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405072B1 -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 Google Patents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5072B1
KR101405072B1 KR1020097016941A KR20097016941A KR101405072B1 KR 101405072 B1 KR101405072 B1 KR 101405072B1 KR 1020097016941 A KR1020097016941 A KR 1020097016941A KR 20097016941 A KR20097016941 A KR 20097016941A KR 101405072 B1 KR101405072 B1 KR 10140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ed
main body
bag
pierced
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4784A (ko
Inventor
후지오 이노우에
이사무 타테이시
타츠로 츠루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ublication of KR2010001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3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for products to be mix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10Bag-type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2Separating means
    • A61J1/2024Separating means having peelable se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밀봉 부분에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관이나 운반시에 백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를 흠집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를 제공한다.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백 본체를 형성하도록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한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상기 피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액백용 포트 부재, 수액백

Description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PORT MEMBER FOR INFUSION BAG, AND INFUSION BAG}
본 발명은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백 본체에 대하여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상기 포트 부재를 구비한 수액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로서 다양한 것이 제공되고 있고, 그 중 하나로서,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외주 단부)(E, E)끼리가 밀봉됨으로써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500)이 형성된 백 본체(50)와, 백 본체(50)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포트 부재(51)를 구비한 수액백(5)이 알려져 있다.
상기 포트 부재(51)는 중공침(N)을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마개체(510)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통 형상의 본체부(511)와, 상기 본체부(511)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511) 내에 내부를 연통시킨 원통 형상의 피밀봉부(5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포트 부재(51)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백 본체(50)를 구성하기 위해 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 E)에 상기 피밀봉 부(512)가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됨으로써 백 본체(50)에 대하여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포트 부재(51)는 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 E)끼리를 밀봉하여 백 본체(50)를 제작할 때에 피밀봉부(512)가 2장의 수지 시트(S, S)의 단부(E, E)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수지 시트(S, S)와 액밀(液密)하게 밀봉됨으로써 상기 피밀봉부(512)를 통해 본체부(511)와 백 본체(50)의 내부 공간(500)이 연통된 상태로 백 본체(50)에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구성의 수액백(5)은 상기 마개체(510)에 중공침(N)을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중공침(N)을 통해 백 본체(50)로부터 약제를 주출, 또는 백 본체(50)에 약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등록 실용 신안 제 3118911호 공보
그런데, 상기 구성의 수액백(5)은 포트 부재(51)의 피밀봉부(512)[수지 시트(S, S)의 밀봉되는 부분]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포트 부재(51)를 수지 시트(S, S)에 접속시키면(밀봉하면) 상기 피밀봉부(512)에 대응하는 부분의 수지 시트(S, S)가 상기 피밀봉부(512)의 형상을 따라 크게 돌출(변형)된 형태가 된다.
그 결과, 수지 시트(S, S)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S, S)와 피밀봉부(512)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 수지 시트(S, S)에 주름(W)이 형성되거나[도 11(a) 참조], 미소한 간극(G)이 형성되거나[도 11(b) 참조] 해버릴 경우가 있어서 상품으로서의 볼품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름(W) 부분이나 간극(G)으로부터 약제가 누설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또한, 백 본체(50)가 변형 가능한 수지 시트(S, S)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액백(5)을 보관이나 운반할 때에 약제를 수용한 백 본체(50)를 접은 상태(예를 들면, 반으로 접은 상태)로 될 경우가 있지만, 피밀봉부(512)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피밀봉부(512)의 개구단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분(EP)이 돌출된(각이 생긴) 상태가 되고, 백 본체(50)를 접음으로써 상기 돌출된 부분(EP)과 그에 대향하는 부분이 국부적으로 접촉되어 수지 시트(S, S)에 구멍이 생길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밀봉 부분에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관이나 운반시에 백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를 흠집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 부재는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백 본체를 형성하도록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한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상기 피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중합된 수지 시트」란 2장의 수지 시트를 중합시킨 것은 물론이고, 1장의 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어 접힘 능선을 경계로 한 2개의 영역을 중합시킨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수액백용 포트 부재에 의하면,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밀봉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과,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즉, 피밀봉부가 장지름(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 사이)과 단지름(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 사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피밀봉부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피밀봉부를 수지 시트의 단부에서 끼워 넣어 밀봉하면 수지 시트의 끝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수지 시트가 평탄에 가까운 상태로 밀봉되게 된다. 그 결과, 수지 시트의 단부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와 피밀봉부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수액백용 포트 부재를 구비한 수액백에 있어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포트 부재의 피밀봉부가 편평하게 형성됨으로써 크게 돌출된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백 본체를 접은 상태에서 보관이나 운반을 행해도 포트 부재의 단부(피밀봉부의 단부)와 거기에 대응하는 부분의 국부적인 접촉이 억제되는 결과, 수지 시트에 구멍이 생기는 것도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액백용 포트 부재는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백 본체를 형성하도록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한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상기 피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중합된 수지 시트」란 2장의 수지 시트를 중합시킨 것은 물론이고, 1장의 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어 접힘 능선을 경계로 한 2개의 영역을 중합시킨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수액백용 포트 부재에 의하면, 마개체가 일단부에 밀봉된 통 형상의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된 통 형상의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밀봉부를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 넣어(지름 방향으로 압박하여) 밀봉하면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한 상태에서 상기 피밀봉부에 수지 시트가 밀봉되게 된다.
이로 인해, 피밀봉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과, 곡률 반경이 매우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즉, 피밀봉부가 장지름(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 사이)과 단지름(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 사이)을 갖는 형태가 된다. 그 때문에, 수지 시트의 끝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수지 시트가 평탄에 가까운 상태로 밀봉되게 되고, 수지 시트의 단부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와 피밀봉부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수액백용 포트 부재를 구비한 수액백에 있어서는 상술 한 바와 같이 포트 부재의 피밀봉부가 편평해짐으로써 크게 돌출된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백 본체를 접은 상태에서 보관이나 운반을 행해도 포트 부재의 단부(피밀봉부의 단부)와 거기에 대응하는 부분의 국부적인 접촉이 억제되는 결과, 수지 시트에 구멍이 생기는 것도 억제된다.
이 경우, 상기 피밀봉부는 본체부보다 얇게 형성되고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피밀봉부의 지름 방향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데다가 본체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본체부에서 중공침이 삽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중공침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마개체에 삽입된 중공침의 선단이 피밀봉부에까지 도달하지 않아 백 본체가 존재하는 부분에서 중공침이 실수로 찔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피밀봉부가 얇게 형성될 경우, 중공침이 피밀봉부에 도달하여 찔려 버리면 용이하게 관통해버릴 우려가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침이 피밀봉부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그러한 사태가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및 마개체는 2색 성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본체부에 대하여 마개체가 밀착되므로 본체부의 일단부에 대한 밀봉 성능이 높아지고, 또한 중공침의 삽입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2색 성형」이란 본체부 또는 마개체 중 어느 한쪽을 미리 성형해 두고, 다른쪽을 한쪽과는 다른 재질로 미리 성형한 본체부 또는 마개체에 밀착시키도록 성형하는 것을 말한다. 즉, 미리 성형한 본체부의 일단부 내에 충전한 성형 재료를 고화시킴으로써 마개체를 성형하거나, 미리 성형한 마개체를 금형 내에 넣고 마개체와 금형 사이에 충전한 성형 재료를 고화시킴으로써 본체부를 성형하거나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은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끼리가 밀봉됨으로써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백 본체와, 백 본체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포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부재가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된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액백으로서, 상기 포트 부재는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고, 상기 피밀봉부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에서 「중합된 수지 시트」란 2장의 수지 시트를 중합시킨 것은 물론이고, 1장의 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어 접힘 능선을 경계로 한 2개의 영역을 중합시킨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구성의 수액백에 의하면,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기 때문에 피밀봉부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과,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이 형성된다. 즉, 피밀봉부가 장지름(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 사이)과 단지름(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 사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피밀봉부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피밀봉부를 수지 시트의 단부에서 끼워 넣어 밀봉함으로써 수지 시트의 끝 가장자리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수지 시트가 평탄에 가까운 상태로 밀봉되게 된다. 그 결과, 수지 시트의 단부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와 피밀봉부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포트 부재의 피밀봉부가 편평하게 형성됨으로써 크게 돌출된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백 본체를 접은 상태에서 보관이나 운반을 행해도 포트 부재의 단부(피밀봉부의 단부)와 거기에 대응하는 부분의 국부적인 접촉이 억제되는 결과, 수지 시트에 구멍이 생기는 것도 억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중공침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마개체에 삽입된 중공침의 선단이 피밀봉부에까지 도달하지 않아 백 본체가 존재하는 부분에서 중공침이 실수로 찔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수액백용 포트, 및 수액백에 의하면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밀봉 부분에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관이나 운반시에 백 본체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를 흠집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의 전체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의 종단면도이고, 밀봉 부분에 해칭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로서 (a)는 정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평면도, (d)는 (b)의 Ⅰ-Ⅰ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를 백 본체에 대하여 액밀하게 접합시킬 때의 상태로서 (a)는 수지 시트의 단부에서 피밀봉부를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중합되는 수지 시트를 피밀봉부에 밀봉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a)는 접속 통부, 변형 통부, 및 피밀봉부가 원통 형상의 통체를 구성하는 성형품의 종단면도를 나타내고, (b)는 통체에 제 1 금형을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며, (c)는 통체에 제 1 금형을 삽입한 상태에서 밀봉부에 제 2 금형을 끼워넣게 한 상태를 나타내고, (d)는 성형 재료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e)는 충전된 성형 재료가 고화되어 제 1 금형 및 제 2 금형을 빼내는 상태를 나타내고, (f)는 피밀봉부를 편평 형상으로 성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의 종단면도이고, 밀봉 부분에 해칭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로서 (a)는 정면도, (b)는 종단면도, (c)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를 백 본체에 대하여 액밀하게 접합시킬 때의 상태로서 (a)는 수지 시트의 단부에서 피밀봉부를 끼워 넣은 상태를 나타내며, (b)는 중합되는 수지 시트를 피밀봉부에 밀봉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a)는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있지 않은 백 본체를 갖는 수액백의 단면도를 나타내며, (b)는 내부 공간이 2개로 구획된 백 본체를 갖는 수액백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별도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의 종단면도로서 (a)는 피밀봉부의 외경을 접속 통부의 외경보다 작게 한 포트 부재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b)는 피밀봉 부재의 내경을 접속 통부의 내경보다 크게 함과 아울러 피밀봉 부재의 외경을 접속 통부의 외경보다 작게 한 포트 부재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종래의 수액백의 설명도로서 (a)는 백 본체의 일부를 생략한 정면도를 나타내며, (b)는 포트 부재와 백 본체(수지 시트)의 밀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액백 10 … 백 본체
11 … 포트 부재 20 … 제 1 금형
21 … 제 2 금형 100 … 내부 공간
100a … 제 1 실 100b … 제 2 실
100c … 제 3 실 101 … 제 1 약밀봉부
102 … 제 2 약밀봉부 102a … 개통 용이부
102b, 102b … 스트레이트부 103 … 가스 배리어 필름
110 … 마개체 111 … 본체부
112 … 피밀봉부
112a … 곡률 반경이 큰 부분, 또는 대략 평면 형상을 이루는 부분
112b …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 113 … 밀봉부
114 … 접속 통부 115 … 변형 통부
120 … 통체 200 … 성형 몰드
201 … 봉 형상부 202 … 규제부
210 … 성형 몰드 211 … 주출구
212 … 삽입부 213 … 규제부
A … 공간 E1, E2, E1', E2' … 단부
E3, E4, E3', E4' … 단부(측단부) N … 중공침
S … 수지 시트 α … 각도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은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100)이 형성된 백 본체(10)와, 상기 백 본체(10)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포트 부재(수액백용 포트 부재)(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백 본체(10)는 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1, E1, E2, E2, E3, E3, E4, E4)끼리를 밀봉함으로써 형성된 것이고, 상기 밀봉 부분으로 포위된 영역 내에 적어도 약제를 수용 가능하게 구성된 내부 공간(100)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백 본체(10)는 중합한 2장의 수지 시트(S, S)의 외주 단부(E1, E1, E2, E2, E3, E3, E4, E4)끼리를 전체 둘레에 걸쳐 밀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S, S)에는 다양한 것을 채용할 수 있지만, 수지 시트(S, S)끼리의 밀봉성이나, 포트 부재(11)에 대한 밀봉성을 고려하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PE)의 합성 수지 시트가 채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백 본체(10)는 상기 내부 공간(100)이 3개로 구획되어 희석액이 수용된 공간(이하, 제 1 실이라고 함)(100a), 약제(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루 형상의 약제)가 수용된 공간(이하, 제 2 실이라고 함)(100b), 아무것도 수용되어 있지 않은 공간(이하, 제 3 실이라고 함)(100c)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백 본체(10)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백 본체(10)의 가로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약밀봉부(101, 102)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내부 공간(100)이 3개로 구획되며, 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실(100a), 제 2 실(100b), 제 3 실(10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약밀봉부(101, 102)는 수지 시트(S, S)끼리의 접착(용착)력이 2장의 수지 시트(S, S)의 외주 단부(E1, E1, E2, E2, E3, E3, E4, E4)끼리의 접착(용착)력보다 약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분이 우선적으로 박리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100a)과 제 2 실(100b)을 구획하는 약밀봉부(101)를 제 1 약밀봉부로 하고, 제 2 실(100b)과 제 3 실(100c)을 구획하는 약밀봉부(102)를 제 2 약밀봉부로 하는 것으로 한다.
제 1 약밀봉부(101)는 백 본체(10)의 가로 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 2 약밀봉부(102)는 상기 제 2 실(100b)을 향 해 돌출 형상으로 형성된 개통 용이부(102a)와, 상기 개통 용이부(102a)와 연속해서 상기 개통 용이부(102a)의 양측으로부터 대략 곧게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102b, 10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개통 용이부(102a)는 제 2 실(100b)측에 꼭대기점이 위치하도록 V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개통 용이부(102a)는 제 3 실(100c)측이 오목해지도록 상기 제 3 실(100c)측의 끝 가장자리가 꼭대기점을 갖고 제 2 실(100b)측에 볼록을 이루는 굴곡 영역(V자 형상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개통 용이부(102a)를 V자 형상(산형)으로 돌출된 형태로 할 경우, 그 개통 용이부(102a)의 꼭지각의 각도(α)는 20°~15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제 2 약밀봉부(102)는 수액백(1)을 압박했을 때의 압력이 상기 개통 용이부(102a)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결과, 상기 개통 용이부(102a)가 우선적으로 박리되기 시작하여 다른 부분[스트레이트부(102b, 102b)]보다 먼저 개통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은 제 2 실(100b)을 획정하는 영역을 외측으로부터 피복하도록 기체 및 수증기의 통과를 저지하는 가스 배리어성을 갖는 필름재(이하, 가스 배리어 필름이라고 함)(103, 103)가 백 본체(10)[수지 시트(S, S)]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103, 103)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에 실리카 및/또는 알루미나를 증착한 것, 또는 PET에 알루미늄박을 부착한 것을 폴리에틸렌(PE) 등의 올레핀계 수지에 부착하여 다층 구조를 이루는 것을 채 용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리어 필름(103, 103)은 양단부(E1', E2')가 제 1 약밀봉부(101) 및 제 2 약밀봉부(102)에 중합되고, 양 측단부(E3', E4')가 수지 시트(S, S)의 폭 방향의 단부(E3, E4)(외주 단부의 일부)에 중합된 상태에서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S, S)의 각각의 외면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스 배리어 필름(103, 103)의 일단부[제 1 실(100a)측](E1')는 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로 연장되고, 제 1 약밀봉부(101)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밀봉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가스 배리어 필름(103, 103)의 타단부[제 3 실(100c)측](E2')는 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로 연장되고, 제 2 약밀봉부(102)에 대하여 제 3 실(100c)측(배출측)에서 겹치도록 밀봉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수액백(1)은 제 1 약밀봉부(101) 및 제 2 약밀봉부(102)에 중합되도록 가스 배리어 필름(103, 103)이 부착됨으로써 그 부착된 부분(E1', E2')이 증강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개통 용이부(102a)가 제 2 실(100b)측에 돌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봉시[수액백(1)을 압박했을 때]에 개통 용이부(102a)의 박리(또는, 개통)가 기인하여 제 2 약밀봉부(102) 전체가 용이하게 박리 내지 개통, 즉 제 2 실(100b)과 제 3 실(100c)이 연통되게 되어 있다.
상기 포트 부재(11)는, 도 3(a)~(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침(N)을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 마개체(110)에 의해 일단부[후술하는 밀봉부(113)]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111)와, 상기 본체부(111)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 부(111)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는 편평통 형상의 피밀봉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부(111) 및 피밀봉부(112)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 성형품이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의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본체부(111)는 2색 성형에 의해 마개체(110)와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본체부(111)는 상기 마개체(110)에 의해 밀봉된 원통 형상의 밀봉부(113)와, 밀봉부(113)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113) 내에 내부를 연통시킨 원통 형상의 접속 통부(114)와, 상기 접속 통부(114)와 상기 피밀봉부(112)를 접속시키는 변형 통부(1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밀봉부(113)는 접속 통부(114)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있고,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가 외관이 대략 단이 있는 봉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밀봉부(113)는 본체부(111)의 축선 방향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내경이 접속 통부(1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가 연속됨으로써 본체부(111) 내의 구멍이 다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밀봉부(113)는 상기 밀봉부(113)의 일단부[접속 통부(114)와 접속되는 단부]에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113')는 수액백(1)을 제조할 때에 레일(도시 생략)에 걸어서 상기 포트 부재(11)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113')는 필수 구성이 아니고, 제조 설비의 형태에 따라 적절히 설치하면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본체부(111)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 지의 길이(바람직하게는 밀봉부(113)와 접속 통부(114)의 합계 길이)가 상기 마개체(110)에 삽입되는 중공침(N)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포트 부재(11)는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의 선단이 백 본체(10)가 존재하는 영역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어서 중공침(N)이 실수로 백 본체(10)에 찔려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변형 통부(115)는 원통 형상의 접속 통부(114)와 편평통 형상의 피밀봉부(112)를 연통 상태에서 접속시키고,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을 향해 원통 형상으로부터 편평통 형상으로 형태가 변화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변형 통부(115)는 접속 통부(114)에 접속된 일단부 개구가 대략 원형을 이루는 한편, 피밀봉부(112)에 접속된 타단부 개구가 피밀봉부(112)에 대응해서 편평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밀봉부(112)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름 방향으로 편평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피밀봉부(112)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 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을 이루는 부분(112a, 112a)과, 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112b, 112b)이 형성되어 있다. 즉, 피밀봉부(112)가 장지름[곡률 반경이 작은 부분(112b, 112b) 사이]과 단지름[곡률 반경이 큰 만곡면, 또는 대략 평면 형상을 이루는 부분(112a, 112a) 사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밀봉부(112)는 약제의 통과를 허용하는 것을 전제로 단지름이 접속 통부(114)의 직경보다 작고, 장지름이 접속 통부(114)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밀봉부(112)는 내경에 있어서의 단지름이 접속 통부(114) 내경(직경)의 5%~50%로 설정되고, 내경에 있어서의 장 지름이 접속 통부(114) 내경(직경)의 110%~150%로 설정되어 있다. 단, 약제의 통과를 고려하면 피밀봉부(112)의 개구 면적이 접속 통부(114)의 개구 면적에 대하여 20%~4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포트 부재(11)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밀봉부(112)가 상기 피밀봉부(112)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2장의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밀봉부(112)에 각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밀봉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되는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 즉 제 3 실(100c)을 획정하는 단부(E2, E2)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고, 공실인 제 3 실(100c) 내와 상기 포트 부재(11) 내가 연통된 상태로 백 본체(10)에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따라서, 피밀봉부(112)에 밀봉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는 피밀봉부(1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큰 부분(또는 곧게 연장되는 부분)(112a, 112a)을 따른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수액백(1)은 피밀봉부(112)에 밀봉된 부분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끼리가 밀봉된 부분이 연속되고,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평탄에 가까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와 피밀봉부(112)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의 포트 부재(11)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개략 설명하면, 우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가 상기 형태를 이루고, 또한 변형 통부(115) 및 피밀봉부(112)가 접속 통부(114)에 연속되는 원통 형상을 이룬 것을 성형한다. 이 성형품은 피밀봉부(112), 변형 통부(115), 및 접속 통부(114)가 일체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대략 같은 지름의 통체(120)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20)에 대하여 피밀봉부(112)가 되는 부분측으로부터 제 1 금형(20)을 삽입한다. 상기 제 1 금형(20)은 선단에 마개체(110)의 내면을 형성하는 성형 몰드(200)가 형성되고, 통체(120)의 내주면에 대하여 외주면이 미끄럼 접촉된 상태에서 끼워 넣어지는 봉 형상부(201)와, 상기 봉 형상부(201)의 기단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성형 몰드(200)가 마개체(110)에 있어서의 내면 형성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통체(120)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봉 형상부(201)의 진입을 규제하는 규제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밀봉부(113)의 개구 단부에 제 2 금형(21)을 끼워 맞춘다. 상기 제 2 금형(21)은 선단에 마개체(110)의 외면을 형성하는 성형 몰드(210)가 형성됨과 아울러 성형 몰드(210)측에 마개체(110)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재료를 주출하는 주출구(211)가 형성되고, 밀봉부(113)에 대하여 개구단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지는 삽입부(212)와, 상기 삽입부(212)의 기단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성형 몰드(210)가 마개체(110)에 있어서의 외면 형성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밀봉부(113)의 개구단 가장자리에 접촉하여 삽입부(212)의 진입을 규제하는 규제부(2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통체(120)에 대한 제 1 금형(20)의 삽입을 밀봉부(113)에 대한 제 2 금형(21)의 삽입보다 먼저 행하고 있지만, 제 2 금형(21)의 삽입을 제 1 금형(20)의 삽입보다 먼저 행해도 좋고, 제 1 금형(20)의 삽입과 제 2 금형(21)의 삽입을 동시에 행해도 좋다.
그리고,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체(120)에 대하여 제 1 금형(20)[봉 형상부(201)]이 삽입됨과 아울러 밀봉부(113)에 대하여 제 2 금형(21)[삽입부(212)]이 끼워 넣어진 후에 주출구(211)로부터 성형 재료를 주출하고, 밀봉부(113), 제 1 금형(20)[성형 몰드(200)] 및 제 2 금형(21)[성형 몰드(210)]으로 포위된 공간(A)에 성형 재료를 충전한다. 또한, 성형 재료는 초기의 단계에서 유동성을 가지며 경시적으로 고화되어 탄성을 발휘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또는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혼합물)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한 성형 재료가 고화된 후에 제 1 금형(20) 및 제 2 금형(21)을 빼내면 밀봉부(113)가 마개체(110)에 의해 밀봉된 상태가 된다. 그 후, 통체(120)의 상기 피밀봉부(112)에 상당하는 부위를 지름 방향으로 프레스(바람직하게는 가열 프레스)함으로써, 도 5(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이 되고, 상기 포트 부재(11)가 완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2장의 수지 시트(S, S)로 백 본체(10)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피밀봉부(112)가 상기 피밀봉부(112)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2장의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피밀봉부(112)에 각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밀봉 됨으로써 상기 포트 부재(11)가 백 본체(10)에 대하여 액밀하고 또한 유체적으로 접속되게 된다(도 1, 도 2, 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구성의 포트 부재(11)를 구비한 수액백(1)은 약제 및 희석액이 수용된 상태에서 보관, 운반되게 된다. 이때, 백 본체(10)가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접힐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은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가 편평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 부분과 대향하는 수지 시트(S, S)가 부분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경감되는 결과, 수지 시트(S, S)에 구멍이 생겨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 및 상기 수액백용 포트 부재(11)는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피밀봉부(112)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조 과정에 있어서 밀봉 부분에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관이나 운반시에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S, S)를 흠집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수액백(1)에 대하여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의 구성만 다르게 하는 것이고, 그 밖의 구성이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포트 부재의 피밀봉부, 및 피밀봉부와 관련이 있는 변형 통부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고, 백 본체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할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포트 부재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상당하 는 구성에 대해서도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도 7(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 통부(115) 및 피밀봉부(112)가 원형 통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접속 통부(114), 변형 통부(115), 및 피밀봉부(112)의 외경이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피밀봉부(112)의 내경은 접속 통부(1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고, 변형 통부(115)의 내경은 접속 통부(114)측으로부터 피밀봉부(112)측을 향해 접속 통부(114)의 내경으로부터 피밀봉부(112)의 내경으로 서서히 확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피밀봉부(112)의 두께를 접속 통부(114)보다 얇게 형성하고, 상기 변형 통부(115)는 피밀봉부(112)측보다 접속 통부(114)측이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변형 통부(115)도 부분적으로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밀봉부(113)와 접속 통부(114)의 합계 길이를 중공침(N)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여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의 선단이 얇은 부분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밀봉부(112)에 대한 지름 방향의 압박에 의해 지름 방향으로 편평한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피밀봉부(112)는 외경이 접속 통부(114)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 상태가 되었을 때에 단지름이 접속 통부(114)의 직경(외경)보다 작고, 장지름이 접속 통부(114)의 직경(외경)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밀봉 부(112)는 변형된 상태(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된 상태)이고, 내경에 있어서의 단지름이 접속 통부(114) 내경(직경)의 5%~50%가 되며, 내경에 있어서의 장지름이 접속 통부(114) 내경(직경)의 110%~150%가 되도록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는 지름 방향의 압박으로 피밀봉부(112)가 편평하게 변형되지만, 상기 피밀봉부(112)에 있어서는 자기 복원력으로 약제의 통과를 허용한 개구가 확보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은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백 본체(10)를 제작하기 위해 중합시킨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끼리를 밀봉함에 있어서,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피밀봉부(112)가 양측으로부터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중합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피밀봉부(112)에 각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밀봉된다. 이때, 수지 시트(S, S)를 밀봉할 때의 프레스력(압박력)에 의해,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가 편평한데다가 수지 시트(S, S)가 밀봉되어 공실인 제 3 실(100c) 내와 상기 포트 부재(11) 내가 연통된 상태에서 백 본체(10)에 액밀하게 접속된다(도 6 참조). 또한, 변형 통부(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가 편평해짐에 따라 접속 통부(114)측이 원통형을 이루는 한편, 피밀봉부(112)측이 편평통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에 대해서도,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피밀봉부(112)에 밀봉된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피밀봉부(11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곡률 반경이 큰 부분(또는 곧게 연장되는 부분)에 따른 상태로 되어 있고, 피밀봉부(112)에 밀봉된 부분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끼리가 밀봉된 부분이 연속하며,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가 전체 길이에 걸쳐 거의 평탄에 가까운 상태가 되어 있다. 그 결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끼리가 밀봉되는 부분과, 수지 시트(S, S)의 단부(E2, E2)와 피밀봉부(112)가 밀봉되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서 간극이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에 대해서도, 백 본체(10)를 길이 방향으로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보관, 운반되게 되지만,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가 편평하고, 또한 얇기 때문에 그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에 대응하는 부분과, 그 부분과 대향하는 수지 시트(S, S)가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경감되는 결과, 수지 시트(S, S)에 구멍이 생겨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액백(1)은 백 본체(10)를 구성하는 수지 시트(S, S)가 밀봉됨으로써 포트 부재(11)의 피밀봉부(112)가 편평하게 되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0)는 피밀봉부(112)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백 본체(10)[수지 시트(S, S)]에 대한 밀봉과 함께 피밀봉부(112)를 편평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포트 부재(11)를 제작할 때에 피밀봉부(112)를 미리 편평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이 필요없고, 저비용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어느 실시 형태에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 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111)와 마개체(110)를 다른 재질로 일체적으로 성형하는 2색 성형으로 하고, 미리 성형한 본체부(111)에 성형 재료를 충전하며, 그것을 고화시킴으로써 마개체(110)를 본체부(111)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도록 했지만 2색 성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미리 마개체(110)를 성형해 두고, 본체부(111)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내에 마개체(110)를 넣어 상기 마개체(110)와 금형 사이에 성형 재료를 충전하며, 그것을 고화시킴으로써 본체부(111)를 마개체(110)와 일체적으로 성형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밀봉부(113)에 대하여 마개체(110)를 일체적으로 성형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미리 성형한 마개체(110)를 밀봉부(113)에 끼워 부착해도 좋다. 즉, 포트 부재(11)는 유통 과정에 제공되는 상태에서 본체부(111)의 일단부가 마개체(110)에 의해 밀봉될 필요가 없고, 포트 부재(11) 중 밀봉부(113), 접속 통부(114), 변형 통부(115), 및 편평통 형상의 피밀봉부(112)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것이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독립적으로 유통 과정에 제공되어도 좋다. 그리고, 이렇게 마개체(110)를 별체로 했을 경우 마개체(110)를 성형하기 위한 제 1 금형(20)을 통체(120)에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포트 부재(11)에 있어서는 마개체(110)를 끼워 부착하기 전, 또는 끼워 부착한 후에 피밀봉부(112)를 편평 형상으로 성형하면 좋다. 단, 밀봉부(113)와 마개체(110)의 일체성, 즉 밀봉 성능을 높이려면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일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2장의 수지 시트(S, S)를 중합하여 서로의 단부(E1, E1, E2, E2, E3, E3, E4, E4)끼리를 밀봉함으로써 백 본체(10)를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1장의 수지 시트를 반으로 접어 접힘 능선을 경계로 해서 대향하는(중합되는) 2개 영역의 단부끼리를 밀봉하거나, 또는 2개 영역의 외주 단부끼리를 전체 둘레에 걸쳐 밀봉하거나 함으로써 백 본체(10)를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백 본체(10)의 내부 공간(100)을 3개로 구획한 수액백(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10)에 약제(약액)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100)만을 형성한 것이나,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밀봉부(101')에 의해 백 본체(10)의 내부 공간(100)을 둘로 구획하여 희석액을 수용하는 제 1 실(100a)과 약제를 수용하는 제 2 실(100b)을 형성한 것 등이어도 좋다. 즉, 포트 부재(11)가 부착되는 백 본체(10)는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100)을 형성한 것이면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루 형상의 약제를 내부 공간(100)[제 2 실(100b)]에 수용하도록 했지만, 백 본체(10)에 수용되는 약제는 액체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0)을 약제만을 수용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는 약제는 액상의 것이 채용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약제와 희석액를 분리한 수액백(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약제가 액체일 경우에는 상기 약액에 희석액이 1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것이다. 따라 서, 상기 포트 부재(11)가 부착되는 수액백(1)은 약제로서 희석액만이 수용되는 것이어도 물론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111)[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가 중공침(N)의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의 선단이 백 본체(10)에 도달하지 않도록 포트 부재(11)의 전체 길이를 중공침(N)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으로 백 본체(10)를 관통시키지 않도록 포트 부재(11)의 길이를 설정하면 좋다.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변형 통부(115)는 원통 형상으로부터 편평통 형상으로 형상이 변화되어 내부가 피밀봉부(112)를 향해 좁아지는 부위이기 때문에 중공침(N)이 변형 통부(115)에 접촉하는 것을 고려하면,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의 합계 길이를 중공침(N)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부(111)와 피밀봉부(112)를 일체적으로 성형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본체부(111)와 피밀봉부(112)를 별체로 제작한 후에 이것들을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따라서, 본체부(111)와 피밀봉부(112)를 동일 소재로 형성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체부(111)와 피밀봉부(112)를 다른 소재로 형성하고, 이들을 접속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본체부(111)와 피밀봉부(112)를 별도 소재로 할 경우, 예를 들면 본체부(111)를 강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하고, 피밀봉부(112)를 유연한 소재로 구성하면 본체부(111)의 강성을 담보하면서 피밀봉부(112)를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한 것 으로 할 수 있고,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포트 부재(11)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밀봉부(113)를 접속 통부(114)보다 대지름으로 하여 본체부(11)를 외관 단이 있는 봉 형상으로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를 같은 사이즈로 형성해도 좋다. 단, 밀봉부(113)는 마개체(110)에 의해 밀봉되기 때문에 중공침(N)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사이즈의 마개체(110)를 밀봉할 수 있는 사이즈의 것으로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속 통부(114), 변형 통부(115), 및 피밀봉부(112)의 외경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한편, 피밀봉부(112)의 내경을 접속 통부(1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피밀봉부(112)를 접속 통부(114)보다 얇게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의 내경을 접속 통부(114)의 내경과 동일하게 하는 한편, 피밀봉부(112)의 외경을 접속 통부(114)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하여 피밀봉부(112)의 두께를 접속 통부(114)보다 얇게 형성하거나,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밀봉부(112)의 내경을 접속 통부(114)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함과 아울러 피밀봉부(112)의 외경을 접속 통부(114)의 외경보다 작게 설정하여 피밀봉부(112)의 두께를 접속 통부(114)보다 얇게 형성하거나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변형 통부(115)를 피밀봉부(112)를 향함에 따라 얇아지도록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변형 통부(115)를 피밀봉부(112)와 연속하도록[내외경이 피밀봉부(112)와 동일해지도록] 형성해도 좋다.
즉, 변형 통부(115)는 피밀봉부(112)의 변형에 추종하여 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좋다. 단, 제 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 통부(115)는 접속 통부(114)측이 원통 형상을 나타내는 한편 피밀봉부(112)측이 편평통 형상을 나타내기(안 구멍이 좁아지는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의 합계 길이가 중공침(N)과 동등 또는 그 이하로 설정된 경우 중공침(N)을 삽입시키는 양이나 마개체(110)에 삽입시킨 중공침(N)의 자세에 따라서는 그 선단부가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상기 변형 통부(115) 전체를 얇게 형성하면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의 선단이 접촉된 경우에 관통되기 쉬워져버린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밀봉부(113) 및 접속 통부(114)의 합계 길이를 중공침(N)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여 마개체(110)에 삽입된 중공침(N)의 선단이 변형 통부(115)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거나, 피밀봉부(112)의 변형을 허용한 후에 접속 통부(114)를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하여 중공침(N)이 관통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7)

  1.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백 본체를 형성하도록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한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마개체에 의해 밀봉되는 통 형상의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 내와 내부를 연통시킨 원통 형상의 접속 통부와, 상기 접속 통부와 상기 피밀봉부를 연통 상태로 접속시키는 변형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 통부는 상기 접속 통부에 접속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피밀봉부에 접속되는 타단을 향해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해 원통 형상에서 편평통 형상으로 형상을 변화시켜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피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2.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되는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백 본체를 형성하도록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되는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한 수액백용 포트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마개체에 의해 밀봉되는 통 형상의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 내와 내부를 연통시킨 원통 형상의 접속 통부와, 상기 접속 통부와 상기 피밀봉부를 연통 상태로 접속시키는 변형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 통부는 상기 접속 통부에 접속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피밀봉부에 접속되는 타단을 향해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해 원통 형상에서 편평통 형상으로 형상을 변화시켜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피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밀봉부는 본체부보다 얇게 형성되고 지름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중공침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마개체는 2색 성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용 포트 부재.
  6.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끼리가 밀봉됨으로써 적어도 약제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백 본체와, 백 본체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포트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포트 부재는 중공침을 삽입할 수 있게 구성된 마개체에 의해 일단부가 밀봉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연이어 설치되어 본체부 내에 내부를 연통시키며 중합된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밀봉된 통 형상의 피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액백으로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마개체에 의해 밀봉되는 통 형상의 밀봉부와, 상기 밀봉부에 연이어 설치되고 상기 밀봉부 내와 내부를 연통시킨 원통 형상의 접속 통부와, 상기 접속 통부와 상기 피밀봉부를 연통 상태로 접속시키는 변형 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변형 통부는 상기 접속 통부에 접속되는 일단으로부터 상기 피밀봉부에 접속되는 타단을 향해 개구 면적이 작아지도록,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해 원통 형상에서 편평통 형상으로 형상이 변화되도록 형성되고,
    피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편평하고, 상기 피밀봉부의 단지름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수지 시트의 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길이가 상기 중공침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백.
KR1020097016941A 2007-02-23 2008-02-20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KR101405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44168 2007-02-23
JP2007044168A JP4958581B2 (ja) 2007-02-23 2007-02-23 輸液バッグ用ポート部材、及び輸液バッグ
PCT/JP2008/052847 WO2008102802A1 (ja) 2007-02-23 2008-02-20 輸液バッグ用ポート部材、及び輸液バッ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784A KR20100014784A (ko) 2010-02-11
KR101405072B1 true KR101405072B1 (ko) 2014-06-10

Family

ID=3971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6941A KR101405072B1 (ko) 2007-02-23 2008-02-20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3070B2 (ko)
EP (1) EP2127629B1 (ko)
JP (1) JP4958581B2 (ko)
KR (1) KR101405072B1 (ko)
CN (1) CN101641070B (ko)
WO (1) WO20081028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5769B1 (ko) * 2011-01-31 2019-01-08 이에이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복실 용기
KR20150014474A (ko) * 2012-05-17 2015-02-06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침 부착 접속 부재, 약제 용해 키트
CN103359375B (zh) * 2013-06-28 2015-12-09 安徽双鹤药用包装有限公司 一种瓶盖
US9615813B2 (en) 2014-04-16 2017-04-11 Bongiovi Acoustics Llc. Device for wide-band auscultation
CN113397972A (zh) * 2014-12-18 2021-09-17 株式会社大冢制药工厂 端口及药液袋
USD805193S1 (en) * 2015-03-06 2017-12-12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Outlet port for infusion solution bag
JP1541297S (ko) * 2015-03-06 2016-01-12
JP1541505S (ko) * 2015-03-06 2016-01-12
KR200496185Y1 (ko) 2016-01-29 2022-11-22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감마선 조사에 의해 살균가능한 백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033U (ja) * 1983-01-27 1984-08-06 伸晃化学株式会社 輸液バツク
JP2001017513A (ja) * 1999-07-08 2001-01-23 Terumo Corp 接続部材および液体収納容器
JP2003220117A (ja) * 2002-01-31 2003-08-05 Chuei Products Co Ltd 輸液容器用口栓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78141D1 (en) 1982-12-23 1988-03-31 Schenck Ag Carl Device for introducing forces into a structure, especially vehicle axles, tyre suspensions and the like
JPH03118911A (ja) 1989-09-30 1991-05-21 Sony Chem Corp 線材の巻取り方法
US5911340A (en) * 1995-09-14 1999-06-15 Dai Nippon Printing Co., Ltd. Spout assembly, spout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ackage with spout assembly
NL1019161C2 (nl) * 2001-10-11 2003-04-14 Itsac Nv Kunststof spout.
US7354426B2 (en) * 2003-09-12 2008-04-08 B. Braun Medical Inc. Flexible container with a flexible por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6033U (ja) * 1983-01-27 1984-08-06 伸晃化学株式会社 輸液バツク
JP2001017513A (ja) * 1999-07-08 2001-01-23 Terumo Corp 接続部材および液体収納容器
JP2003220117A (ja) * 2002-01-31 2003-08-05 Chuei Products Co Ltd 輸液容器用口栓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58581B2 (ja) 2012-06-20
WO2008102802A1 (ja) 2008-08-28
EP2127629A4 (en) 2014-05-21
US20100094242A1 (en) 2010-04-15
CN101641070A (zh) 2010-02-03
JP2008206576A (ja) 2008-09-11
KR20100014784A (ko) 2010-02-11
EP2127629A1 (en) 2009-12-02
US8273070B2 (en) 2012-09-25
EP2127629B1 (en) 2016-05-11
CN101641070B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5072B1 (ko)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US20070228073A1 (en) Tear and spill resistant package for dispensing liquids in a controlled manner
CN104837465A (zh) 多室容器
US20110160693A1 (en) Medication-containing container
CN111163741A (zh) 初级包装
JP2005088926A (ja) 注出口付き袋
RU2675782C2 (ru) Контейнер, имеющий головку контейнера, который заполнен или может быть заполнен веществом
US11655089B2 (en) Spout-equipped packaging ba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pout-equipped packaging bag that contains contents
EP4173991A1 (en) Flexible mouth insert for pouch
JP2018090282A (ja) 二重容器
JP5782748B2 (ja) 詰替え容器
CN106163936A (zh) 袋容器
US20100327015A1 (en) Storage container
KR101354092B1 (ko) 캡 장착형 파우치용기
JP2016141421A (ja) 二重容器
KR101611845B1 (ko) 타원형 튜브를 구비한 수액 용기
AU2022266599B2 (en) Medicament container
KR101875518B1 (ko) 개방이 용이한 플라스틱 백
JP7181844B2 (ja) 二重容器用注出キャップ及び二重容器
CN201147484Y (zh) 单管与内空船式配件灌粉管菱形座双室输液袋
CN201186037Y (zh) 双管与马鞍式单室输液袋
JP2022012033A (ja) 二重容器
JP5781336B2 (ja) 医療用複室容器
CN201186036Y (zh) 双管与马鞍式双室输液袋
CN201147487Y (zh) 双管与内空船式双室输液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