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449B1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19449B1 KR101419449B1 KR1020120134171A KR20120134171A KR101419449B1 KR 101419449 B1 KR101419449 B1 KR 101419449B1 KR 1020120134171 A KR1020120134171 A KR 1020120134171A KR 20120134171 A KR20120134171 A KR 20120134171A KR 101419449 B1 KR101419449 B1 KR 101419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nch
- flange
- adhesive resin
- concrete
- trench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트렌치 몸체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물 등이 트렌치 몸체와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물 또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트렌치에서 바닥면에 매립되는 트렌치몸체에 결합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로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물 또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트렌치에서 바닥면에 매립되는 트렌치몸체에 결합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로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트렌치 몸체를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습기, 물 등이 트렌치 몸체와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렌치는 실내 및 실외의 바닥에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트렌치 몸체와 상기 트렌치 몸체의 상부 개구부에 결합되는 트렌치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기 트렌치 몸체는 실내의 바닥면 또는 실외의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리 형성된 배수통로에 배치되며 좌,우 양측판이 상방으로 돌출된 뒤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바닥면에 밀착된다. 이때 바닥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 커버가 안착턱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안착턱의 외측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단절곡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상단절곡부는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되는 타일의 높이 및 상기 안착턱에 배치되는 트렌치 커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돌출되어 타일과 트렌치 커버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트렌치가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417433호가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을 기재된 문제점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트렌치 본체(1)를 미리 구축된 콘크리트 배수통로(H)에 길게 연결 조립하고, 양쪽 틈새에 시멘트 몰탈을 채워서 양생시킨 후 상면에 그레이팅(2)을 덮어서 사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배수 트렌치는 시공현장에서 양쪽 틈새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할 때 플렌지(3) 내부에 깊숙이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플렌지(3) 내측에 빈공간(S)이 생기며, 시공 후 주방의 사람들이 그레이팅이나 플렌지 상단을 밟고 다니면 플렌지가 유동되어 주변 틈새에 크랙이 점차 크게 발생되고 틈새(A)가 점차 커지고 틈새를 통해 오물이나 물이 유입되어 잔류하므로 악취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트렌치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트렌치 주변에 타설된 시멘트 몰탈을 제거한 후 파손된 트렌치 본체를 분리한 후 새로운 트렌치 본체를 배치하고 다시 그 주변에 시멘트 몰탈을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이러한 공정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근본적으로 상기 플렌지 내부에 시멘트 몰탈이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트렌치 몸체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밀착 고정하고 동시에 상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시공전 또는 시공후의 트렌치에 적용할 수 있고, 적용된 후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를 보호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플렌지가 파손되지 않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어 물 또는 빗물을 수거하여 하수구로 배출하는 트렌치에서 바닥면에 매립되는 트렌치몸체에 결합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로서,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다수개의 구멍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바닥면의 상부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와 고정부의 상면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가 상기 구멍을 통해 상호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렌지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트렌치몸체가 매립된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용수지를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몸체에 형성된 플렌지에 상부로부터 보강재를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재의 고정부 상부에 접착용수지를 도포하여 도포된 접착용수지가 고정부의 구멍으로 유입된 후 상기 바닥면에 도포된 접착용수지와 상호 접합되는 단계 및 상호 접합된 접착용수지를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면을 파낸 후 노출된 면을 정리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도포된 접착용수지에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굳기 전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보강재의 고정판을 삽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공후 또는 시공중인 트렌치에 모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후 상부로부터 습기, 물 등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은 습기유입로를 통해 배수통로로 배출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렌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6 은 도 5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8 은 도 7에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6 은 도 5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의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다른 실시예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8 은 도 7에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1)(이하 '보강재'라 한다)는, 고정부(10)와 결합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0)는 바닥면(200)의 배치되는 것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구멍(11)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0)는 바닥면(200)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와 고정부(10)의 상부면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가 상기 구멍(11)을 통해 상호 접합되면서 고정부(10)를 바닥면(200)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접착용수지(30)는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주재료인 콘크리트에 고정가능한 수지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의 보수공사 또는 방수공사 등에 사용되는 에폭시수지, 폴리우레탄수지, MMA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어 플렌지(110)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플렌지(110)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21)과 상기 수평면(21)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22)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개구되어 개구된 하부를 통해 플렌지(110)의 상방으로부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면(22)은 트렌치커버(140)와 맞닿는 내측수직면(221)과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된 외측수직면(222)으로 이루어져 플렌지(110)의 좌,우 양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플렌지(110)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트렌치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보강재(1)의 결합부(20)가 결합되고,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는 바닥면(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20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고,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도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며, 고정부(10)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가 고정부(10)에 천공된 구멍(11)에 유입된 후 바닥면(200)의 상부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와 상호 접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20)는 플렌지(110)의 상단 및 좌,우 양측벽을 모두 감싸며 결합되어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으로부터 플렌지(110)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20)의 수직면(22) 중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의 높이가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되어 트렌치커버(140)가 안치되는 안치턱(120)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높이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과 안치턱(120)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된다.
상기 습기유입로(23)는 상부로부터 유입된 물, 습기 등이 콘크리트의 내부에 머물면서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되는데, 상기 습기유입로(23)를 통해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을 배수통로(130)로 배출하는 것이다.
즉, 콘크리트의 내부로 스며든 물은 상부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물이 습기유입로(23)를 통해 트렌치몸체(100)의 배수통로(130)측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을 하부로 절곡하여 형성한 고정판(12)이 포함된 것이다.
상기 고정판(12)은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보강재(1)를 동시에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고 상기 바닥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한 뒤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에 결합하고 상기 고정판(12)이 굳기 전의 콘크리트 내측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용수지(30)에 의해 고정부(10)가 고정되어 고정부(10)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트렌치몸체(100)가 매립된 바닥면(20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와,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1-2)와,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 및 상호 접합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에서는 바닥면(200)의 상부에 MM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등과 같이 콘크리트에 접착력을 갖고 방수기능이 포함된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로서,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콘크리트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후술하는 보강재(1)의 고정부(10)가 접착용수지(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접착용수지(30)는 상기 MMA수지, 폴리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이외에도 콘크리트에 접착 가능한 수지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200)의 높이에 따라 바닥면(200)을 파낸 후 파낸 면을 정리하는 단계(S1-1')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단계는 바닥면(200)에 이미 설치된 트렌치몸체(100)에 보강재(1)를 결합할 때 필요한 단계로서, 상기 바닥면(200)의 일부를 파낸 후 노출된 상면을 정리하는 단계이다.
이를 통해 기존에 설치된 트렌치몸체(100)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바닥면(200)의 일부만을 파낸 후 보강재(1)를 시공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작업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재(1)를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결합하는 단계(S1-2)는, 보강재(1)에 형성된 결합부(20)를 상기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결합하여 플렌지(110)의 상단 및 좌,우 양측벽을 감싸도록 하여 보호하고,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는 바닥면(200)에 도포된 접착용수지(30)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부(20)의 내측수직면(221) 하부 끝단의 높이가 트렌치몸체(100)의 안치턱(120)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안치턱(120)과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 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되어 바닥면(200)시공시 또는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200)에 배치할 때 콘크리트 내측으로 스며든 물이 습기유입로(23)를 통하여 트렌치몸체(100)의 배수통로(130)로 배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는, 상기 고정부(10)를 바닥면(200)에 고정하기 위한 단계로서 고정부(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한 뒤 양 접착용수지(30)가 상호 접합되도록 한 것이다.
상호 접합되는 접착용수지(30)는 상기 고정부(10)에 형성된 구멍(11) 및 고정부(10)의 테두리 외측에서 상호 접합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200)에 도포되는 접착용수지(30)의 도포량이 배치된 고정부(10)가 잠기는 정도로 도포되면 상기 고정부(10)를 구멍(11)이 천공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된 고정부(10)의 상부에 마감층(40)을 형성하는 단계(S1-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층(40)은, 타일, 시멘트 몰탈, 패널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어 상기 접착용수지(30)와 접합되어 보강재(1)의 유동을 방지하고 동시에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건조단계(S1-4)에서는 자연상태에서 일정시간 노출되도록 하여 건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건조기(온풍기, 냉풍기 등)를 이용하여 건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은, 트렌치몸체(100)가 바닥면(2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재(1)를 결합하여 상기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를 보호함과 동시에 상부로부터 빗물, 물, 습기 등이 바닥면(2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보강재(1)가 접착용수지(3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장시간 사용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 은 도 7에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 및 도 7에 따른 시공방법은 바닥면(200)을 형성할 때 트렌치몸체(100)를 동시에 시공하는 신축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바닥면을 형성하는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지 않은 상태에서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되 상기 보강재(1)에 형성된 고정판(12)이 굳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 내측으로 삽입되어 콘크리트가 굳음에 따라 고정판(12)이 고정되는 시공방법이다.
이를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단계(S2-1)와,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2-2)와, 상기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을 도포하는 단계(S2-3)와, 상기 콘크리트가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여 보강재(1)의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단계(S2-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2-1)에서는 거푸집(도면 중 미도시됨)등을 설치하여 트렌치몸체(100)가 배치될 공간을 형성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이며,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S2-2)는 타설된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트렌치몸체(100)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3)는 상술한 일실시예의 접착용수지(30) 도포하는 단계(S1)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2-4)에서는, 상기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의 플렌지(110)에 결합하되 상기 보강재(1)에 형성된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굳음에 따라 고정판(12)이 콘크리트의 내측에서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고,
다음 단계인 고정부(10)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5)와,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 마감층(40)을 형성하는 단계(S2-6)와, 건조단계(S2-7)는 상술한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S1-3),(S1-3'),(S1-4)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시공후 또는 시공중인 트렌치에 모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설치 후 상부로부터 습기, 물 등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에 스며든 물은 습기유입로를 통해 배수통로로 배출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보강재 10 : 고정부 20 : 결합부
11 : 구멍 12 : 고정판
21 : 수평면 22 : 수직면 23 : 습기유입로
30 : 접착용수지 40 : 타일
100 : 트렌치몸체 110 : 플렌지 120 : 안치턱
130 : 배수통로 140 : 트렌치커버
200 : 바닥면
11 : 구멍 12 : 고정판
21 : 수평면 22 : 수직면 23 : 습기유입로
30 : 접착용수지 40 : 타일
100 : 트렌치몸체 110 : 플렌지 120 : 안치턱
130 : 배수통로 140 : 트렌치커버
200 : 바닥면
Claims (7)
- 바닥면에 매립된 트렌치몸체에 결합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200)의 상부에 배치 고정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 끝단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도록 상기 플렌지(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2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0)에는 다수개의 구멍(1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닥면(200)과 고정부(10)의 하면 사이 및 상기 고정부(10)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재질에 고정 가능한 접착용수지(30)가 도포되어, 상기 접착용수지(30)가 상기 구멍(11)을 통해 상호 접합되고,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플렌지(110)의 상단과 맞닿는 수평면(21)과, 상기 수평면(21)의 좌,우 양끝단에서 하부로 절곡된 수직면(2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면(22)은 트렌치커버(140)와 맞닿는 내측수직면(221)과 상기 고정부(10)와 연결된 외측수직면(222)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렌지(110)의 좌,우 양측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의 높이는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커버(140)가 안치되는 안치턱(120)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내측수직면(221)의 하부 끝단과 안치턱(120) 사이에 습기유입로(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에는, 상기 바닥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고정판(1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 삭제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렌치몸체(100)가 이미 설치된 상태에서 보수시,
상기 바닥면의 일부를 파낸 후 노출된 면을 정리하는 단계(S1-1');
상기 노출된 바닥면의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1);
상기 트렌치몸체(100)에 형성된 플렌지(110)에 상부로부터 보강재(1)를 결합하는 단계(S1-2);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1-3); 및
상기 도포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 -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이루어진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바닥면(200)과 동시에 시공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면(200)을 형성하는 단계(S2-1);
상기 트렌치몸체(100)를 상기 바닥면(200)에 매립하여 배치하는 단계(S2-2);
상기 콘크리트의 노출된 상면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3);
상기 콘크리트가 굳기 전 보강재(1)를 트렌치몸체(100)에 결합하여 보강재(1)의 고정판(12)을 콘크리트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S2-4);
상기 보강재(1)의 고정부(10) 상부에 접착용수지(30)를 도포하는 단계(S2-5); 및
상기 도포된 접착용수지(30)를 건조하는 단계(S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의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ko) | 2012-11-26 | 2012-11-26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ko) | 2012-11-26 | 2012-11-26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209A KR20140067209A (ko) | 2014-06-05 |
KR101419449B1 true KR101419449B1 (ko) | 2014-07-14 |
Family
ID=5112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4171A KR101419449B1 (ko) | 2012-11-26 | 2012-11-26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94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6751B1 (ko) | 2021-07-22 | 2022-02-08 | 이민주 | 타일이나 석재를 철거하지 않는 트랜치 방수 보수 시공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9296B1 (ko) * | 2019-01-14 | 2019-06-13 | 허영호 | 매지보강부재를 가진 누수방지 배수트랩 및 그 시공방법 |
KR102403819B1 (ko) * | 2021-11-18 | 2022-05-30 | 주식회사 플러스원 | 야외 배수로 인근 침하 방지 장치 |
KR102438183B1 (ko) * | 2021-12-22 | 2022-08-30 | 주식회사 플러스원 | 누수 방지 구조가 적용된 바닥 연결재 및 바닥 연결재가 구비되는 바닥 마감 구조물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50831A (ko) * | 2010-11-11 | 2012-05-21 | 박황 | 배수트렌치 구조 |
KR101169845B1 (ko) * | 2009-12-03 | 2012-07-30 | 유수영 | 유입로가 구비된 배수로 시스템 |
-
2012
- 2012-11-26 KR KR1020120134171A patent/KR101419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845B1 (ko) * | 2009-12-03 | 2012-07-30 | 유수영 | 유입로가 구비된 배수로 시스템 |
KR20120050831A (ko) * | 2010-11-11 | 2012-05-21 | 박황 | 배수트렌치 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6751B1 (ko) | 2021-07-22 | 2022-02-08 | 이민주 | 타일이나 석재를 철거하지 않는 트랜치 방수 보수 시공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7209A (ko) | 2014-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76207B2 (ja) | 据付け基礎及びその施工方法 | |
KR101419449B1 (ko) |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27378B1 (ko) |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 |
KR101928041B1 (ko) |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 |
KR100679480B1 (ko) |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 |
KR200449740Y1 (ko) |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 |
KR100617507B1 (ko) | 수밀형 맨홀 | |
KR100880022B1 (ko) | 조립식 pc 펌프장 맨홀 | |
KR20170000255A (ko) | 복합공법을 이용한 욕실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욕실 | |
CN210421672U (zh) | 一种屋顶绿化的伸缩缝结构 | |
KR100799697B1 (ko) | 지하바닥용 배수판 | |
KR101202796B1 (ko) | 변단면을 이용한 개착 타입 터널 시공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시공구조체 | |
KR101785627B1 (ko) | Pc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KR100617522B1 (ko) |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0642983B1 (ko) |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 |
KR100993548B1 (ko) | 조립식 라이닝 패널을 이용한 콘크리트 수조 시공 방법 | |
KR20090031476A (ko) |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 |
KR101545812B1 (ko) | 터널용 매립 실런트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210072395A (ko) |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 |
JP5547829B1 (ja) | 覆工材 | |
KR102279927B1 (ko) | 암거의 시공방법 | |
KR100975649B1 (ko) | 건축용 층간 방수용 조인트 장치 | |
KR100370588B1 (ko) | 크럭스 구조용 복합 와이어 패널 | |
JP3081572B2 (ja) |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部材の被支承付近部の施工方法 | |
KR101156095B1 (ko) | 맨홀 하부구조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