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660B1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4660B1 KR101404660B1 KR1020120111659A KR20120111659A KR101404660B1 KR 101404660 B1 KR101404660 B1 KR 101404660B1 KR 1020120111659 A KR1020120111659 A KR 1020120111659A KR 20120111659 A KR20120111659 A KR 20120111659A KR 101404660 B1 KR101404660 B1 KR 1014046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sleeve
- correlation
- sealing member
- joi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only by friction of the parts being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으로 복수의 연결대상관을 끼워고정할 수 있는 이음관과, 상기 이음관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결대상관이 끼워지도록 하는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의 외주연에 형성되어, 삽입된 연결대상관이 탈거가 방지되도록 하는 돌출편 또는 걸림편과, 상기 슬리브의 외주연 및 이음관의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연결대상관과 이음관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2차에 걸쳐 실링되도록 하는 제 1, 2실링부재로 구성되도록 하여, 기존에 비해 구성품이 적으면서 실링효과 및 연결된 관의 이탈 또는 탈거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도록 한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을 연통시키며 연결하되, 연결부위로의 누수방지가 되도록 확실한 실링구조를 가지며, 결합이 손쉬우면서 결합된 관의 탈거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기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은 규격에 따라 일정한 길이로 제작되므로, 원하는 길이 및 형태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가 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 연결구는 이송되는 유체가 관 연결부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관은 재질에 따라 여러 종류가 시판 및 사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동합금,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비철금속관과, PB(폴리부틸렌, polybutylene), PVC(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는 합성수지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배관을 연결하는 배관 부속품은 그 용도에 따라 배관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엘보와, 기존 배관에서 새로운 배관을 분기시키는 티와, 배관과 다른 배관을 직선으로 연결시키는 유니온 이음 등이 있으며 이러한 배관 부속품과 배관을 연결하는 방법 또한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관의 연결에 사용되는 종래의 관 연결구는 중공의 몸체의 배관 형태에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관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 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관 삽입구의 외주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연결되는 각 관의 단부에도 나사를 형성하여 관 연결구의 삽입구에 관을 돌려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관 연결구는 관 연결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없기 때문에, 관을 관 연결구에 결합시키기 전에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실링부재를 나사가 형성된 관 연결부에 감아주어야 하며, 관 연결부가 나사의 형성을 위해 절삭됨으로 인해 관 연결부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심지어 저압의 유체 이송에 사용되는 통상의 합성수지 재질의 관일 경우에는 관 연결구의 삽입구 내벽면 및 이 삽입구에 삽입되는 관의 외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관 연결구의 삽입구에 관을 삽입하여 접착시킴으로써 관을 연결시키기도 하였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관 연결부의 연결 강도가 떨어지게 되고, 밀폐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링처리 및 체결된 관의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다양한 이탈방지구조를 취함에 따라, 제품의 구성수가 증가되어 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작비용이 상승함과 동시에 제작 또한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단에 삽입구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관을 상호간 연통시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되, 연결대상관이 끼워지는 슬리브를 내부에 장착하여, 연결대상관이 탈거가 방지되도록 하고, 슬리브의 외주연 및 이음관의 내주연에 실링부재를 각각 설치되어 연결부위에서의 누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연결대상관과 접촉되어 있는 실링부재의 이동범위를 좁히는 고정홈을 더 형성하여, 연결대상관이 탈거되려고 하는 경우 접촉되어 있는 실링부재가 움직이지 못함에 의해 연결대상관 또한 탈거가 방지되도록 한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돌출형성된 구획부(11)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양단의 제 1삽입구(12)와 제 2삽입구(13)에 연결대상관(P)이 끼워져 상호간 연통되도록 하는 이음관(1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에 상호간 대향되도록 끼움고정되어, 삽입되는 연결대상관(P)이 외주연에 끼워지는 슬리브(20);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20)와 이음관(1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1실링부재(3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10)과 연결대상관(P)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2실링부재(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대상이 되는 복수개의 관 연결이 간편하고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관 연결부위에서의 실링이 2차에 걸쳐 시행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수압 또는 외부충격에도 확실한 누수방지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된 관이 수압 등에 이탈되려고 하는 경우, 슬리브를 비롯하여 돌출편 또는 걸림편에 의해 관의 탈거가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과 접촉되는 실링부재에 의해 관이 탈거되는 방향의 밀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 구성품이 적고 간편하여 제작이 손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배관 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첫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연결대상관 결합 및 이탈방지와 실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연결대상관 결합 및 이탈방지와 실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연결대상관 결합 및 이탈방지와 실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두번째 실시예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정면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연결대상관 결합 및 이탈방지와 실링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작동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내부에 돌출형성된 구획부(11)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양단의 제 1삽입구(12)와 제 2삽입구(13)에 연결대상관(P)이 끼워져 상호간 연통되도록 하는 이음관(1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에 상호간 대향되도록 끼움고정되어, 삽입되는 연결대상관(P)이 외주연에 끼워지는 슬리브(20);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20)와 이음관(1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1실링부재(3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10)과 연결대상관(P)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2실링부재(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10)은 상기 제 2실링부재(50)가 삽입되도록 제 1, 2삽입구(12, 13)의 내주연에 고정홈(14)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홈(14)은 연결대상관(P)의 삽입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연결대상관(P)이 제 2실링부재(50)에 의해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20)는 상기 이음관(10) 내부에서 슬리브(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22)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돌기부(22)는 다수의 돌출편(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대상관(P)의 삽입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둘레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상관(P)의 탈거를 방지하는 걸림편(24); 이 더 구비되되, 상기 걸림편(24)은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사전설정각도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10)의 양단부에서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에 끼워져 제 1, 2삽입구(12, 13)에 일단이 각각 내설되되, 일단 둘레에는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다수의 걸림편(41)이 돌출형성되는 걸림부재(4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걸림편(41)은 상기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지는 나사산 형태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걸림편(41)은 걸림부재(4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완만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여, 이음관(10)에 연결대상관(P)이 체결된 이후 탈거되려고 할 시, 다수의 걸림편(41)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 둘레에 박히면서 연결대상관(P)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10)은 양단부 외주연에 수나사산(61)을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산(61)에 대응체결되는 암나사산(62)을 내주연에 형성한 외부커버(60)가 양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음관(10)은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이음관 내부에 위치되는 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50)의 체결여부 및 위치, 이음관(10) 내부로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의 연결상태, 누수유무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100)는 이음관(10), 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걸림부재(40), 제 2실링부재(5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100)는 2가지의 실시예를 가지는 것으로서, 슬리브(20) 외주연에 돌출편(24)을 형성하는 경우와,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돌출편(24)을 형성하지 않고 별도의 걸림부재(40) 및 외부커버(60)를 더 추가하여 사용하는 경우이다.
우선, 2가지의 실시예 중, 첫번째 실시예인 이음관(10), 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50)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슬리브(10)에 돌출편(24)을 형성하는 실시예를 우선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이음관(10)은 중단부의 외경이 양단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도록 하여, 아령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내부는 비어있고 양단부는 개구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진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이음관(10)의 내주연 중단부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링형태의 구획부(11)가 돌출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음관(10) 내부가 중단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기 이음관(10)의 양측에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관(이하, '연결대상관(P)'이라 칭함)이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이음관(10)의 일단(좌측)에는 제 1삽입구(12)가 형성되고, 타단(우측)에는 제 2삽입구(13)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2삽입구(12, 13)에 각각 연결대상관(P)이 상호간 대향되며 끼워져, 상기 이음관(10) 내부에서 상호간 연통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삽입구(12) 내에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과 제 2삽입구(13) 내에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 모두 이음관(10) 내에 돌출되어 있는 구획부(11)까지 내입되어, 구획부(11)까지 일단이 내입되는 형태(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구획부(11) 근처에 위치된 제 1실링부재(30)까지 내입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 1, 2삽입구(12, 13)의 각 내주연에는 후술될 링 형태의 제 2실링부재(50)가 끼워질 고정홈(14)이 파여져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상기 고정홈(14)은 제 1, 2삽입구(12, 13)의 내주연에서 각각 연결대상관(P)이 삽입되는 반대 방향을 향할수록 제 1, 2삽입구(12, 13)의 내주연에 파여지는 직경(또는 깊이)이 작아지도록 한다.
즉, 상기 이음관(10)의 좌측인 제 1삽입구(12)의 내주연에는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좌측에서 우측으로) 점점 제 1삽입구(12)의 내경이 커지도록(고정홈(14)의 직경이 점차 커지도록) 고정홈(14)이 파여지도록 하고(이는 반대로 말하면,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 반대 방향을 향할수록 고정홈(14)의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이 되는 것이다.), 이음관(10)의 우측인 제 2삽입구(13)의 내주연에도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우측에서 좌측으로) 점점 제 2삽입구(13)의 내경이 커지도록 고정홈(14)이 파여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 고정홈(14)의 역할은 후술될 제 2실링부재(50)에 대한 기재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20)는 전술된 제 1, 2삽입구(12, 13) 내에 각각 끼워져, 일단부가 이음관(10) 중단의 구획부(11)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슬리브(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이되, 본 발명에서는 금속재질(ex: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이러한 상기 슬리브(20)의 일단부, 즉 이음관(10) 내에 삽입되어 이음관(10) 내부의 구획부(11)에 접촉되는 측 단부에는 다수의 돌출편(21)으로 이루어진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도록 하는데, 상기 다수의 돌출편(21)은 슬리브(20)의 일단부에서 나사산과 같은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로, 이러한 다수의 돌출편(21)이 슬리브(20)의 일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원을 이루며 다수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다수의 돌출편(21)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것을 돌기부(22)라 칭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슬리브(20)는 전술된 돌기부(22)가 형성되지 않은 타단부의 외주연에 연결대상관(P)이 끼워져 삽입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슬리브(2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편(21)은 연결대상관(P)이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방향, 즉 다수의 돌출편(21)의 뾰족한 끝부분이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대향되어 바라보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다수의 돌출편(21)이 슬리브(20)의 일단부에서 절곡되는 부위를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23)라 칭하는데, 이러한 상기 절곡부(23)까지 후술될 제 1실링부재(30)가 끼워져 안착되는 형태가 된다.) 즉, 이러한 상기 돌기부(22)는 이음관(10) 내에 삽입되어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끼워진 연결대상관(P)이 외부로 탈거될 시, 연결대상관(P)이 끼워져 있는 슬리브(20) 또한 이음관(10) 내에서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슬리브(20)가 이음관(10) 내에서 빠지려하면, 상기 슬리브(20)의 일단부에서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이는 연결대상관(P)의 탈거방향과 동일한 의미)으로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돌출편(21)이 이음관(10) 내주연에 박히면서 걸리게 되어, 상기 슬리브(20)가 이음관(10)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음관(10)의 양단부에 각각 제 1삽입구(12)와 제 2삽입구(13)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슬리브(20) 또한 제 1, 2삽입구(12, 13)에 각각 삽입되는 것이며, 제 1, 2삽입구(12, 13)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슬리브(20)는 돌기부(22)가 형성된 일단부가 이음관(10) 내 구획부(11)로 향하는 형태, 즉 상호간 대향되는 형태가 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슬리브(20)는 외주연 둘레에 걸쳐 다수의 걸림편(24)을 형성하도록 하는데, 상기 걸림편(24)은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사전설정각도(α)로 상부로 들리며 돌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다수의 걸림편(24)은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슬리브(2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길이방향이되,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와 같은 형태로 슬리브(20)의 외주연이 절개되는 것이며, 이렇게 절개된 부분에 절개구(25)가 생기는 형태로 슬리브(20)의 몸체에서 들리면서(슬리브(20)와 수평을 이루지 않고 외측으로 들리면서)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다수의 걸림편(24)은 슬리브(20)의 외주연 둘레에 걸쳐 사방으로 벌어지는 형태가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10)에 삽입되면, 연결대상관(P)의 일단은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슬리브(20)의 타단 외주연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상기 슬리브(20)의 걸림편(24)은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이기에, 슬리브(20)의 외측에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에 의해, 상기 다수의 걸림편(24)은 사방으로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억지로 눕혀져, 돌출되어 있던 형태에서 슬리브(20)의 외주연과 수평을 이루는 형태가 된다. 이후, 상기 연결대상관(P)이 완전히 끼워진 후, 복수개의 연결대상관(P)을 통해 상호간 연통된 유로로 흐르는 물의 수압 등에 의해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10)에서 빠지려고 삽입된 방향(역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삽입된 연결대상관(P)에 의해 눕혀져 있던 걸림편(24)의 뾰족한 끝부분이 연결대상관(P)의 내주연에 걸리면서, 다수의 걸림편(24)이 연결대상관(P)의 내주연에 일정깊이 박히거나 걸리면서 연결대상관(P)의 이음관(10) 내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실링부재(30)는 전술된 슬리브(20)에 끼워지는 실링재로써,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링 형태이며, 이러한 상기 제 1실링부재(30)는 슬리브(20)의 타단부, 즉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해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끼워진다. 본 발명에서는 제 1실링부재(30) 및 후술될 제 2실링부재(50)의 재질로 실리콘 또는 고무가 사용되었지만, 이 또한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실링(Sealing)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변경가능함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슬리브(20)의 타단부에서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끼워지는 제 1실링부재(30)는 전술된 슬리브(20)의 돌기부(22)를 이루는 다수의 돌출편(21)이 절곡되는(연결대상관(P)의 유입반대방향으로 휘어지는) 절곡부(23)에 일단이 안착되면서 접촉되는 형태가 됨으로써, 상기 돌기부(22)가 형성된 슬리브(20)의 일측으로는 탈거가 되지 않는 형태가 된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슬리브(20)에 끼워진 제 1실링부재(30)의 외주연은 이음관(10)의 내주연과 접촉되는 형태가 되어, 상기 이음관(10)과 제 1실링부재(30) 접촉부위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실링을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슬리브(20)는 일단부 외주연에 제 1실링부재(30)가 결합된 상태로 이음관(10) 내에 내설고정되는 것이며, 상기 이음관(10) 내부로 삽입되는 연결대상관(P)의 일단은 이러한 상기 슬리브(20)의 타단부(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측으로 끼워져, 일단이 슬리브(20)의 외주연에 끼워져 있는 제 1실링부재(30)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제 1실링부재(30)는 전술된 제 1, 2삽입구(12, 13)에 각각 내설된 복수개의 슬리브(20) 외주연에 각각 끼워져야 함은 당연하다.
상기 제 2실링부재(50)는 전술된 이음관(10)의 제 1, 2삽입구(12, 13) 내주연에 파여져 있는 고정홈(14)에 각각 삽입되어 끼워지는 것으로, 링 형태의 실링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 2실링부재(50)의 경우 두께는, 고정홈(14)에서 가장 직경이 깊게 파여진 부분에 대응되며 끼워질 수 있는 두께를 가지게 되며, 이렇게 고정홈(14)에 끼워진 제 2실링부재(50)는 이음관(10)에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과 접촉되어, 삽입된 연결대상관(P)과 이음관(10) 사이로 누수가 되지 않도록, 전술된 제 1실링부재(30)에 의해 2차적인 실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수압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 이음관(10)에 끼워진 연결대상관(P)이 빠지려고 삽입된 측으로 밀리게 되면, 상기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은 이음관(10)의 내부에서 제 2실링부재(50)와 접촉되어 있는 형태이기에, 상기 제 2실링부재(50) 또한, 연결대상관(P)이 빠지려 하는 방향을 향해 연결대상관(P)과 접촉된 상태로 밀리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제 2실링부재(50)가 끼워지는 제 1, 2삽입구(12, 13) 내 고정홈(14)은 전술된 바와 같이, 연결대상관(P)이 빠지려하는 방향을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형태이기에, 상기 연결대상관(P)이 빠지려고 할수록 제 2실링부재(50)는 고정홈(14)의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측으로 밀리게 되고,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곳으로 밀리는 제 2실링부재(50)는 연결대상관(P)과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면서 압착되므로, 연결대상관(P)은 빠지거나 밀리지 않게 되면서 연결대상관(P) 외주연과 이음관(10) 내주연 사이에는 제 2실링부재(50)에 의해 더욱 확실한 실링이 되어 누수방지가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예의 경우, 슬리브(20)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편(24)으로 인하여, 이음관(10)에 체결된 연결대상관체(P)는 이음관(10)에 한번 체결되면 돌출편(24)에 걸려 이음관(10)으로부터 탈거가 되지 않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첫번째 실시예는, 이음관(10)의 양측에서 제 1, 2삽입구(12, 13) 내로 연결대상관(P)을 각각 손쉽게 끼울 수 있는 삽입식 형태로써, 편리성과 신속성, 안정성을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된 첫번째 실시예에 사용된, 이음관(10), 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50)는 전술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 동일한 결합구조, 동일한 작동으로 동일하게 사용되되, 상기 슬리브(20)의 경우, 돌출편(24)이 형성되지 않은 슬리브(20)가 사용되도록 하고, 추가적으로 첫번째 실시예의 돌출편(24)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걸림부재(40)를 더 구비하여 사용되는 실시예이다.
이를 통한 두번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40)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걸림부재(40)는 이음관(10)의 양단에 각각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이, 수압 등의 다양한 외압에 의해 이음관(10)에서부터 빠지려 하는 경우, 상기 연결대상관(P)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편(41)이 박히면서 연결대상관(P)이 빠지지 않게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 걸림부재(40)는 내부가 비어있고 양단이 관통된 관체이며, 일단에는 '<'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걸림편(41)이 일단 원주면 둘레를 따라 연속형성되도록 하며, 타단 외주연에는 외부를 향해 절곡되는 설치턱(42)이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걸림부재(40)의 다수 걸림편(41)의 경우, 다수의 걸림편(41)이 걸림부재(4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소정각도로 완만하게 내측으로 기울어져, 다수의 걸림편(41) 각각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걸림부재(40) 중심을 향해 모아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걸림부재(40)는 복수개가 사용되어, 이음관(10)의 양단부에 각각 끼워지는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음관(10)의 양단에 일단부가 제 1삽입구(12)와 제 2삽입구(13)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이 후,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10)의 양단부로 끼워지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40)는 이음관(10)의 양단부에서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에 끼워진 형태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연결된 연결대상관(P)이 삽입방향 반대로 빠지려 하게 되면, 상기 다수의 걸림편(41)이 전술된 바와 같이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걸림부재(40) 중심을 향해 모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결대상관(P)이 삽입될때는 다수의 걸림편(41)을 벌리며 삽입되었어도, 빠지려 하게 되면 다수의 걸림편(41)은 연결대상관(P)의 탈거방향으로 밀리면서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에 박히는 형태가 도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이음관(10)의 양단에 끼워진 걸림부재(40)가 이음관(10)의 양단에 고정설치되도록 함으로서, 이음관(10)에 고정된 걸림부재(40)에 의해 연결대상관(P)이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며, 또는 후술될 외부커버(60)를 통해 양단에 걸림부재(40)를 고정시키지 않고 끼운 상태에서 이음관(10) 양단을 밀폐함으로써, 이음관(10)에 체결된 걸림부재(40)가 빠지려 해도 외부커버(60)에 타단이 지지되면서 일단의 걸림편(41)이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에 박히는 걸림부재(40)에 의해, 상기 연결대상관(P)의 탈거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외부커버(60)가 구비되는 경우, 결합되어 있는 외부커버(60)를 풀어버리면, 상기 연결대상관(P)이 걸림부재(40)와 함께 외부로 탈거가 가능함으로써, 상기 연결대상관(P)의 교체 또는 내부의 구성품(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40)) 등의 수리 등을 작업을 시행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두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음관(10)에 체결된 연결대상관체(P)가 돌출편(24)에 걸려 이음관(10)으로부터 탈거가 되지 않는 구조인 첫번째 실시예와는 달리, 외부커버(60)가 이음관의 양단에 체결되면 상기 외부커버(60)에 의해 이음관(10)으로 탈거가 되지 않되, 외부커버(60)를 이음관(10)에서 풀어버린 후 연결대상관체(P)를 잡아당기면, 상기 연결대상관체(P)는 걸림편(41)이 외주연에 박혀 결합된 상태로 걸림부재(40)와 함께 외부로 탈거가 가능하여, 또 다른 새로운 연결대상관체(P)로 교체한 후 이음관(10)에 재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인 것이다.
다시말해, 두번째 실시예는. 상기 이음관(10)의 양단부 외주연에 수나사산(61)을 형성하고, 이러한 수나사산(61)과 대응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산(62)을 내주연에 형성한 복수개의 외부커버(60)를 더 구비하여, 상기 복수개의 외부커버(60)가 연결대상관(P)이 끼워진 이음관(10)의 양단부 외주연에 나사체결되어 조여줌으로써, 이음관(10)과 연결대상관(P) 상호간의 고정력이 더 증가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신주 수전용 또는 수전 소켓(faucet socket)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이음관(10)의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ex: 투명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어, 내부 구성요소들의 내부 체결에 이상이 있는지 등을 언제든지 외부에 식별가능토록 할 수 있는데,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이음관(10) 내부에서 상호간 체결되고 위치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들(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50) 및 걸림부재(40)) 등이 체결이 제대로 되었는지의 체결여부, 상기 구성요소들이 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등의 위치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상기 이음관(10) 내부로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10) 내에서 제대로 연결되었는지의 연결상태나, 누수가 되고 있는지의 누수유무, 누수가 되고 있다면 이음관(10) 내부 어느부위에서 누수가 발생되고 있는지 등을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이음관 11: 구획부
12: 제 1삽입구 13: 제 2삽입구
14: 고정홈 20: 슬리브
21: 돌출편 22: 돌기부
23: 절곡부 24: 돌출편
25: 절개구 30: 제 1실링부재
40: 걸림부재 41: 걸림편
42: 설치턱 50: 제 2실링부재
60: 외부커버 61: 수나사산
62: 암나사산
12: 제 1삽입구 13: 제 2삽입구
14: 고정홈 20: 슬리브
21: 돌출편 22: 돌기부
23: 절곡부 24: 돌출편
25: 절개구 30: 제 1실링부재
40: 걸림부재 41: 걸림편
42: 설치턱 50: 제 2실링부재
60: 외부커버 61: 수나사산
62: 암나사산
Claims (8)
- 내부에 돌출형성된 구획부(11)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양단의 제 1삽입구(12)와 제 2삽입구(13)에 연결대상관(P)이 끼워져 상호간 연통되도록 하는 이음관(1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에 상호간 대향되도록 끼움고정되어, 삽입되는 연결대상관(P)이 외주연에 끼워지는 슬리브(20);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둘레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연결대상관(P)의 탈거를 방지하는 걸림편(24);
상기 슬리브(20)의 외주연 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슬리브(20)와 이음관(10)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1실링부재(30);
상기 이음관(10)의 양단부에서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에 끼워져 제 1, 2삽입구(12, 13)에 일단이 각각 내설되되, 일단 둘레에는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다수의 걸림편(41)이 돌출형성되는 걸림부재(40);
상기 제 1, 2삽입구(12, 13) 내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이음관(10)과 연결대상관(P) 사이의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는 제 2실링부재(50);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음관(10)은 제 2실링부재(50)가 삽입되도록 제 1, 2삽입구(12, 13)의 내주연에 고정홈(14)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홈(14)은 연결대상관(P)의 삽입 반대방향을 향할수록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하여, 연결대상관(P)이 빠지려고 할수록, 제 2실링부재(50)가 고정홈(14)의 직경이 작아지는 측으로 밀리게 되어 압착되면서, 연결대상관(P)이 제 2실링부재(50)에 의해 외부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슬리브(20)는 이음관(10) 내부에서 슬리브(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일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돌기부(22)를 돌출형성하되, 상기 돌기부(22)는 나사관과 같은 뾰족한 끝부분이 연결대상관의 삽입방향을 대향되어 바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편(21)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대상관(P)의 삽입 반대방향을 향해 절곡되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걸림편(24)은 연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사전설정각도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져,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에서 빠지려 하면, 걸림편(24)의 뾰족한 끝부분이 연결대상관(P)의 내주연에 걸리면서, 걸림편이 연결대상관(P)의 내주연에 박히거나 걸리면서 연결대상관(P)이 이음관(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다수의 걸림편(41)은 결대상관(P)의 삽입방향을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지는 나사산 형태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며, 다수의 걸림편(41)은 걸림부재(40)의 길이방향 중심을 향해 완만하게 기울어지도록 하여, 이음관(10)에 연결대상관(P)이 체결된 이후 탈거되려고 할 시, 다수의 걸림편(41) 연결대상관(P)의 외주연 둘레에 박히면서 연결대상관(P)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 이음관(10)은 단부 외주연에 수나사산(61)을 형성하여, 상기 수나사산(61)에 대응체결되는 암나사산(62)을 내주연에 형성한 외부커버(60)가 양단부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이음관(10)은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이음관 내부에 위치되는 슬리브(20), 제 1실링부재(30), 제 2실링부재(50)의 체결여부 및 위치, 이음관(10) 내부로 끼워지는 연결대상관(P)의 연결상태, 누수유무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659A KR101404660B1 (ko) | 2012-10-09 | 2012-10-09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1659A KR101404660B1 (ko) | 2012-10-09 | 2012-10-09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616A KR20140046616A (ko) | 2014-04-21 |
KR101404660B1 true KR101404660B1 (ko) | 2014-06-11 |
Family
ID=5065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1659A KR101404660B1 (ko) | 2012-10-09 | 2012-10-09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466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3918B1 (ko) * | 2017-03-02 | 2018-01-31 | 유시웅 | 입상배관 시공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455830B (zh) * | 2014-11-11 | 2016-08-24 | 中国水利水电第十工程局有限公司 | 包覆式管接头 |
KR101682703B1 (ko) * | 2016-04-14 | 2016-12-05 | (주)하나테크 | 밀폐형 슬리브 |
KR102264914B1 (ko) * | 2019-06-05 | 2021-06-11 | 방만혁 | 관 연결 방법 |
CN114246997B (zh) * | 2021-12-30 | 2023-11-10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 一种加强密封性的负压引流管连接装置 |
CN114473346B (zh) * | 2022-03-23 | 2024-02-09 | 安徽鑫发铝业有限公司 | 一种高耐压精密铝合金圆管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1680A (ja) * | 1993-08-31 | 1995-03-17 | Bridgestone Corp | パイプ補強用インナースリーブ |
JP4270666B2 (ja) * | 1999-08-12 | 2009-06-03 |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 管継手構造 |
KR100977658B1 (ko) * | 2009-05-30 | 2010-08-24 | 김서지 | 봉 연결장치 |
KR20110011282A (ko) * | 2009-07-28 | 2011-02-08 | 지윤범 |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
-
2012
- 2012-10-09 KR KR1020120111659A patent/KR10140466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71680A (ja) * | 1993-08-31 | 1995-03-17 | Bridgestone Corp | パイプ補強用インナースリーブ |
JP4270666B2 (ja) * | 1999-08-12 | 2009-06-03 |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 管継手構造 |
KR100977658B1 (ko) * | 2009-05-30 | 2010-08-24 | 김서지 | 봉 연결장치 |
KR20110011282A (ko) * | 2009-07-28 | 2011-02-08 | 지윤범 | 배관의 투명 이음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3918B1 (ko) * | 2017-03-02 | 2018-01-31 | 유시웅 | 입상배관 시공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616A (ko) | 2014-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4660B1 (ko)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
AU2022200128B2 (en) | Pipe connection fitting | |
KR102154692B1 (ko) |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그립링 손상방지장치 | |
ES2464720T3 (es) | Conexión entre una tubería y una pared | |
KR101116344B1 (ko) | 회전식 파이프 연결 장치 | |
CN108779880B (zh) | 推入式连接配合装置、布置和方法 | |
ES2899039T3 (es) | Dispositivo de conexión de tubería de un toque | |
KR100941883B1 (ko) | 배관연결구 | |
KR20180031328A (ko) |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 |
EA017032B1 (ru) | Трубный фитинг | |
CN109842076A (zh) | 带有适配器装置的集成管道和方法 | |
KR101871167B1 (ko) |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 |
TWI624612B (zh) | 管接頭 | |
KR102154693B1 (ko) | 공구없이 분리결합가능한 플라스틱 배관용 pb이음관 결합시공방법 | |
KR102000018B1 (ko) |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 |
KR20110002990A (ko) |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 |
KR101016885B1 (ko) | 농업용 관체 연결구 | |
KR101871168B1 (ko) | 육안식별부에 의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 |
NZ714700A (en) | (+)-5-(3,4-difluorophenyl)-5-[(3-methyl-2-oxopyridin-1(2h)-yl)methyl]imidazolidine-2,4-dione and drug containing same | |
KR200409053Y1 (ko) | 파이프 이음구조 | |
KR20130093248A (ko) | 관로구어댑터 | |
KR101973850B1 (ko) | 관 연결용 조인트 | |
JP2011231930A (ja) | 管継手 | |
KR20130092207A (ko) | 농업용 관체 연결구 | |
KR101926792B1 (ko) |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