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12710B1 -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 Google Patents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2710B1
KR101412710B1 KR1020120088256A KR20120088256A KR101412710B1 KR 101412710 B1 KR101412710 B1 KR 101412710B1 KR 1020120088256 A KR1020120088256 A KR 1020120088256A KR 20120088256 A KR20120088256 A KR 20120088256A KR 101412710 B1 KR101412710 B1 KR 10141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esh
web
filter
polymer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239A (ko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선기
Publication of KR20140007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3Laminat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8Phys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e.g. swelling, coating or 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01D69/1071Woven, non-woven or net m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8In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26Spray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4Characteristic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6Electr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8Hydrophobic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폴리머 메쉬; 상기 폴리머 메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가 얽혀 형성된 불균일한 미세 구멍을 구비한 폴리머 웹; 및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코팅된 불소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에 의해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접착되어 단일체를 구성하는 필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Filter having permeability and hydrophobic property}
본 발명은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리머 메쉬와 폴리머 웹의 적층구조 또는 폴리머 메쉬의 적층구조에 불소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통기성과 소수성을 향상시킨 필터에 관한 것이다.
평판 스피커 또는 스마트 폰 등의 전자장치는 액체 또는 먼지 등의 외부 오염물로부터 보호될 필요가 있는 마이크로폰, 신호기, 스피커 또는 버저 등의 음향 변환기를 구비하고 있다.
음향 변환기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는 전기 부품이며, 물리적으로 손상되기 쉬워 음향 변환기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을 갖는 보호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이들 구멍은 큰 조각이 하우징에 진입하여 음향 변환기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최소의 음향 손실로 시스템이 소리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들 구멍은 유출물이나 빗물 등과 같은 액체 또는 미세 먼지 및 다른 입자로부터 음향 변환기를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에 구멍에 대한 보조 장벽으로서 음향 변환기와 하우징 사이에 필터를 포함하는 보호 커버가 이용된다. 다시 말해, 보호 커버는 원하지 않는 오염물이 장치 내 민감한 부품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향 전달을 한다.
따라서, 시스템의 음향 손실에 대한 전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보호 커버 조립체가 이들 오염 보호를 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컴퓨터 장치 등에 구비된 많은 전자 부품은 방출되어야 할 열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의 전자 부품의 고장비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이들 전자 장치의 내부 온도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많은 전자 장치는 내부의 유동을 증가시켜 냉각하도록 전기 팬을 사용한다. 이들 시스템은 냉각 공기가 유입되고 가열된 공기가 방출되도록 하우징 내에 개구 또는 구멍을 필요로 하는데, 큰 구멍은 공기 유동 저항을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냉각 효과를 증가시키지만, 원하지 않는 액체 및 먼지 입자가 장치 내부에 진입하여 민감한 부품을 잠재적으로 손상시킬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낮은 공기 유동 저항을 제공하고, 낮은 음향 손실을 가지며, 오염물이 장치 하우징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 커버에 대한 산업적인 요구가 존재한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6-008595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머 웹과 폴리머 메쉬의 적층 구조에서 접착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는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기성과 소수성이 향상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머 메쉬의 구멍의 크기와 개수가 일정하여 음향 전달의 품질이 균일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머 메쉬의 열 용융 온도를 낮추고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킨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폴리머 메쉬; 상기 폴리머 메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가 얽혀 형성된 불균일한 미세 구멍을 구비한 폴리머 웹; 및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코팅된 불소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에 의해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접착되어 단일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제 1 폴리머 메쉬; 상기 제 1 폴리머 메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제 2 폴리머 메쉬; 및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머 메쉬가 적층된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코팅된 불소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머 메쉬가 접착되어 단일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메쉬의 두께는 상기 폴리머 웹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메쉬의 모노 필라멘트는 폴리에스터(PET)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불소 수지 또는 불소함유 폴리머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폴리머 메쉬의 모노 필라멘트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상기 불소 수지 코팅층은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소 수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버는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머 웹에서 겹쳐진 파이버끼리는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터는 롤(Roll) 상태로 제조되어 칼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다.
상기한 구조의 의하면, 폴리머 웹과 폴리머 메쉬 또는 폴리머 메쉬 간의 적층 구조에서 불소 수지 코팅층에 의해 접착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진다.
또한, 폴리머 메쉬와 미세 구멍을 갖는 폴리머 웹의 접착이 불소 수지 코팅층에 의해 전면에 걸쳐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구멍의 크기가 감소하고 접착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소수성 재질인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이 되기 때문에 소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폴리머 메쉬의 구멍의 크기와 개수가 일정하여 음향 전달의 품질이 균일한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폴리머 메쉬 간의 적층으로 메쉬 구멍의 개수를 증가시키면서도 모노 필라멘트의 직경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폴리머 메쉬의 열 용융 온도를 낮추고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모노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필터를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필터(100)는 폴리머 메쉬(110)와 그 위에 적층되는 폴리머 웹(120)으로 구성되며, 폴리머 메쉬(110)와 폴리머 웹(120)의 적층체는 불소 수지로 코팅되어 불소 수지 코팅층(1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폴리머 메쉬(110)의 두께는 폴리머 웹(12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불소 수지 코팅층(130)을 구성하는 불소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일 수 있다.
폴리머 메쉬(110)는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112)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114)을 구비하는데, 구멍(114)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사각형일 수 있다.
폴리머 메쉬(110)의 구멍 수가 많으면 방수 효과는 좋으나 통기성은 떨어지며, 바람직하게, 메쉬의 구멍 수(mesh count)는 130 mesh 내지 450 mesh일 수 있다. 여기서, 메쉬의 구멍 수가 많아질수록 메쉬의 두께는 얇아져 결과적으로 열 용융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모노 필라멘트(112)는 기계적 강도가 좋고 내열성이 좋은 폴리에스터(PET)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불소 수지 또는 불소함유 폴리머 수지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112)는 정전기 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 효과를 갖게 하기 위해 금속으로 도금될 수 있다.
모노 필라멘트(112)의 직경은 모두 동일하거나, 종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서로 다른 직경의 모노 필라멘트(112)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폴리머 웹(120)은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122)가 얽혀 파이버 웹(fiber web) 구조를 가지며, 한 겹 또는 여러 겹이 겹쳐 두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불균일한 미세 구멍(124)을 형성한다.
파이버 웹을 구성하는 파이버의 직경은 다양하지만, 1000㎚ 이하의 직경을 갖는 나노 파이버일 수 있으며, 파이버(122)의 재질은 통상의 폴리머 수지이거나 불소 함유 폴리머 수지일 수 있다.
폴리머 웹(120)은 파이버 웹 구조에 의해 탄성이 향상되며, 미세 구멍(124)에 의한 구조적 특성과 소수성의 불소 재질의 사용에 의해 소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폴리머 메쉬(110)와 폴리머 웹(120)의 적층체는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되고 열 경화되어 단일체의 필터(100)를 형성하는데, 불소 수지 코팅에 의해 폴리머 메쉬(110)와 폴리머 웹(120)은 서로 단단하게 접착되고 전체적으로 소수성을 갖는다.
이 실시 예에서는 폴리머 메쉬(110)의 한 면에 폴리머 웹(120)을 적층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머 메쉬(110)의 양면에 폴리머 웹(120)을 적층할 수 있다.
파이버(122)는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폴리머 웹(120)에서 상하로 겹쳐진 파이버(122)끼리는 서로 접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롤(roll)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폭을 갖는 대략 30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폴리에스터(PET) 모노 필라멘트가 130 내지 450 mesh 구멍 수를 갖도록 격자 모양으로 직조되어 균일한 구멍이 배치된 롤(roll)(10)로 된 폴리머 메쉬(110)를 준비한다.
폴리머 메쉬(110) 위에, 가령 정전 스피닝(eletro spining)에 의해 폴리머 웹(120)을 한 겹 또는 여러 겹으로 형성하는데, 스프레이 건(12)의 미세 직경 노즐을 통하여 액상의 폴리머를 분사하면 용제는 증발하고 폴리머 메쉬(110) 위에 폴리머 웹(120)이 적층된다.
이와 같이, 폴리머 메쉬(110) 위에 폴리머 웹(120)이 적층된 상태에서 액상의 불소 수지가 담긴 함침 조(20)에 함침되는데, 이송되는 도중에 항상 텐션을 유지하고 이에 따라 폴리머 메쉬(110)와 폴리머 웹(120)은 함침 조(20) 내부에 설치된 롤(21, 22, 23)에 의해 가압되면서 액상의 불소 수지로 코팅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코팅 방법으로 함침을 보여주고 있지만, 스프레이 방법으로 코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어, 액상의 불소 수지로 코팅된 폴리머 메쉬(110)와 폴리머 웹(120)의 단일체는 오븐(30)을 통과하면서 열 경화하여 불소 수지 코팅층(130)을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필터(100)가 만들어지고, 롤(40)에 의해 감긴다.
상기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폴리머 메쉬와 미세 구멍을 갖는 폴리머 웹의 접착이 불소 수지 코팅층(130)에 의해 전면에 걸쳐 확실하게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구멍의 크기가 감소하고 접착에 의해 적층된 상태에서 소수성 재질인 불소 수지에 의해 코팅이 되기 때문에 소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폴리머 웹이 적층되지만 폴리머 메쉬의 크기가 일정한 구멍에 의해 음향 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음향 전달의 품질 균일성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의 모노 필라멘트를 나타낸다.
필터는,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폴리머 메쉬와 그 위에 적층되는 폴리머 웹으로 구성되고, 폴리머 메쉬와 폴리머 웹의 적층체는 불소 수지로 코팅되어 불소 수지 코팅층이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 따르면, 폴리머 웹(120)을 구성하는 파이버(122)의 내부에 파우더(123)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파우더(123)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파이버(122)의 표면이 돌출되거나 파우더(123) 자체가 노출되어 돌기(122a, 122b)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파이버(122)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122a, 122b)에 의해 파이버(122) 자체가 연꽃 효과(Lotus effect)를 갖게 되고, 파이버(122)가 서로 얽혀 구성된 폴리머 웹(120)의 소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파이버(122)의 내부에 배열된 파우더(123)에 의해 파이버(122)의 표면에 돌기(122a, 122b)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거친 표면을 구성함으로써 소수성을 갖도록 한다.
파우더(123)는 세라믹 또는 폴리머일 수 있는데, 세라믹은 금속 산화물, 열 전도성인 알루미나 또는 보론 등 일 수 있다.
또한, 파우더(123)는 금속, 금속 산화물, 카본, 세라믹 또는 폴리머일 수 있다. 특히 폴리머의 경우 소수성의 향상을 위해 불소 성분을 포함한 불소 파우더일 수 있고, 카본의 경우 카본 블랙 또는 카본 나노 튜브(CNT)일 수 있다.
파우더(123)의 크기는 파이버(122)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는데, 큰 경우에 파이버(122)의 표면에 돌기(122a, 122b)가 더 쉽게 형성되도록 한다. 파우더(123)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도, 다수의 파우더(123)가 한 곳에 뭉쳐 큰 덩어리를 구성하여 쉽게 돌기(122a, 122b)를 형성할 수 있다.
돌기(122a, 122b)가 많을수록 소수성이 좋아지며, 돌기(122a, 122b)의 모양은 파우더(123)의 크기와 모양 및 양에 따라 달라진다.
파우더(123)를 너무 많이 넣으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파우더(123)가 포함된 파이버(122)를 제조하기 어렵고 파이버(122)가 쉽게 끊어질 수 있으며, 파우더(123)를 너무 적게 넣으면 소수성 향상에 크게 기여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기계적 강도, 소수성의 정도 등 용도에 적합한 파우더(123)의 크기, 형태 및 양을 넣어 파이버(122)를 제조한다.
또한, 파우더(123)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형이나 다각형 또는 수지상(dendrite)이거나 부정형일 수 있으나, 파우더의 형상이 다각형인 경우 외부 면적이 넓어져 소수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파우더(123)는 가령 액상 폴리머에 고루 분산된 상태에서 미세 직경의 노즐을 통하여 분사된 후 경화하거나 용제를 증발시켜 파이버(122)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파이버(122)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면서 파이버(122)의 표면에 돌기(122a, 122b)를 형성한다.
특히, 파우더(123)가 전기전도성 또는 전기 반전도성을 갖는 경우 파우더(123)를 함유한 파이버(122)로 이루어진 폴리머 웹(120)이 정전기를 방지하거나 전자파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폴리머 메쉬(210)의 모노 필라멘트(212) 위에 함침되어 형성된 액상의 불소 수지로부터 잔류하는 불소 수지 파우더를 모노 필라멘트(212)의 용융 온도 이하 및 용융되기 이전 시간까지 열로 용융시키면, 인접한 불소 수지 파우더는 서로 연결될 정도로 용융되어 인접한 불소 수지 파우더는 서로 연결되면서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로 불소 수지 코팅층(216)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를 갖는 불소 수지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비교적 두께가 얇은 부분에 의해 일정한 크기의 메쉬 구멍을 확보할 수 있어 통기성이 우수하며, 구멍이 아주 불균일한 부직포 등을 사용하는 것보다 균일한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불소 수지 코팅층이 아령 형상과 같이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를 구비하여 표면적이 증가함과 동시에 불소 수지 코팅층의 불규칙한 형상 자체가 돌기처럼 작용하여 연잎 효과(Lotus effect)를 갖게 되어 소수성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소수성이 좋아진다.
또한, 모노 필라멘트의 용융 온도 이하 및 용융되기 이전 시간까지 열로 용융하기 때문에 작업 속도가 빨라 제조시간이 단축되어 제조 수율이 우수하고 작업 설비가 간단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12, 313)를 직조하여 구성한 폴리머 메쉬(310)를 적용하여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를 갖는 불소 수지 코팅층(316)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모노 필라멘트의 직경이 동일하기 때문에 불규칙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불소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불소 수지 파우더의 열 용융을 위한 작업 조건, 즉 작업 온도와 작업 시간을 제어하여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12, 313)를 직조하여 구성한 폴리머 메쉬(310)를 적용함으로써 불규칙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불소 수지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종횡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서 25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13)와 40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312)를 교대로 배치하고 직조하여 폴리머 메쉬(310)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직조된 폴리머 메쉬(310)는, 도 7과 같이, 각 메쉬 구멍(314)별로 굴곡을 이루게 되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폴리머 메쉬(310)의 표면적이 증가하고 굴곡에 의해 형성되는 불규칙한 평면 구조에 의해 불소 수지 코팅층의 형상과 두께가 불규칙해져 이에 따라 연잎 효과에 의해 소수성이 좋아진다.
더욱이, 직경이 큰 모노 필라멘트는 열에 의한 용융을 어렵게 하여 전체적으로 폴리머 메쉬(310)의 열 용융 온도를 높게 하는 역할을 해주어 고온에서 용융되는 불소 수지 코팅층의 형성을 용이하게 해준다.
한편, 이 실시 예의 폴리머 메쉬는 도 5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모노 필라멘트를 직조하여 구성한 폴리머 메쉬에 불소 수지 파우더가 충분히 열 용융되어 이웃한 불소 수지 파우더끼리 균일하게 합쳐지기 직전까지의 작업 온도와 작업 시간을 제공하여 아령 형상의 불규칙한 형상 및 두께를 갖는 불소 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낸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의 실시 예에서의 폴리머 웹을 폴리머 메쉬(420)로 대치하여 결과적으로 폴리머 메쉬(410)와 폴리머 메쉬(420)를 적층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통상 폴리머 모노 필라멘트로 직조된 폴리머 메쉬의 구멍을, 가령 구멍 수가 700 mesh 정도 되도록 아주 작게 제조하기가 어렵고, 구멍 수를 증가시키면 모노 필라멘트의 직경이 얇아져 전체적으로 열 용융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에서 용융되는 불소 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서로 같거나 다른 메쉬 구멍 수를 갖는 폴리머 메쉬(410)와 폴리머 메쉬(420)를 적층함으로써, 전체적인 메쉬 구멍 수가 증가하면서도 각 폴리머 메쉬(410, 420)의 모노 필라멘트(412, 422)의 직경은 얇아지지 않아 열 용융 온도가 높아 불소 수지 코팅이 쉽게 이루어지고 모노 필라멘트(412, 422)의 충분한 직경을 확보할 수 있어 기계적인 강도가 증가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필터를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필터(100)는 롤(Roll) 상태로 제조되어 칼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공급될 수 있다.
도 8(a)을 참조하면, 필터(100)의 중앙 부위를 제외한 가장자리를 따라 양면 점착테이프(140)가 점착되고 그 위 전면에 이형시트(150)가 점착되어 보호 커버를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이형시트(150)의 일측에는 탭(152)이 돌출되어 이형시트(150)를 양면 점착테이프(140)로부터 제거할 때 파지하기 쉽게 한다.
도 8(b)을 참조하면, 가령 휴대폰에 장착된 스피커나 리시버에 대응하여 하우징(50)에는 개구, 즉 입출력 홀(52)이 형성되는데, 입출력 홀(52)의 내측에 필터(100)가 설치된다. 즉, 필터(100)의 이형시트(150)가 제거되고, 필터(100)의 가장자리에 점착된 양면 점착테이프(140)가 하우징(50)에 점착된다.
상기한 것처럼, 필터(100)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물(60)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스피커(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은 필터(100)의 전면에 걸쳐 형성된 구멍(114)을 통하여 원활하게 출력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필터(100)가 이동통신기기의 음향 전달을 위한 개구에 설치되는 용도를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전기 방지 또는 전자파 차폐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기기의 내부에서 물의 침수에 예민한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터(100)는 전기적으로 절연이다. 이와 같이 필터(100)를 전자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이동통신기기가 잠시 동안 침수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이나 모듈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 하우징
12; 출력 홀
20: 먼지
100, 200: 필터
110, 210: 폴리머 메쉬
112, 124, 212, 214, 215, 216: 기공
120, 220: 폴리머 웹

Claims (11)

  1.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폴리머 메쉬;
    상기 폴리머 메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다수의 폴리머 파이버가 서로 얽혀 형성된 불균일한 미세 구멍을 구비한 폴리머 웹; 및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적층된 적층체의 전체에 코팅된 불소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에 의해 상기 폴리머 메쉬와 상기 폴리머 웹이 접착되어 단일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2.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제 1 폴리머 메쉬;
    상기 제 1 폴리머 메쉬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적층되고, 폴리머 수지로 된 모노 필라멘트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일정한 크기와 배열의 구멍을 형성한 통기성의 제 2 폴리머 메쉬; 및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머 메쉬가 적층된 적층체의 전체 코팅된 불소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폴리머 메쉬가 접착되어 단일체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메쉬의 두께는 상기 폴리머 웹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메쉬의 모노 필라멘트는 폴리에스터(P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불소함유 폴리머 수지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6. 삭제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폴리머 메쉬의 모노 필라멘트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며, 상기 서로 다른 직경에 의해 상기 불소 수지 코팅층은 불규칙한 형상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8.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는 PTFE(Polytetrafluoroethyle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는 액상의 폴리머가 분사되어 경화 또는 용제의 증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웹에서 겹쳐진 파이버끼리는 서로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11.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롤(Roll) 상태로 제조되어 칼날에 의해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20120088256A 2012-07-09 2012-08-13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1412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4439 2012-07-09
KR1020120074439 2012-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39A KR20140007239A (ko) 2014-01-17
KR101412710B1 true KR101412710B1 (ko) 2014-06-30

Family

ID=50141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294A KR101370581B1 (ko) 2012-07-09 2012-07-25 멤브레인 어셈블리
KR1020120088256A KR101412710B1 (ko) 2012-07-09 2012-08-13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294A KR101370581B1 (ko) 2012-07-09 2012-07-25 멤브레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70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88B1 (ko) * 2020-05-19 2021-02-01 유효섭 에어 컴프레서의 수분 분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70A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방수 음향 장치
KR20180066942A (ko) * 2016-12-09 2018-06-20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초미세먼지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FR3083480A1 (fr) * 2018-07-04 2020-01-10 Airbus Operations Procede de fabrication d'un panneau acoustique comportant des inserts
CN109572123A (zh) * 2018-11-16 2019-04-05 江苏恒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机织针织复合结构基耐高温环保滤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51A (ja) * 1996-07-15 1998-02-03 Hitachi Ltd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H11276906A (ja) * 1998-03-30 1999-10-12 Nitto Denko Corp 通気性光触媒シ−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334758A (ja) 2004-05-26 2005-12-08 Nitto Denko Corp 通気フィルタ
JP2009279554A (ja) 2008-05-26 2009-12-03 Kao Corp 積層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21740T1 (de) * 1991-04-25 1993-07-22 Hutchinson, Paris Material zum schallschutz und ein solches material enthaltende vorrichtung.
US7691168B2 (en) * 2005-10-19 2010-04-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ly charged, charge stable nanofiber web
US8157048B2 (en) * 2009-04-22 2012-04-17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Splash proof acoustically resistive colo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51A (ja) * 1996-07-15 1998-02-03 Hitachi Ltd 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JPH11276906A (ja) * 1998-03-30 1999-10-12 Nitto Denko Corp 通気性光触媒シ−ト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5334758A (ja) 2004-05-26 2005-12-08 Nitto Denko Corp 通気フィルタ
JP2009279554A (ja) 2008-05-26 2009-12-03 Kao Corp 積層フィル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688B1 (ko) * 2020-05-19 2021-02-01 유효섭 에어 컴프레서의 수분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581B1 (ko) 2014-03-06
KR20140007239A (ko) 2014-01-17
KR20140007236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710B1 (ko)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101976545B1 (ko) 플렉서블 전자파 차폐재 및 이의 제조방법
EP0609223B1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filter
US20110005990A1 (en) Filter
CN110073732B (zh) 柔性电磁波屏蔽材料、电磁波屏蔽型电路模块及电子设备
KR101807681B1 (ko) 방수통음시트
KR20170136064A (ko) 플렉시블 전자파 차폐시트 및 그를 구비한 전자기기
JP6592847B2 (ja) 磁界保護及びスクリーニング用多層生地構造体
KR20180068308A (ko) 플렉서블 전자파차폐재,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형 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20190124427A1 (en)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textile structure for protecting acoustic devices, method for making a component for protecting acoustic devices by the multilayer textile structure and the obtained acoustic device protecting component
KR101889531B1 (ko)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적용한 투습방수시트
KR20160072189A (ko) 노이즈 흡수 시트
KR102406260B1 (ko) 전자기기용 전자파차폐재, 이를 포함하는 전자파차폐형 회로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01037970A1 (en) Porous media for dissipating electrical charge
KR101947412B1 (ko) 플렉서블 전자파차폐재용 전도성 복합섬유,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전자파차폐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292088B1 (ko) 통기성 및 소수성을 갖는 다층 복합소재
KR102669812B1 (ko) 방수 통음 시트 및 방수 통음 시트 제조 방법
KR101415304B1 (ko) 통기성과 소수성을 갖는 필터
KR20170138975A (ko) 방수통음시트
JP6932536B2 (ja) 圧電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圧電積層体
KR101215431B1 (ko) 통기성과 소수성이 향상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352B1 (ko) 복합 시트 및 그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
JP2007149761A (ja) 電磁波シールド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40078499A (ko) 방수 통음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051591A (zh) 防水性透气片材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