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814B1 -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 Google Patents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3814B1 KR101403814B1 KR1020120126035A KR20120126035A KR101403814B1 KR 101403814 B1 KR101403814 B1 KR 101403814B1 KR 1020120126035 A KR1020120126035 A KR 1020120126035A KR 20120126035 A KR20120126035 A KR 20120126035A KR 101403814 B1 KR101403814 B1 KR 101403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cup
- cradle
- receiving groove
- protrusion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95 fasc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컵 홀더 기구로 변화시켜 사용하거나 단순한 일반적인 수납 공간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 구조물은, 차량 실내에 상향 개구 되어 물품을 담아 두고 컵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12)을 구비하는 수납용기(10)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수용홈(12)의 일측 둘레 상부에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한 컵 받침 모서리부(14)를 형성하고; 상기 컵 받침 모서리부(14)에 인접한 수용홈(12)의 내벽에 수납홈(16)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16)에는, 상기 모서리부(14)와 협력하여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수용홈(12)이 이루는 공간을 향해 전개하는 인출위치와 상기 수납홈(16) 안으로 삽입되는 수납위치로 회동하는 거치대(100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거치대를 수용홈으로 회동시켜 전개하면 컵 홀더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거치대를 수납홈으로 회동시키면 수용홈을 물품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용도의 수납 구조물을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can be changed to a cup holder mechanism as required or used in a simple general storage space. The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10) having an accommodation groove (12) which is upwardly opened in a vehicle interior and accommodates an article and can accommodate the cup, (14)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A receiving groove (16) i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12)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cup (14); The receiving groove 16 is provided with a draw posi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orner portion 14 and extending toward the space defined by the receiving groove 12 in order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And a cradle 100a for rotating the cradle 100a.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cup holder when the cradle is pivoted to the receiving groove and can be used as a cup holder. When the cradle is pivot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 receiving groove can be utilized as an article storing space. And can be implem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컵 홀더 기구로 변화시켜 사용하거나 단순한 일반적인 수납 공간으로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납부의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can be used by changing a cup holder mechanism according to need or by changing to a simple general storage space, So that the vehicle can be easily operated while minimizing the load on the vehicle.
차량에서 사용자의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는, 동승자 측 대시 보드(dash board)에 구비된 이른바 '글러브 박스(glove box)'라고 하는 보관 박스와, 센터 패시어(center fascia)나 센터 콘솔(center console)에 주로 구비되는 이른바 '컵 홀더'와 '콘솔 박스' 등이 있다.A storage box called a glove box provided on a dash board of a passenger and a center fascia or a center console for storing a user's goods in a vehicle, console 'and' so-called cup holder 'and' console box '.
이것들 중에서 글러브 박스와 콘솔 박스는 휴대폰, 지갑 등의 여러 가지 잡화를 하나의 공간 안에 넣어 보관하기 위한 수납 공간인 반면에, 컵 홀더는 음료수 컵이나 캔을 거치하는 기구이다.Among these, the glove box and the console box are storage spaces for storing various items such as mobile phones and wallets in one space, while the cup holder is a device for mounting a beverage cup or a can.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컵 홀더는 오직 음료용 컵이나 캔만을 거치할 수 있도록 특화된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음료를 취할 때를 제외하고는 쓰임새가 없기 때문에 설치 공간은 많이 차지하면서도 용도는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eneral cup holder has a special shape so that only the beverage cup or the can can be mounted, and there is no use except for taking the beverage, so that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large and the application is very limi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컵 홀더로 변화시켜 사용이 가능하고 일반적인 수납 공간으로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p holder which can be used as a cup holder and can be changed into a general storage spac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housing structure for a vehicle which can be easily operated while minimizing an installation spa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은, 차량 실내에 상향 개구 되어 물품을 담아 두고 컵을 수용 가능한 수용홈을 구비하는 수납용기를 구비함과 함께 상기 수용홈의 일측 둘레 상부에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한 컵 받침 모서리부를 형성하고; 상기 컵 받침 모서리부에 인접한 수용홈의 내벽에 수납홈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에는, 상기 모서리부와 협력하여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수용홈이 이루는 공간을 향해 전개하는 인출위치와 상기 수납홈 안으로 삽입되는 수납위치로 회동하는 거치대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ulti-purpose storage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upwardly opened in a vehicle cabin and has an accommod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an article and accommodating the cup, Forming a corner portion of the cup support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on the upper portion;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cup; Wherein th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draw-out position for expanding toward a space formed by the receiv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in cooperation with the corner portion and a holder for pivoting to a receiving position to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본 발명의 다용도 수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일측 단부는 힌지축에 의해 상기 수납홈 안에 회동 힌지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상기 거치대를 인출위치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기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대를 수납위치에 구속하거나 수납위치에서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 버튼이 설치된다.In the multi-purpose hous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cradle is pivotally hinged by the hinge shaft in the receiving groove; The hinge shaft is provided with a spring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cradle in the direction of pivoting the cradle to the extended position. An operation button for restricting the cradle to the storage position or releasing the restriction at the storage posi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또한, 상기 조작 버튼에는 연장축이 하향 연장되어 수납용기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탄성 누름부재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거치대의 힌지 쪽 단부의 둘레에는 캠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 버튼의 연장축 외주에는, 상기 거치대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캠형 돌기에 의해 아래로 눌리면서 캠형 돌기의 캠면이 미끄러져 타고 넘고, 캠형 돌기가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캠형 돌기의 뒷면에 걸림으로써 거치대를 수납 위치에 잠그는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Further, the operation button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shaft extending downwar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torage container, and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 pressing member; A cam-like protrusion is formed around the hinge-side end of the cradle; The cam surface of the cam protrusion slides over the cam protrusion while being pushed downward by the cam protrusion when the cradle is rotated in the receiving direction, and then, when the cam protrusion rides over the cam protrusion, So that latching protrusions for locking the receptacle to the receptacle position are formed.
또한, 상기 거치대에는 컵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 누름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elastic pressing member for elastical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is formed on the crad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에 의하면, 거치대를 수용홈으로 회동시켜 전개하면 컵 홀더로서 사용이 가능하고, 거치대를 수납홈으로 회동시키면 수용홈을 물품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에 따라 두 가지 용도의 수납 구조물을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여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housing structur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adle is pivot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 cradle can be used as a cup holder. When the cradle is pivoted to the receiving groove, the receiving groove can be used as an article storage spac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storage structure for branching purposes taking up a minimum space.
또한, 컵의 한쪽은 수납용기를 이용하여 받치고 반대측은 막대 모양의 거치대를 통해 받치도록 함가 아울러, 거치대를 서랍식으로 꺼내는 것이 아니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전개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up is supported by a storage container, the opposite side is supported by a rod-shaped holder, and the holder is not pulled out by a drawer, but by a structure that can be deployed or housed by rotating it. can do.
또한, 조작 버튼의 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전개되고, 거치대를 수납홈에 접어 넣는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잠기므로, 컵 홀더의 조작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and is automatically locked by the operation of folding the holder into the receiving groove,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is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납 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컵 홀더의 거치대를 인출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 상에 컵을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 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조작 버튼을 아래로 누른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조작 버튼을 누름에 따라 거치대가 인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컵 홀더 사용 후 거치대를 인입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거치대가 인입 방향으로 회동 완료한 후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 내지 도 10의 동작과정을 알기 쉽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컵 홀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of the cup holder is rotated in the pull-out directio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cup is mounted on the cradle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Fig.
Fig. 5 is a view seen from the plane of Fig. 3. Fig.
6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up hold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down in Fig. 6.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is rotated in the pull-out direction by depressing the operation butt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adle is rotated in the pull-in direction after use of the cup holder.
10 is a view showing a locked state after the cradle completes its rotation in the drawing direction.
11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FIGS. 9 to 10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up holder is installed.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수납 구조물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컵 홀더의 거치대를 인출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거치대 상에 컵을 거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정면도가, 도 5에는 도 3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to 5 show a multipurpose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radle of a cup holder is rotated in a pull-out direc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of Fig. 3. As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납 구조물은, 차량 실내에 상향 개구 되어 물품을 담아 두고 컵을 수용 가능한 수납용기(10)를 구비하고, 수납 용기(10)의 수용홈(12)의 양측 둘레 상부에는 컵(20)(도 3 내지 도 5 참조)의 외주를 받치기 위한 컵 받침 모서리부(14)(14)가 형성된다.1 to 5, a hou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양측의 컵 받침 모서리부(14)(14) 사이의 수용홈(12) 내벽에는 수납홈(16)이 형성되고, 수납홈(16)에는 컵 홀더(100)를 구성하는 두 개의 거치대(100a)(100b)가 설치된다.A receiving
첨부 도면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컵 받침 모서리부(14)(14)와 거치대(100a)(100b)를 두 개 구비함으로써 수용홈(12)의 양측 두 곳에 컵 홀더를 마련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지만, 컵 받침 모서리부(14)(14)와 거치대(100a)(100b)를 각각 1개씩 구비하는 형태의 구성도 당연히 가능하고, 이러한 1개의 컵 홀더를 가지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에서는 거치대를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을 권리범위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구성요소에 대한 참조부호를 '100a'와 같이 두 개의 거치대(100a)(100b)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선택된(기재된) 참조부호는 단순히 '참조'를 위한 기재일뿐이지 그것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형태나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is shown and described an embodiment in which cup hold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도 1 내지 도 5에서, 상기의 수납용기(10)는, 이를테면 차량의 센터 콘솔, 콘솔 박스,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과 같은 구조물을 활용할 수 있다.1 to 5, the
그리고 두 개의 거치대(100a)(100b)는, 양측의 모서리부(14)(14)와 각각 협력하여 컵(20)의 외주를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컵 홀더로 사용하기 위한 인출위치와 수납홈(16) 안에 삽입되는 수납위치로 회동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The two
또한, 각각의 거치대(100a)(100b)에는 컵(20)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 누름부재(102a)가 형성된다. 탄성 누름부재(102a)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20)의 둘레를 탄성적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유동이 없는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누름부재(102a)는 고무, 펠트, 연질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Each of the
또한, 수납용기(1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대(100a)(100b)를 수납위치에 구속하거나 수납위치에서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 버튼(500)이 설치된다. 즉, 조작 버튼(500)을 누르면 거치대(100a)(100b)의 잠금이 해제되어, 도 2와 같이 전개함으로써 컵 홀더로 활용할 수 있고, 거치대(100a)(100b)를 수납홈(16) 안으로 접어 넣으면 거치대(100a)(100b)가 조작 버튼(500)에 의해 구속되어 수납홈(16) 안에 수납된 상태로 잠기게 된다.An
거치대(100a)(100b)를 인출위치로 회동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거치대(100a)(100b)는 수용홈(12)의 중간 부분을 향해 회동하여 서로 등을 마주 대는 상태로 전개함으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거치대(100a)(100b)를 모두 활용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컵을 거치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0a)(100b)를 수납위치로 회동시키면 두 개의 거치대(100a)(100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수납홈(16) 안에 삽입된다. 이처럼 거치대(100a)(100b)를 폭이 좁은 막대 모양으로 구성하고, 회동시켜 전개 및 수납하는 구조에 의해, 수납홈(16)이 차지하는 공간도 최소한으로 구성할 수가 있으므로, 컵 홀더 장치의 크기와 설치 공간이 최소화된다.2, the two
도 6 내지 도 11은 상기의 거치대(100a)(100b)를 포함하는 컵 홀더 장치(100)의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6에는 전체 구성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에서 조작 버튼(500)을 아래로 누른 상태의 도면이, 도 8에는 조작 버튼(500)을 누름에 따라 거치대(100a)(100b)가 인출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의 도면이, 도 9에는 컵 홀더 사용 후 거치대(100a)(100b)를 인입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상태의 도면이, 도 10에는 거치대(100a)(100b)가 인입 방향으로 회동 완료한 후 잠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도 9 내지 도 10의 동작과정을 알기 쉽게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6 to 11 show the structure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두 거치대(100a)(100b)의 일측 단부는 사로 경첩 모양으로 맞물려서 힌지축(110)에 의해 수납홈(16) 안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다.Referring to FIG. 6, one end of each of the two
또한, 힌지축(110)에는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양측의 거치대(100a)(100b)를 인출위치(도 6에서 회동전개 방향)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120)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그 양측 단부가 각각 양측의 거치대(100a)(100b)에 걸쳐져 있다.A
조작 버튼(50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측 거치대(100a)(100b)의 힌지 부분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납용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거치대(100a)(100b)를 수납위치에 구속하거나, 또는 수납위치에서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스프링(120)의 복귀력에 의해 인출위치로 회동시켜 전개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를 위해, 조작 버튼(500)에는 연장축(502)이 하향 연장되어서 수납용기(10)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탄성부재(510)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 된다.To this end, the
그리고 양측의 거치대(100a)(100b)의 힌지 쪽 단부의 둘레에는 각각 캠형 돌기(104a)(104b)가 각자의 캠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조작 버튼(500)의 연장축(502) 외주에는 걸림 돌기(504a)(504b)가 형성된다. 거치대(100a)(100b)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를 아래로 누르면서 캠면이 미끄러져 타고 넘게 된다.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를 타고 넘은 후에는 걸림 돌기(504a)(504b)가 탄성 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위로 이동하여 캠형 돌기(104a)(104b)의 뒷면에 걸림으로써 거치대(100a)(100b)를 수납 위치에 잠그게 된다.The cam-
즉, 도 6과 같이, 거치대(100a)(100b)의 캠형 돌기(104a)(104b)가 조작 버튼(500)의 걸림 돌기(504a)(504b)에 걸려 수납홈(16) 안에 구속되어 있는 수납위치에서, 컵 홀더를 사용하려면 조작 버튼(500)을 아래로(화살표 방향으로) 누른다.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cam-
그러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버튼(500)의 걸림 돌기(504a)(504b)가 아래로 내려가 캠형 돌기(104a)(104b)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거치대(100a)(100b)의 잠금이 해제된다. 거치대(100a)(100b)의 잠금이 해제되면,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두 개의 거치대(100a)(100b)는 인출방향(화살표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7, the latching
스프링(120)에 의해 두 거치대(100a)(100b)가 회동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위치로 전개하면 컵 홀더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 two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00a)(100b)를 인출한 후 조작 버튼(500)으로부터 손을 떼면, 조작 버튼(500)은 탄성 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본래 위치로 복귀한다.8, when the user removes the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는 컵 홀더 사용 후 거치대(100a)(100b)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켜 보관하기 위한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Next, Figs. 9 and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n operation procedure for rotating the
앞의 도 8에 도시된 상태처럼 거치대(100a)(100b)를 인출위치로 전개하여 컵 홀더로서 사용하던 중에, 컵 홀더의 사용이 끝났거나 또는 수납용기(10)의 수용홈(12)에 물품을 수납하고자 하면, 거치대(100a)(100b)를 다시 접어 수납홈(16)(도 2 및 도 5 참조)에 수납시킨다.8, when the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거치대(100a)(100b)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양측 거치대(100a)(100b)의 캠형 돌기(104a)(104b)가 조작 버튼(500)의 걸림 돌기(504a)(504b)를 만나게 되고, 캠형 돌기(104a)(104b)의 캠면에 의해 조작 버튼(500)의 걸림 돌기(504a)(504b)가 아래로 눌려지게 된다.9, the cam-
걸림 돌기(504a)(504b)가 눌려짐에 따라 탄성 부재(510)는 아래로 눌려지고 조작 버튼(500)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서,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와 미끄럼 접촉하면서 통과하게 된다.As the engaging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를 완전히 벗어나면, 탄성 부재(510)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 버튼(500)과 함께 걸림 돌기(504a)(504b)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걸림 돌기(504a)(504b)는 캠형 돌기(104a)(104b)의 뒷면까지 올라가 걸리게 되고,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거치대(100a)(100b)가 인출방향으로 회동 되려고 하는 것을 저지하게 됨으로써 수납홈(12) 안에 삽입된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도 11은 이러한 수납과정에 있어서, 캠형 돌기(104a)(104b)와 걸림 돌기(504a)(504b) 간의 작용 관계를 알기 쉽게 도식화한 도면이다.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m-
도 11의 가장 윗부분에 도시된 도면은, 인출위치에 있는 거치대(100a)(100b)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도중에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를 만난 상태로서, 제1 거치대(100a)는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회동)하고 제2 거치대(100b)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11 is a state in which the
이동 중에, 캠형 돌기(104a)(104b)의 캠면 아래쪽이 걸림 돌기(504a)(504b)의 상면 모서리와 만나게 되고, 거치대(100a)(100b)의 계속적인 회동에 의해 도 11의 가운데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캠형 돌기(104a)(104b)의 캠면에 의해 걸림 돌기(504a)(504b)가 아래로 눌려지면서 캠형 돌기(104a)(104b)가 통과하게 된다.During the movement, the lower side of the cam surface of the cam-
캠형 돌기(104a)(104b)가 걸림 돌기(504a)(504b)를 완전히 통과하면, 압축되었던 스프링(510)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 버튼(500)과 함께 걸림 돌기(504a)(504b)가 상승하여 캠형 돌기(104a)(104b)의 뒷면에 걸리게 되고, 그것에 의해 수납 위치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When the cam-
도 12는 컵 홀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거치대(100a)(100b)는 힌지축(110)에 의해 수납홈(16)의 상하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조작 버튼(500)과 탄성 부재(510)는 수납용기(10)에 설치되고, 조작 버튼(500)의 머리부가 수납용기(10)의 위쪽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조작 버튼(500)을 쉽게 누를 수 있도록 하고 있다.1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The foregoing is a description of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but may be modified and alter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수납 용기
12 : 수용홈
14 : 컵 받침 모서리부
16 : 수납홈
100 : 컵 홀더 장치
100a, 100b : 거치대
102a, 102b : 탄성 누름부재
104a, 104b : 캠형 돌기
110 : 힌지축
120 : 스프링
500 : 조작 버튼
502 : 축부
510 : 탄성 부재10: storage container
12: receptacle groove
14: corner portion of the coasters
16: storage groove
100: cup holder device
100a, 100b: Cradle
102a, 102b: elastic pressing member
104a and 104b:
110: Hinge shaft
120: spring
500: Operation button
502:
510: elastic member
Claims (8)
상기 컵 받침 모서리부(14)에 인접한 수용홈(12)의 내벽에 수납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16)에는, 상기 모서리부(14)와 협력하여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수용홈(12)이 이루는 공간을 향해 전개하는 인출위치와 상기 수납홈(16) 안으로 삽입되는 수납위치로 회동하는 거치대(100a)를 설치하며,
상기 거치대(100a)의 일측 단부는 힌지축(110)에 의해 상기 수납홈(16) 안에 회동 힌지되고,
상기 힌지축(110)에는 상기 거치대(100a)를 인출위치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0)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에는 상기 거치대(100a)를 수납위치에 구속하거나 수납위치에서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 버튼(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10)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12) capable of accommodating a cup and having an upwardly opened opening upwardly in the vehicle cabin, and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at the upper part of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2) Forming a corner portion 14 of the cup base,
A receiving groove 16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12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14 of the cup,
The receiving groove 16 is provided with a draw position in cooperation with the corner portion 14 and extending toward the space defined by the receiving groove 12 in order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100a) which rotates to the position,
One end of the cradle 100a is pivotally hinged in the receiving groove 16 by a hinge shaft 110,
The hinge shaft 110 is provided with a spring 120 that urges the holder 100a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holder 100a to the extended 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operation button (5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for restricting the cradle (100a) to the storage position or releasing the restraint at the storage position.
상기 조작 버튼(500)에는 연장축(502)이 하향 연장되어 수납용기(10)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탄성부재(510)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거치대(100a)의 힌지 쪽 단부의 둘레에는 캠형 돌기(104a)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 버튼(500)의 연장축(502) 외주에는, 상기 거치대(100a)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캠형 돌기(104a)에 의해 아래로 눌리면서 캠형 돌기(104a)의 캠면이 미끄러져 타고 넘고, 캠형 돌기(104a)(104b)가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캠형 돌기(104a)의 뒷면에 걸림으로써 거치대(100a)를 수납 위치에 잠그는 걸림 돌기(50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3.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ration button 500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shaft 502 extending downwar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torage container 10 and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510,
A cam-like protrusion 104a is formed around the hinge-side end of the cradle 100a,
The cam surface of the cam-like protrusion 104a slide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shaft 502 of the operation button 500 while being pushed down by the cam-like protrusion 104a when the cradle 100a is rotated in the receiving direction, And a latching protrusion 504a for locking the cradle 100a to the receiving position by engaging the cam-like protrusions 104a and 104b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m-shaped protrusion 104a is formed after the cam- .
상기 거치대(100a)에는 컵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 누름부재(10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Characterized in that the cradle (100a)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ressing member (102a) for elastical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상기 양측의 컵 받침 모서리부(14)(14) 사이의 수용홈(12) 내벽에 수납홈(16)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16)에는, 상기 양측의 모서리부(14)(14)와 각각 협력하여 각각의 컵의 외주를 받치기 위해, 상기 수용홈(12)이 이루는 공간을 향해 회동하여 서로 등을 마주 대는 상태로 전개하는 인출위치와 상기 인출위치로부터 상기 수납홈(16) 안으로 삽입되는 수납위치로 회동하는 두 개의 거치대(100a)(100b)를 설치하며,
상기 양측 거치대(100a)(100b)의 일측 단부는 서로 맞물려서 힌지축(110)에 의해 상기 수납홈(16) 안에 회동 힌지되고,
상기 힌지축(110)에는 상기 양측의 거치대(100a)(100b)를 인출위치로 회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120)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용기(10)의 일측에는 상기 양측의 거치대(100a)(100b)를 수납위치에 구속하거나 수납위치에서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 버튼(5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10) having an accommodating groove (12) capable of accommodating a cup and having an upwardly opened opening upwardly in the vehicle interior, and for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on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ng groove (12) The corner portions 14 and 14 of the cup base are formed,
The receiving grooves 16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ceiving grooves 12 between the corner portions 14 of the cups on both sides,
In order to support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respective cups in cooperation with the side edges 14 and 14 of the both sides, the receiving groove 16 is pivoted toward the space defined by the receiving grooves 12, (100a) and (100b) that pivot from a withdrawal position for opening into the storage groove and a storage position for insertion into the storage groove (16) from the withdrawal position,
One end portion of each of the two side stand portions 100a and 100b is engaged with each other and is hinged within the receiving groove 16 by the hinge shaft 110,
The hinge shaft 110 is provided with a spring 120 that elastically urges the cradles 100a and 100b on both sides in a direction to rotate the cradle 100a and 100b to the extended position,
Wherein an operation button (50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 for restraining the cradles (100a) and (100b) on both sides at the storage position or releasing the restraint at the storage position.
상기 조작 버튼(500)에는 연장축(502)이 하향 연장되어 수납용기(10)에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됨과 함께 탄성부재(510)에 의해 상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양측 거치대(100a)(100b)의 힌지 쪽 단부의 둘레에는 각각 캠형 돌기(104a)(104b)가 각자의 캠면이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조작 버튼(500)의 연장축(502) 외주에는, 상기 두 거치대(100a)(100b)를 수납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상기 캠형 돌기(104a)(104b)에 의해 아래로 눌리면서 캠형 돌기(104a)(104b)의 캠면이 미끄러져 타고 넘고, 캠형 돌기(104a)(104b)가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 캠형 돌기(104a)(104b)의 뒷면에 각각 걸림으로써 거치대(100a)(100b)를 수납 위치에 잠그는 걸림 돌기(504a)(504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operation button 500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shaft 502 extending downwar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torage container 10 and supported upward by the elastic member 510,
The cam-shaped protrusions 104a and 104b ar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hinge-side end portions of the two side-mount stands 100a and 100b, respectively, with their cam surfaces facing opposite directions,
The cam protrusion 104a is pressed downward by the cam protrusion 104a when the two cradles 100a and 100b are rotated in the receiving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shaft 502 of the operation button 500, The cam surfaces of the cam protrusions 104a and 104b slip and ride over and after the cam protrusions 104a and 104b ride over the cam protrusions 104a and 104b are engaged with the back surfaces of the cam protrusions 104a and 104b, And locking latching protrusions (504a) and (504b) for locking the latching protrusions (504a) and (504b) are formed.
상기 거치대(100a)(100b)에는, 각각 컵의 외주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지지하기 위한 탄성 누름부재(102a)(102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다용도 수납 구조물.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Characterized in that elastic cushion members (102a, 102b) for elastically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cup are formed in the cradle (100a, 100b), respective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035A KR101403814B1 (en) | 2012-11-08 | 2012-11-08 |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035A KR101403814B1 (en) | 2012-11-08 | 2012-11-08 |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9501A KR20140059501A (en) | 2014-05-16 |
KR101403814B1 true KR101403814B1 (en) | 2014-06-03 |
Family
ID=5088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3814B1 (en) | 2012-11-08 | 2012-11-08 |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381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88244A1 (en) | 2015-04-28 | 2016-11-02 | Volvo Car Corporation | Cup hold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7451A (en) | 2002-02-15 | 2003-08-27 | Nifco Inc | Cup holder unit |
JP2007320493A (en) * | 2006-06-02 | 2007-12-13 | Toyoda Gosei Co Ltd | Cup holder |
-
2012
- 2012-11-08 KR KR1020120126035A patent/KR10140381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37451A (en) | 2002-02-15 | 2003-08-27 | Nifco Inc | Cup holder unit |
JP2007320493A (en) * | 2006-06-02 | 2007-12-13 | Toyoda Gosei Co Ltd | Cup hold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88244A1 (en) | 2015-04-28 | 2016-11-02 | Volvo Car Corporation | Cup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9501A (en) | 2014-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128226B (en) | Foldable and hidden tray table | |
US9862296B2 (en) | Cup holder system for a motor vehicle | |
KR101470024B1 (en) | Automotive console armrests | |
CN112805122A (en) | Storage device | |
US9809141B2 (en) |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 |
KR101403814B1 (en) | Various purposed storage construction for vehicle | |
JP2011235843A (en) |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seat | |
JP2016049938A (en) |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for vehicle | |
JP4545338B2 (en) | Drawer storage device for vehicle | |
KR20150075558A (en) | Cup holder and phone tray assembly for vehicle | |
JP4001854B2 (en) | Vehicle table device | |
JP4435936B2 (en) | Pull-out holder for vehicles | |
JP4986133B2 (en) | Cup holder | |
US20190001855A1 (en) | Storage compartment comprising a foldable holder element | |
CN210310162U (en) | Container assembly for holding articles within a vehicle interior | |
KR20100056881A (en) | Retractabel table in vehicles | |
KR20150058912A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KR100836102B1 (en) | Car Rear Armrest | |
KR200477608Y1 (en) | Console for vehicle | |
JP2011213157A (en) | Drawing type container | |
CN220535499U (en) | Seat table assembly and vehicle | |
KR20140085645A (en) | Refrigerator by subsidiary shelf | |
US20250074281A1 (en) | Table-and-glove box for vehicles | |
KR20140074439A (en) | Variable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 |
KR101439040B1 (en) | Support tray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