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00687B1 -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 Google Patents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0687B1
KR101400687B1 KR1020130050723A KR20130050723A KR101400687B1 KR 101400687 B1 KR101400687 B1 KR 101400687B1 KR 1020130050723 A KR1020130050723 A KR 1020130050723A KR 20130050723 A KR20130050723 A KR 20130050723A KR 101400687 B1 KR101400687 B1 KR 101400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burner port
port
combustion air
mix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우섭
Original Assignee
서우섭
한국콘트롤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섭, 한국콘트롤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우섭
Priority to KR102013005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2/00Liquid fuel burners

Landscapes

  • Pressure-Spray And Ultrasonic-Wave- Spray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열출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버너포트(1)와, 상기 버너포트(1) 내에 설치된 혼합컵(2)을 포함한 석유버너에 있어서,
버너포트(1)는 측벽부(11)와, 이 측벽부(11)의 일단부에 외부를 향해 개방된 출력단(12)과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폐쇄벽(13)을 가지며, 폐쇄벽(13)은 연료분무 구멍(1a)이 형성되며,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은 1차 연소공기 구멍(1b)과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구분되고,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에 근접하여 노즐(3)과 점화전극(5)이 설치되고, 혼합컵(2)은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타단에 개방된 개구(22)를 가지며, 측벽부(21)와 연접한 선단에 폐쇄벽(23)을 가지며, 폐쇄벽(23)은 버너포트(1)의 출력단(1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GUN TYPE OIL BURNER}
본 발명은 버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규모의 열출력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에 관한 것이다.
석유보일러, 석유 온풍난방기 등의 비교적 대형의 석유 연소기기의 열원기로서 건타입 석유버너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타입 석유버너의 시동은 예열운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서 시동·정지제어가 우수하고, 연소부의 구조가 간단하고, 그 유지보수성이 우수하며, 저렴한 제조비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등유 이외에도 경유나 A중유 등의 중질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블어 산화·열화한 등유에 대해서도 타르나 카본이 퇴적하는 단점이 없으므로, 하절기에는 사용하지 않는 난방용 석유연소기기로 이용될 경우에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이에 반해, 건타입 석유버너는 10,000㎉/hr 이하의 소규모의 낮은 열출력의 버너 제작이 곤란하고, 운전시 소음이 크고, 화력 조절이 염가로 용이하게 조절하기 곤란하고, 연소 배기가스 중에서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높은 단점 등이 있었다.
최근에는 동절기 전력공급 부족으로, 소비자들은 원적외선 석유난방기 등의 가반형(이동가능형)으로 제작된 소규모 열출력 연소기기의 출현을 기대하고 있어, 그와 같은 열원기의 석유버너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출시품으로, 기화식 석유버너가 일부 시판되고 있으나, 상기 석유버너는 전기예열(電氣豫熱)에 의하여 시동할 수 밖에 없는 단점과, 산화·열화된 등유에 대한 내성 부족과, 기화기 내에 타르나 카본이 퇴적하는 부적합함이 다발되어 시장을 석권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상술된 소비자들의 요망에 대응하여 다음과 같은 종래의 포트식 석유버너의 버너포트는 그 깊이의 직경비가 0.9~1.0 정도로 심저(深底)형의 구조이지만, 깊이의 직경비는 이 버너포트 안에, 그 측벽부에 연료분무공이 형성되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분무를 공급하는 수직형의 건포트식 석유버너가 도3에 명기되어 있다.
버너포트의 깊이의 직경비는 열출력이 동일할 때, 연료의 입경에 대한 파라미터로 인식되고 있으며, 연료가 비(非)분무로 공급되는 포트식 석유버너에서는 버너포트의 깊이 직경비가 커지게 된다. 이는 버너포트의 열용량이 큰 것을 의미하ㄴ는 것이며, 버너 점화 시에 연료가 정상적으로 기화 가능한 온도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 즉, 예열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포트식 석유버너는 전기히터에 의한 예열을 이용하지 않으며, 공연비 상에서 말하는 과잉공기연소에 해당하는 것이므로 연소 배기가스의 악취 및 발연이 수반될 수도 있고, 온/오프 제어성이 양호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강제 환기방식의 석유스토브나 점포 등에서 이용되는 개방형 석유스토브로 실용화 되어 있지만, 수직형 구조이기 때문에 그 유지보수성이 나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포트식 석유버너를 수평형으로 개선한 것으로 버너포트 내에 연소링, 원통형으로 성형한 펀칭된 철망(흡열통)과 정염판을 부설한 것에 의하여 이를 대신하여 혼합컵이 장설(張設)한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연소성능은 종래기술과 동등한 것을 이용한 것이다.
그 혼합컵의 깊이의 직경비는 0.9~1.0 정도의 심저(深底) 형이고, 혼합컵의 선단은 버너포트의 출구단과 동일하거나 더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버너포트의 깊이의 직경비가 0.8~0.9 정도이며, 혼합컵의 깊이의 직경비 또한 크기 때문에 예열 운전시간이 길어지고, 온/오프 제어성 및 배기가스의 성능이 나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런 종류의 버너는 수평형이기 때문에 유지보수성이 좋아 석유 온풍난방기나 저탕식 석유보일러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도4)
본 발명은 건타입 석유버너와 기화식 석유버너의 장점을 살린 상태로 그러한 단점을 해소함과 동시에, 종래기술들의 여러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온/오프 제어성(예열운전시간 단축) 및 보수 유지성이 뛰어나며, 운전시 저소음의 평온성을 유지하고, 산화·열화된 등유의 내성이 강하며, 질소산화물(NOx)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소규모의 열출력을 효과적을 얻을 수 있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너포트(1)와, 상기 버너포트(1) 내에 설치된 혼합컵(2)을 포함한 석유버너에 있어서,
버너포트(1)는 측벽부(11)와, 이 측벽부(11)의 일단부에 외부를 향해 개방된 출력단(12)과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이 형성되고, 타단부는 폐쇄벽(13)을 가지며, 폐쇄벽(13)은 연료분무 구멍(1a)이 형성되며,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은 1차 연소공기 구멍(1b)과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구분되고,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에 근접하여 노즐(3)과 점화전극(5)이 설치되고, 혼합컵(2)은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타단에 개방된 개구(22)와, 측벽부(21)와 연접한 선단에 폐쇄벽(23)을 가지며, 폐쇄벽(23)은 버너포트(1)의 출력단(1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이다.
이에 의해, 본발명의 버너는 버너포트 저부(底部)의 분무구멍 외측의 연소용 공기 유로에 점화전극을 구비하여 점화 시에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료가 점화전극의 방전에 의해 착화되고, 버너포트 내의 혼합컵 내부에서 연료분무 구멍을 통해 연료와 함께 공급되는 1차 연소 공기에 의해 연료의 일부가 버너포트 내의 혼합컵 안에서 확산 연소한다. 그와 더불어, 확산연소에 의해 가열되어 기화한 미연소가스가 버너포트의 2차 연소공기 구멍으로 유인되어 연소 되며, 그 화염의 고온부가 버너포트의 출구단 보다 돌출한 혼합컵의 폐쇄벽 근처를 급격하게 가열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혼합컵의 온도가 상승한 시점에서 점화전극의 방전을 정지하면, 혼합컵 내의 확산화염은 보염(保炎)수단을 잃어 소멸하고, 혼합컵의 내부 및 버너포트 측벽부의 1차 연소공기 구멍 즉, 1차 연소영역에서 공연비 상의 연료가 과농한 가스화연소를 나타냄과 동시에 해당 가스가 버너포트의 2차 연소공기 구멍으로 유인되고, 2차 연소영역에서 고속의 2차 연소공기류에 의해 부분 예혼합 연소함으로써 정상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거동을 통해 본 발명의 석유버너는 2단 연소방식의 버너에 해당된다.
또한, 1차 연소영역에서는 공연비 상의 연료가 과농한 가스화 연소는 특히, 혼합컵이 화염의 연소열을 흡열하여 고온이 되지만, 그에 따라 화염 온도는 저하되어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를 저감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더욱이 버너포트의 농무(濃霧)구멍의 외주에 흡열통(원통형의 펀칭철망)을 설치하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진다. 2차 연소영역에서는 1차 연소영역에서 얻어진 연료가 과농한 미연소가스를 부분예혼합 연소함에 따라 청염이 이루어진다. 2차 연소공기 구멍 중에서 최외측의 2차 연소공기 구멍 또는 바람통에 공기구멍을 설치하여 연소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공기를 연소실 내로 공급함으로써 화염 냉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연소실 등의 온도 과승을 조정함과 동시에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에 의한 버너는 측벽부에 다수의 연소용 공기구멍을 가짐으로서 저부에 연료분무공급용 분무구멍을 가지는 깊이의 직경비(H/D)는 0.4~0.5로 이루어지고, 상기 혼합컵의 깊이의 직경비(h/d)는 0.6~0.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버너포트의 깊이를 낮게 형성함(천저형 구조)으로써 그 자신의 열용량을 낮출 수 있고, 혼합컵의 깊이의 직경비를 종래기술에 비해 작게 형성하여 점화시 혼합컵의 가열속도를 빠르게 진행함으로써 예열운전시간 단축을 매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혼합컵의 폐쇄부를 버너포트의 출구단 보다 돌출시키는 구조에 의하여 한층 더 효과를 증진할 수 있는 것이다. 버너의 예열운전 시간은 점화전극이 착화된 후의 방전시간, 즉 포스트이그니션 타임에 상당하고, 이는 주위 온도 및 연료 온도에 의존하기 때문에 사전에 저온 상태를 상정(想定)하여 포스트이그니션타임을 설정하거나 공동(空洞) 내에 온도센서를 설치함으로서 설정된 온도에 이르기까지의 시간간격을 포스트이그니션 타임으로 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예열운전은 과잉공기의 연소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연소배기가스의 악취나 발연(發煙) 등이 발생하지 않으며, 실내 배기형의 석유연소기기에 탑재하여도 충분히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는 것이다.
버너포트(1)의 깊이의 직경비(H/D)는 0.4~0.5로 형성되고, 혼합컵(2)의 깊이의 직경비(h/d)는 0.6~0.7로 형성된 것이다.
혼합컵(2) 개구(22)의 외측단에 플랜지부(24)가 일체로 연접되고, 상기 연접된 플랜지부(24)와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에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버너포트(1)의 측벽부(11)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유인하는 유로(26)가 형성되는 것이다.
혼합컵(2)의 플랜지부(24)는 브라켓(25)에 의해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에 연결하고,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에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버너포트(1)의 측벽부(11)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유인하는 유로(26)가 형성되는 것이다.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의 주변에 흡열통(55)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흡열통이 버너포트의 연료분무 구멍 주변에 설치함에 따라, 화염의 연소열 흡열을 통해 배기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버너의 온/오프 제어성(예열운전시간 단축) 및 보수 유지성이 우수하며, 저 소음으로 평안한 운전이 가능하고, 산화·열화된 등유의 내성을 키울 수 있으며, 저NOx의 소규모 열출력까지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혼합컵의 가열은 예열운전이지만, 과잉공기의 연소작용은 아니므로 포트식 버너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며, 그 후에 점화전극의 방전을 중지하면, 1차 연소영역 내의 예열용 화염이 소멸하여 가스화 연소가 진행되고, 이러한 가스화 연소를 통해 생성되는 과농 연료의 미연소가스가 2차 연소영역으로 전파되어 2차 연소가 진행된다. 특히, 본 발명은 혼합컵의 선단부를 2차 공기 도입공 보다 전방 측으로 더 돌출시켜 구성함으로써 2차 연소의 화염에 의해 혼합컵의 가열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버너포트의 연료분무 구멍의 주변에 내열강판 재질의 흡열통을 내장함으로써 이러한 흡열통에 의해 NOx의 저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친환경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를 도시한 구체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를 도시한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는 버너포트(1), 버너포트(1)의 내측에 배치된 혼합컵(2), 버너포트(1) 내로 연료분무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노즐(3), 노즐(3)에 인접하여 배치된 점화전극(5), 버너포트(1)의 외측에 배치된 바람통(6) 등을 포함한다.
버너포트(1)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의 직경비(H/D)가 0.4~0.5의 천저(淺底)형의 사발모양인 버너포트(1)의 내부에, 직경비(h/d)가 0.6~0.7의 사발모양의 혼합컵(2)이 형성되고, 그 입구부에 플랜지부(24)와 복수의 브라켓(25)에 의해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고, 버너포트(1)의 측벽부(11)출구에 인접된 2차 연소공기구멍(1c, 1d)을 가지고, 폐쇄벽(13)에 인접된 1차 연소공기 구멍(1b)을 가지며, 버너포트(1)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자유롭게 유도분출하는 유로(26)를 형성하여 정상류로 유동하도록 한 것이다.
버너포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1), 이 측벽부(11)의 일단부에 외부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 출력단(12), 측벽부(11)의 타단부에 형성된 폐쇄벽(13)을 가진다.
버너포트(1)의 측벽부(11)에는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이 복수열로 형성되며, 폐쇄벽(13)의 중심부에는 연료분무 구멍(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연료분무 구멍(1a)을 통해 노즐(3)의 연료가 분사됨과 더불어 1차 연소공기가 유입된다.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은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에 인접된 복수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과, 버너포트(1)의 출력단(12)에 인접하게 형성된 복수의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구분된다. 한편, 1차 연소공기 구멍(1b)들은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들에 비해 그 갯수 또는 직경을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벽(13)의 중심부에는 경사진 측벽부 및 평탄부를 가진 돌출부(13a)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13a)의 평탄부(중심부)에는 연료분무 구멍(1a)이 형성된다.
혼합컵(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이의 직경비(h/d)가 0.6~0.7로 이루어진 용기 구조로 이루어진다.
혼합컵(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21), 이 측벽부(21)와 연접한선단의 폐쇄벽(23)과, 측벽부(21)의 타단에 개방된 개구(22)를 가진다.
혼합컵(2)의 선단 즉, 폐쇄벽(23)은 버너포트(1)의 출력단(22) 보다 외측으로 일정간격(t)만큼 돌출하여 장설(張設)되게 배치됨으로써 혼합컵(2)의 가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할 수 있다.
혼합컵(2)의 개구(22)의 외측단에는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에 연결되는 플랜지부(24)가 형성되고, 혼합컵(2)의 플랜지부(24)와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에는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버너포트(1) 측벽부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유도하는 유로(26)가 형성되어 정상류가 유동하도록 한다.
상기 혼합컵(2) 개구(22)의 외측단에 플랜지부(24)가 일체로 연접된다.
특히, 혼합컵(2)의 플랜지부(24)는 복수의 브라켓(25)에 의해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됨으로써 혼합컵(2)의 플랜지부(24)와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의 공간에 기류이동로가 형성되어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버너포트(1) 측벽부(11)에 형성된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분출된 기류가 흐르도록 하는 유로(26)가 형성된다.
혼합컵(2)은 버너 포트(1)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혼합컵(2)과 버너포트(1)의 폐쇄벽(13)에 인접한 공간에 1차 연소영역(16)이 되고, 혼합컵(2)의 외측면과 버너 포트(1)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에 2차 연소영역(17)으로 연소영역을 구분한다.
그리고, 버너포트(1)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은 혼합컵(2)의 플랜지부(24) 보다 내측으로 일정간격(s)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노즐(3)은 노즐어댑터(9)와 연접되고, 상기 노즐(3)에는 송유관(14a)을 경유하여 전자펌프(14)와 접속되어 연료가 공급된다.
노즐(3)의 선단은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노즐(3)의 선단과 버너포트(1)의 연료 분무공(1a) 사이의 거리는 연료분무의 분사에 적합하도록 최적화 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점화전극(5)은 노즐(3)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연료가 노즐(3)에서 분사됨과 동시에 점화전극(8)의 방전불꽃에 의하여 연료가 착화되어 보염이 이루어진다.
점화전극(8)은 고압코드(15a)를 통해 점화변압기(15)가 접속된다.
바람통(6)은 버너포트(1)를 포위(감싸는)하는 구조로 버너포트(1)의 외측에 배치되고, 그 후방에는 에어덕트(7)가 설치된다. 에어덕트(7)의 내부에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8)가 설치되고, 송풍기(8)에 의해 발생한 송풍공기는 에어덕트를 경유하여 폐쇄벽(13)의 중심부에 형성된 연료분무 구멍(1a)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혼합컵(2)과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 유로(26)에 의하여 혼합컵(2) 내의 1차 연소영역(16)으로 1차 연소공기가 유입됨과 더불어 2차 연소영역(17)으로 2차 연소공기가 유입된다.
한편, 버너포트(1)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구조를 가진 흡열통(55)을 내장하고, 상기 흡열통(55)의 재질은 내열강판으로 제작되며, 이 흡열통(55)은 복수의 통공을 가진 금속망체가 형성된 것이다. 특히, 흡열통(55)은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의 주변의 영역인 1차 연소영역(16)에 배치하도록 하여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내측면에 용접, 융접, 볼트, 핀, 리벳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연결한다. 이러한 흡열통(55)에 의해 화염온도는 저하하고, 배기가스 중의 NOx 농도의 저감효율은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송풍기(8)가 통전되어 송풍이 개시됨과 동시에 점화변압기(15)가 통전되고, 그 후 일정 시간 후에 전자펌프(14)가 통전되어 연료를 공급하고, 공급된 연료는 노즐(3)을 경유하여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을 통해 연료가 고압으로 분사된다. 이때, 송풍기(8)에 의해 송풍한 연소공기는 에어덕트(7), 바람통(6)을 경유하여 버너포트(1)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으로 분배된다.
그리고, 점화변압기(15)에서 고전압이 출력되면 점화전극(8)이 방전됨에 따라 노즐(3)에서 분사된 연료가 착화되고, 이러한 착화에 의하여 보염작용이 이루어져 혼합컵(2) 내에서 확산연소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때에 생성된 미연가스가 유로(26)를 경유하여 버너포트(1)의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유인되어 연소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화염과 혼합컵(2) 내에 확산된 연소 화염의 연소열로 인해 혼합컵(2)의 선단 즉, 폐쇄벽(23) 근방이 가열되어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한다. 즉, 예열운전 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버너의 온/오프 제어성이 종래기술들에 비해 크게 향상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혼합컵(2)의 온도가 충분히 상승한 후에, 점화전극(5)의 방전을 정지하면, 혼합컵(2) 내의 확산연소 화염이 보염을 잃어 소멸하고, 버너포트(1) 내에 포함한 1차 연소영역(16)에서 과농의 연소가스가 생성되고, 이러한 과농의 연소가스에 의해 생성된 미연소가스는 2차 연소영역(17)에서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에서 공급되는 고속 공기류에 의해 부분 예혼합 연소되어 정상연소를 이루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 버너포트 2: 혼합컵
3: 노즐 5: 점화전극
6: 바람통 7: 에어덕트
8: 송풍기 14: 전자펌프
15: 점화변압기

Claims (5)

  1. 버너포트(1)와, 상기 버너포트(1) 내에 설치된 혼합컵(2)을 포함한 석유버너에 있어서,
    버너포트(1)는 측벽부(11)와, 이 측벽부(11)의 일단부에 외부를 향해 개방된 출력단(12)과 복수의 연소공기 구멍(1b, 1c, 1d)이 형성되어 1차 연소공기 구멍(1b)과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구분되고, 타단부는 연료분무 구멍(1a)이 형성된 폐쇄벽(13)을 구비한 것이며,
    혼합컵(2) 개구(22)의 외측단에는 플랜지부(24)가 일체로 연접되어 있고,
    상기 연접된 플랜지부(24)와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에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측벽부(11)의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구분하고, 이를 통하여 유인하는 유로(26)가 형성된 것이며,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에 근접하여 노즐(3)과 점화전극(5)이 설치되고, 혼합컵(2)은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타단에 개방된 개구(22)와, 측벽부(21)와 연접한 선단에 폐쇄벽(23)을 가지며, 폐쇄벽(23)은 버너포트(1)의 출력단(12) 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버너포트(1)의 깊이의 직경비(H/D)는 0.4~0.5로 형성되고,
    혼합컵(2)의 깊이의 직경비(h/d)는 0.6~0.7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혼합컵(2)의 플랜지부(24)는 브라켓(25)에 의해 버너포트(1)의 폐쇄벽(13)과 연결하고, 버너포트(1)의 폐쇄벽(13) 사이에 혼합컵(2) 내의 미연가스를 버너포트(1)의 측벽부(11)에 1차 연소공기 구멍(1b) 및 2차 연소공기 구멍(1c, 1d)으로 유인하는 유로(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버너포트(1)의 연료분무 구멍(1a)의 주변에 흡열통(55)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KR1020130050723A 2013-05-06 2013-05-06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KR101400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23A KR101400687B1 (ko) 2013-05-06 2013-05-06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723A KR101400687B1 (ko) 2013-05-06 2013-05-06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0687B1 true KR101400687B1 (ko) 2014-05-29

Family

ID=50895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723A KR101400687B1 (ko) 2013-05-06 2013-05-06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0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549A (zh) * 2018-08-27 2019-01-01 三汽车制造有限公司 燃烧器、燃烧系统和沥青搅拌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3703A (en) * 1987-09-04 1989-03-09 Hitachi Ltd Kerosene gasification burner
KR20050117110A (ko) * 2004-06-09 2005-12-14 한국콘트롤공업 주식회사 초음파노즐을 사용한 액체연료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3703A (en) * 1987-09-04 1989-03-09 Hitachi Ltd Kerosene gasification burner
KR20050117110A (ko) * 2004-06-09 2005-12-14 한국콘트롤공업 주식회사 초음파노즐을 사용한 액체연료 연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4549A (zh) * 2018-08-27 2019-01-01 三汽车制造有限公司 燃烧器、燃烧系统和沥青搅拌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682780A (zh) 燃气热水器
KR101400687B1 (ko) 건포트식 수평형 석유버너
KR101401960B1 (ko) 압력분무 노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석유버너
KR101562496B1 (ko) 압력분무식 하이브리드 플레임 석유버너
KR101731246B1 (ko) 압력분무식 하이브리드 플레임 석유 버너
KR100575267B1 (ko) 브라운가스 물기름 연소기
KR100928183B1 (ko) 액체연료 복합노즐 및 이를 사용한 버너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200350538Y1 (ko) 소각로 겸용 개탄보일러
KR100606199B1 (ko) 선단에 분무면을 가진 초음파노즐을 사용한 액체연료 연소장치
JP5507720B1 (ja) 自動点火式オイルバーナー
CN219756361U (zh) 一种提高燃料燃烧效率的燃烧器结构和灶体
KR20120006155A (ko) 증기혼합 버너용 증기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버너 그리고 이 증기발생기를 이용한 연소장치
US2005964A (en) Oil burner
CA2327148A1 (en) Burner for liquid fuel combustion apparatuses
JP2005291666A (ja) 燃焼機器
KR200179877Y1 (ko) 연소장치의 화염 유도 캡
JP4616717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00388637B1 (ko) 가스와 액체연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타입의보일러
JPH0752529Y2 (ja) 温風暖房機
KR100538344B1 (ko) 가연성가스 연소버너로
KR200156823Y1 (ko) 개방형 기화식 석유난방기
KR100249225B1 (ko) 석유 연소기의 화염 활성화장치
JP2005257185A (ja) ガスコンロ
KR200339842Y1 (ko) 가연성가스 연소버너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