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46B1 - Tissue pack - Google Patents
Tissue pa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146B1 KR101408146B1 KR1020120128898A KR20120128898A KR101408146B1 KR 101408146 B1 KR101408146 B1 KR 101408146B1 KR 1020120128898 A KR1020120128898 A KR 1020120128898A KR 20120128898 A KR20120128898 A KR 20120128898A KR 101408146 B1 KR101408146 B1 KR 101408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issue
- opening
- plate
- support plate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33—Details of the housing, e.g. hinges, connection to the wall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2010/3266—Wet w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슈용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항시 낱장씩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티슈의 낭비 및 원치않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개폐판을 덮는 과정에서 일부가 인출구로 빠져 나와 있는 티슈에 의해 개폐판의 닫힘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원치않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ssue packing pa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waste and unwanted contamination of a tissue by allowing the tissue to be taken out one by one at all times during a tissue pulling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preventing undesirable contamina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closur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from being obstructed by a part of the tissue that protrudes into the outlet opening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티슈용 포장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티슈의 인출구조를 개선하여 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해당 티슈의 아래쪽에 위치한 티슈까지 원치않게 함께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캡으로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인출구를 통해 일부가 인출되어 있는 티슈에 의해 개폐캡의 닫힘 방해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apping pack for a wet tissue,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wrapping pack for a wet tissue, which improves the draw-out structure of the wet tissue to prevent undesired pulling-out of the tissue located below the tissue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tissue, To prevent the clos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from being interrupted by the tissue partially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
일반적으로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한 여러 장의 티슈가 포장팩 내부에 적층되어 있고 인출구를 통해 한장씩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wet tissue used in the home includes a plurality of tissues containing moisture, which are stacked in a package pack, and are drawn out one by one through an outlet.
이때 인출구 상에는 별도의 개폐캡이 설치되어 티슈의 인출여부에 따라 개폐캡을 개폐하여 포장팩 내부의 수분 손실이 최소화 되도록 하고 있다.At this time, a separate opening / closing cap is provided on the outlet to open / close the opening / closing cap according to whether the tissue is taken out or not, thereby minimizing the water loss inside the pack.
티슈를 인출하고자 할 때에는 개폐캡을 젖혀 인출구를 개방시킨 뒤 손가락을 인출구로 넣어 제일 위쪽에 적층된 티슈를 잡아 외부로 빼낸다.When pulling out the tissue, open the outlet by opening the opening and closing cap, put the fingers into the outlet, take out the stacked tissue at the top, and take it out.
그런데 티슈의 인출과정에서 여러 장의 티슈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원치 않게 연속적으로 함께 인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 된다.However,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tissue, a plurality of tissu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continuously drawn together unintentionally.
이로 인해 티슈의 낭비가 초래됨은 물론,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함께 딸려 인출되는 티슈를 손으로 잡아 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티슈가 오염될 가능성이 큰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waste of the tissue is caused. In addition, since the user needs to hold the taken-out tissue together with the hand, the tissue is likely to be contaminated.
그리고 해당 티슈가 정상적으로 인출되면, 추후 인출될 티슈는 원활한 인출을 위해 일부분이 인출구 밖으로 빠져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When the tissue is normally withdrawn, a portion of the tissue to be withdrawn at a later time is pulled out of the outlet for smooth withdrawal.
하지만 이렇게 티슈 일부가 인출구 밖으로 과도하게 빠져나와 있는 상태에서 개폐캡을 닫게 되면, 빠져나와 있는 부분이 개폐캡 테두리에 걸쳐져 개폐캡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현상이 발생 된다.However, when the opening / closing cap is closed with the part of the tissue excessively out of the outlet, the opening and closing cap may not be completely closed because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is closed.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사용자는 매번 개폐캡을 닫기 전에 손가락으로 해당 티슈를 인출구로 밀어넣고, 그 상태에서 개폐캡을 닫고 있다.Due to such a problem, the user pushes the tissue with his / her finger into the outlet before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cap every time, and closes the opening / closing cap in this state.
따라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밀어넣는 과정에서 손가락과 접촉됨에 따라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는 큰 문제점이 수반된다.Therefore, not only troublesome but also a great problem of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due to contact with a finger in the pushing process.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항시 낱장씩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티슈의 낭비 및 원치않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티슈용 포장팩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issue packing pack which can prevent the waste of the tissue and unwanted contamination by allowing the sheet to be taken out one by one at all times during the process of taking out the tissue.
그리고 개폐캡을 덮는 과정에서 일부가 인출구로 빠져 나와 있는 티슈에 의해 개폐캡의 닫힘이 방해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원치않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티슈용 포장팩을 제공하고자 한다.
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ckaging pack for a tissue that can prevent unwanted contamination as well as preventing the clos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from being partially caused by a tissue protruding into the outlet port during the covering process of the opening and closing cap.
이러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purpose,
내부에 티슈가 적층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일측이 상기 본체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일단부가 상기 본체 상부면과 고정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있는 티슈 일부를 덮어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opening / clo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so as to be rotatabl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utlet, and an opening / closing plate, And a support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nd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around the connection point and covers a portion of the tissue drawn out through the outflow port.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의 회동 과정에서 상하 이동되는 관통링을 포함하고, 일부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있는 티슈는 인출부분이 상기 관통링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plate and includes a through-hole which is moved up and down in a rotating process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A portion of the tissue, which is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passes through the through- can do.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이 회동할 때 접혀지는 접이부를 갖고 있는 접이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링은 상기 접이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접이밴드의 접이 과정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다.The suppor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olding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folding portion fold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pivots,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dur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folding band.
그리고 상기 접이밴드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편 및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링은 상기 제, 2연결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2연결편의 경계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The folding band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 / close board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through ring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The fold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또한 상기 접이밴드는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접이밴드 및 상기 개폐판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접이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밴드와 제2접이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링은 상기 연결밴드에 연결될 수 있다.The folding band includes a first folding band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open / close board and a second folding ba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 / close board, and a connecting band connecting the first folding band and the second folding band And the penetrating ring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nd.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판재 형태이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상부면 중 상기 인출구 주변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한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있는 티슈 일부를 덮고 있는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개폐판이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판을 상부에서 아래를 향해 누를 수 있다.The supporting part includes a supporting plate which is in the form of a plate and one end of which is vertically rotatable about an attaching point in a state where the one end is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outflow opening of the main body and the supporting plate covers a part of the tissue pulled out through the outflow opening And the support plate can be pushed downward from the top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utflow opening.
또한 상기 지지판 중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단부는 상기 인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판 중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판과 개폐판은 상호 마주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다.Further,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attached to the main body is located facing the main body of the open / close plate with respect to the outlet, and the support plate and the open / close plate can be rotated with each other fac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지지판 중 상기 티슈를 덮고 있는 쪽 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티슈의 단부가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A cutout groove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plate that covers the tissue, so that an end of the tissu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groove.
이 외에 상기 지지판 중 상기 티슈를 덮고 있는 쪽 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슈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end of the supporting plate covering the tissue, and an end of the tissu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과 상기 개폐판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이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편을 통해 상기 개폐판과 지지판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protruding pieces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plate, and the open / clos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otruding pieces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utlets.
또한 상기 본체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단부는 상기 고정틀에 연결될 수 있다.And a fixing fram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end of the supporting plate may be connected to the fixing frame.
그리고 상기 지지판은 필름 형태이고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가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and may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during the rotation process.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se various embodiments,
기본적으로 티슈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일부가 함께 딸려 인출되는 아래쪽 티슈가 지지부에 걸려 인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항시 티슈의 낱장 인출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Basically,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tissue to the outside, a portion of the lower tissue pulled together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issue is not hooked to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tissue can be pulled out at one time.
그리고 티슈가 관통링이나 지지판의 관통공을 통과하는 형태로 인출되기 때문에 해당 티슈와 함께 딸려 인출되는 아래쪽 티슈 간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Since the tissue is drawn out through the through-hole or the through-hole of the support plate, the separation of the lower tissue accompanying with the tissue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티슈 일단부가 관통공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판을 닫을 때 접이밴드가 접이부를 중심으로 접혀지고 이 과정에서 관통링이 아래로 하강하면서 해당 티슈를 아래로 누름에 따라 티슈가 개폐판의 테두리에 걸쳐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어 개폐판의 닫힘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In addition, the folding band is folded around the folding portion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is closed while the one end of the tissue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In this process, as the through-ring descends downward, the tissue is moved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can be accurately closed.
이 외에 지지부가 지지판 형태일 경우에도 지지판의 단부가 티슈 일부를 덮고 있는 상태이고 개폐판을 닫을 때 개폐판이 지지판을 누르기 때문에, 결국 해당 티슈가 지지판에 의해 눌려짐으로, 티슈가 개폐판 테두리에 걸쳐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된다.In addition, even when the supporting portion is in the form of a supporting plate,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plate covers a part of the tissue. When the opening / closing plate is closed, the opening / closing plate presses the supporting plate. Consequently, the tissue is pressed by the supporting plate, A phenomenon such as losing is prevented.
더불어 이렇게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티슈를 잡을 필요가 없이도 티슈의 낱장인출과 누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티슈의 오염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hold the tissue directly by hand, the sheet is automatically pulled out and press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f the tissue.
그리고 티슈포장팩을 만드는 과정에서 인출구의 최초 밀폐용도로 사용되는 필름을 지지판으로 활용함에 따라, 제작이 편리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도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film used as the first sealing member of the outlet is used as a supporting plate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tissue packing pack, it is convenient to manufacture and ha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lowered.
도1은 전체 사시도
도2는 인출구 개방 상태의 결합 단면도
도3은 개폐판이 인출구를 덮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4 및 도5는 접이밴드와 관통링의 설치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6 내지 도11은 지지부를 지지판 형태로 구현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6는 전체 사시도
도7은 티슈 인출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8은 티슈 인출 후 아래쪽 티슈의 단부가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노촐된 상태의 단면도
도9는 개폐판이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지지판을 누름에 따라 해당 티슈가 눌려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개폐판이 인출구를 완전히 덮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11은 지지판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티슈의 단부가 관통공을 관통한 상태로 노출되어 있는 사시도
도12 및 도 13은 지지판을 필름 형태로 구현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Fig. 1 is a cross-
Fig. 2 is a cross-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open /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olding band and the through-
6 to 11 are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in which the support portion is implemented as a support plate,
Fig. 6 is a cross-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issue withdrawal process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lower tissue is extruded through the cutout groove after being taken out of the tissue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tissue is pressed as the support plate is pressed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exit opening of the open /
10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plate completely covers the outlet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support plate and an end portion of the tissue is exposed through the through-
12 and 1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support plate is realized in a film form
이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specific configuratio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제1실시예>≪
본 실시예에 의한 티슈용 포장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와 개폐부(200) 및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tissue packing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그 중 본체(100)는 실질적으로 티슈의 보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비닐팩 구조이고, 내부에는 티슈의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러 장이 적층된 티슈뭉치가 수용공간(110)에 수용되어 지며, 본체(100)의 상부면에는 티슈의 외부 인출을 위한 인출구(120)이 형성되어 있다.The
참고로 본체(100)는 비닐팩 구조 외에도 플라스틱 사출구조로도 제작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이러한 본체(100)에는 개폐부(200)가 설치된다.
The
개폐부(200)는 티슈의 인출과정에서 인출구(120)의 개폐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고정틀(210)과 개폐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먼저 고정틀(210)은 후술하는 개폐판(220)의 고정 역할 및 인출구(120) 주변에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링 형태이고 본체(100) 상부면에 설치되되, 인출구(120)를 중앙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인출구(120) 주변을 둘러싼 형태로 위치된다.First, the
그리고 개폐판(220)은 인출구(120)의 실질적인 개폐기능을 하는 것으로, 고정틀(210)의 내부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판재 형태이고 일측 테두리가 고정틀(210)의 후측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다.The opening and
이때 개폐판(220)과 고정틀(210) 간의 연결구조는 별도의 힌지구조를 통해 연결되거나 도면처럼 단순히 개폐판과 고정틀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경계지점이 쉽게 꺽일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구조 등 개폐판(220)이 고정틀과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하게 변형적용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opening /
더 나아가 고정틀을 생략하고 개폐판을 직접 본체에 연결하는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omit the fixing frame and connect the opening / closing plate directly to the main body.
참고로 이러한 개폐부는 고정틀(210)을 본체에 고정 부착시키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탈부착 구조의 경우 일 예로 인출구 주변에 별도의 보강필름을 부착시키고 고정틀의 하부면에 별도의 레일을 형성시켜 보강필름의 양단부가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etachable structure, an additional reinforc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outlet, and a separate rail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이 경우 고정틀을 비롯한 개폐부 전체가 보강필름을 통해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됨으로 새로운 포장팩을 사용할 경우 개폐부만 보강필름과 분리시킨 뒤 새로운 포장팩의 보강필름에 결합시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경제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ntire opening and closing parts including the fixing frame are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reinforcing film. Therefore, when a new packing pack is us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s from the reinforcing film and then reuse them by bonding them to the reinforcing film of the new packing pack. .
이렇게 설치된 개폐부(200)에는 지지부(300)가 설치된다.
The
지지부(300)는 티슈의 낱장 인출 및 덮개를 덮을 시 티슈의 걸림 방지 기능을 동시에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다시 접이밴드(310)와 연결밴드(330) 및 관통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그 중 접이밴드(310)는 개폐판(220)과 후술하는 관통링(320) 간 연결매개 기능 및 관통링(320)의 하강 유도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밴드 형태로 일단부는 개폐판(2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틀(210) 내측 테두리에 연결된다.The
즉 접이밴드의 타단부는 고정틀)(210)을 통해 본체(100)에 연결되는 것이므로, 만약 고정틀을 생략한 경우 접이밴드의 타 단부를 본체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That is, the other end of the folding band is connected to the
이러한 접이밴드(310)는 개폐판(220)과 고정틀의 양측 테두리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어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이때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의 중간지점에는 라인 형태의 접이부(3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접이부(311)에 의해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는 개폐판(220)이 닫히는 과정에서 접이부(311)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개폐판(220)의 닫힘 과정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a line-shaped
즉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는 각각 접이부(31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개폐판(220)과 연결되는 제1연결편(3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고정틀(210)을 통하거나 본체(100)에 직접 연결되는 제2연결편(30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이렇게 형성된 제1, 2접이밴드(310a)(310b)에는 관통링(320)이 연결된다.A through
관통링(320)은 티슈의 낱장인출 및 덮개를 덮는 과정에서 티슈의 누름 기능을 함께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링 형태, 즉 중앙에 관통공(322)이 형성된 구조이고 제1, 2접이밴드(310a)(310b)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에는 연결밴드(330)가 돌출 형태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e through-
그리고 양측의 연결밴드(330) 단부가 각각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의 중간지점에 일체로 연결되며, 관통링(320)은 본체(100)의 상부면과 수평 상태로 위치된다.The ends of the connecting
즉 관통링(320)은 연결밴드를 통해 접이밴드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That is, the through
이때 연결밴드(330)의 연결지점은 접이밴드(310)의 접이부(311)와 고정틀(210) 사이 지점에 연결됨에 따라, 관통링(320)의 위치도 접이부(311)와 개폐판(220) 사이 지점에 위치된다.The connecting point of the connecting
이처럼 관통링(320)은 연결밴드(330)와 접이밴드(310) 및 고정틀(210)을 통해 개폐판(220) 및 본체(100)와 연결되는 것이다.The through
이 상태에서 인출구(120)로부터 일부가 인출된 티슈(t)의 단부가 관통링(320)의 관통공(322)을 관통한 상태로 위치된다.
In this state,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t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drawing-out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위 실시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 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unique effect generated in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티슈를 인출하기 위해 개폐판(220)을 회동시켜 인출구(120)를 개방시키면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일부가 인출구(120)로부터 인출된 티슈(t) 단부가 관통링(320)에 끼워진 구조가 외부로 노출된다.When the opening and
[도 1] 및 [도 2]처럼 개폐판이 완전히 개방되면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도 완전히 펼쳐진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이 상태에서 [도 2]처럼 관통링(320)의 관통공(322)에 끼워져 있는 티슈를 잡아서 뽑으면 해당 티슈(t1)가 관통공(322)를 통과하면서 인출되고, 이 과정에서 본체(100) 내에서 해당 티슈 바로 아래에 위치한 티슈(t)가 함께 올라가 일부가 인출구(120)로 부터 인출된 후 관통링(320)의 관통공(322)에 끼워져 더 이상 따라가지 못하고 앞쪽 티슈(t1)와 분리된다.When the tissue inserted in the through
즉 이렇게 티슈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관통링(320)의 관통공(322)을 통과하도록 함에 따라 관통공(322)을 기준으로 인출하고자 하는 티슈 및 이와 함께 따라 올라오는 아래쪽 티슈(t)가 상호 분리되어 티슈의 낱장인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tissue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이렇게 티슈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이와 분리된 티슈의 단부도 관통링(320)의 관통공(322)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the end portion of the separated tissue is also inserted into the through
그 후 [도 3]과 같이 개폐판(220)을 반대로 회동시켜 고정틀(210)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과정에서 개폐판(220)이 회동될 때 제1접이밴드(310a)와 제2접이밴드(310b)는 각각 접이부(311)를 중심으로 접혀진다.The
그리고 이렇게 제1, 2접이밴드(310a)(310b)가 접혀지는 과정에서 각 접이밴드(310a)(310b) 중 접이부 아래쪽 지점에 연결된 연결밴드(330)와 관통링(320)은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first and
이렇게 관통링(320)이 하강함에 따라 관통링(320)에 끼워져 있는 티슈를 아래로 누르게 된다.As the through-
이로 인해 개폐판(220)이 닫힐 때 티슈가 고정틀(210)과 개폐판(220) 테두리에 걸쳐지는 현상이 발생 되지 않게 되어 개폐판이 안정적으로 닫히게 된다.
As a result, when the opening /
이처럼 본 발명은 개폐판(220)에 별도의 관통링(320)을 설치하여, 개폐판을 닫는 과정에서 관통링(320)이 티슈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개폐판이 정확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인출되는 티슈 및 이와 함께 따라 올라오는 티슈가 관통링을 기준으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낱장인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through-
더불어 사용자가 손으로 티슈를 잡지 않더라도 관통링을 통해 티슈의 분리 및 위치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티슈의 불필요한 오염도 방지할 수 있게 된 점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hold the tissue by the hand, the tissue is separated and moved through the through-hole,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ontamination of the tissu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4 is a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과 같이 접이밴드(310)가 하나만 구비되고 관통링(320)이 접이밴드에 직접 연결된 구조에 차이가 있다.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tructure in which only one
이때 접이밴드(310)는 일단부가 개폐판(220)의 테두리 중간 지점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틀의 테두리 중간지점에 연결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그리고 이 상태에서 관통링(320)은 접이밴드(310)의 중간지점에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때에도 관통링(320)은 접이밴드(310)의 접이부 아래쪽 지점에 형성된다.In this state, the penetrating
이러한 구조도 개폐판(220)이 회동하여 닫히는 과정에서 접이밴드(310)가 접이부(311)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관통링(320)이 하강하면서 티슈를 눌러 티슈가 개폐판(220)과 고정틀(210) 사이에 물리는 현상이 방지된다.In this process, the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이 접이밴드(310)의 개수를 줄이고 연결밴드를 생략함에 따라 위 실시예에 비해 재료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The present embodi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number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5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관통링(320)이 접이밴드(310)를 통해 개폐판(220)과 연결된 위 두 실시예와 달리 관통링(320)이 개폐판(220)에 직접 연결된 것에 차이가 있다.The through
즉 도면과 같이 관통링(320)의 일측단부가 개폐판(220)의 아래쪽 하부면(개폐판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뒤쪽 하부면이 됨)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설치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he drawing, one end of the through
이 상태에서 일부가 인출구(120)로 부터 인출된 티슈(t) 단부가 관통링(320)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t partially drawn out from the drawing-out
따라서 이렇게 티슈의 단부가 개폐판의 아래쪽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220)을 회동시켜 덮는 과정에서 티슈가 개폐판(220)과 고정틀(210) 외부로 튀어나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개폐판이 원활히 닫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end of the tissue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 tissue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opening /
참고로 위 실시예에서는 개폐부가 플라스틱 사출 구조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관통링(320)은 이러한 구조 외에도 개폐판이 단순 스티커 형태인 구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limited to the plastic injection structure. However, the through-
<제2실시예>≪ Embodiment 2 >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본체(100)에 개폐부(2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부(300)을 통해 티슈의 낱장인출 및 티슈의 누름 구조를 갖도록 한 기술적 개념은 위 실시예와 동일하다.FIGS. 6 to 11 are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다만 지지부(300)의 구조를 변경하여 간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Howev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upporting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부(300)은 일정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의 지지판(340)형태로 구현된다.The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판(340)은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재질의 판재 형태이고 일단부가 보강틀(210)의 내측 테두리에 연결되되 연결지점은 인출구(120)을 기준으로 개폐판과 보강판 간의 연결지점과 대칭되는 지점에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 상태에서 지지판(340)은 연결지점에서부터 타 단부로 갈수록 위를 향해 경사진 상태로 위치되는데, 이때 지지판(340)의 면적은 [도 10]처럼 지지판(340)을 아래로 눌렀을 때 인출구(1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이때 위 설명처럼 지지판(340)은 누르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자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 즉 경사진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도 7] 및 [도 8]처럼 지지판(340)이 경사진 상태일 경우 인출구(120)을 통해 일부가 인출되어 있는 티슈는 개폐판(220)을 향해 꺽어진 상태에서 의 단부가 지지판의 단부에 걸쳐진 상태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즉 지지판이 경사진 상태에서는 지지판(340)이 티슈의 일부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티슈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plate is inclined,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where the
이때 지지판(340) 중 티슈를 덮고 있는 쪽 단부에는 [도 6]처럼 절개(342)를 형성시킴으로써 티슈의 단부가 절개홈(342)를 통해 외부로 원활히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n
이 외에도 [도 11]처럼 해당 단부에 관통공(344)를 형성시킴으로써 티슈의 단부가 관통공(34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end of the tissue may b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즉 제1실시예의 관통링과 같은 개념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That is, the same concept as the through-hole ring of the first embodiment may be applied.
참고로 지지판(340)은 반드시 고정틀에 연결될 필요 없이 본체(100) 상부면에 직접 연결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정틀은 생략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그리고 이러한 지지판(340)의 상부면 상에는 별도의 돌출편(350)이 위쪽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도 9]처럼 개폐판(220)을 닫는 과정에서 개폐판(220)이 돌출부재(350)를 통해 지지판(340)을 원활히 누를 수 있도록 한다.A separate
참고로 돌출부재는 지지판에 형성되지 않고 개폐판의 하부면에 아래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개폐판(220)을 닫을 때 돌출부재(350)이 지지판(350)을 누르도록 할 수도 있다.The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rather than being formed on the supporting plate so that the protruding
더 나아가 돌출부재를 생략하고 개폐판(220)과 지지판(340) 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지지판(340)의 누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omitted and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Describing the operation by this structure,
[도 7]처럼 티슈를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인출되는 티슈(t1)와 함께 딸려나오는 티슈(t)는 지지판(340)의 단부에 걸려 더이상 인출되지 않게 되고, 일부만이 인출되어 [도 8]처럼 단부가 지지판(34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As shown in FIG. 7, the tissue t that comes out with the tissue t1 drawn out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tissue is caught by the end of the
즉 티슈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지지판이 함께 딸려나오는 티슈(t)를 위에서 누르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티슈(t)가 함께 완전히 인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ocess of pulling out the tissue, the tissue t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is supported in the form of being pressed from above, so that the tissue t is prevented from completely being pulled out together.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티슈의 인출과정에서 아래쪽 티슈가 함께 완전히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아래쪽 티슈를 잡아야 하는 번거로움 및 그에 따른 위생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r having to hold the lower tissue by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lower tissue from completely being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pulling-out process of the tissue, and thus the sanitation problem.
그 후 [도 9]처럼 개폐판(220)을 회동시켜 닫는 과정에서 개폐판(220)의 하부면이 지지판(340)의 돌출부재(350)의 상단부를 누르게 되고 이로 인해 지지판(340)도 아래로 함께 눌려져 [도 10]과 같이 인출구를 완전히 덮은 상태가 된다.9,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이렇게 개폐판을 덮는 과정에서 지지판(340)도 함께 눌려짐에 따라 지지판(340)이 티슈 중 인출되어 있는 구간을 누르게 됨으로 티슈는 개폐판쪽을 향해 꺽이면서 눌려지게 된다.As the supporting
이로 인해 티슈의 단부가 개폐판의 테두리 지점에 걸쳐져 개폐판의 닫힘에 방해를 주는 현상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이다.As a result,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extends over the edg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reby completely blocking the closing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따라서 개폐판을 닫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티슈의 단부를 개폐판 아래로 밀어넣어야 하는 번거로움 및 그에 따른 위생 문제가 해결된다.
Therefore,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 user has to push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with his / her hand under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hygiene.
[도 12] 및 [도 13]은 지지판(340)을 필름 형태로 구현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12 and 13 are views showing a case where the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티슈용 포장팩은 유통 등의 과정에서 티슈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인출구가 별도의 필름에 의해 덮여져 있는 상태로 생산된다.More specifically, in general, a tissue packing pack is produc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let is covered with a separate film in order to minimize evaporation of moisture of the tissue during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the like.
이러한 필름은 최초 사용시 떼어내 버리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최초 인출구(120) 밀폐용도로 사용되는 필름을 지지판(340)으로 활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Such a film is detached at the time of first use. In this embodiment, the film used as the sealing member for the
따라서 최초 사용시 인출구(120)으로 부터 분리된 지지판은 일측이 본체 상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머지 구간은 위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위치된다.Therefore, the supporting plate separated from the
즉 위 제2실시예의 지지판과 동일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That is,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support plate of the second embodiment.
참고로 이 경우에도 [도 13]과 같이 티슈의 단부가 지지판(340)의 타 단부에 걸쳐진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어, 지지판이 티슈의 인출구간을 위에서 눌러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Also in this case,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 which the end portion of the tissue is spread over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따라서 티슈의 인출 시 아래쪽에 함께 딸려 인출되는 티슈는 지지판에 걸려 완전히 인출되지 않게 되는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tissue is pulled out, the tissu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lower portion is hook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effect that the tissue is not completely drawn out can be obtained.
또한 개폐판을 닫는 과정에서도 개폐판(220)이 지지판(340)를 눌러, 최종적으로 티슈가 눌려지도록 함에 따라 티슈가 개폐판의 테두리에 걸쳐지는 현상도 동일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opening / closing plate, the opening /
참고로 도면과 같이 이 경우에도 필요에 따라 지지판(340)의 단부에 돌출부재(350)를 형성시켜 개폐판(220)을 닫을 때 지지판(340)이 돌출부재(350)에 의해 개폐판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in this case as well, a protruding
물론 이 경우에도 돌출부재는 지지판이 아닌 개폐판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is case as well,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instead of the supporting plate.
즉 지지판(340)을 필름 형태로 구현시키더라도 위 제2실시예의 구조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변형 가능성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at is, even if the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조합 및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본체 또는 개폐부에 연결된 지지부를 통해 티슈의 낱장인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개폐판을 덮는 과정에서 티슈가 개폐판 테두리에 걸쳐져 원활히 닫히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relates to the constitution and purpose of preventing the phenomenon that the cover is not closed smoothly.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인출구 200 : 개폐부
210 : 고정틀 220 : 개폐판
300 : 지지부 310 : 접이밴드
311 : 접이부 310a : 제1접이밴드
310b : 제2접이밴드 320 : 관통링
322 : 관통공 330 : 연결밴드
340 : 지지판 342 : 절개홈
350 : 돌출부재100: main body 110: accommodation space
120: Outlet port 200:
210: fixed frame 220: open / close plate
300: Support part 310: Folding band
311:
310b: second folding band 320: through ring
322: Through hole 330: Connection band
340: support plate 342: incision groove
350: protruding member
Claims (12)
일측이 상기 본체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판재 형태이고 일단부가 상기 본체 상부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며 상기 인출구를 통해 인출되어 있는 티슈 일부를 덮고 있고 상기 개폐판이 상기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개폐판에 의해 아래를 향해 눌려져 아래쪽으로 회동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과 상기 개폐판의 하부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이 상기 인출구를 덮는 과정에서 상기 돌출편을 통해 상기 개폐판과 지지판이 상호 연결되는
티슈용 포장팩.
A body in which a tissue is stacked inside and an outle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 opening / clo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opening / closing the outlet,
Wherein on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vertically rotatable around the connecting point and covers a part of the tissue pulled out through the outflow port and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utflow port, And a support plate that is pushed downward and pivoted downward,
A protruding piece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plate, and the open / close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protruding piece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outlets
Packing pack for tissue.
일측이 상기 본체 상부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하는 개폐판,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부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판이 회동할 때 접혀지는 접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이밴드 및 상기 접이밴드에 연결되어 상기 접이밴드의 접이 과정에서 상하 이동되는 관통링을 갖는 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티슈는 일부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관통링은 인출되어 있는 상기 티슈의 일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티슈 중 인출부분이 상기 관통링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관통하고 있는
티슈용 포장팩.
A body in which a tissue is stacked inside and an outle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 opening / closing plat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and opening / closing the outlet,
A folding b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 close board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folded portion folded when the open / close board rotates, and a folding band connected to the folding band, A support portion having a through-hole ring which is moved up and down
Lt; / RTI >
Wherein a portion of the tissue is drawn out through the outlet and the through ring covers a portion of the drawn tissue and the drawn portion of the tissue passes through the through ring from below to above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접이밴드는,
일단부가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편 및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제2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링은 상기 제, 2연결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접이부는 상기 제1, 2연결편의 경계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티슈용 포장팩.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lding band
A first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 closing plate and a second connecting piec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through ring i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and the folding portion is formed at a boundary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ieces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접이밴드는 상기 개폐판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접이밴드 및 상기 개폐판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2접이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이밴드와 제2접이밴드를 연결하는 연결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링은 상기 연결밴드에 연결되어 있는
티슈용 포장팩.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olding band includes a first folding band located on one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and a second folding b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And a connecting band connecting the first folding band and the second folding band,
Wherein the through ring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nd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지지판 중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단부는 상기 인출구를 기준으로 상기 개폐판 중 상기 본체와 마주하는 형태로 위치하고 있고,
상기 지지판과 개폐판은 상호 마주한 상태로 회동되는
티슈용 포장팩.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which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is positioned to face the main body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outlet,
The support plate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late are rotated in a state of facing each other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지지판 중 상기 티슈를 덮고 있는 쪽 단부에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티슈의 단부가 절개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티슈용 포장팩.
The method of claim 1,
A cutout groove is formed in an end of the support plate that covers the tissue, and an end of the tissu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utout groove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지지판 중 상기 티슈를 덮고 있는 쪽 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티슈의 단부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티슈용 포장팩.
The method of claim 1,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end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that covers the tissue, and an end of the tissu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본체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개폐판의 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의 단부는 상기 고정틀에 연결되어 있는
티슈용 포장팩.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fram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pening / closing plate so as to be rotatable,
The end of the support plate is connected to the fixed frame
Packing pack for tissue.
상기 지지판은 필름 형태이고 회동 과정에서 상기 인출구를 개폐가능한
티슈용 포장팩.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late is in the form of a film,
Packing pack for tissu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34804 | 2011-12-14 | ||
KR1020110134804 | 2011-12-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9376A KR20130069376A (en) | 2013-06-26 |
KR101408146B1 true KR101408146B1 (en) | 2014-06-17 |
Family
ID=4886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8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8146B1 (en) | 2011-12-14 | 2012-11-14 | Tissue pa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814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239B1 (en) * | 2018-12-27 | 2020-05-18 | 이승현 | opening apparatus of pack having function for restraining succeeding tissue |
KR20220041677A (en) * | 2020-09-25 | 2022-04-01 | (주)지크린텍 | Packed Tissue Cas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7917B1 (en) * | 2015-09-14 | 2017-01-02 | 이승현 |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et tissue packaging pac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0460A (en) * | 1997-10-15 | 1999-07-06 | Uni Charm Corp | Freely opened/closed container |
KR20060051534A (en) * | 2004-09-22 | 2006-05-1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Tissue repeat extraction container |
JP2008100747A (en) * | 2006-10-20 | 2008-05-01 | Uni Charm Corp | Moisture-keeping container |
KR20100094949A (en) * | 2009-02-19 | 2010-08-27 |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
-
2012
- 2012-11-14 KR KR1020120128898A patent/KR1014081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80460A (en) * | 1997-10-15 | 1999-07-06 | Uni Charm Corp | Freely opened/closed container |
KR20060051534A (en) * | 2004-09-22 | 2006-05-19 |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 Tissue repeat extraction container |
JP2008100747A (en) * | 2006-10-20 | 2008-05-01 | Uni Charm Corp | Moisture-keeping container |
KR20100094949A (en) * | 2009-02-19 | 2010-08-27 | 고조 인더스트리즈, 인크 |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2239B1 (en) * | 2018-12-27 | 2020-05-18 | 이승현 | opening apparatus of pack having function for restraining succeeding tissue |
KR20220041677A (en) * | 2020-09-25 | 2022-04-01 | (주)지크린텍 | Packed Tissue Case |
KR102453029B1 (en) * | 2020-09-25 | 2022-10-12 | (주)지크린텍 | Packed Tissue Ca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9376A (en) | 2013-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0200585B2 (en) | Wipes dispenser with anti-roping and anti-fallback features | |
US4566606A (en) | Dispenser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premoistened web of material | |
CA1138836A (en) | Container and dispensing plate for a roll of premoistened towelettes | |
US7731057B2 (en) | Moist towelette packaging | |
US20030080018A1 (en) | Cleansing wipe dispenser | |
KR101408146B1 (en) | Tissue pack | |
US10766671B2 (en) | Lid assembly for container | |
KR101280064B1 (en) | Tissue pack | |
US20110114512A1 (en) | Side-squeeze container | |
GB2473075A (en) | Soft pack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 |
CN107635888B (en) | Dispensing container | |
CN203767763U (en) | An anti-misuse system and a shell for a sheet dispenser and the sheet dispenser | |
KR101845623B1 (en) | Take off bracket for wet tissue storage case | |
KR101498354B1 (en) | Installation device for water-tissue package | |
KR101687917B1 (en) | Hol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wet tissue packaging pack | |
US20230219726A1 (en) | Closure assembly, system and method of use | |
KR200171946Y1 (en) | Umbrella Cover Automatic Packing Machine | |
KR101900887B1 (en) | Seal lid for wet tissue packaging packs | |
KR200480270Y1 (en) | Wet tissue container | |
KR200448323Y1 (en) | Wipes case with double lids in one container | |
KR102293913B1 (en) | Pack cover and manufacturing mold thereof | |
KR102556204B1 (en) | One Touch Cover for Wet Tissue Container | |
KR200487088Y1 (en) | Tissue outlet structure and tissue container including the same | |
CN215246711U (en) | Wet piece of cloth wrapping bag is with structure of uncapping and wet piece of cloth wrapping bag | |
CN101128363A (en) | Package and garbage process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