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737B1 - Auxiliary shee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uxiliary sheet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2737B1 KR101402737B1 KR1020120140008A KR20120140008A KR101402737B1 KR 101402737 B1 KR101402737 B1 KR 101402737B1 KR 1020120140008 A KR1020120140008 A KR 1020120140008A KR 20120140008 A KR20120140008 A KR 20120140008A KR 101402737 B1 KR101402737 B1 KR 101402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plate
- infant
- clip
- front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 성인 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운송수단의 좌석에 배치되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에 유아가 앉을 경우, 유아를 전면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시키는 전면부 보호유닛;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로부터 전면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면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 및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상기 시트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고정시키는 제2 연결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seat for a vehicle, comprising: a seat member disposed in a seat of a vehicle for allowing an adult or an infant to sit thereon; A front face protection unit which, when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heet member, arranges the infant on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so as to protect the infant from the front;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and being supported by a headrest coupled with the backrest,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while being pulled out so as to extend toward the front surface from the backrest, A first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sheet member and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and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to the sheet member to fix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송수단의 좌석에 구비하여 좌석에 착석하는 성인의 둔부와 허리부분을 지지하거나, 몸집이 작은 어린이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승용차등에 구비되는 좌석은 허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엉덩이 부분과 등받이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그래서 좌석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착석을 하게 되면 엉덩이 부분과 등받이 부분이 연결되는 부분에 빈 공간의 갭(gap)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런 갭(gap)이 발생하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둔부와 허리부분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Generally, seats for passenger cars are divided into hips and backrests to adjust waist angle. Therefore, when the driver or the passenger is seated in the seat, a gap of an empty space is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the hip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are connected. Particularly, when such a gap occu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ist of the driver or the occupant becomes difficult because the driver or the occupant seated in the seat can not properly support the hip and waist portions.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좌석에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보조시트가 개발되어 보조시트를 좌석에 구비한 후,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착석을 한다. 이러한 보조시트는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지지하여 장시간 착석에도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various types of auxiliary sheets that can be provided in the seat have been developed, and an auxiliary seat has been installed in the seat, and the driver or the passenger is seated. Such an auxiliary seat supports the waist portion of the driver or the passenger seated in the seat so that the driver or the occupant can feel comfortable even in a long sitting time.
한편, 보조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 뿐 아니라 성인에 비해 체구가 작은 어린이 및 유아가 사용하는 보조시트로도 이용될 수 있는데, 상기 보조시트가 어린이 및 유아용 전용 보조시트가 아니기 때문에 보조시트를 별도로 고정시키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시트를 고정시키는데 안전벨트가 어린이 또는 유아의 머리 부분에 간섭을 일으켜 어린이 또는 유아가 매우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발생된다.Meanwhile, the auxiliary sheet may be used not only as a driver or a passenger but also as an auxiliary sheet used by children and infants whose sizes are smaller than those of an adult. Since the auxiliary sheet is not a special auxiliary sheet for children or infants, Means are not provided. Therefore, in order to fix the auxiliary seat, the seat belt is used to fix the auxiliary seat using a seat belt, and the seat belt interferes with the head portion of the child or the infant,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child or the infant feels very uncomfortable.
또한, 보조시트가 성인이 앉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기 때문에 어린이 또는 유아를 착석시킬 경우, 어린이 또는 유아가 보조시트로부터 이탈되어 안전상의 문제점이 더 발생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sheet is made in a size allowing the adult to sit, when the child or the infant is seated, the child or the infant may be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sheet, which may cause further safety problem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성인, 어린이 및 유아가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사용할 때에는 운송수단의 좌석에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어린이 및 유아가 급정거로 인해 좌석으로부터 튕겨져 나가거나,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dults, children and infants so a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Especially, when children and infants are used, they can be securely fixed to the seat of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children and infants are suddenly thrown from the sea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uxiliary sheet for a transportation means that can be protected from an impact caused by an accident or an accident.
본 발명은, 성인 또는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운송수단의 좌석에 배치되는 시트부재; 상기 시트부재에 유아가 앉을 경우, 유아를 전면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시키는 전면부 보호유닛;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로부터 전면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면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 및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상기 시트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고정시키는 제2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assembly comprising: a seat member disposed in a seat of a vehicle for allowing an adult or an infant to sit thereon; A front face protection unit which, when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heet member, arranges the infant on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so as to protect the infant from the front;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and being supported by a headrest coupled with the backrest,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while being pulled out so as to extend toward the front surface from the backrest, A first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a second connecting unit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sheet member and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and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to the sheet member to fix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Sheet.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uxiliary sheet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성인 뿐 아니라 어린이 및 유아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착석할 때에는 전면부 보호유닛, 제1 연결유닛 및 제2 연결유닛에 의해 어린이 및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First, not only adults, but also children and infants can be used in common. Especially, when a child and an infant are seated, a child and an infant can be safely protected by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둘째, 위치조절 수단을 구비하여 전면부 보호유닛, 제1 연결유닛을 연결할 때에는 시트부재에 착석한 어린이 및 유아 체형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어린이 및 유아에 적용할 수 있다.Secondly, when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are connected by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the heigh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ild and infant body sitting on the seat member,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children and infants of various body types.
셋째, 전면부 보호유닛은 시트부재에 착석한 성인, 어린이 및 유아의 배 부분을 보호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이 구비되어 안전벨트를 착용하고자 할 때 시트부재에 착석한 성인, 어린이 및 유아의 머리 부분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the front face protection unit can protect the belly of an adult, a child, and an infant sitting on the seat member, and is equipped with a guide bracket, Interference with the par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의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전면부 보호유닛 및 제1 연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전면부 보호유닛 및 제2 연결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위치조절 수단의 상세 구조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위치조절 수단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n auxiliary seat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ide protection unit and the first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side prot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FIG. 1;
4 is a plan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FIG.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성인, 어린이 및 유아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이나,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어린이 또는 유아가 착석하였을 때를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운송수단은 자동차, 버스, 비행기 등과 같이 개별 좌석이 확보되어 있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효과가 잘 나타날 수 있도록 자동차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1 to 4 relate to an auxiliary seat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eat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upplementary sheet for transportation means which can be used by adults, children and infant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ase where the infant is seat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transportation means includes all of the individual seats such as an automobile, a bus, an airplane, etc., an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automobi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so that the operation and eff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layed well .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는, 시트부재(110)와, 전면부 보호유닛(130)과, 제1 연결유닛(150) 및 제2 연결유닛(17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부재(110)는 성인, 어린이 및 유아가 앉을 수 있도록 자동차의 좌석(1)에 배치된다. 성인, 어린이 및 유아 모두가 앉을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재(110)는 우레탄, 고무 및 라텍스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하였을 때 착석자에게 소재에 의한 편안함을 전달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1, an auxiliary seat for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은 상기 시트부재(110)에 어린이 또는 유아가 착석하였을 때, 어린이 또는 유아를 전면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은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한 어린이 또는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하여, 어린이 또는 유아(이하의 설명에서는, 유아로 통일하여 지칭한다.)의 전면 중에서도 특히 배 부분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은 보호쿠션(131)과, 가이드 브라켓(133)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쿠션(131)은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한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되어 유아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 특히 사고발생으로 인한 충격을 흡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쿠션(131)이 사각 형태로 형성되지만, 상기 보호쿠션(131)의 형태는 규정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보호쿠션(131)은 상기 시트부재(110)를 이루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격을 최대한 흡수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The front
상기 보호쿠션(131)의 전면에는 상기 보호쿠션(13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거나, 상기 보호쿠션(131)과 수평인 방향으로 접혀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지봉(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한 유아에게 밥을 먹일 때, 식판 등을 올려두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의 선단은 걸고리와 같은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어 상기 운송수단용 시트부재를 자동차의 뒷자석에 구비하고, 유아를 착석시켰을 때, 상기 지지봉을 세우면 상기 지지봉의 선단을 앞 좌석의 주머니에 끼워 상기 지지봉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t least two support rods (not shown)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상기 가이드 브라켓(133)은 상기 보호쿠션(131)의 전면에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쿠션(131)을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시켰을 때, 유아의 배 부분과 접하는 면과 반대되는 면에 상기 가이드 브라켓(133)을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133)은 상기 시트부재(131)에 유아가 착석한 후,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벨트(5)를 착용할 때, 상기 안전벨트(5)가 유아의 머리 부분과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전벨트(5)의 착용 방향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1, when th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33)은,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3a)와,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3a)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제2 가이드 플레이트(133b)를 포함하여, "ㄱ"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3a)의 일부가 상기 보호쿠션(131)에 삽입되면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쿠션(131)의 전면과,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133b)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안전벨트(5)가 상기 이격 공간으로 유도되어 장착되고, 상기 안전벨트(5)는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133a)에 의해 상기 이격 공간 외부로 이탈하지 않아 상기 안전벨트(5)가 유아의 머리 부분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o 3, the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안전벨트(5)는 상기 시트부재(110)의 후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트부재(110)가 상기 자동차의 좌석(1)에 접하는 후면으로 착용 방향이 유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시트부재(110)의 후면에는 상기 안전벨트(5)의 착용 방향으로 유도하는 유도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시트부재(110)가 상기 좌석(1)에 안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패브릭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벨트(5)가 관통할 수 있는 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시트부재(110)의 후면에 구비되는 상기 유도수단은 상기 시트부재(110)가 상기 좌석(1)에 안착되거나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하는 성인, 어린이 및 유아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제1 연결유닛(150)은 상기 좌석(1)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3)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유닛(150)의 일부 구성은 상기 등받이로부터 전면(자동차의 전방 방향)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면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연결유닛(150)은 고정 브라켓(151)과, 위치조절 수단(153)과, 보조벨트(157)와, 버클(58)을 포함한다. The
먼저 상기 고정 브라켓(151)은 상기 제1 연결유닛(150)을 상기 좌석(1)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부의 일부가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삽입되면서 끼워진다. 상기 고정 브라켓(151)은 제1 플레이트(151a)와, 상기 제1 플레이트(151a)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151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151b)와, 상기 제2 플레이트(151b)로부터 상기 제2 플레이트(151b)에 교차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151a)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플레이트(151c)를 포함한다. 상기 좌석(1)의 등받이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플레이트(151a)와 상기 제3 플레이트(151c)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151)이 상기 등받이에 끼워지는 것이다.The fixing bracket 151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rest of the
상기 고정 브라켓(151)의 상기 제2 플레이트(151b)에는 한 쌍의 관통홀(15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석(1)의 등받이에는 헤드레스트(3)를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151d)이 상기 체결홀과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151)을 상기 등받이에 끼울 때에는, 상기 등받이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3)를 먼저 분리하고, 상기 고정 브라켓(151)을 상기 등받이에 끼운 후, 상기 헤드레스트(3)를 상기 관통홀(151d)를 관통하여 체결홀에 결합시키면서 고정하면, 상기 고정 브라켓(151)은 상기 헤드레스트(3)에 의해 유동되지 않게 지지된다. The
상기 고정 브라켓(151)은 전술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3)를 끼우지 않아도 상기 고정 브라켓(151)의 형태 만으로도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휴대하여 갖고 다니면서 공공이동수단(버스, 비행기 등)의 개별 좌석에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fixing bracket 151 is formed in a " C " shape as see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ixing bracket 151 can be supported only in the form of the fixing bracket 151 without the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은 후술될 보조벨트(157)의 위치를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위치조절 부재(153)와, 위치고정 클립(155)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는 상기 고정 브라켓(151)의 전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플레이트(151a)에 상호 한 쌍으로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가 상기 제1 플레이트(151a)에 설치되는 구조이나, 상기 제3 플레이트(151c)가 전면일 경우, 상기 제3 플레이트(151c)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153 and 155 adjust the position of the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전면에는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되는 톱니(15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측면에는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 홈(15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 클립(155)이 상기 위치조정 부재(153)와 수평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상기 톱니(153a)에 의해 걸림되면서 이동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위치고정 클립(155)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제2 클립 플레이트(155c)와, 탄성체(155d) 및 연결바(155e)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에는 일측에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상기 톱니(153a)에 걸림되는 걸쇠(15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는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위치고정 클립(155)의 수평 방향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손잡이로 사용된다. 4 and 5, the
상기 탄성체(155d)는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에 위치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155d)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바(155e)는 일측은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를 힌지 결합시키고, 타측에는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상기 레일 홈(153b)에 결합되는 롤러(155f)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고정 클립(155)을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에 대해 수평 이동할 수 있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위치고정 클립(155)은 상기 롤러(155f)에 의해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걸쇠(155b)가 상기 톱니(153a)에 걸림되면서 이동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The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의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용자가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의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를 잡고 누르면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 사이에 구비된 상기 탄성체(155d)가 압축되고,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는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155c)와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걸쇠(155b)가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톱니(153a)로부터 걸림 해제된다. 이 때, 이용자는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을 원하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으로부터 손을 떼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탄성체(155d)가 복원되면서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155a)의 회동도 복원되고 상기 걸쇠(155b)가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의 상기 톱니(153a)에 다시 걸림되어 고정되는 것이다.(도 5 참조)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moves the
한편,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의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와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은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의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 및 방법 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보조벨트(157)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보조벨트(157)는 상기 위치조절 클립(15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된다. 상기 보조벨트(157)는 후술될 버클(158)과 결합되는데, 상기 보조벨트(157)가 상기 버클(158)과 결합될 때, 상기 보조벨트(157)와 상기 시트부재(110)에 착석한 유아의 머리 부분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상기 버클(158)은 상기 보호쿠션(131)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버클(158)이 설치되는 위치는 상기 보호쿠션(131)에 설치된 상기 가이드 브라켓(133)보다 상측 방향에 설치된다. 상기 버클(158)은 상기 보조벨트(157)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을 향해 늘어나면, 상기 보조벨트(157)가 상기 버클(158)과 결합하여 상기 보조벨트(157)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을 연결시킨다. 따라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은 상기 제1 연결부재(150)에 의해 유아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상측이 고정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는 상호 마주하는 한 쌍의 수직이동 레일(1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동 레일(156)은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설치되는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절 부재(153)가 상기 고정 브라켓(151)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조절 수단(153, 155)과 상기 위치조절 클립(157)에 연결된 상기 보조벨트(157)를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직 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fixing bracket 151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vertical moving
상기 제2 연결유닛(170)은 고정벨트(171)와 고정버클(17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유닛(170)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을 상기 시트부재(1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상기 제1 연결유닛(130)과 함께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이 유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상기 제2 연결유닛(170)은 상기 시트부재(110)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에 각각 구비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벨트(171)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버클(173)이 상기 시트부재(11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벨트(171)는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의 상기 보호쿠션(131)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벨트(171)는 상기 보조벨트(157)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110)를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고, 상기 시트부재(110)에 설치된 상기 고정버클(173)과 결합한다. 즉, 자동차에 설치된 안전벨트(5)와 같이 상기 고정벨트(171)가 상기 고정버클(173)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130)이 유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The
상기와 같은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는 성인, 어린이 및 유아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사용할 때에는 어린이 및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여 전면부 보호유닛과, 제1 연결유닛, 제2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자동차의 좌석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uxiliary sheet for transportation means can be commonly used by adults, children and infants. Particularly, when a child and an infant use the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auxiliary shee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is transported by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It can be fixed to the seat.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은 어린이 및 유아 뿐 아니라 성인이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착석하였을 때에도 착석자의 배 부분에 배치하여 사고 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착석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can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seated person even when an adult seats on the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as well as a child and an infant,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seated person from an impact generated at the time of an accident.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을 이용하면,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를 자동차의 좌석에 장착한 후, 성인, 어린이 및 유아가 착석하였을 때,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착용하여도 안전벨트의 착용 방향을 상기 가이드 브라켓이 유도하여 착석자의 머리 부분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a guide bracket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is used, an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is mounted on a seat of an automobile, and when an adult, a child and an infant are seated, Direction can be guided by the guide bracket and interference with the head portion of the seated person can be prevented.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어린이 및 유아가 착석하였을 때에는, 상기 제1 연결유닛과, 상기 제2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고로부터 어린이 및 유아를 보호할 수 있다.When the child and infant are seated on the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child and infant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by using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unit, And infants.
특히 상기 운송수단용 보조시트에 착석한 어린이 및 유아의 앉은 키에 따라 수직 및 수평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체격의 어린이 및 유아의 착석에 대응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Especiall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ting height of the child and the infant seated on the auxiliary seat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so tha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seating of children and infants of various size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좌석 3: 헤드레스트
5: 안전벨트 110: 시트부재
130: 전면부 보호유닛 131: 보호쿠션
133: 가이드 브라켓 150: 제1 연결유닛
151: 고정 브라켓 153, 155: 위치조절 수단
157: 보조벨트 158: 버클
170: 제2 연결유닛 171: 고정벨트
173: 고정버클1: Seat 3: Headrest
5: seat belt 110: seat member
130: Front side protection unit 131: Protection cushion
133: guide bracket 150: first connecting unit
151: fixing
157: auxiliary belt 158: buckle
170: second connecting unit 171: fixing belt
173: Fixed buckle
Claims (9)
상기 시트부재에 유아가 앉을 경우, 유아를 전면에서 보호할 수 있도록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시키는 전면부 보호유닛;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는 헤드레스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로부터 전면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면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연결유닛; 및
상기 시트부재와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상기 시트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고정시키는 제2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은,
유아의 배 부분에 배치되어 유아에게 전달될 수 있는 충격을 흡수시키는 보호쿠션; 및
상기 보호쿠션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운송수단의 안전벨트 착용 시 상기 보호쿠션의 전면으로 상기 안전벨트 착용 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유닛은,
상기 등받이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끼워지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과 연결되며, 상기 전면부 보호유닛을 향해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는 보조벨트;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벨트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위치조절 수단; 및
상기 보호쿠션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벨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클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A seat member disposed in the seat of the vehicle so that the seat can be seated by the adult or infant;
A front face protection unit which, when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heet member, arranges the infant on a back portion of the infant so as to protect the infant from the front;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being detachably mounted on the back of the seat and being supported by a headrest coupled with the backrest, being connected to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while being pulled out so as to extend toward the front surface from the backrest, A first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unit; And
And a second connection unit provided respectively in the sheet member and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and detachably coupling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to the sheet member to fix the front surface protection unit,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includes:
A protective cushion disposed in the abdomen of the infant to absorb shock that can be delivered to the infant; And
And a guide bracket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ushion and guiding the seat belt to the front of the protective cushion when the seat belt is worn by the vehicle,
The first connecting unit includes:
A stationary bracket to be inserted while a part of the backrest is inserted;
An auxiliary belt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and drawn in and out so as to extend toward the front unit protection unit;
Position adjusting means installed on the fixing bracket and moving the auxiliary bel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buckle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ushion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belt.
상기 위치조절 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전면에 상호 대칭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전면에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번되는 톱니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측면에는 레일 홈이 형성된 위치조절 부재;
상기 위치조절 부재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며, 상기 톱니에 걸림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 클립; 및
상기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되, 상기 위치조절 부재가 상기 고정 브라켓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조절 부재가 결합되는 수직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A position adjusting membe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pair of projections and recesses alternating with each other on the front surface and a rail groove formed on the side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osition fixing clip coupled to the rail groove so as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the position fixing clip being engaged with the teeth to fix the position; And
And a vertical movement rail mounted on the fixing bracket and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such that the position adjusting member can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xing bracket.
상기 위치고정 클립은,
일측에 상기 톱니에 걸림되는 걸쇠가 형성된 제1 클립 플레이트;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클립 플레이트;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에 위치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일측은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를 힌지 결합시키며, 타측은 상기 레일 홈에 결합되는 롤러가 구비된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는 상기 탄성체가 압축되어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에 대해 회동하면서 상기 걸쇠가 상기 톱니로부터 걸림 해제되고, 상기 롤러에 의해 상기 위치고정 클립이 상기 위치조절 부재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며, 상기 탄성체가 복원되면 상기 제1 클립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클립 플레이트에 대해 회동하며 위치가 복원되면서 상기 걸쇠가 상기 톱니에 걸림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4,
The position fixing clip includes:
A first clip plate having a catch formed on one side thereof for catching the teeth;
A second clip plate hinged to the first clip plate;
An elastic body provided between the first clip plate and the second clip plate and providing position restoring force to the first clip plate and the second clip plate; And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clip plate and the second clip pl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roller coupled to the rail groove,
Wherein the first clip plat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and pivoted relative to the second clip plate so that the latch is released from the teeth and the position fixing clip is horizontally moved by the roller, Wherein when the elastic body is restored, the first clip plate rotates relative to the second clip plate, and the position is restored, so that the latch is caught by the teeth.
상기 고정 브라켓은,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로부터 교차하여,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로 상기 좌석의 등받이 일부가 삽입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3,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late; And
And a third plate crossing the second pl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late,
And a part of the seat back of the seat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third plate.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고정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이 끼워진 후, 상기 좌석의 등받이에 상기 헤드레스트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체결홀과 대향되는 관통홀(151d)이 형성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backrest of the seat is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through which the headrest can be fixed,
And a through hole (151d) opposed to the coupling hole is formed on the second plate so that the headrest can be inserted into the backrest of the seat after the fixing bracket is inserted.
상기 제2 연결유닛은,
상기 보호쿠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재를 향해 하방으로 늘었다 줄었다 할 수 있도록 인출입되는 고정벨트; 및
상기 시트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벨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버클을 포함하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unit comprises:
A fixing belt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rotective cushion and extending downward toward the sheet member so as to be drawn out; And
And a fixing buckle provided on the sheet member and detachably coupling the fixing belt.
상기 시트부재는 우레탄, 고무 및 라텍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운송수단용 보조시트.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heet member is made of one of urethane, rubber and latex.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008A KR101402737B1 (en) | 2012-12-05 | 2012-12-05 | Auxiliary sheet for vehicle |
PCT/KR2013/010970 WO2014088261A1 (en) | 2012-12-05 | 2013-11-29 | Auxilliary seat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40008A KR101402737B1 (en) | 2012-12-05 | 2012-12-05 | Auxiliary sheet for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2737B1 true KR101402737B1 (en) | 2014-06-03 |
Family
ID=50883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0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2737B1 (en) | 2012-12-05 | 2012-12-05 | Auxiliary sheet for vehicl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2737B1 (en) |
WO (1) | WO2014088261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9003B1 (en) * | 2018-12-18 | 2019-06-13 | 코어다 주식회사 | Port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3 dimension information and system for generating 3 dimension information |
KR20220120285A (en) | 2021-02-23 | 2022-08-30 | 임서하 | Infant Sea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402170B (en) * | 2022-10-11 | 2024-07-09 | 瑞博越(上海)汽车零部件有限公司 | Adjustable clasp structure of concave flower of sea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4000A (en) * | 1999-10-18 | 2001-04-24 | Tachi S Co Ltd | Vehicle seat with child seat function |
JP2001138784A (en) * | 1999-11-11 | 2001-05-22 | Minoru Watanabe | Child seat fixing device |
JP2002225601A (en) * | 2001-01-31 | 2002-08-14 | Mazda Motor Corp | Child seat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
KR200445501Y1 (en) * | 2007-11-12 | 2009-08-06 | (주)다인모터스 | Child safety seat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7957Y1 (en) * | 1998-08-29 | 2002-05-09 | 태 의 홍 | Child safety seat structure for car |
-
2012
- 2012-12-05 KR KR1020120140008A patent/KR1014027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11-29 WO PCT/KR2013/010970 patent/WO201408826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14000A (en) * | 1999-10-18 | 2001-04-24 | Tachi S Co Ltd | Vehicle seat with child seat function |
JP2001138784A (en) * | 1999-11-11 | 2001-05-22 | Minoru Watanabe | Child seat fixing device |
JP2002225601A (en) * | 2001-01-31 | 2002-08-14 | Mazda Motor Corp | Child seat support structure for vehicle |
KR200445501Y1 (en) * | 2007-11-12 | 2009-08-06 | (주)다인모터스 | Child safety sea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9003B1 (en) * | 2018-12-18 | 2019-06-13 | 코어다 주식회사 | Port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3 dimension information and system for generating 3 dimension information |
KR20220120285A (en) | 2021-02-23 | 2022-08-30 | 임서하 | Infant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4088261A1 (en) | 2014-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10617B2 (en) | Child restraint system | |
JP5710204B2 (en) | Child seat | |
KR102109040B1 (en) | Infant Restraint System | |
KR101373722B1 (en) | Car-seat for infant having air tube | |
JP2017077876A (en) | child seat | |
KR101402737B1 (en) | Auxiliary sheet for vehicle | |
JP5704462B2 (en) | Vehicle seat device | |
KR102208169B1 (en) | Seat for vehicle | |
KR100896411B1 (en) | Car seats with car seats | |
KR20140008117A (en) | Car-seat for infant having combination confirmation means | |
KR101713245B1 (en) | Portable Carseat | |
JP6676320B2 (en) | child seat | |
JP6213955B2 (en) | Vehicle seat structure | |
KR101562801B1 (en) | A assistance safety belt for vehicle | |
KR102269951B1 (en) | Seat belt cushion device for Child | |
US20090014619A1 (en) |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 |
JP2020093772A (en) | Sleep assistance cushion for vehicle | |
GB2407968A (en) | Baby support suspended from a vehicle seat | |
JP2021070344A (en) | Childcare appliance for child | |
JP2016016702A (en) | junior seat | |
JP7573451B2 (en) | Childcare equipment | |
JP6485731B2 (en) | Vehicle suspension seat | |
JP2021084473A (en) | Inner seat for infant seat device | |
JP2000190763A (en) | Safety seat for child | |
US20110140495A1 (en) |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