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06687B1 -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6687B1
KR101406687B1 KR1020130035344A KR20130035344A KR101406687B1 KR 101406687 B1 KR101406687 B1 KR 101406687B1 KR 1020130035344 A KR1020130035344 A KR 1020130035344A KR 20130035344 A KR20130035344 A KR 20130035344A KR 101406687 B1 KR101406687 B1 KR 10140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ld
camping trailer
present
main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진환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이태호
계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호, 계진환 filed Critical 이태호
Priority to KR1020130035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6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66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수단 상부에 형성된 주거부를 구성하는 바닥과, 외벽과, 지붕 상호간의 연결부에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매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보온, 방습 효과를 높여 사계절 사용을 보장하며,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원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바퀴부와 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된 이송수단; 및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연결되고, 바닥과, 벽체들과, 지붕으로 구성되는 주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거부는 조립된 몰드하우징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들과, 상기 지붕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되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CAMPING TRAILER}
본 발명은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수단 상부에 형성된 주거부를 구성하는 바닥과, 외벽과, 지붕 상호간의 연결부에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음매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보온, 방습 효과를 높여 사계절 사용을 보장하며, 제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원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주5일제의 확대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도시로부터 벗어나 여가시간을 자연공간에서 보내려는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짐에 따라, 야외 공간에서의 캠핑 문화가 늘어나, 단순히 텐트 등을 이용한 캠핑에서 더 나아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을 즐기기 위하여 다양한 이동식 캠핑 트레일러가 제안되고 있다.
그리고 캠핑 문화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캠핑 도구들이 출시되면서 특정 계절에만 캠핑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사계절 내내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겨울과 같이 추운 환경이나 우천 시에도 쾌적한 주거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캠핑 트레일러를 찾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수요에 발맞추어 다양한 캠핑 트레일러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22739호(공고일자 2012년03월27일)가 있다.
상기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바퀴를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며, 바닥판과, 벽체와, 지붕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주거공간을 형성하는 펜션본체; 상기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며, 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지지수단; 상기 프레임 전방에 구비되는 견인수단; 상기 견인수단이 연결되는 캠핑 트레일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명과 같은 종래 기술은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하고, 경량화 및 제조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거공간인 펜션 본체의 바닥판과, 벽체와, 지붕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FRP라 함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케블라 등의 방향족 나일론 섬유와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 수지 등의 열경화수지를 결합한 물질로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고 가공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FRP를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는 다양한 방법 중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써 성형제품의 한쪽 면만이 몰드에 접촉되어 경화되어 성형되는 OPEN MOLD 공법, 성형제품의 양쪽면 모두가 몰드에 접촉되어 경화되어 성형되는 CLOSE MOLD 공법, 대략의 몰드에서 심재(우레탄발포 등)를 만들고 양쪽 면을 적층하면서 형태를 만들어 가는 NO MOLD 공법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법들을 활용해 캠핑 트레일러의 주거부(주거 공간, 이하 주거부로 통칭함)를 제작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써 주거부를 구성하는 바닥과 사면 벽체 및 지붕을 패널로 제작하여 조립하고, 상기 패널이 연결되는 이음매를 밀폐하는 보조패널를 보강조립을 하여 완성시키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라 제작되는 캠핑 트레일러의 주거부는 각 구성부간의 사이에 이음매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시적으로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캠핑 트레일러의 특성 상 오래된 사용으로 인하여 이음매가 벌어지거나 이음매를 밀폐하는 보조패널 등이 파손되어 우천 시 누수가 발생하기 쉽고, 보온 효과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 종래 기술에 따른 패널공법을 활용하여 캠핑 트레일러의 주거부를 구성하는 패널 제작 시 크기의 제한으로 인하여 금형을 활용한 제작이 어렵기 때문에 몰드하우징의 일측 면에 FRP 등의 수지를 로울러나 브러쉬를 통해 바르는 핸드레이 업(HAND LAY UP) 방식으로 주로 패널이 제작되는데, 이러한 핸드레이 업 방식의 패널 제작 방법의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으며, 노무비율이 높아 제작 단가가 높아지고, 제작 시간이 오래 걸려 다품종 소량생산의 경우에만 활용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거부를 구성하는 바닥과, 벽체들과, 지붕을 조립하는 공정을 배제하여 주거부를 완성하여 각 구성부 사이에 이음매를 없애 누수를 방지하고, 보온, 방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조립된 몰드하우징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바닥과, 벽체들과 지붕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주거부 내부의 화장실, 싱크대 등에서 사용되는 물의 공급 및 배출을 위한 배관이 바닥의 바닥재 하부에 함몰되어 형성됨으로써 주거부 내부공간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외변을 따라 내부 배관을 위한 배관홈를 포함하는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계절 내내 상시적으로 외부에 위치하는 캠핑 트레일러의 특성을 고려하여 내부 배관의 동파 등에 의하여 내부 배관의 파손되어 물의 유출될 경우 자동적으로 물의 배출이 이루어져 추후 보수를 쉽게 행할 수 있고, 별도의 펌프와 같이 하수 배출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물의 배출이 용이하고, 배관홈 내부에 습기 등이 찰 경우 자연 배출이 가능하도록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된 바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배관홈을 포함하는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견인을 통한 이송뿐만 아니라, 지게차를 통하여 적재함을 구비한 이송장비에 적재하여 이송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서 지게차를 통한 이송 및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를 포함하는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바퀴부와 메인프레임으로 구성된 이송수단; 및
상기 메인프레임 상부에 연결되고, 바닥과, 벽체들과, 지붕으로 구성되는 주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거부는 조립된 몰드하우징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상기 바닥과, 상기 벽체들과, 상기 지붕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되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서 상기 일체형 하우징의 바닥은 외변을 따라 내부 배관을 위한 배관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에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홈은 상기 바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쌍의 지게차 어댑터가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조립된 몰드하우징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바닥과, 벽체들과, 지붕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되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주거부를 도입하여, 이음매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보온, 방습 효과가 뛰어나 캠핑 트레일러의 사계절 사용 시 종래의 캠핑 트레일러보다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제작 숙련도에 의하여 품질이 달라지던 기존의 생산 방식인 패널공법의 단점을 해소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도,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주거부를 제공함으로써, 장마철이나 태풍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일체형 하우징의 바닥의 외변을 따라 내부 배관을 위한 배관홈을 구비하여 내부 배관 설치에 따른 내부 공간 활용의 제약을 해소하고, 미관을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캠핑의 즐거움을 만끽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는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된 바귀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배관홈을 도입하여, 별도의 펌프가 없어도 주거부에서 사용된 하수 배출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펌프 작동에 의한 소음을 줄여 보다 안락한 캠핑을 즐길 수 있으며, 나아가 경사진 배관홈에 의하여 동파 등 내부 배관의 파손에 의한 하수 또는 습기 등에 의한 물이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 보수가 용이하며, 곰팡이 등의 미생물 발생을 억제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통상적인 견인 수단을 이용한 이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캠핑트레일러의 메인프레임의 무게중심 부위에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를 도입하여, 단거리 이동시에는 종래의 견인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한 이송을 가능하게 하고, 장거리 이동시에는 별도의 적재공간을 구비한 이송수단에 지게차를 이용하여 적재를 한 후 이송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안전한 이송을 실현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지게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에 캠핑 트레일러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는 바닷가에 캠핑트레일러를 설치하였다가, 겨울철에는 스키장 근처에 캠핑트레일러를 이동 설치하는 경우 견인차를 이용한다면, 통상의 차량 보다는 상대적으로 긴 캠핑 트레일러를 장거리 이동할 수 있는 숙련 운전자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일반 캠핑족이 숙련성을 갖기도 어렵고, 그만큼 인건비가 비싸며,
국도나 지방도로의 경우 커브길이나 좁은 길 등 난코스가 많은데 이러한 난코스를 무사히 통과하기는 쉽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예를 들어 8톤 트럭 화물칸에 지게차를 이용하여 캠핑 트레일러를 도 7의 편집 사진과 같이 들어 올려 실으면 되므로, 쉽게 캠핑 트레일러를 이동 설치할 수 있고, 화물차를 수배하기도 쉬우며, 빠르게 대량 이동하기에도 적합하므로 굉장히 우수한 이동 설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에 해당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일체형 하우징 제작을 위한 몰드하우징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일체형 하우징 제작을 위한 몰드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일체형 하우징 제작을 위한 몰드하우징의 바닥부 종단면도 및 일체형 하우징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일체형 하우징과 종래 캠핑 트레일러의 하우징을 비교 도시한 사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메인프레임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캠핑 트레일러를 지게차로 들어 올린 사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캠핑 트레일러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고, 견인부(30)가 있는 방향을 전단으로 하여 전단에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 및 전후좌우를 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이동을 위한 바퀴부(10)와 이 바퀴부(10)와 연결된 메인프레임(20)으로 구성되는 이송수단 및 상기 메인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고, 바닥(42)과, 벽체(43)들과, 지붕(44)으로 구성되는 주거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거부(40)의 바닥(42)과, 벽체(43)들과, 지붕(44)은 내열성, 경량화, 보온, 방습 등을 고려하여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FRP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등과 수지 및 경화제 등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유리섬유만을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FRP 성형에 사용되는 모들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후술하는 일체형 하우징 성형 공정에서 본 명세서에서 부가 설명하지 않은 모든 재료 도포 공정으로 치환하여 재현할 수 있는 것이고, 이에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상기 주거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몰드하우징(50)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상기 바닥(42)과, 상기 벽체(43)들과, 상기 지붕(44)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되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거부(40)를 구성하는 일체형 하우징(41)을 도입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문, 창문 등을 제외한 하우징(41) 전체에 이음매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빗물 등의 수분의 내부 침투를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하여도 우천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며,
외부 공기와 완벽한 차단 효과를 발휘하여 보온 효과를 증대시켜 겨울철에도 보다 따뜻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일체형 하우징(41)을 구현하기 위한 원 몰드 방식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몰드하우징(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하우징(41)의 바닥(42)을 성형하기 위한 바닥몰드하우징(51), 상기 벽체(43)들을 성형하기 위한 벽체몰드하우징(53) 및 지붕(44)을 성형하기 위한 지붕몰드하우징(52)으로 구성된다.
상기 몰드하우징(50)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후술하는 FRP 내부 성형을 위하여 하우징(41)의 전면 창문 또는 측면 창문 등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부(54)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드하우징(50)은 스테일렌스 등의 철재류나 목형 등 종래 FRP 성형을 위한 거푸집으로써 기능하는 모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하우징(41)을 구현하기 위한 원 몰드 방식의 제작 방법은 각각의 몰드하우징(50)의 내측면에 약품을 이용한 왁싱 공정을 수행하는 (A)단계,
상기 왁싱된 내측면에 겔코트(41a)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B)단계,
상기 겔코트(41a) 처리된 내측면에 유리섬유(41b)를 적층하는 (C)단계,
상기 몰드하우징(50)을 조립하는 (D)단계,
조립된 몰드하우징(50) 내부에서 수지(41c)를 분사하여 일체형 하우징(41)을 성형하는 (E)단계 및
건조된 일체형하우징(41)으로부터 상기 몰드하우징(50)을 분리하는 (F)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 단계의 왁싱 공정은 공지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써 이형제 도포전에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의 겔코트(41a)(Gelcoat)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41c)에 안료를 첨가한 것으로 유리섬유(41b)의 경화와 하우징(41)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유색 겔코트(41a)를 사용할 경우 하우징(41)의 도색을 대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겔코트(41a) 도포 공정은 붓이라 롤러를 이용한 투톤 공정과, 스프레이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는 겔코트(41a) 도포 공정을 대신하여 FRP 성형을 위한 다른 재료의 도포 공정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B)단계 후 상기 (C)단계에서 FRP 재질의 일체형 하우징(41) 성형을 위한 유리섬유(41b) 적층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유리섬유(41b) 적층 작업은 테두리 또는 완성 시 무게 중심이 쏠리는 부위에 1차 적층 공정을 한 후 전체적으로 2차 적층 공정 후 그 위에 3차 유리섬유(41b) 적층 공정을 행하여 하우징(41)의 강도를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단계 공정 후 유리섬유(41b)와 겔코트(41a)가 경화된 몰드하우징(50)의 각각의 구성품을 조립하는 (D) 공정을 거친 후 상기 몰드하우징(5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개구부(54)를 통하여 작업자가 조립된 몰드하우징(50) 내부로 들어가 수지(41c)를 분사하여 일체형 하우징(41)을 성형한다.
상기 수지(41c)는 공지의 FRP 성형에 사용되는 다양한 수지(41c)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D)단계에서 수지(41c)를 붓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할 경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여 불량품이 발생하기 쉬운데,
본 발명은 분사작업을 통해 수지(41c)를 도포하게 되어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품질의 하우징(41)을 성형하기 쉽고, 제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후 건조((E)단계)를 거친 후 조립된 몰드하우징(50)을 일체형 하우징(41)으로부터 분리하는 (F)단계가 이루어지면 상술한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41)이 완성된다.
이후 캠핑 트레일러의 디자인에 부합되도록 출입문, 추가 창문 등을 컷팅하여 메인프레임(20)에 일체형 하우징(41)을 결합시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하우징(41)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가 완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일체형 하우징(41)을 도입함에 따라 주거부(40)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위한 배관을 하우징(41) 내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 공간만큼 주거부(40)의 공간 활용을 저해하고 내부 미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하우징(41)의 바닥(42)의 외변을 따라 하부로 함몰되어 배관이 설치될 수 있는 배관홈(45)을 구비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바닥몰드하우징(51)은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홈 형성부(51a)를 갖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몰드하우징(51)과 벽체몰드하우징(53)를 조립한 후 상기 (D)단계의 수지(41c) 분사 공정을 하게 되면 배관홈(45)이 구비된 하우징(4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하우징(41) 완성 후 바닥(42)에 별도의 바닥재(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내부 배관을 바닥재로 밀폐시켜 내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은 내부 배관의 자연적인 하수 배출 및 배관 파손에 의한 하수 유출 또는 습기에 의한 수분 발생 시 물이 외부로 자연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관홈(45)이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바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레일러 전체 하중의 분산을 위하여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배관홈(45)을 상기 바퀴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바퀴부의 일측에 수분 배출을 위한 배출공(미도시)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관홈(45)에 구비되는 배관의 물 또는 배관홈(45) 내부의 물이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관홈 형성부(51a) 역시 상기 바퀴부형성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B]의 확대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다른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을 위한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타이어 등에 한정하지 않고 자체 이동이 가능한 모든 수단이 가능하다.
상기 바퀴부(10)와 연결되는 메인프레임(20)은 철골 등의 재질을 모두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거부(40)를 지탱할 수 있는 형태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부에 주거부(4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라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10)는 한 쌍씩 이루어지는 바퀴(11) 두 쌍이 상기 메인프레임(20) 무게중심부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바퀴(11)는 상호 연결되고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축(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퀴부(10)를 구성하는 바퀴(11)의 수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며, 캠핑 트레일러에 따라 적절한 바퀴(11)의 크기와 수를 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을 들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부에 지게차포크가 삽입되고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을 들어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부에 지게차포크가 삽입되고 안내되는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부에는 바퀴부(1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게차 어댑터(22)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부(10)를 중심으로 양측에 이격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바퀴(11)로 구성되는 바퀴부(10)를 제시하기 때문에 측면에 보았을 때 상기 바퀴부(10)의 양측에 상기 지게차 어댑터(22)가 형성되나, 바퀴(11)의 수나 크기에 따라 상기 지게차 어댑터(22)의 위치는 변형 가능하며, 통상적으로 이용되어지는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 될 수 있도록 바퀴부(10)를 구성하는 바퀴(11)사이에 이격 배열되어 형성하되, 지게차가 포크를 삽입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을 들어 올려 이송 시킬 때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무게중심부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지게차 어댑터(22)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부의 저면에 형성되나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본 기능을 제한하지 않는 한 메인프레임(20)의 상하부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부에 보강프레임(21)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지게차 어댑터(22)는 이 보강프레임(21)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20)에 보강프레임(21)을 더 구비하고 이 보강프레임(21)에 상기 지게차 어댑터(22)를 구비함으로써, 지게차를 이용하여 캠핑 트레일러의 이송 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 보강프레임(21) 역시 재질에 한계는 없으나, 지게차로 캠핑 트레일러를 들어 올렸을 때 안전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철골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6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지게차 어댑터(22)는 각각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가이드(22a)와 상기 지게차 포크의 단부가 걸리는 보강부재(2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22a)는 지게차를 이용한 이송 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고 안내될 수 있는 모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보강부재(22b)는 상기 보강프레임(21) 저면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되어 지게차 포크와 접촉됨으로써 지게차를 이용한 보다 안전한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현장 여건에 따라서 구비된 지게차의 포크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 반대측 가이드(22a) 또는 반대측 보강프레임(21)에 포크가 접촉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으로 인하여 캠핑 트레일러를 들어 이동하는 작업 자체가 불가능해 지는 것을 방지하며, 무리하게 짧은 포크를 갖는 지게차를 이용하여 캠핑 트레일러를 드는 경우 포크가 빠져 캠핑 트레일러가 추락하거나 캠핑 트레일러가 파손되고,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위험 상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의 [A]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가이드(22a)는 개구부(54)를 갖는 凹자 형태의 삽입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보강프레임(21)의 모두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게차 어댑터(22)는 상기 가이드가 상호 연결되어 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변형 가능하다. 양측에 개구부(54)를 갖는 관의 형태로 가이드가 형성될 때에는 지게차 포크의 안전한 삽입 및 안내가 가능할 뿐 아니라, 관 형태의 가이드로 인하여, 가이드의 내측 상면이 상기 지게차포크의 상면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22b)를 대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부(10)는 완충수단(13)을 더 구비하여 상기 메인프레임(20)과 연결된다.
상기 완충수단(13)은 상기 바퀴부(10)의 회전축(12)과 연결되는 고리(13a)와, 이 고리(13a)의 하측에 연결되고 탄성재질을 갖으며 양 말단이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의 완충지지살(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지지살(13b)은 양 말단이 상기 보강프레임(21)과 힌지 결합하는 메인지지살(13c)과 이 메인지지살(13c)과 적층 결합하되, 메인지지살(13c)보다 길이가 짧고 탄성계수가 높은 복수개의 보조지지살(13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완충수단(13)은 상기 바퀴부(10)의 회전축(12)에 고리(13a)로 연결되고, 상기 보강프레임(21)에 힌지 결합하여, 바퀴부(10)의 회전축(12)을 중심으로 메인프레임(20)을 중력 방향으로 상하 진동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의 바퀴부(10)가 지면에 접촉되면, 상기 보강프레임(21)에 양 말단이 상측으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된 상기 완충지지살(13b)이 하측으로 휘면서 중력의 작용을 메인프레임(20) 전체로 분산하고, 이에 하기에 설명할, 상기 메인프레임(20) 둘레에 형성되고 제2분체(23c)가 제1분체(23b)로부터 빼내어진 자립형 지지대(23)는 압력을 받아 본 발명에 따른 캠핑 트레일러가 자립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립형 지지대(23)의 제2분체(23c)를 수납 고정한 상태로 기타 이송장비를 이용하여 견인 이송할 때 상기 완충수단(13)은 이송경로의 요철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메인프레임(20) 및 메인프레임(20) 상부의 주거부(40) 내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퀴부 11 : 바퀴
12 : 회전축 13 : 완충수단
13a : 고리 13b : 메인지지살
13c : 보조지지살
20 : 메인프레임 21 : 보강프레임
22 : 지게차 어댑터 22a : 가이드
22b : 보강부재 23 : 자립형 지지대
23a : 결합가이드 23b : 제1분체
23c : 제2분체 23d : 고정부재
30 : 견인부 31 : 견인수단
33 : 보조바퀴 35 : 핸들
37 : 제동장치 40 : 주거부
41 : 일체형 하우징 41a : 갤코트
41b : 유리섬유 41c : 수지
42 : 바닥 43 : 지붕
44 : 벽체 45 : 배관홈
50 : 몰드하우징 51 : 바닥몰드하우징
51a : 배관홈 형성부 52 : 지붕몰드하우징
53 : 벽체몰드하우징

Claims (4)

  1. 바퀴부(10)와 메인프레임(20)으로 구성된 이송수단; 및
    상기 메인프레임(20) 상부에 연결되고, 바닥(42)과, 벽체(44)들과, 지붕(43)으로 구성되는 주거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주거부(40)는 조립된 몰드하우징(50) 내부에서 수지 분사 공정을 통해 상기 바닥(42)과, 상기 벽체(44)들과, 상기 지붕(43)이 동시에 성형되는 원 몰드 방식으로 제작되어 이음매가 없는 일체형 하우징(4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체형 하우징(41)의 바닥(42)은 외변을 따라 함몰되어 물의 공급 및 하수 배출을 위한 내부 배관이 설치될 수 있는 배관홈(4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0)는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배관홈(45)은 상기 바퀴부(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10) 일측에는 상기 배관홈(45)과 연결되어 상기 배관홈(45)에 구비되는 내부 배관 또는 배관홈(45) 내부의 수분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20)의 무게중심 부위에 이격 배열되고, 지게차포크가 삽입, 안내되는 한쌍의 지게차 어댑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KR1020130035344A 2013-04-01 2013-04-01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40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44A KR101406687B1 (ko) 2013-04-01 2013-04-01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344A KR101406687B1 (ko) 2013-04-01 2013-04-01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6687B1 true KR101406687B1 (ko) 2014-06-13

Family

ID=5113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3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06687B1 (ko) 2013-04-01 2013-04-01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6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5640A1 (ja) * 2018-09-27 2020-04-02 田上晴彦 木製トレーラーハウ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86B1 (ko) * 2007-03-09 2007-06-27 김동준 차량견인용 캠핑카시스템
KR20110007862U (ko) * 2010-02-02 2011-08-10 박진령 강화플라스틱에 골판지등의 종이류, 우레탄보드 혹은 석고보드등의 보드류, 스티로폼류, 스폰지류, 고무, 각재 및 목재등의 복합소재를 결합하여 벽체 및 지붕으로 된 이동용 주택 및 사무실 컨테이너 박스
KR101122739B1 (ko) * 2011-04-08 2012-03-27 오세환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386B1 (ko) * 2007-03-09 2007-06-27 김동준 차량견인용 캠핑카시스템
KR20110007862U (ko) * 2010-02-02 2011-08-10 박진령 강화플라스틱에 골판지등의 종이류, 우레탄보드 혹은 석고보드등의 보드류, 스티로폼류, 스폰지류, 고무, 각재 및 목재등의 복합소재를 결합하여 벽체 및 지붕으로 된 이동용 주택 및 사무실 컨테이너 박스
KR101122739B1 (ko) * 2011-04-08 2012-03-27 오세환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5640A1 (ja) * 2018-09-27 2020-04-02 田上晴彦 木製トレーラーハウ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6146A1 (en) Housing unit module and corresponding housing unit
US6355193B1 (en) Method for making a faux stone concrete panel
US20080265617A1 (en) Fold-out trailer
KR101406687B1 (ko) 원 몰드 방식의 성형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한 캠핑 트레일러
CN104405039B (zh) 模块化积木式可集装箱装载的建筑物及搭建方法
KR101377756B1 (ko) 일체형 바디구조를 갖는 캠핑 트레일러
CN103052535A (zh) 带有整合平台的移动房屋
CN201362983Y (zh) 车用露天收缩式帐篷
CN106351336A (zh) 建筑物的气膜钢筋混凝土壳体结构及施工方法
CN203809215U (zh) 一种风机机舱罩
ITMI20062116A1 (it) Tettoia di proterzione per mezzi di trasporto in particolare camper
CN201103086Y (zh) 盖板
CA1078312A (en) Storage tank structure for the carriage of liquids
WO2011141385A1 (en) Modular bridge
CN102383694A (zh) 房车车窗
KR20240146930A (ko) 정박형 카라반용 지붕
CN101429790A (zh) 避震保温装饰型墙体结构
KR102077442B1 (ko) 건축물의 외장재
CN213775279U (zh) 一种带有遮雨棚的钻孔钻杆摆放架
JP2012131255A (ja) 運搬用車両の荷台
KR102033844B1 (ko) 건축물의 외장재
CN207878640U (zh) 一种外挑阳台
KR20240081895A (ko) Frp 몰드를 이용한 내피부재 및 이를 이용한 낚시용 카라반
KR100571889B1 (ko) 트럭 적재함의 조립식 덮개장치
CN107046247A (zh) 一种便于配电柜安装和移动的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9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6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