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15557B1 - 림프절 복합자극기 - Google Patents

림프절 복합자극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557B1
KR101415557B1 KR1020130108810A KR20130108810A KR101415557B1 KR 101415557 B1 KR101415557 B1 KR 101415557B1 KR 1020130108810 A KR1020130108810 A KR 1020130108810A KR 20130108810 A KR20130108810 A KR 20130108810A KR 101415557 B1 KR101415557 B1 KR 101415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ng
lymph node
stimulation
stimulators
electromagnet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5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18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alternating magnetic fields producing a translating or oscill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65Damping, vibr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림프절 복합자극기는 우측 및 좌측 지지부, 연결부 및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는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어깨들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은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 각각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림프절들 각각을 자극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상기 림프절을 온열 자극하는 온열 자극부, 상기 림프절을 미약자기장 자극하는 전자기 자극부, 및 상기 림프절을 전동 자극하는 전동 자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림프절 복합자극기{COMBINATION STIMULATOR FOR A LYMPH NODE}
본 발명은 복합자극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림프 전용 마사지나 자극에 사용되는 림프 전용 복합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증 완화나 각종 치료용으로 가정용, 의료용 자극기가 다수 생산되고 있으며, 온열, 마사지 등의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제품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개발되고는 있으나, 대부분이 국소부위의 근육통 완화를 위한 자극기이며 보다 전문적인 치료를 위한 자극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다.
한편, 림프절(lymph node)이란 림프를 걸러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며 림프구를 생성하는 기관으로, 면역력 향상과 질병 예방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림프절은 가는 그물형태를 가지며, 그물을 통해 이물질이나 독성균이 걸러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하여, 이물질이나 독성균이 상기 림프절의 그물 사이에 끼는 경우 림프절의 기능이 저하되어 노폐물 배출 및 식균작용이 떨어져 질병에 쉽게 노출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근까지 림프절을 자극하기 위한 자극기에 대한 개발은 미진한 상황이며, 관련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19244호가 있으나 림프절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단순한 저주파 자극기에 불과하여 림프절 자극의 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로 림프절에 대한 전문 자극을 통해 림프절의 기능 향상을 도모한 림프절 복합자극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림프절 복합자극기는 우측 및 좌측 지지부, 연결부 및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는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어깨들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은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 각각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림프절들 각각을 자극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상기 림프절을 온열 자극하는 온열 자극부, 상기 림프절을 미약자기장 자극하는 전자기 자극부, 및 상기 림프절을 전동 자극하는 전동 자극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타원형 공 형상의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열 자극부는 상기 외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전자기 자극부는 상기 외면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자극부는 상기 전자기 자극부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열 자극부는 복수의 LED 어레이(array)를 포함하여 림프절의 혈액순환을 활성화하며, 상기 전자기 자극부는 미약 자기 에너지를 통해 림프절을 보호하고 림프구의 생성을 촉진하며, 상기 전동 자극부는 미세 진동을 인가하여 림프절 그물망 조직 내의 노폐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한 쌍의 온열 자극부들 및 한 쌍의 전동 자극부들 각각은 교번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림프절에 직접 자극을 주어 림프절 자극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도 림프절 복합자극기를 채용한 채 편한 자세로 자극을 받을 수 있어 치료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자극기는 온열 자극, 전자기 자극 및 전동 자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온열 자극을 통한 혈액순환의 활성화 및 이로 인한 림프절 물질대사의 활성화 기능, 전자기 자극을 통한 림프절 보호 및 림프구 생성 촉진 기능, 및 전동 자극을 통한 그물망 조직에 낀 노폐물을 제거하여 림프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림프절 복합 자극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자극기의 온열 자극부 및 전동 자극부들이 교번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다양한 부위의 림프절을 자극할 수 있어 림프절 복합 자극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림프절 복합자극기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림프절 복합자극기 중 좌/우측 자극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림프절 복합자극기가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림프절 복합자극기(10)는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150, 250) 및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150, 250)은 각각 사용자(1)의 우측 및 좌측 어깨에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150, 250) 각각은 끈 형태로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어깨에 걸쳐지며, 하부에는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림프절에 접촉되도록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160)는 사용자의 양쪽 어깨의 상부 및 목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150, 250)을 서로 연결한다.
그리하여,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이 각각 고정된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150, 250)은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부합되도록 사용자의 어깨 상에 고정되어, 사용자는 양 손 및 양 발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필요한 림프절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활동의 편의성 및 자극 받는 자세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 각각은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겨드랑이에 위치한 우측 및 좌측 림프절들에 각각 접촉하도록 고정되어, 림프절에 대한 복합자극을 수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 각각의 구조, 형상 및 자극 수행기능에 대하여 상술하되,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100, 200)은 각각 동일한 구조, 형상 및 기능을 가지므로 하나의 자극기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도 1의 림프절 복합자극기 중 좌/우측 자극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좌/우측 자극기(100, 200)(이하, 자극기라 함)는 전체적으로 타원형 공 형상을 가지며,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대칭인 형상을 가진다.
그리하여, 상기 자극기(100, 200)는 사용자의 겨드랑이 사이에 고정되었을 때, 사용자의 림프절에 최대한 넓은 면적으로 접하게 되고, 자극기의 고정으로 사용자에게 불편감이나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자극기(100, 200)는 대칭인 타원형 공 형상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면(101) 외에, 온열 자극부(110, 120), 전자기 자극부(130) 및 전동 자극부(140, 1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극기(100, 200)는 대칭 형상으로, 상기 온열 자극부는 제1 온열 자극부(110) 및 제2 온열 자극부(120), 상기 전동 자극부는 제1 전동 자극부(140) 및 제2 전동 자극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는 상기 외면(101)의 상부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는 복수의 LED 어레이(array)를 포함하며, 각각의 LED는 전기 신호에 따라 발생하는 광을 통해 림프절을 온열 자극(또는 광자극)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에 의해 림프절이 온열 자극되면, 상기 림프절의 혈액순환이 활성화되어 림프절의 물질대사도 활성화되는 자극 효과가 발생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는 LED 외에 열을 발생하는 열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온열 자극부(120)는 상기 외면(101)의 하부에 끝단이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제2 온열 자극부(120)는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의 반대측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온열 자극부들(110, 120)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림프절을 자극하여, 상기 자극부(100, 200)의 고정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림프절 자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2 온열 자극부(120)는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와 반대의 위치에 고정된 것을 제외하고 구조 및 기능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온열 자극부(110, 120)는 서로 교번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림프절을 자극하여, 일정 부분의 지속적이거나 지나친 자극으로 인한 혈액 순환의 불균형 또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번 자극을 통해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는 상기 자극부(100, 200)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온열 자극부들(110, 1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는 미약 자기 에너지를 발생시켜, 사용자의 림프절을 자극하며, 상기 미약 자기에너지는 사용자의 림프절을 보호하고 림프구 생성을 촉진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에서 발생된 미약 자기 에너지는 온열 효과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및 제2 온열 자극부(110, 120)에서 광에너지를 통한 온열 효과와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기능적으로 다소 차이가 있다
상기 제1 전동 자극부(140)는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의 일 측면 및 상기 제1 및 제2 온열 자극부들(110, 120)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전동 자극부(140)는 제1 베이스부(141), 상기 제1 베이스부(141)의 일면에 위치한 제1 전원부(142), 및 상기 제1 베이스부(141)의 타면에 위치한 제1 진동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원부(142)는 상기 제1 진동부(143)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1 온열 자극부(110) 및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진동부(143)는 상기 제1 전원부(14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림프절에 대한 미세 진동 자극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 진동부(143)에 의해 미세 진동을 인가받으면 상기 림프절의 그물망 조직에 끼어든 각종 노폐물이 미세 진동에 의해 제거되며, 이에 따라 상기 림프절의 그물망 조직의 막힘을 방지하여 림프절의 기능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제2 전동 자극부(150)는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의 다른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전동 자극부(140)와 반대 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전동 자극부(150)는 제2 베이스부(151), 상기 제2 베이스부(151)의 일변에 위치한 제2 전원부(152), 및 상기 제2 베이스부(151)의 타면에 위치한 제2 진동부(153)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원부(152)는 상기 제2 진동부(153)의 진동을 생성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2 온열 자극부(120) 및 상기 전자기 자극부(13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진동부(153)도 상기 림프절에 대한 미세 진동 자극을 수행하여 림프절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2 진동부(153)는 상기 제1 진동부(143)가 향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진동부(143)에 의해 인가되는 미세 진동의 방향과 상기 제2 진동부(153)에 의해 인가되는 미세 진동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사용자의 림프절을 서로 반대의 위치에서 자극하여, 상기 자극부(100, 200)의 고정 위치에 무관하게 일정 수준 이상의 림프절 자극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진동부(143, 153)는 서로 교번적으로 작동하여 사용자의 림프절을 자극하여, 일정 부분의 지속적이거나 지나친 자극으로 인한 혈액 순환의 불균형 또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교번 자극을 통해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어깨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림프절에 직접 자극을 주어 림프절 자극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도 림프절 복합자극기를 채용한 채 편한 자세로 자극을 받을 수 있어 치료 효과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자극기는 온열 자극, 전자기 자극 및 전동 자극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온열 자극을 통한 혈액순환의 활성화 및 이로 인한 림프절 물질대사의 활성화 기능, 전자기 자극을 통한 림프절 보호 및 림프구 생성 촉진 기능, 및 전동 자극을 통한 그물망 조직에 낀 노폐물을 제거하여 림프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림프절 복합 자극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자극기의 온열 자극부 및 전동 자극부들이 교번적으로 동작함으로써, 다양한 부위의 림프절을 자극할 수 있어 림프절 복합 자극의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림프절 복합자극기는 가정용 또는 의료용 의료기기로서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 : 림프절 복합자극기 100/200 : 우/좌측 자극기
150/250 : 우/좌측 지지부 160 : 연결부
110/120 : 제1/제2 온열 자극부
130 : 전자기 자극부
140/150 : 제1/제2 전동 자극부

Claims (4)

  1.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어깨들에 각각 고정된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 각각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우측 및 좌측 림프절들 각각을 자극하는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상기 림프절을 온열 자극하는 온열 자극부;
    상기 림프절을 미약자기장 자극하는 전자기 자극부; 및
    상기 림프절을 전동 자극하는 전동 자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절 복합자극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타원형 공 형상의 외면을 포함하며,
    상기 온열 자극부는 상기 외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전자기 자극부는 상기 외면의 내부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동 자극부는 상기 전자기 자극부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절 복합자극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열 자극부는 복수의 LED 어레이(array)를 포함하여 림프절의 혈액순환을 활성화하며,
    상기 전자기 자극부는 미약 자기 에너지를 통해 림프절을 보호하고 림프구의 생성을 촉진하며,
    상기 전동 자극부는 미세 진동을 인가하여 림프절 그물망 조직 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절 복합자극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및 좌측 자극기들 각각은 상기 우측 및 좌측 지지부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한 쌍의 온열 자극부들 및 한 쌍의 전동 자극부들 각각은 교번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프절 복합자극기.
KR1020130108810A 2013-09-11 2013-09-11 림프절 복합자극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15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10A KR101415557B1 (ko) 2013-09-11 2013-09-11 림프절 복합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810A KR101415557B1 (ko) 2013-09-11 2013-09-11 림프절 복합자극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557B1 true KR101415557B1 (ko) 2014-07-04

Family

ID=51741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810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5557B1 (ko) 2013-09-11 2013-09-11 림프절 복합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121B1 (ko) * 2016-01-15 2017-05-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증후군 운동교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80A (ja) * 1995-04-04 1996-10-22 O G Giken Kk 振動温熱導子付治療器
KR20090119365A (ko) * 2008-05-16 2009-11-19 문형성 저주파 치료기
KR20130068754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칼라세븐 부종과 신경병증 치료기
KR20130095146A (ko) * 2012-02-17 2013-08-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시광선 조사 및 진동자극 기능이 탑재된 재활치료용 기능적 전기자극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980A (ja) * 1995-04-04 1996-10-22 O G Giken Kk 振動温熱導子付治療器
KR20090119365A (ko) * 2008-05-16 2009-11-19 문형성 저주파 치료기
KR20130068754A (ko) * 2011-12-16 2013-06-26 주식회사 칼라세븐 부종과 신경병증 치료기
KR20130095146A (ko) * 2012-02-17 2013-08-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가시광선 조사 및 진동자극 기능이 탑재된 재활치료용 기능적 전기자극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121B1 (ko) * 2016-01-15 2017-05-31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거북목 증후군 운동교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63771Y (zh) 多功能眼睛保健治疗仪
KR101570862B1 (ko) 휴대용 눈 주위 안마기
KR20100011488U (ko) 착탈 분리식 온열 패드가 구비된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200489550Y1 (ko) 바디 슬리밍과 토닝이 가능한 다용도 벨트
KR102116631B1 (ko) 수중 헬스케어용 저주파 자극기를 이용한 족욕기
CN100488582C (zh) 激光低频多功能按摩梳
KR20180042535A (ko) 손 마사지기
CN209713992U (zh) 宠物用的理疗装置
KR20150001870U (ko) 다기능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101415557B1 (ko) 림프절 복합자극기
CN204193029U (zh) 脚部砭石按摩器
CN206324993U (zh) 颈椎保健u形圈
KR101272904B1 (ko) 미세전류 자극용 컴퓨터의 마우스
KR200446741Y1 (ko) 컬러테라피용 마사지기
CN214806764U (zh) 基于网络技术的中医眼科理疗仪
CN204542830U (zh) 一种穴位指压按摩装置
KR200414192Y1 (ko) 온열 찜질기
KR102031157B1 (ko) 스탠드형 안면마사지기
CN221787898U (zh) 一种多功能低频叠加强渗透按摩辅助设备
KR200317885Y1 (ko) 저주파 및 온열 발생 기능을 갖는 치료용 탄소층 벨트
CN2930755Y (zh) 激光低频多功能按摩梳
CN206434718U (zh) 一种按摩装置内置的智能内衣
CN215025361U (zh) 一种便于拆卸清洗的加热腰带
KR200413309Y1 (ko) 핸드 지압기
KR200343128Y1 (ko) 물리치료용 건강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