데, 첫째, 발가락부분의 상단에서 발가락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밴드부(10)와 쐐기뼈 끝단부분에서 발바닥까지 돌려 발에 밀착시키려하는 탄력부(40)를 형성한다(도 5a, 도 6a에 도시). 따라서 발가락 끝단에 발가락내피(100)가 걸려 착용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둘째, 탄력부(40)를 늘려 발뒤꿈치에 걸치는 형태로 착용하여 완벽하게 발가락부분에서 발가락내피(100)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한다(도 5b, 도 6b, 도 11에 도시). 결국 이 건 발명은 종래의 양말이나 덧버선과는 차이가 많은 서로 다른 물품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건 발명의 경우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직조기를 통해서 고무사로만 직조하여 밴드부(10)를 형성한다. 이 밴드부(10)는 수평방향으로 발의 폭을 좁히는 형태로 직조된다. 발가락의 상단에 형성되는 밴드부(10)는 발의 폭을 줄이며 발을 완벽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탄성력이 발휘되어 발에 밀착되는 것이다. 이 건 발명의 도시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100)의 경우 크게 발가락커버부(A1), 발바닥커버부(A2) 및 탄력부(40)로 이루어진다. 발가락커버부(A1)는 발가락 부분을 패킹하는 부위이다. 도시된 도 3를 통해서 보다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자면, 족지골부분을 패킹하는 부분이다.
발가락의 상단을 패킹하는 커버(20), 측면을 커버하는 측방(22), 발가락의 저면을 커버하는 발가락바닥(23)으로 이루어진다. 커버(20), 측방(22), 발가락바닥(23)은 모두 혼합사로 직조되는데, 혼합사는 아크릴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스판사가 사용된다. 아크릴스판사는 아크릴사에 스판사가 혼섬된 형태의 섬유이기에 약간의 탄성을 가진 섬유이다. 폴리에스테르스판사의 경우 폴리에스테르사에 스판사가 혼섬된 형태의 섬유이기에 이 섬유도 약간의 탄성을 가진다. 이에 반하여 고무사는 고무사로 직조되어 있기에 그 탄성력과 복원력이 크다. 실질적으로 발가락부분을 발가락커버부(A1)는 잘 감싸는 것이다. 이 건 발명과 같은 발가락내피(100)의 경우 발가락부분만 패킹하기에 벗겨지기 쉬운 물품이다.
양말의 경우도 직조하는 섬유의 착용감에 따라서 신발과의 마찰이 발생되어 벗겨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건 발명과 같은 발가락내피(100)는 발을 완벽하게 패킹하는 형태가 아니기에 걷는 동작에 따라 벗겨지기 쉽다. 그런데도 이 건 발명의 발가락내피(100)가 벗겨지지 않는 이유는 바로 밴드부(10)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모든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에 있다. 발가락의 상단부분에서 보다 큰 탄성력으로 조여주는 밴드부(10)와 이에 비하여 다소 떨어지는 탄성력으로 발가락의 측면, 저면 및 상면을 감싸는 측방(22), 발가락커버(23) 및 커버(20)의 힘의 조화에 따라 발생되는 것이다.
아무튼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100)는 전술된 발가락커버부(A1)에서 연장되어 실질적인 발바닥부분을 감싸는 발바닥커버부(A2)가 형성된다. 이 건 발명의 경우 직조기를 통해서 직조되는데, 모두 연속되는 작업이다. 먼저 밴드부(10)가 직조되고 난 후, 발가락커버부(A1)가 동시에 직조되고 연장되어 직조기가 반만을 회전하며 발바닥커버부(A2)를 직조한다. 상부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고 측면과 바닥면만을 직조한다. 상기 개방부(11)의 경우 이 건 발명의 발가락내피(100)가 발가락에 착용되고 난 후,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발등에서 발가락의 상부로 형성되는 밴드부(10)와 최 후방에서 발바닥과 쐐기뼈를 감싸면서 발바닥까지 감아지는 탄력부의 힘의 작용이 내피가 볏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첫번째 착용방식). 또한 발등에서 발가락의 상부로 형성되는 밴드부(10)와 최 후방에서 발바닥을 받치면서 발뒤꿈치를 감고돌아가는 탄력부(40)의 힘이 작용하여 발가락내피(100)가 절대로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두번째 착용방식). 빈공간으로 존재하는 개방부(11)도 역시 이러한 힘의 불균형을 도와 발가락내피(10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발바닥커버부(A2)의 후방으로 전술된 탄력부(40)가 형성되는데, 이 탄력부(40)는 혼합사와 고무사를 이용하여 직조를 한다. 이 탄력부(40)를 직조할 때에는 2개의 섬유가 투입되는데, 고무사와 혼합사이다. 혼합사의 경우 전술한 아크릴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스판사가 사용된다. 물론 다른 섬유가 사용되도 무방하지만, 이들이 사용됨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탄력부(40)는 전술한 것처럼 띠나 밴드의 형태로 직조되어 발바닥을 포함하여 발등을 감아 발가락내피(100)가 흘러내리거나 빠지지 않도록 하거나(첫번째 착용방법), 발뒤꿈치를 감아돌아 발가락내피(100)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두번째 착용방법).
첫 번째 착용방법으로 사용될 때를 다시 한 번 설명한다. 상기 쐐기뼈의 끝단은 다소 움푹 들어가는 미세한 굴곡이 있다. 도시된 도 3에서 보이듯 발은 다수의 뼈로 이루어지는데, 쐐기뼈의 경우 발등이 다소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로 위치하고, 그 끝단은 다소 오목하게 들어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바로 본 발명은 이를 이용하여 고탄력의 탄력부(40)가 밴드의 형태로 쐐기뼈의 끝단을 감고 돌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했다. 사실 이 건 발명을 창안하게 된 계기는 아주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는 덧버선과 같은 용도의 발가락내피(100)를 형성하되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여름철 발에서 땀이 많이 나는 계절에도 항상 발을 완벽하게 감싸는 덧버선이나 양말을 사용하기 불편했기 때문이다.
여름철의 경우 사람들은 신발도 벗고 샌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도 양말을 착용하면 불편하고 더워, 발에 땀이 많이 찬다. 발에서 흘러내리는 땀은 신발과의 마찰에 의해서 악취로 전달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양말을 벗으면 더 큰 악취로 번지게 되고 모양에도 좋지 않다. 결국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다 혁신적인 개발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발을 모두 감싸는 형태의 덧버선이나 양말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발가락내피(100)를 착상하게 되었다. 발가락부분만을 감싸서 땀의 흡수를 도우면서도 여름철에 시원하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내피를 제안한 것이다.
이러한 이 건 발명의 발가락내피(100)는 현 젊은층의 양말 착용 트랜드에도 부응한다. 양말을 신지않고 신발만 신고 다니는 트랜드의 경우도 뒤꿈치부분을 꺽어 신고다니는 트랜드의 경우에도 맞추어 적당한 땀을 흡수시킬 수 있는 발가락내피(100)를 제공한 것이다.
그럼 이러한 본 발명의 발가락내피(100)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도 4, 8에서처럼 상기 밴드부(10)의 좌우 양단에서는, 측방(22)의 첫단인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이음라인(30)과 그 이음라인(30)의 끝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라인(31)을 형성하여, 발가락 부분의 측방(22)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킨다. 이 이음라인과 분기라인은 혼합사로 직조되는 측방에서 더 조여주는 힘이 있기에 발가락에 훌륭한 착용감을 준다.
발에 신을 때에도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는 표식이 되고, 제품이 직조된 후에 이 건 발명인 발가락내피(100)의 기능을 유추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표현된다. 이 이음라인이 없으면 혼합사의 동일한 힘이 작용되기에 다른 부위와 구분점이 없이 원통형으로 직조될 것이다. 이러한 형상은 사실 어느 부위에 착용을 해야하는지 불분명한 형상이 되는데, 이 건 발명의 이음라인(30)과 분기라인(31)은 이를 해결한다. 또한 힘의 조화를 달성하여 내피가 발가락부분에 편안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발가락 내피는, 발가락을 커버하는 커버(20), 측방(22), 발가락바닥(23)은, 아크릴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스판사로 이루어진 혼합사로 직조하고, 밴드부(10)와 탄력부(40)는, 커버(20), 측방(22), 측면(21), 발가락의 저면인 발가락바닥(23) 및 발바닥커버부(A2)와는 다른 색상의 고무사로 직조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건 발명의 발가락내피(100)는 고탄력이 필요한 부분에는 고무사를 투입하였고, 기타 다른 부분에도 탄성력이란 힘을 부여하되 서로 차별화된 탄성력을 작용시켜 발가락 부분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했다.
발가락부분을 실질적으로 수용하게하는 커버(20), 측방(22), 발가락바닥(23), 발바닥커버부(A2)는 모두 혼합사를 이용하여 발을 편안하게 수용하도록 했다. 이에 반하여 첫번째 착용방식에 따라서 쐐기뼈부분에서는 고무사를 더 투입하여 보다 고탄력을 가진 탄력부(40)를 형성하도록 했다. 물론 발뒤꿈치를 돌며 착용되는 두번째 착용방법에 따라서도 고탄력을 가진 것이 보다 유리하고 안정적이다.
또한 발가락의 상단에는 고무사만으로 직조되는 밴드부(10)를 형성하여 발가락이 벌어지는 현상을 차단하여 발의 모양이 예쁘도록 했다. 이러한 노력은 색상을 통해서도 달성할 수 있는데, 모두 동일한 색상으로 직조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색상으로 직조를 하여 아름다움을 향상시킨 것이다.
밴드부(10)와 탄력부(40)만 서로 다른 색상으로 직조하여 발가락내피(100)의 포인트를 만들고, 보다 아름답고 미감이 훌륭한 물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상기 발가락내피(100) 필요한 부위에 다양한 색상의 직조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 모양을 새기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름을 새기거나 상표 및 미감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추가하는 것이다. 로그를 새겨도 무방하고 그림과 도안을 넣어도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전술된 것처럼, 밴드의 형태로 직조되는 탄력부(40)를 가진다. 이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를 하거나 또는 1.6-3cm의 폭으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로 직조되는데, 그 폭이 0.6-1.5cm로 직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의 쐐기뼈 끝단을 돌아서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을 거쳐 보다 큰 탄성력으로 감아주거나 발뒤꿈치를 돌아 안전하게 발가락의 끝단에 발가락내피(100)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탄력부(40)는 발가락부분에 내피가 밀착되도록 하면서 잘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더 넓게 직조되는 1.6-3cm의 탄력부(40)는 접어서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1.6-3cm의 폭으로 직조한 탄력부(40)의 경우, 직조된 탄력밴드부(42)의 중심부에 접음부(44)를 구분하여 겹으로 접은 후 그 끝단부분을 박음질(45)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8과 9에 도시된 것처럼, 넓은 폭의 탄력밴드부(42)를 접어 2개의 탄력밴드부(42)를 형성한다. 그 중심부분에 가상 또는 접선을 넣어서 접음부(44)를 형성하고, 이부분을 접어 끝단을 박음질 처리한다. 고 탄력의 탄력밴드부(42)가 접어지면 더 높은 탄력이 발생되기에 양말이 발가락 부분에 더 밀착되어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그 끝단을 박음질 처리하는 이유는 풀어지지 않고 처음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반하여 도시된 도 10의 실시예에 도시된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 0.3-1cm의 평직조부(43) 및 다시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한다.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를 쌍으로 형성하고, 그 중간에 혼합사로만 직조하는 평직조부(43)를 형성하여 접기도 유리하고 접지않은 상태로 발가락부분에 착용해도 더 강한 탄성력으로 발의 폭을 조이면서도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강한 탄성력, 그리고 약간 힘이 풀어진 탄성력 다시 강한 탄성력으로 발바닥과 쐐기뼈를 조이는 힘은 발가락내피(10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한다. 물론 두 번째 착용방법에서처럼 발뒷꿈치부분으로 탄력밴드부(42) 쌍을 돌려 착용하는 방법으로도 발가락 내피가 벗겨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의 섬유로 직조된 밴드부이기에 더 강한 탄성력이 발생되고, 평직조부(43)는 혼합사로만 직조되기에 보다 약한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들은 서로 결합하여 발에 밀착되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 탄력부(40)는 평직조부(43)를 접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펼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10; 밴드부 11; 개방부
20; 커버 21; 측면
22; 측방 23; 발가락바닥
25; 바닥면 30; 이음라인
31; 분기라인 40; 탄력부
42; 탄력밴드부 43; 평직조부
44; 접음부 100; 발가락내피
20; 커버 21; 측면
22; 측방 23; 발가락바닥
25; 바닥면 30; 이음라인
31; 분기라인 40; 탄력부
42; 탄력밴드부 43; 평직조부
44; 접음부 100; 발가락내피
Claims (8)
- 발가락의 상단을 폭으로 덮으며 좌우방향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으로 발가락의 폭을 좁히도록 형성되는 고무사로만 이루어진 밴드부(10)와, 밴드부(10)에서 연장되어 발가락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덮어주는 커버(20)와 발가락의 측면을 덮는 측방(22) 및 발가락의 저면을 덮어주는 발가락바닥(23)로 이루어져 발의 족지골 부분을 덮는 발가락커버부(A1);
상기 발가락커버부(A1)에서 연장되어 발허리뼈(=중족골) 상단은 개방한 개방부(11)를 형성하고, 측방의 측면(21) 및 하단의 바닥면(25)으로 이루어지도록 혼합사로 직조된 발바닥커버부(A2);
상기 발바닥커버부(A2)의 끝단에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로 볼록한 발의 쐐기뼈 끝단을 돌려 오목한 발바닥을 탄성력으로 감싸도록하거나 발뒤꿈치를 감도록 고무사와 혼합사의 직조로 형성되는 탄력부(40);로 이루어진 발가락내피(100)를 구성하여 발가락 부분만을 패킹하되, 착용이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땀을 흡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밴드부(10)의 좌우 양단에서는, 측방(22)의 첫단인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의 끝단을 향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이음라인(30)과 그 이음라인(30)의 끝에 형성되는 다수의 분기라인(31)을 형성하여, 발가락 부분의 측방(22)을 자연스럽게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을 커버하는 커버(20), 측방(22), 발가락바닥(23)는, 아크릴스판사나, 폴리에스테르스판사로 이루어진 혼합사로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밴드부(10)와 탄력부(40)는, 커버(20), 측방(22), 측면(21), 발가락의 저면인 발가락바닥(23) 및 발바닥커버부(A2)와는 다른 색상의 고무사로 직조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발가락내피(100)에는 필요한 부위에 다양한 색상의 직조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무늬, 모양을 새기어 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를 하거나 또는 1.6-3cm의 폭으로 직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6항에 있어서,
1.6-3cm의 폭으로 직조한 탄력부(40)의 경우, 직조된 탄력밴드부(42)의 중심부에 접음부(44)를 구분하여 겹으로 접은 후 그 끝단부분을 박음질(45)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제1항에 있어서,
탄력부(40)는,
고무사와 혼합사 2종을 이용하여 직조하되,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 0.3-1cm의 평직조부(43) 및 다시 그 폭이 0.6-1.5cm의 폭으로 직조하는 발폭조임 탄력밴드부(4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발바닥에 걸려 잘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621A KR101426209B1 (ko) | 2013-09-17 | 2013-09-17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1621A KR101426209B1 (ko) | 2013-09-17 | 2013-09-17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6209B1 true KR101426209B1 (ko) | 2014-08-05 |
Family
ID=51749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1621A KR101426209B1 (ko) | 2013-09-17 | 2013-09-17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20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1183A1 (en) * | 2017-06-12 | 2018-12-20 | Gelal Corap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Non-slip invisible sock structure |
KR102149811B1 (ko) * | 2020-03-25 | 2020-09-01 | 김동건 | 발가락양말 및 그 제조방법 |
CN112438442A (zh) * | 2019-08-29 | 2021-03-05 | 冈本株式会社 | 袜套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831U (ko) * | 1999-05-14 | 2000-12-15 | 이은경 | 스타킹 |
KR20100001345U (ko) * | 2008-07-29 | 2010-02-08 | 양계선 | 여름용 무술 덧신 |
KR20100137114A (ko) * | 2009-06-22 | 2010-12-3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가락 양말 |
JP2012097393A (ja) | 2010-11-01 | 2012-05-24 | Tamotsu Kimura | カットした5本指靴下 |
-
2013
- 2013-09-17 KR KR1020130111621A patent/KR101426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20831U (ko) * | 1999-05-14 | 2000-12-15 | 이은경 | 스타킹 |
KR20100001345U (ko) * | 2008-07-29 | 2010-02-08 | 양계선 | 여름용 무술 덧신 |
KR20100137114A (ko) * | 2009-06-22 | 2010-12-30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발가락 양말 |
JP2012097393A (ja) | 2010-11-01 | 2012-05-24 | Tamotsu Kimura | カットした5本指靴下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231183A1 (en) * | 2017-06-12 | 2018-12-20 | Gelal Corap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 Non-slip invisible sock structure |
CN112438442A (zh) * | 2019-08-29 | 2021-03-05 | 冈本株式会社 | 袜套 |
KR102149811B1 (ko) * | 2020-03-25 | 2020-09-01 | 김동건 | 발가락양말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4117B2 (en) | Sheer hosiery | |
KR20170033817A (ko) |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 |
KR200474152Y1 (ko) | 벗겨짐 방지용 덧버선 | |
KR20170037940A (ko) | 개량형 구조를 가진 신발류 | |
US20110113530A1 (en) | Article to be worn on the foot in conjunction with sandals | |
JP6210905B2 (ja) | フットカバー | |
US20050155137A1 (en) | Clog sock | |
KR101426209B1 (ko) | 발가락 부분만 커버하는 발가락 내피 | |
KR20150127481A (ko) | 이음라인을 제거하고, 통풍구를 살린 숨쉬는 덧버선과 그 제작방법 | |
JP6335072B2 (ja) | フットカバー | |
KR101474156B1 (ko) | 발가락 덧버선 | |
KR200481569Y1 (ko) | 종아리 흘림방지용 기능성 양말 | |
KR200442594Y1 (ko) | 덧버선 | |
JP5221995B2 (ja) | 靴下 | |
JP2018024954A (ja) | フットカバー | |
JP2013244301A (ja) | ジャンピングシューズ及びジャンピングシューズの製造方法 | |
JP2017014669A (ja) | フットカバー | |
JP5961781B1 (ja) | 爪先伸縮ソックス | |
JP2014227628A (ja) | フットカバー | |
CN203897405U (zh) | 拖鞋 | |
KR200481570Y1 (ko) | 태피스트리 자카드 직조법을 이용한 기능성 양말 | |
KR101552570B1 (ko) | 기능성 발가락 스타킹 및 그 제조방법 | |
US9532616B2 (en) | Foot loop | |
CN216931927U (zh) | 运动袜 | |
JP7069462B2 (ja) | フットカバー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