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90060B1 -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060B1
KR101390060B1 KR1020130143331A KR20130143331A KR101390060B1 KR 101390060 B1 KR101390060 B1 KR 101390060B1 KR 1020130143331 A KR1020130143331 A KR 1020130143331A KR 20130143331 A KR20130143331 A KR 20130143331A KR 101390060 B1 KR101390060 B1 KR 101390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portion
support
connector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용훈
Original Assignee
황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훈 filed Critical 황용훈
Priority to KR102013014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06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060B1/en
Priority to PCT/KR2014/008004 priority patent/WO2015076484A1/en
Priority to US14/391,670 priority patent/US2016027846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2Hats; Caps; Hoods adjustable in size ; Form-fitting or self adjusting head coverings; Devices for reducing hat siz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8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 A42B1/0181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ears or nape, e.g. sun or rain shields; with air-inflated pads or removable lin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the eyes
    • A42B1/0182Peaks or 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2Hats; Stiff c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via a peculiar structure and a cap including the same. To solve the problem, the detachable connection unit comprises: a first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a first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body connected to a second part to detachably connect the first part and the second part. The first connection body comprises: a first frame part defining a long outer edge and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arts having both end parts connected respectively to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first frame part,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part;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ing parts having both end parts connected respectively to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first frame part,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rame part,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supporting parts;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parts arranged on a straight line for connecting the intersecting points of the first supporting parts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s, fixed to both the first supporting parts and the second supporting parts,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connection body comprise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arts.

Description

신축성을 가지는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having elasticity,

본 발명은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유의 구조로 인해 신축성을 부여한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and a cap having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and a cap having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챙이 달린 야구 모자는 남녀 노소를 불문하고 널리 착용되고 있는 패션 아이템이다. 그런데, 야구 모자를 착용하는 사람마다 머리 크기가 상이하고, 또한 모자의 착용 중 모자에 의해 머리에 인가되는 압력의 선호값이 사람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야구 모자의 내측 둘레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는 수단이 야구 모자에 구비된다.A baseball hat with a brim is a fashion item that is worn widely regardless of sex. However, since the head size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wearing the baseball cap and the preference value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head by the cap during wearing the hat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the means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aseball cap This baseball cap is equipped.

일반적으로, 야구 모자의 챙의 반대측인 뒷 부분인 하측 둘레 부분에 불연속 부분 (즉, 개구부) 을 형성하고, 상기 하측 둘레 부분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을 구비하여, 모자의 하측 둘레 부분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연결 유닛은 제1 연결체의 중심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돌출부를 제2 연결체의 중심 부분에 일렬로 배치된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크기를 조절하였다.Generally, a connecting unit for forming a discontinuous portion (i.e., an opening) on the lower side of the back side of the baseball cap opposite to the side of the baseball cap and detachably connecting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baseball cap, Respectively. These connection units were sized by inserting protrusions arranged in a lin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onnector into insertion holes arranged in a lin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or.

그러나, 이러한 야구 모자의 경우, 신축성이 구비되지는 않아서, 미세한 크기의 조절은 불가능하였다. 이에 따라 대략적인 모자의 하측 둘레 부분의 크기만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착화감은 충분하지 아니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baseball cap, since the elasticity is not provided, it is impossible to control the size of the baseball cap. As a result, only the size of the low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at can be roughly adjusted, and the feeling of grip is not sufficient.

이를 해결하고자, 비탄성적인 직물로 형성되고 모자의 외측을 형성하는 모자 본체의 내측 둘레 부분에 신축성 밴드를 부착하여, 일정 범위 내의 머리 크기에 대해 탄력적으로 적용 가능한 프리 사이즈 캡에 대한 발명이 개시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092219호 참조).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s been disclosed an invention of a free size cap which is formed of an inelastic fabric and is attached to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a cap body forming an outer side of the cap, and is elastically applicable to a head size within a certain range Korean Patent No. 10-0092219).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리 사이즈 캡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신축성을 가지고 크기 조절이 가능할 뿐, 큰 범위의 크기 조절을 행할 수는 없었다.However, the free-size cap as described above can be stretched and scal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size of the cap can not be adjusted in a large range.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큰 범위의 길이 방향 조절 및 신축성을 이용한 미세한 길이 방향 조절이 모두 가능한 착탈식 연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모자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and a cap having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capable of controlling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arge range and a fin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elasticity.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착탈식 연결 유닛은,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및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이다. 상기 제1 연결체는,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점들을 잇는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모두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a first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detachably connects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It is a removable connection unit. The first connector defines a long outer periphery, and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Wherein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part, A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inters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the protrusions being fix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And the second connection body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연결체는,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3 지지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4 지지부; 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삽입홀은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의 교차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nector defines a long outer periphery, and includes a second frame portion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third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forming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which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 fourth support; .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체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배치는 상기 제2 연결체의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rangement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linear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 부분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 부분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서브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tersection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r is formed on a sub-support portion occupying a space between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s shown in FIG.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이며,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linear,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체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is formed of a stretchabl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자는, 상술한 착탈식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The hat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착탈식 연결 유닛에 따르면, 큰 범위의 길이 방향 조절 및 신축성을 이용한 미세한 길이 방향 조절이 모두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머리 크기에 따른 조절이 용이하며, 착용 시 착화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wide range of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ment and a fine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ment using the stretchability are all possible, the adjustment according to various head sizes is easy and the wearability at the time of wearing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연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2 연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연결 유닛이 모자에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연결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IG.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irst connector of Fig. 1;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econd connector of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unit of Fig. 1 is applied to a cap.
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lements or layers are referred to as being "on " other elements or layers, including both intervening layers or other elements directly on or in betwee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s and thicknesses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shown in the figure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each of the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partially or entirely and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is possibl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may be possible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in associ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연결 유닛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connec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1 연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 연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연결 유닛이 모자에 적용된 예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and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connecting unit of Fig. 1 is applied to a cap.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 (10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1 to 5, a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 (100) 은,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n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110 and a second connector 130.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 두 연결체 (110, 130) 간의 결합으로 인하여 두 연결체 (110, 130) 의 단부 (E) 에 연결된 부분 간을 서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ends E and E of the two connectors 110 and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도 1 및 도 2를 특히 참조하면, 제1 연결체 (110) 는 제1 프레임부 (111) 와, 복수의 제1 지지부 (115) 와, 복수의 제2 지지부 (120) 와, 복수의 돌출부 (125)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the first connector 110 includes a first frame portion 111,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115,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120, (125).

제1 프레임부 (111) 는 제1 연결체 (110) 의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 (112) 과 하측 프레임 (113) 을 포함한다.The first frame part 111 defines an elongated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connector 110 and includes an upper frame 112 and a lower frame 113.

제1 지지부 (115) 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지지부 (115) 는 제1 프레임부 (111) 의 상측 프레임 (112) 과 하측 프레임 (113) 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1 프레임부 (111) 의 길이 방향 중심축 C 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 C 와 시계 방향으로 45° 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1 지지부 (115) 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1 지지부 (115) 의 재질 및 원하는 탄성력 등의 조건에 따라 그 기울기를 30°, 6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upport portions 1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eferabl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art 115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frame 112 and the lower frame 113 of the first frame part 111 and has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C of the first frame part 111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art 115 is inclin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C in the clockwise direction. However,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115 may be 30 degrees, 60 °, and the like.

제2 지지부 (120) 는, 제1 지지부 (115) 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 (120) 는 제1 프레임부 (111) 의 상측 프레임 (112) 과 하측 프레임 (113) 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1 프레임부 (111) 의 길이 방향 중심축 C 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되, 제1 지지부 (115) 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 C 와 시계 방향으로 135° 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2 지지부 (120) 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2 지지부 (120) 의 재질 및 원하는 탄성력 등의 조건에 따라 그 기울기를 120°, 15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port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ike the first support portions 115. The second support portions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part 120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frame 112 and the lower frame 113 of the first frame part 111 and has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C of the first frame part 111 And is arranged to intersect with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upport 120 is inclined at 135 degrees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C. However, the slope of the second support 120 may be 120 ° or les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econd support 120 and the desired elasticity, 150 °, and the like.

한편,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축 C 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강성 혹은 탄성에 의한 복원력 (즉, 탄성력) 이 중심축 C 를 따르게 되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가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may have rigidity However,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may not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곡선 형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urved shape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돌출부 (125) 는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교차점들을 잇는 직선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 C를 따르는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에 모두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된다. 돌출부 (125) 는 후술할 제2 연결체 (130) 의 삽입홀 (145) 에 삽입됨으로써,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를 매개하게 된다.The projecting portion 125 is disposed on a straight line (an imaginary straight line along the central axis C in this embodiment) connecting the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2 supporting portions 120,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protrusion 12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5 of the second connector 130 to be described later to thereby mediate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돌출부 (125) 는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교차 부분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 (125) 는 본 실시예에서 예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교차 부분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서브 지지체 (116)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출부 (125) 가 서브 지지체 (116) 상에 형성되는 것이, 결합 후에 제1 연결체 (110) 의 제1 지지부 (115) 및 제2 지지부 (120) 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과 제2 연결체 (130) 의 제3 지지부 (135) 및 제4 지지부 (140) 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 [삽입홀 (145) 을 포함한다.] 이 연통됨으로써 통일적인 미감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protrusion 125 may be formed on the intersec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4, the projecting portion 125 may include a sub-support 116 occupying a space between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as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The protrusions 125 are formed on the sub support 116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ecause the holes formed by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of the first link member 110 after the engagement And the holes (including the insertion holes 145) formed by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of the second link member 13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uniform aesthetic feeling, Do.

돌출부 (125) 를 상측에서 본 형상은 후술할 제2 연결체 (130) 의 삽입홀 (145) 의 형상에 의해 결정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홀 (145) 이 사각 형상이므로 돌출부 (125) 는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 (125) 의 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걸림턱 (126) 이 형성되는 것이, 삽입홀 (145) 에의 삽입 후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5 as viewed from above i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insertion hole 145 of the second connector 130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insertion hole 145 has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Referring to FIG. 4,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portion 125 is formed with a stopping protrusion 126 along its circumference at the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125,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tachment after insertion into the insertion hole 145.

이하에서는, 상술한 제1 연결체 (110) 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연결체 (13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or 130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110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3에 따르면, 제2 연결체 (130) 는 제1 연결체 (110) 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체 (130) 는 제1 연결체 (110) 에서 돌출부 (125) 를 제외한 구성을 모두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1 to 3,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nnector 110. That is,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be formed to have all the configurations except for the protrusion 125 in the first connector 110.

자세하게 도 1 및 도 3을 특히 참조하면, 제2 연결체 (130) 는 제2 프레임부 (131) 와, 복수의 제3 지지부 (135) 와, 복수의 제4 지지부 (140) 와, 삽입홀 (145)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specifically to FIGS. 1 and 3, the second connector 130 includes a second frame portion 131, a plurality of third support portions 135, a plurality of fourth support portions 140, (145).

제2 프레임부 (131) 는 제2 연결체 (130) 의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 (132) 과 하측 프레임 (133) 을 포함한다.The second frame part 131 defines an elongated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connector 130 and includes an upper frame 132 and a lower frame 133.

제3 지지부 (135) 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지지부 (135) 는 제2 프레임부 (131) 의 상측 프레임 (132) 과 하측 프레임 (133) 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2 프레임부 (131) 의 길이 방향 중심축 C 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 C 와 시계 방향으로 45° 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3 지지부 (135) 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3 지지부 (135) 의 재질 및 원하는 탄성력 등의 조건에 따라 그 기울기를 30°, 6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third support portions 13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support portions 135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support part 135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frame 132 and the lower frame 133 of the second frame part 131 and has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C of the second frame part 131 .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is illustrated to be inclined at 45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C. However, the inclination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may be set to 30 deg. Or les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60 °, and the like.

제4 지지부 (140) 는, 제3 지지부 (135) 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지지부 (140) 는 제2 프레임부 (131) 의 상측 프레임 (132) 과 하측 프레임 (133) 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제2 프레임부 (131) 의 길이 방향 중심축 C 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되, 제3 지지부 (135) 와는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축 C 와 시계 방향으로 135° 를 이루도록 기울어진 제4 지지부 (140) 를 예시하고 있으나, 제4 지지부 (145) 의 재질 및 원하는 탄성력 등의 조건에 따라 그 기울기를 120°, 150°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ourth supporting portion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ike the third supporting portions 135. Preferably,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s 1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is connected to both the upper frame 132 and the lower frame 133 of the second frame portion 131 at both ends thereof and has an oblique angle And is dispos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is illustrated to be inclined at 135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C. However, the inclination of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may be 120 degrees, 150 °, and the like.

한편,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심축 C 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의 강성 혹은 탄성에 의한 복원력 (즉, 탄성력) 이 중심축 C 를 따르게 되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가 서로 대칭을 이루지 않아도 무방하다.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C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may have rigidity or However,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 140 do not have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because the restoring force due to elasticity (i.e., elastic force) follows the central axis C.

또한,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곡선 형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 140 may be formed in a linear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a curved shape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의 배치를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배치와 동일하게 한 것을 예시하였는데, 이러한 경우 도 5와 같은 결합 시에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각각의 연결체 (110, 130) 들에 형성된 구멍들이 일치하게 되어, 외관 상 수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머리 뒷 부분을 이 구멍을 통해 외부로 개방함으로써, 땀의 배출 등이 용이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의 배치를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의 배치와 동일하게 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In this case, The holes formed in the respective coupling members 110 and 130 coincide with each other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member 110 and the second coupling member 13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t the same coupling, , And the rear portion of the head is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this hole, the sweat can be easily discharged. However, the arrangement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 as in this embodiment.

삽입홀 (145) 은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의 교차 부분 사이에 배치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중심축 C 를 따라 배치된다. 삽입홀 (145) 로 상술한 제1 연결체 (110) 의 돌출부 (125) 가 삽입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45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section portion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135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140 and is disposed along the central axis C at regular intervals. The protrusion 125 of the first connector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5.

한편, 상술한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신축성 재질이 아니라 하더라도, 제1 내지 제4 지지부 (115, 120, 135, 140) 의 재료 본래의 강성에 기인하여 구조적으로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구조를 따른다면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가 반드시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아도 무방하다.Meanwhile,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they are preferably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However, even if it is not a stretchable material, since it is structurally stretchable due to the original rigidity of the materials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portions 115, 120, 135 and 140, if the above- The body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not always b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또한, 제1 연결체 (110) 는 상술한 구성을 따르되, 제2 연결체 (130) 는 상술한 구성을 따르지 않고, 삽입홀만 제공되는 형식으로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신축성은 제1 연결체 (110) 에서만 작용된다.Also, the first connector 110 may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but the second connector 130 may not b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rovided with only the insertion hole. In this case, the elasticity is exerted only on the first connector 110.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연결 유닛 (100) 에 의해 신축성이 제공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providing elasticity by the connection unit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5와 같이 제1 연결체 (110) 의 돌출부 (125) 가 제2 연결체 (130) 의 삽입홀 (145) 내로 삽입되어 제1 연결체 (110) 와 제2 연결체 (130) 가 서로 연결되고, 양측의 단부 (E) 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면, 돌출부 (125) 가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와 접촉하면서 서로를 밀게 된다.The protrusion 125 of the first connector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45 of the second connector 130 so that the first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connector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otrusions 125 push each other while contacting the third supporter 135 and the fourth supporter 140 when a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ds E of the both sid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돌출부 (125) 에는 도 2에서의 오른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며, 이에 따라 제1 지지부 (115) 와 제2 지지부 (120) 가 변형되면서 돌출부 (125) 는 상대적으로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125 are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in FIG. 2 so that the protrusions 125 can move in the right direction while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115 and 120 are deformed.

이와는 반대로 제2 연결체 (130) 의 삽입홀 (145) 에는 돌출부 (125) 를 통해 도 3에서의 왼쪽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며, 제3 지지부 (135) 와 제4 지지부 (140) 가 돌출부 (125) 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삽입홀 (145) 은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3 is applied to the insertion hole 145 of the second connector 130 through the protrusion 125 and the third and fourth supporters 135 and 140 are protruded from the protrusion 125 125, the insertion hole 145 can be moved to the left.

따라서, 연결 유닛 (100) 의 양단 (E) 에 인장력이 작용되는 경우, 돌출부 (125) 및 삽입홀 (145) 이 이동되는 만큼 연결 유닛 (100) 의 총 길이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인장력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지지부 (115, 120, 135, 140) 의 변형이 인장력을 수용하게 된다.Therefore, 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E of the connection unit 100,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on unit 100 is increased as the protrusion 125 and the insertion hole 145 are moved, . That is, deformation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portions 115, 120, 135 and 140 accommodates the tensile force.

이후 이러한 인장력이 사라지게 되면, 제1 내지 제4 지지부 (115, 120, 135, 140) 는 도 2 및 도 3과 같은 상태로 복원되고, 다시 연결 유닛 (100) 의 총 길이는 원래대로 변하게 된다.When the tensile force is removed, the first to fourth supporting portions 115, 120, 135, and 140 are restored to the state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total length of the connecting unit 100 is changed agai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 (100) 은 양단에 작용되는 인장력의 크기에 따라 변형 길이를 달리함으로써, 결합된 상태로 신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신축성은, 제1 내지 제4 지지부 (115, 120, 135, 140) 의 구조에 의해 획득되는데, 더 좋은 신축성을 원한다면, 제1 지지체 (110) 및 제2 지지체 (130) 를 합성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onnec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lasticity in a coupled state by varying the deformation length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applied at both ends. Such stretchability is obtained by the structure of the first to fourth supports 115, 120, 135 and 140. I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110 and 130 are desired to have better stretch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의 제1 연결체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6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a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의 제1 연결체 (110a) 는 도 2의 제1 연결체 (110) 와 비교하여, 제1 지지부, 제2 지지부 및 돌출부의 형상을 달리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차이점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connector 110a of FIG. 6 is different from the first connector 110 of FIG. 2 in the shape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Only the differen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a description of the same portions will be omitted.

도 6의 제1 연결체 (110a) 는 제1 지지부 (115a) 및 제2 지지부 (120a) 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부 (115a) 및 제2 지지부 (120a) 가 곡선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1 내지 도 5에서 예시된 연결 유닛 (100) 과는 상이한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 큰 탄성력 (즉, 탄성계수가 더 큰) 을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렇듯, 제1 지지부 (115a) 및 제2 지지부 (120a) 의 형상을 달리함으로써, 힘의 분산 효과가 상이하게 되므로, 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신축성을 얻을 수 있다.In the first connector 110a of FIG. 6,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a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Since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a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t is possible to provide different aesthetics from the connection unit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And the elastic modulus is larger). By varying the shape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a, the effect of dispersing the force is different, and thus, the desired stretchability can be obtained by controlling the first support portion 115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120a.

돌출부 (125a) 는 제1 지지부 (115a) 및 제2 지지부 (120a) 의 교차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데, 도 1 내지 도 5의 돌출부 (125) 와 형상만을 달리할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trusions 125a are disposed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er 115a and the second supporter 120a and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ose of the protrusions 125 of Figures 1 to 5. However, Is omitted.

한편, 도시하지 아니한 제2 연결체는 도 6의 제1 연결체 (110a) 와 돌출부 (125a) 가 위치하는 부분에 삽입홀이 제공되는 것만 상이할 뿐 다른 사항은 동일하고, 도 1 내지 도 5에서 예시된 제2 연결체 (120) 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6 is the same as that of FIG. 6 except that the insertion hole is provided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connector 110a and the protrusion 125a are locate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ith reference to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connector 120 illustrated in FIG.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 유닛 (100, 100a) 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모자 (1) 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유닛 (100, 100a) 이 모자 (1) 에 적용되는 경우, 챙 (2) 과 대향하는 뒷부분의 개구부 (4) 의 하단 둘레 부분을 연결하도록 하여 모자 본체 (3) 의 둘레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nection unit 100, 100a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For example, it can be applied to the cap 1 as shown in Fig. When the connecting unit 100 or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cap 1,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cap body 3 is se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ear opening 4 opposed to the visor 2 Can be adjusted.

특히 모자 (1) 에 연결 유닛 (100, 100a) 이 적용되는 경우, 큰 범위의 둘레 조정은 서로 삽입되는 돌출부 (125) 와 삽입홀 (145) 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행할 있으며, 또한 미세한 조정은 탄성력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큰 범위의 조정도 가능하면서, 모자의 착화감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connecting unit 100, 100a is applied to the cap 1, a large range of circumferential adjustment is performed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protrusions 125 and the insertion holes 145 to be inserted into each other. Further, As shown in FIG.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adjust a large range and increase the grip of the cap.

한편, 본 발명의 연결 유닛 (100, 100a) 은 모자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연결 길이를 조절함과 함께, 신축성이 필요한 구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동화 끈 대신에 운동화의 조임을 조절하도록 설포 윗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손목이나 발목 등에 착용하는 밴드의 양 단부를 착탈식으로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추 대신에 옷의 양 단부를 착탈식으로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철모, 작업모 등과 같은 모자를 고정하기 위한 턱끈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unit 100,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applied to the cap alone. In addition to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it is widely applicable to configurations requiring stretchability. For example, instead of a sneaker strap, it may be arranged at the top of the sulphide to control the tightening of the sneaker. It is also possible to detachably connect both ends of a band to be worn on, for example, the wrist or ankle. It may also be used to detachably connect both ends of the garment, for example, instead of a button. Also, it may be used to detachably connect a chin strap for fixing a hat, such as a helmet, a work wrist or the lik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10, 110a…제1 연결체 111…제1 프레임부
112…(제1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
113…(제1 프레임부의) 하부 프레임
115, 115a…제1 지지부 120, 120a…제2 지지부
125, 125a…돌출부 130…제2 연결체
131…제2 프레임부
132…(제2 프레임부의) 상부 프레임
133…(제2 프레임부의) 하부 프레임
135…제3 지지부 140…제4 지지부
145…삽입홀
100, 100a…본 발명의 연결 유닛
110, 110a ... The first connecting body 111 ... The first frame part
112 ... (Of the first frame part)
113 ... (Of the first frame part)
115, 115a ... The first support portions 120, 120a ... The second support
125, 125a ... The protrusions 130 ... The second connector
131 ... The second frame portion
132 ... (Of the second frame part)
133 ... (Of the second frame part)
135 ... The third support portion 140 ... The fourth support
145 ... Insertion hole
100, 100a ... The connecting unit

Claims (9)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및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착탈식으로 연결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1 지지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점들을 잇는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모두 고정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detachably connecting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the detachable connecting unit comprising a first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second portion,
The first connector may include:
A first frame portion defining an elongated outer periphery and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first frame portion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Wherein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at both ends thereof, A second support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on a straight line connecting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fixed to both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RTI >
Wherein the second connector ha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는,
길게 형성되는 바깥 둘레를 정의하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비스듬한 각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상기 제3 지지부와 교차하는 복수의 제4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홀은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의 교차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connecting body comprises:
A second frame portion defining an elongated outer periphery and including an upper frame and a lower frame;
A plurality of third supporting portion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forming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Wherein the second fram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t both ends thereof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ming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second frame portion, 4 support; / RTI >
And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are formed between the intersections of the third support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의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배치는 상기 제2 연결체의 상기 제3 지지부와 상기 제4 지지부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disposition of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the same as that of the third supporting portion and the fourth supporting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linear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 부분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교차 부분 사이의 공간을 점유하는 서브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n an intersecting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or on a sub support that occupies a space between intersection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nnection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직선 형상이며, 상기 제1 프레임부의 길이 방향 중심축에 대해 서로 대칭이며,
상기 돌출부는 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연결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are linear and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rst frame por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 detent jaw is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ng body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2 연결체는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착탈식 연결 유닛을 포함하는 모자.
A cap comprising a detachable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KR1020130143331A 2013-11-22 2013-11-22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KR1013900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31A KR101390060B1 (en) 2013-11-22 2013-11-22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PCT/KR2014/008004 WO2015076484A1 (en) 2013-11-22 2014-08-28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same
US14/391,670 US20160278466A1 (en) 2013-11-22 2014-08-28 Resiliently expandable, releasably-engaging connecting unit and cap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331A KR101390060B1 (en) 2013-11-22 2013-11-22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060B1 true KR101390060B1 (en) 2014-05-07

Family

ID=5089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331A KR101390060B1 (en) 2013-11-22 2013-11-22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78466A1 (en)
KR (1) KR101390060B1 (en)
WO (1) WO201507648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38941S1 (en) * 2017-04-25 2019-01-29 Lacie Leatherman Hat closure
USD892466S1 (en) * 2018-03-09 2020-08-11 Yupoong, Inc. Cap with a size adjusting fastener
USD892467S1 (en) * 2018-03-09 2020-08-11 Yupoong, Inc. Cap with a size adjusting fastener
US12053059B2 (en) * 2019-09-20 2024-08-06 Fan Ink Ltd. Faste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620U (en) 1997-01-17 1997-07-31 大阪美錠工業株式会社 Hat size adjuster
KR200208114Y1 (en) 2000-07-21 2000-12-15 주식회사동신수지 Band for adjusting size of hat
KR200235388Y1 (en) 1998-12-28 2001-10-25 송수근 Back band for a cap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6847B1 (en) * 1996-06-28 2001-07-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trap fastener
KR0134665Y1 (en) * 1996-10-07 1999-01-15 최신영 Flexible internal belt
US5987706A (en) * 1997-11-06 1999-11-23 Micron Electronics, Inc.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a plurality of structu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9620U (en) 1997-01-17 1997-07-31 大阪美錠工業株式会社 Hat size adjuster
KR200235388Y1 (en) 1998-12-28 2001-10-25 송수근 Back band for a cap
KR200208114Y1 (en) 2000-07-21 2000-12-15 주식회사동신수지 Band for adjusting size of h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78466A1 (en) 2016-09-29
WO2015076484A1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102175A (en) Watchband with hook-and-loop fastener
US7694395B2 (en) Strap assembly capable of rotational engagement with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390060B1 (en) Detachable connection unit having flexibility and cap having the same
CA2353128C (en) Sweat-absorbing headgear
NL2009496C2 (en) Stretchable cap having size controller.
US7174572B1 (en) Headwear with stretchable sweatband
US9622535B2 (en) Helmets and helmet fit systems
WO2019067308A2 (en) Adjustable strap for hat
US20200268091A1 (en) Breakaway clasp for headwear
JP4277006B2 (en) Diving face mask strap
JP2010084314A (en) Head protective headgear
US20080109939A1 (en) Cap combined with assistant tapes
US20240285015A1 (en) Adjustable headwear strap
JP3170882U (en) Cap-type hat top button and hat with top button
KR102416455B1 (en) Apparatus of preventing separation of cap
JP2006070409A (en) Hat
JP2011219894A (en) Hairstyle collapse preventing tool
JP3979042B2 (en) Industrial safety cap
JP2007204898A (en) Hat
KR100873002B1 (en) Comfortableness improved elastic head band and headgear thereof
WO2022091349A1 (en) Sock suspender
JPH0516176Y2 (en)
JP4060215B2 (en) Auxiliary band for helmet and helmet using it
KR20120082068A (en) The headband whose feeling is good
KR101069487B1 (en) Cap with shape change and improved f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