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95277B1 -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277B1
KR101395277B1 KR1020130157209A KR20130157209A KR101395277B1 KR 101395277 B1 KR101395277 B1 KR 101395277B1 KR 1020130157209 A KR1020130157209 A KR 1020130157209A KR 20130157209 A KR20130157209 A KR 20130157209A KR 101395277 B1 KR101395277 B1 KR 10139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connection hole
workbench
hinge shaft
changing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13015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2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만을 수평되게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소 작업을 위해 승강되는 승강판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상부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하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홀에는 종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종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상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와; 상기 승강판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게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A DEVICE FOR KEEPING HORIZONTAL LEVEL OF PLATFORM}
본 발명은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만을 수평되게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수원, 밭, 비닐하우스 등의 농업 현장이나, 공장, 도로, 건설 등의 산업현장에서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자를 높은 곳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고소 작업장비가 사용된다.
그리고 고소 작업장비는 현장으로 이동시켜 링크와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장비가 있고, 차량에 장착되어 작업대를 승강시키는 장비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에 고소 작업장비가 경사진 지면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지면과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된다. 그러므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할 경우에는 경사진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미끄러져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종래의 고소 작업장비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6439호의 "농업용 고소작업대"(이하, "종래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는 차량의 후방에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설치되어 있고, 차량의 전방의 양단에는 차량의 하부 지지면적을 확대하는 전방 아웃트리거가 구비되며, 차량의 후방의 양단에는 차량의 지지면적을 확대하는 후방 아웃트리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방 아웃터리거의 내부에는 지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차량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경사진 농사지(農事地 : 이하, "지면"이라 한다.)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의 인출 및 회전구조를 조정하여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한 다음, 작업자가 탑승된 작업대를 상승시켜 고소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농업용 고소작업대를 경사진 지면에서 사용함에 있어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작업대를 옮길 때 마다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4개의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를 조작하여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시킨 다음, 작업대를 상승시켜야 함으로써, 고소 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6439호의 "농업용 고소작대"(2011.06.2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승강판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만을 수평되게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의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대의 상부에 추가로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방향 힌지축이나 횡방향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나 구동모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라인이 파열되는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가 경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방향 힌지축이나 횡방향 힌지축의 단부면에 중력에 의해 항상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 식별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가 수평 식별부재를 육안을 식별하면서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의 수평을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고소 작업을 위해 승강되는 승강판을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 상부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하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홀에는 종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종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상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와; 상기 승강판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게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승강판의 상부와 작업대의 하부 사이의 일측이나 양측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승강판의 상부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의 하부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승강판과 작업대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종방향 힌지축에 장착되는 웜휠과, 상기 승강판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웜휠에 맞물리는 웜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종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은, 승강판의 상부에 고정되어 종방향 힌지축의 외주면을 눌러주어 종방향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종방향 힌지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승강판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와,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종방향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밀착면을 가지는 브레이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종방향 회전축의 전방 단부면에 돌출축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돌출축에 회전되게 관통 고정되고 하부에는 중량추가 구비되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는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작업자 수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수평대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식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작업대의 상부의 중앙에는 횡방향으로 하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홀에는 횡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횡방향 힌지축이 관통 구비되는 상부 연결홀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이 돌출 형성되는 적층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대하여 상기 횡방향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 작업대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을 더 조작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횡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게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상부와 적층 작업대의 하부 사이의 후방이나 전,후방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작업대의 상부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가 적층 작업대의 하부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작업대와 적층 작업대의 일측이나 양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횡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은, 상기 횡방향 힌지축에 장착되는 웜휠과,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웜휠에 맞물리는 웜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횡방향 힌지축은 상기 하부 연결홀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는, 작업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횡방향 힌지축의 외주면을 눌러주어 횡방향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횡방향 힌지축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와,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의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횡방향 힌지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밀착면을 가지는 브레이크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상기 횡방향 회전축의 하나의 단부면에는 돌출축이 더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돌출축에 회전되게 관통 고정되고 하부에는 중력추가 구비되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대의 상부에는 전,후방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작업자 수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수평대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식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만을 수평되게 보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방으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방향 힌지축이나 횡방향 힌지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수단을 통해,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나 구동모터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라인이 파열되는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가 경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확보된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평 식별부재를 육안을 식별하면서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의 수평을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대나 적층 작업대가 미세하게 경사짐으로 발생되는 적재물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며,
도 8c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정면도이고, 도 1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차량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장비에 구비되거나, 또는 이동에 의해 세워지는 고소 작업장비에 구비됨으로써, 고소 작업을 위해 승강되는 승강판(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승강판(1) 상부의 중앙에는 종방향으로 하부 연결홀(211)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는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2a)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구비되는 상부 연결홀(311)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3a)와, 상기 승강판(1)에 대하여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311)에서 회전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와 작업대(3a)의 하부 사이의 일측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승강판(1)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작업대(3a)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의 승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유체 공급수단(미도시됨)과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실린더(S)에 유체를 공급시키거나 배출시켜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조작 제어부는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승강판(1)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3a)만을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승강판(1)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함으로써,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판(1)은, 승강판(1)의 상부에 고정되어 종방향 힌지축(2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종방향 힌지축(22)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수단(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수단(4)은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승강판(1)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와,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의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밀착면(421)을 가지는 브레이크판(42)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조작 제어부에 의해 로드가 신장되거나 신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와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유체 공급수단(미도시됨)과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실린더(S)에 유체를 공급시키거나 배출시켜 상기 실린더(S)와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조작 제어부는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는 경사진 승강판(1)에 대하여 작업대(3a)가 수평으로 보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제어부의 조작 제어를 통해 로드에 장착된 브레이크판(42)이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의 외주면을 가압해 줌으로써, 종방향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수단(4)을 구비함으로써, 작업대(3a)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실린더(S)에서 유체 라인의 파열되는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작업대(3a)가 경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린더(S)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작업대(3a)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종방향 회전축의 전방 단부면에 돌출축(D)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업대의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돌출축(D)에 회전되게 관통 고정되고 하부에는 중량추(52)가 구비되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대(5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대(51)의 상부에는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작업자 수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수평대(53)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식별부재(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대(51)는 돌출축(D)의 단부에 끼워지는 스냅링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별 수평대(53)는 수직대(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량추(52)에 의해 항상 수평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판(1)이 경사지더라도 중량추(52)가 중력에 의해 중앙 하부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식별 수평대(53)는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 식별부재(5)의 식별 수평대(53)를 육안을 식별하면서 작업대(3a)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춤으로써, 작업대(3a)가 미세하게 경사짐으로 발생되는 적재물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의 중앙에는 횡방향으로 하부 연결홀(211)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는 횡방향 힌지축(23)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2b)와,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이 관통 구비되는 상부 연결홀(311)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적층 작업대(3b)와, 상기 작업대(3a)에 대하여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 작업대(3b)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조작 제어부는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더 조작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311)에서 회전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적층 작업대(3b)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됨으로써 상기 적층 작업대(3b)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 사이의 후방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작업대(3a)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S)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적층 작업대(3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의 승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 제어부는 다수의 제1 실시예의 실린더(S)와 제2 실시예의 실린더(S)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유체 공급수단(미도시)과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실린더(S)에 유체를 공급시키거나 배출시켜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조작 제어부는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대(3a)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와 제2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사방으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함으로써, 사방으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시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이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대(3a)는, 작업대의 상부에 고정되어 횡방향 힌지축(23)의 외주면을 눌러주어 횡방향 힌지축(23)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수단(4)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수단(4)은,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작업대(3a)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와,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의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밀착면(421)을 가지는 브레이크판(42)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조작 제어부에 의해 로드가 신장되거나 신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와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공지된 유체 공급수단(미도시)과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에 유체를 공급시키거나 배출시켜 상기 실린더(S)와 더불어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조작 제어부는 여러 형태가 공지되어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는 경사진 승강판(1)에 대하여 적층 작업대(3b)가 수평으로 보정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제어부의 조작 제어를 통해 로드에 장착된 브레이크판(42)이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의 외주면을 눌러줌으로써, 횡방향 회전축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에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수단(4)을 구비함으로써, 적층 작업대(3b)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실린더(S)에서 유체 라인이 파열되는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적층 작업대(3b)가 경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기 실린더(S)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작업대(3a)가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추락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횡방향 회전축의 하나의 단부면에는 돌출축(D)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업대의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돌출축(D)에 회전되게 관통 고정되고 하부에는 중력추가 구비되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대(5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대(51)의 상부에는 전,후방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작업자 수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수평대(53)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식별부재(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대(51)는 돌출축(D)의 단부에 끼워지는 스냅링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식별 수평대(53)는 수직대(51)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량추(52)에 의해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판(1)이 경사지더라도 중량추(52)가 중력에 의해 중앙 하부에 위치됨으로서, 상기 식별 수평대(53)는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상기 수평 식별부재(5)의 식별 수평대(53)를 육안을 식별하면서 적층 작업대(3b)의 수평을 정확하게 맞춤으로써, 적층 작업대(3b)가 미세하게 경사짐으로 발생되는 적재물의 추락 사고를 예방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판(1)의 상부와 작업대(3a)의 하부 사이의 양측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승강판(1)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다수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작업대(3a)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의 승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3a)만을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다수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자업대를 수평으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판(1)의 상부와 작업대(3a)의 하부 사이의 양측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승강판(1)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다수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작업대(3a)의 상부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 사이의 후방이나 전,후방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작업대(3a)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다수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적층 작업대(3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의 승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대(3a)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상술한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구성하는 다수의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정면도이고, 도 5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판(1)과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1)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작업대(3a)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경사진 승강판(1)의 상부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3a)만을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작업대(3a)를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판(1)과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1)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대(3a)와 적층 작업대(3b)의 일측이나 양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1)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가 신장 또는 신축이 가능하도록 적층 작업대(3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내부의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실린더(S)는 로드의 승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서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대(3a)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상술한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므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7a는 정면도이고, 도 7b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에 장착되는 웜휠(W1)과,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장착되고 윔휠에 맞물리는 웜(W2)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M)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M)의 웜(W2)과 연동되어 웜휠(W1)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웜휠(W1)과 함께 종방향 회전축(22)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3a)만을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다수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킴으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웜휠(W1)과 웜(W2)으로 구성함에 따라, 웜(W2)이 회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웜휠(W1)이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대(3a)를 보다 안전하게 수평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a는 정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며, 도 8c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제외하고, 상술한 제2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이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에 장착되는 웜휠(W1)과,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장착되고 윔휠에 맞물리는 웜(W2)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예의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구성하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조작 제어부에 의해 조작 되는 것으로,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에 장착되는 웜휠(W1)과,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에 장착되고 윔휠에 맞물리는 웜(W2)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작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M)를 정회전시키거나 역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M)의 웜(W2)과 연동되어 웜휠(W1)이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웜휠(W1)과 함께 횡방향 회전축(23)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업대(3a)를 수평으로 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고소 작업장비를 경사진 지면에 이동시켜, 경사진 지면에서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업대(3a)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적층 작업대(3b)를 수평으로 보정할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작 제어부를 조작 제어하여 상술한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실린더(S)의 로드를 신장 또는 신축시키므로써, 경사진 승강대에 대하여 적층 작업대(3b)의 좌우의 경사짐과 전후의 경사짐을 모두 보정하여 적층 작업대(3b)를 수평되게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웜휠(W1)과 웜(W2)으로 구성함에 따라, 웜(W2)이 회전되지 않을 경우에는 웜휠(W1)이 회전되지 않게 됨으로써, 적층 작업대(3b)를 보다 안전하게 수평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승강판
2a : 하부 지지부, 2b : 하부 지지부
21 : 하부 연결브래킷
211 : 하부 연결홀
22 : 종방향 힌지축
23 : 횡방향 힌지축
3a : 작업대, 3b : 적층 작업대
31 : 상부 연결브래킷
311 : 상부 연결홀
4 : 브레이크 수단
41 : 브레이크 유압실린더
42 : 브레이크판
421 : 밀착면
5 : 수평 식별부재
51 : 수직대
52 : 중량추
53 : 식별 수평대
R1 :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 R2 :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
S : 유압실린더
H : 힌지부
W1 : 웜휠
W2 : 웜
M : 구동모터
D : 돌출축

Claims (15)

  1. 승강판(1) 상부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21)에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2a)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3a)와;
    상기 승강판(1)에 대하여 종방향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승강판(1)은,
    승강판(1)의 상부에 고정되어 종방향 힌지축(22)의 외주면을 눌러주어 종방향 힌지축(22)의 회전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수단(4)은,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상기 승강판(1)에 고정되고 상기 조작 제어부와 연결되어 조작 제어부에서 제어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와, 상기 브레이크 유압실린더(41)의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원호형의 밀착면(421)을 가지는 브레이크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와 작업대(3a)의 하부 사이의 일측이나 양측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승강판(1)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기 승강판(1)과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1)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전방이나 전,후방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은,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에 장착되는 웜휠(W1)과,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웜휠(W1)에 맞물리는 웜(W2)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6. 삭제
  7. 승강판(1) 상부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21)에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2a)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3a)와;
    상기 승강판(1)에 대하여 종방향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회전축(22)의 단부에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를 더 구성하며,
    상기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는,
    상기 종방향 회전축(2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자유회전하며, 하부에 중량추(52)가 구비되어 항상 수직 상태를 유지하는 수직대(51)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대(51)의 상부에는 양측에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어 작업자 수평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수평대(53)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 식별부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의 중앙에는 횡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21)에는 횡방향 힌지축(23)이 관통 구비되는 하부 지지부(2b)와;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는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이 관통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적층 작업대(3b)와;
    상기 작업대(3a)에 대하여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 작업대(3b)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 사이의 후방이나 전,후방에 세워지게 구비되고 각각의 하부가 작업대(3a)의 상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적층 작업대(3b)의 하부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기 작업대(3a)와 적층 작업대(3b)의 일측이나 양측에 대각선 방향으로 구비되고, 하부가 승강판(1)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H)로 연결되고 상부가 작업대(3a)의 일측이나 양측에 힌지부(H)로 연결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실린더(S)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고,
    상기 적층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2)은,
    상기 횡방향 힌지축(23)에 장착되는 웜휠(W1)과,
    상기 작업대(3a)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웜휠(W1)에 맞물리는 웜(W2)이 회전축에 장착되는 구동모터(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승강판(1) 상부의 중앙에 하나 이상의 하부 연결브래킷(2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연결브래킷(21)에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부 지지부(2a)와;
    상기 승강판(1)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의 중앙에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연결브래킷(31)이 돌출 형성되는 작업대(3a)와;
    상기 승강판(1)에 대하여 종방향 힌지축(22)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대(3a)의 각도를 변경시키는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과;
    상기 작업대 각도 변경수단(R1)을 조작 제어하는 조작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판의 하부 연결브래킷에는 하부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작업대의 상부 연결브래킷에는 상부 연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종방향 힌지축(22)은,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 고정되고 상부 연결홀(311)에서 회전되게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 연결홀(211)에서 회전되고 상부 연결홀(311)에 고정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KR1020130157209A 2013-12-17 2013-12-17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Active KR10139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209A KR101395277B1 (ko) 2013-12-17 2013-12-17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209A KR101395277B1 (ko) 2013-12-17 2013-12-17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277B1 true KR101395277B1 (ko) 2014-05-16

Family

ID=5089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209A Active KR101395277B1 (ko) 2013-12-17 2013-12-17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2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54B1 (ko) * 2014-06-03 2015-10-30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베드 수평정렬 장치
KR20160077950A (ko) * 2014-12-24 2016-07-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는 3d 프린터
KR101700344B1 (ko) * 2015-09-23 2017-02-0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KR101914987B1 (ko) * 2016-11-18 2019-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지지식 균형유지장치
CN114127006A (zh) * 2019-10-15 2022-03-01 特雷克斯澳大利亚有限公司 移动式起重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821A (ko) * 2008-01-28 2009-07-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84478A (ko) * 2012-01-17 2013-07-25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005905U (ko) * 2012-03-30 2013-10-10 고인순 사다리차 운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821A (ko) * 2008-01-28 2009-07-3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KR20130084478A (ko) * 2012-01-17 2013-07-25 주식회사 세웅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30005905U (ko) * 2012-03-30 2013-10-10 고인순 사다리차 운반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4554B1 (ko) * 2014-06-03 2015-10-30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베드 수평정렬 장치
WO2015186864A1 (ko) * 2014-06-03 2015-12-10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베드 수평정렬 장치
US20170087773A1 (en) * 2014-06-03 2017-03-30 Hyvision System Inc. Apparatus for horizontally aligning bed of three-dimensional printer
KR20160077950A (ko) * 2014-12-24 2016-07-04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는 3d 프린터
KR101677452B1 (ko) 2014-12-24 2016-11-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수평조절 시스템을 포함하는 3d 프린터
KR101700344B1 (ko) * 2015-09-23 2017-02-01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프린터 헤드를 위한 필름형 안전 베드
KR101914987B1 (ko) * 2016-11-18 2019-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지지식 균형유지장치
CN114127006A (zh) * 2019-10-15 2022-03-01 特雷克斯澳大利亚有限公司 移动式起重机
US12291434B2 (en) 2019-10-15 2025-05-06 Terex Australia Pty Ltd Mobile cra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277B1 (ko) 작업대 수평 유지장치
KR101923680B1 (ko) 과수 작업차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US9206687B2 (en) Mining roof support system
CN106414869A (zh) 载荷运载平台往返车
KR20130096559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CA2610182C (en) Elevating workshop pit platform
KR10182359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 장치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101288370B1 (ko) 터널용 작업대차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US20140248114A1 (en) Lifting device for conveyor equipped vehicle and method thereof
DE102008061334B4 (de) Vorrichtung zur Handhabung von schweren Gegenständen
KR20130084478A (ko) 농업용 고소작업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KR101599698B1 (ko) 터널 작업 플랫폼
KR20220029229A (ko) 고소 작업차
JP2669381B2 (ja) 移動作業床のせり上げ拡張床装置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KR101669152B1 (ko) 농업용 고소 작업차
KR20130000823U (ko) 고소 작업용 장치
JP2007117246A (ja) 転落防止具及びその使用方法、並びに転落防止柵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80230312A1 (en) Vehicle Supported, Portable Scaffold System
JP5944722B2 (ja) 高所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