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6446B1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6446B1 KR101376446B1 KR1020130030291A KR20130030291A KR101376446B1 KR 101376446 B1 KR101376446 B1 KR 101376446B1 KR 1020130030291 A KR1020130030291 A KR 1020130030291A KR 20130030291 A KR20130030291 A KR 20130030291A KR 101376446 B1 KR101376446 B1 KR 1013764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itial
- pipe
- bridge
- rainwater
-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9287 sand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1033 desa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447 Ge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313 G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5 agro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43 air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 그 유도관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배수관을 초기 우수만을 처리하도록 소형으로 만들어 초기우수는 육상부로 이송시켜 자연형 저감시설에 유입시키고, 이후의 용량초과수는 월류관을 통해 하천으로 직하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고 처리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method using the induction pipe,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and a reduction method. More specifically, the vertical drainage pipe is made small so as to process only the initial rainwater, and the initial rainwater is transferred to the land part to be introduced into the natural type abatement facility, and the subsequent excess water flows directly to the river through the overflow pipe to secure economical efficiency and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 bridges that can optimize efficiency.
수질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나누는데, 점오염원은 주로 일반가정이나 영업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하는 산업폐수, 대단위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발생지역과 발생량의 추적이 비교적 용이한 것들을 이르며 하수처리의 주요 대상이다.Water pollution sources are divided into point pollution sources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Point pollution sources are mainly used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area and generation amount such as domestic sewage generated in general households or business areas,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d from factories, animal wastewater generated in large- This is a relatively easy subject and is the main object of sewage disposal.
반면 비점오염원은 농업배수, 광산폐수, 소규모 축산시설의 축산폐수, 하수도가 없는 농촌지역의 생활하수나 임야 등에서 발생하는 배수를 말하며 이들 오염원은 비교적 오염 기여도가 적어 자연처리에 의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refers to drainage from agricultural drainage, mine waste water, livestock wastewater from small-scale livestock facilities, living sewage or forest in rural areas without sewerage, and these pollutants are relatively dependent on natural treatment due to less contribution of pollution.
강조하면, 비점오염원은 비특정(非特定)오염원, 면(面)오염원, 이동오염원 또는 기타수질오염원이라고도 하는데 점오염원이 특정한 배출경로를 가진 것과는 달리 비점오염원은 도시노면배수나 농경지배수와 같이 불특정한 배출경로를 통해 비점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가리킨다.Emphasis is placed on non-point sources, non-specific pollutants, surface pollutants, mobile pollutants, and other pollutants. Unlike point pollutants having specific discharge routes, non-point pollutants are unspecified, such as urban road drains or agricultural drainage. Refers to a location or area that generates nonpoint pollutants through an exhaust path.
수질환경보전법상의 '특정시설'에서 '기타수질오염원'으로 명칭이 변경된 수산물양식시설, 골프장시설, 운수장비·정비 또는 폐차장시설, 농축수산물 단순가공시설, 사진처리시설 등과 여기에 추가된 농지, 하역장, 제품야적장, 토지형질변경지역 등의 기타시설이 해당된다.Aquaculture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maintenance or disposal facilities, simplified processing facilities for enriched fisheries products, photo processing facilities, etc., which have been renamed as 'other water pollution sources' in the 'Specified Facility' under the Water Quality Protection Law, , Product yard, land change area, and other facilities.
비점오염물질은 주로 비가 올 때 지표면 강우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농지에 살포된 비료나 농약, 토양침식물, 축사유출물, 교통오염물질, 도시지역의 먼지와 쓰레기, 자연동·식물의 잔여물, 지표면에 떨어진 대기오염물질 등을 말한다.Non-point pollutants are mainly pollutants that run out along with surface rainfall runoff when they are exposed to rain. These include fertilizers, pesticides, soil sprinkling plants, housing spills, traffic pollutants, dust and garbage in urban areas, Residues, and air pollutants that have fallen on the surface of the earth.
따라서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빗물(강우유출수)이 실제로 주된 비점오염원이 된다. 비점오염물질은 대개 많은 비가 와야 유출되기 때문에 일간·계절간 배출량의 차이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기상조건·지질·지형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Therefore, rainwater (rainwater runoff) containing all pollutants is actually the main nonpoint source. Since non-point pollutants usually flow out with a lot of rainfall,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daily and seasonal emissions, and it is difficult to forecast and quantify, and it is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geology, and topography which are difficult to manure.
생활하수 등 점오염원은 꾸준한 환경기초기설 설치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나 비점오염원은 토지이용의 고도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비점요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2015년 수계별로 65 ~ 70% 수준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어 비점오염원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The point pollution sources such as domestic sewage are steadily decreasing due to the establishment of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but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land use. In particular, the impact of non-viscous salts on water quality is predicted to reach 65 ~ 70% by water sector in 2015, and activ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s is required.
이에 정부는 2007년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정에 관한 법률`을 제·개정하여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의무설치대상을 선정 및 확대하여 점차 설치대상현장은 늘어나고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In 2007, the government revised and amended the 'Law on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Correction' to select and expand objects to be installed in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수도권 주민의 주 상수원인 한강수계의 팔당댐 상류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연구용역'(2000년 6월 실시) 결과, 1999년 말 기준으로 총 발생부하량(BOD기준) 16만 9702t/년 중 생활하수·산업폐수·축산폐수 등 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80.4%인 13만 6509t/년이고, 비점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은 19.6%인 3만 3193t/년으로 조사되었다.As of the end of 1999, as a resul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Research Service" (conducted in June 2000) on the upper stream of the Paldang Dam in the Han River, the main water source of the metropolitan area residents, The pollutant loads generated from point sources such as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wastewater were 804.4%, 130,650t / year, and the pollution load from nonpoint pollution sources was 19,3193t / year, which was 19.6%.
또 총 배출부하량(BOD기준)으로는 비점오염원이 44.5%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어,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4대 수계에 속하는 금강, 낙동강, 영산강 수계도 이와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규제기준이 설정되어 있는 점오염원들에 대한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환경기초시설들이 확충됨에 따라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이다.In addition,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source was estimated to be 44.5% of the total discharge load (BOD standard),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water pollution. The Geum River, Nakdong River and Youngsan River . Therefore, as the regulations for point sources with regulatory standards are continuously strengthened and environmental facilities are expanded, the impact of non - point pollution sources on water quality will gradually increase.
한편, 이러한 문제점에 있어서, 종래에는 오염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도시지역의 노면배수는 저류조(貯留槽)를 설치하여 초기에 내린 비로 인해 발생한 오염물질을 침전시킨 후 방류하도록 하고,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료·농약성분이 다량 함유된 농업배수는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저류조, 습지정화시설, 수초대(水草帶)등을 설치하였다.As a countermeasure for reducing pollution,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duce pollution, the road surface drainage in an urban area is provided with a storage tank to allow the pollutants generated due to the initial rainfall to be settled and discharged, · Agricultural drainage, which contains a large amount of agricultural chemicals, was installed in a reservoir, a wetland purification facility, and aquatic plants to prevent direct influx into the river.
그러나 이러한 대처방안은 모든 오염물질을 포함한 채 배출되는 실제 비점오염원인 초기우수만을 처리하면 될 것을 오염물질의 농도가 줄어드는 일정시간 후의 우수도 계속해서 정화처리함으로 비점오염 처리시설의 효율성이 저감되고, 유지관리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점오염물질의 거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초기 유출수만을 대상으로 하고 적정효율과 경제성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이 요구되었다.However, such a countermeasure would be to treat only the initial rainfall, which is the actual nonpoint source pollutant discharged with all the pollutants, by continuously treating the rainwat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de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rises. Therefore,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y with proper efficiency and economical efficiency was required for the initial runoff containing the majority of nonpoint pollutants.
또한, 침투도랑 또는 모래 여과시설 등의 비점오염 저감시설은 저감시설의 안정성과 수질처리효율 향상을 위해 Off-line(기존수로에서 저감시설을 분리)으로 설치하여야 하며, 이때 기존수로에서 초기우수를 분리해내는 시설이 유량분배구조물(Flow splitter)에 해당한다. In addition,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such as infiltration ditches or sand filtration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off-line (separation of abatement facilities from existing waterways)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abatement facilities and the water treatment efficiency. The separation facility corresponds to a flow splitter.
미국에서는 집수정형태로 만들도록 하고 있으나 국내 개수로 시스템에는 적합하지 않고 시공성과 유지관리에 불리하며, 국내에는 설치기준이 없어 저감시설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the United States, it is designed to be made into a corrugated form.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the domestic repair system, it is disadvantageous to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nd the abatement facility can not exert its function because there is no installation standard in Korea.
특히, 하천을 통과하는 교량의 경우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에 직유입되어 저감시설의 설치가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교량용 우수 유도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장대교량(5)의 경우 교면 상의 전체 우수를 배수관(8)을 통하여 육상부에 설치된 저감시설로 모두 이송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배수관(8)의 직경이 육상부 측으로 갈수록 과대해져(현재 시공되고 있는 배수관(8)의 최대 직경은 약 800mm) 하중 증가, 공사비 상승, 미관저해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bridges passing through rivers, nonpoint pollutants flow directly into rivers and the installation of the abatement facilities is further needed. Fig. 1 show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xcellent guiding tube for bridges. As shown in FIG. 1,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또한, 종래 장대교량(5)의 경우, 교각(6) 자체에 장치형 저감시설(9)을 설치하여 이러한 비점오염을 제거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교각(6) 측에 장치형 시설(9)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6) 일측에 장치형 저감시설(9)을 설치하여 교량(5) 노면의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형은 저감효율이 낮고 설치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어 이의 보완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비점오염 저감 목표는 초기우수의 처리에 있으므로, 종배수관을 초기 우수만을 처리하도록 소형으로 만들어 초기우수는 육상부로 이송시켜 자연형 저감시설에 유입시키고, 이후의 용량초과수는 월류관을 통해 하천으로 직하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고 처리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r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target is in the treatment of the initial excellent, the initial excellent by making the vertical drainage pipe small to handle only the initial excellent Its purpose is to provide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 bridges, which can be transferred to the land and flow into natural type abatement facilities, and afterwards the excess water flows directly into the river through the overflow pipe to secure economic efficiency and optimize treatment efficiency.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우수는 저감시설로 이송하여 주변수계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종배수관 규격 축소를 통한 공사비 절감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rain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abatement facility to prevent the surrounding water pollution, and provides an initial rainwater induction pipe for river bridge easy to reduce construction cost and maintenance by reducing the vertical drainage pipe standard. Has its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홍수시, 종배수관 폐색시에도 월류관을 통한 노면 배수가 가능하며, 저감시설 설치비 및 교량 종배수관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종배수관의 규격 최소화를 통한 교량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ad surface drainage through the overflow pipe is possible even during flooding, closing the vertical drainage pip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batement facility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ridge vertical drainage pipe, and to minimize the specification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itial excellent guide pipe for river bridges that can reduce the bridge load.
본 발명의 그 밖에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하상교량에서 발생하는 초기우수를 비점오염 저감시설로 유도시키기 위한 초기우수유도관에 있어서, 교량 노면 일측에 설치된 집수구와 연결되는 연직관;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설치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되며, 집수된 상기 우수의 초기우수를 상기 저감시설까지 유도하는 종배수관; 및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직관으로 집수된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상기 종배수관의 용량을 초과한 용량초과수가 유입되어 상기 용량초과수를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월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으로 달성될 수 있다.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inducing the initial rainwater generated in the riverbed bridg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a vertical pipe connected to the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idge road surface; A vertical drain pipe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vertical pipe and installed to an abatement facility installed o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a longitudinal drainage pipe leading the collected excellent initial rainfall to the abatement facility; And a overflow pipe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nd having a capacity excess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vertical drain pipe except the initial excellent water inflowed into the vertical pipe to discharge the capacity excess water to the stream. It can be achieved by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하상교량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n the lower bridge.
상기 종배수관의 직경은 교량의 길이에 따라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longitudinal drainage pip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sta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ridge.
상기 종배수관의 직경은 15 ~ 30cm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15 ~ 30cm.
상기 연직관이 연결되는 상기 교량노면에 천공부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상기 우수를 상기 연직관으로 집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rain pip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o collect the rainwater into the vertical pipe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formed in the perforated portion on the bridge road surface to which the vertical pipe is connected.
상기 교량 노면하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lower road surface.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비점오염을 저감시키기 위해, 하상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이용하여 초기우수를 저감시설로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량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우수가 노면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연직관으로 유입되는 단계;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으로 합류되는 단계;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종배수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육상부에 구비된 상기 저감시설로 배수되는 단계; 및 상기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우수 유도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reduce non-point pollution,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ducing initial rainwater to an abatement facility using an initial rainwater induction pipe for riverbed bridges, wherein rainwater collected through a catchment hole installed on a bridge road surface is provided on a lower portion of a road surface. Entering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installed; Joining the initial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wer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 to the sewage pipe provided i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the initial storm flows along the vertical water pipe and drains to the abatement facility provided in the land area; It may be achieved by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d the excess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the overflow pip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nd discharged to the stream.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저감시설까지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vertical drainage pipe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 slope to the abatement facility.
상기 월류관은 집수구에서 연직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직접 월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확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overflow pip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nlarged portion so that the initial rain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pipe from the catchment does not directly flow into the overflow pipe.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에 있어서, 교량 노면 일측에 설치되어 집수구로 집수된 우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연직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설치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되며, 합류된 상기 우수의 초기우수를 상기 저감시설까지 유도하는 종배수관 및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직관으로 유입된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유입되어 상기 용량초과수를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월류관을 구비하는 초기우수 유도관; 초기우수 유도관으로 유도된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상기 초기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침강시키는 전처리조; 및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상기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로서 달성될 수 있다.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ad surface and the rainwater collected into the water collecting port,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pipe ends It is installed to the abatement facility installed o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ing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to guide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to the abatement facility.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having an overflow pipe for discharging the excess capacity of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water introduced into the stream; A pretreatment tank for introducing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itial rainwater induction pipe to settl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to the bottom; And an initial rain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to reduce the non-point pollutants of the initial rainwater. The initial rainwater may be achieved a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rainwater induction pipe for bridges.
상기 저감시설은,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유입되고, 내부에 골재가 충진되어 상기 초기우수를 상기 골재에 담수 및 침투시키는 침투도랑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batement facility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rainfall i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the aggregate is filled therein is a penetration groove for fresh water and infiltration into the aggregate.
상기 침투도랑과 상기 전처리조 사이에는 구비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침투도랑은 1 ~ 2.5m의 깊이를 갖고, 모래층으로 충진된 하단부와 자갈층으로 충진된 중단부 및 잔자갈층으로 충진된 상단부로 구비되고, 격벽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를 상기 침투도랑에 침투시키는 투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the penetration groove and the pretreatment tank, the penetration groove has a depth of 1 ~ 2.5m, provided with a bottom portion filled with sand layer, a stop portion filled with gravel layer and an upper portion filled with residue layer And,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jection hole for penetrating the initial excellent 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nto the penetration groove.
상기 저감시설은,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상부측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모래층이 충진되어 상기 모래층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가 여과되어 여과된 상기 초기우수를 기존수로로 토출시키는 모래여과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batement facility is a sand filtration tank in which the initial rain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s introduced to the upper side, and the sand layer is filled therein to filter the initial rainwater by the sand layer to discharge the filtered initial rainwater to the existing water channel. can do.
상기 모래여과조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후방과 일측 측면으로 경사가 형성된 높이조절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nd filtration tank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concrete formed inclined to the rear and one side.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에 있어서, 교량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다수의 연직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단계;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으로 합류되는 단계; 초기우수가 상기 종배수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육상부에 구비된 상기 저감시설 측으로 배수되는 단계; 및 배수된 상기 초기우수가 전처리조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 저장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하부로 침강되는 단계; 전처리조와 침투도랑 사이에 구비된 격벽 하부에 형성된 투입공을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침투도랑으로 유입되어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서 넘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침투도랑의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침투도랑의 하부로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단계, 상기 침강되는 단계, 상기 침투도랑으로 유입되어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그리고, 하부로 담수 및 침두되는 단계가 실행되는 도중,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using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the step of introducing rainwater into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through water collecting holes installed on the bridge road surface; Joining the initial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wer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 to the sewage pipe provided i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Initial rainwater flowing along the vertical drainage pipe and drained to the abatement facility provided in the land part; And discharging the drained initial storm into the pre-treatment tank; Precipitat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downward; The initial excellent 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s introduced into the permeate ditch through an input hole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provided between the pretreatment tank and the permeation ditches to be fresh water and permeate; Wherein the initial storm surges in the pre-treatment tank flows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filtration trench and is dewatered and infiltrated into the infiltration trench; The storage pipe, the step of settling, the fresh water and the step of infiltrating into the permeate ditch, and the step of fresh water and sedimentation to the bottom,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tep, the excess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is a number of the vertical pipe It may be achieved a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comprising a; and flowed into the stream to be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의 제5목적은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에 있어서, 교량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상기 우수가 노면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연직관으로 유입되는 제1단계;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으로 합류되는 제2단계; 초기우수가 상기 종배수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육상부에 구비된 상기 저감시설 측으로 배수되는 제3단계; 및 초기우수가 종배수관 끝단 측에 설치된 전처리조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제4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 저장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하부로 침강되는 제5단계; 상기 전처리조에 형성된 투입공을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가 모래여과조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제6단계;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모래여과조로 유입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모래여과조 내부에 구비된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되는 제7단계; 및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서 넘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모래층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되는 제8단계; 및 상기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모래여과조의 하부면에 설치된 유공관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유공홀을 통해 유입되어 기존수로로 배출되는 제9단계; 상기 제4단계 내지 제9단계가 실행되는 도중,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using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wherein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a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a bridge road surface flows into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installed under a road surface. A first step of becoming; A second step of joining an initial storm of the inflowed stormwater to a longitudinal water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straight tubular pipe and provided to a abatement facility provided on a land side of an alternate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 third step of discharging initial rainwater along the vertical drainage pipe to the abatement system provided in the land part; And a fourth step in which an initial storm flows into a pre-treatment tank provided at an end of the type water pipe and is stored; A fifth step in which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are set down; A sixth step in which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are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sand filtration tank through the input holes formed in the pretreatment tank; A step of desalting, infiltrating and filtering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sand filtration tank through the input hole by a sand layer provided in the sand filtration tank; And an initial stage where the initial storm surges in the pre-treatment tank flows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sand layer and is desalinated, infiltrated and filtered by the sand layer. And a ninth step of the fresh water, infiltrated and filtered by the sand layer, is introduc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 hole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pip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nd filter tank and discharged into the existing water channel.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urth to ninth step, the excess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flows into the overflow pipe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discharged to the river; Can be achieved as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점오염 저감 목표는 초기우수의 처리에 있으므로, 종배수관을 초기 우수만을 처리하도록 소형으로 만들어 초기우수는 육상부로 이송시켜 자연형 저감시설에 유입시키고, 이후의 용량초과수는 월류관을 통해 하천으로 직하시켜 경제성을 확보하고 처리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goal is to treat the initial excellent, so that the vertical drainage pipe is made small so as to process only the initial rainwater, and the initial rainwater is transferred to the land part to be introduced into the natural abatement facility. Afterwards, the excess capacity of water is directly lowered to the stream through the overflow pipe to secure economic efficiency and optimize the treatment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초기우수는 저감시설로 이송하여 주변수계오염을 예방할 수 있고, 종배수관 규격 축소를 통한 공사비 절감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rainwater can be transferred to the abatement facility to prevent the pollution of the surrounding wat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ease the maintenance by reducing the size of the water pip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홍수시, 종배수관 폐색시에도 월류관을 통한 노면 배수가 가능하며, 저감시설 설치비 및 교량 종배수관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종배수관의 규격 최소화를 통한 교량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ain the road through the wastewater pipe even when the flood water and the clogged water pipe are close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batement facility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ridge type water pipe, The bridge load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 교량용 우수 유도관의 측면도,
도 2는 종래 교각 측에 장치형 시설이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유도방법의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우수가 연직관으로 유입된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의 측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기우수가 종배수관으로 합류되어 유동되는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의 측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량초과수가 월류관을 따라 하천에 방류되는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의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부분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점부에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점부에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와 침투도랑의 연결부분의 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사시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측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와 기존수로의 횡단면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여과조의 종점부분의 횡단면도,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와 모래여과조의 결합부분의 측단면도,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입공과 이물질제거용 유공반월판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excellent-induction pipe for a bridge,
FIG. 2 is a side view of a state where a device type facility is installed on a conventional pierce side,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chart of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ide view of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in the state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vertical pip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side view of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in the state that the initial excellent water is joined to the vertical drainage pip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side view of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in a state in which the excess capacity is discharged to the river along the overflow pip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lan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in the view poi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river bridge in the end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netration tren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pretreatment tank and a penetration trenc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plan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a river bridg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treatment tank and an existing waterwa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end portion of a s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etreatment tank and the sand fil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e and the plat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hole in accordance with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a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where the other par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part in between. In addition, the inclusion of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 및 그 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시설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non-point pollu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은 교량(5) 노면 일측에 설치된수구를 통해 우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연직관(110), 연직관(110)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교량(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7) 측의 육상부(3)에 설치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되며, 집수된 우수의 초기우수(1)를 저감시설까지 유도하는 종배수관(130) 및 다수의 연직관(110)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연직관(110)으로 집수된 우수 중 초기우수(1)를 제외한 용량초과수(2)가 유입되어 용량초과수(2)를 하천(4)으로 방류시키는 월류관(12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rst, Figure 3 shows a side view of the initi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은 교량(5)의 하부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육상부(3)의 저감시설이 위치하는 곳까지 설치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3, the initial
교량(5) 노면에는 연직관(110)이 설치될 부분에 집수구가 구비되어 있어, 우수가 연직관(11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집수구 각각에 연직관(110)이 설치되게 된다. 이러한 다수의 연직관(110)은 교대(7)에 근접한 부분의 교량(5) 하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연직관(110)의 하부 끝단은 모두 종배수관(130)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On the road surface of the
이러한 종배수관(130)은 육상부(3)에 설치된 저감시설 측으로 일정한 경사를 가지고 있어 초기우수(1)가 별도의 동력없이 위치 에너지에 의해 저감시설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배수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도관과 달리 모든 우수를 저감시설 측으로 유도시킬 필요없이 초기우수(1)만을 배수시키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배수관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저감시설 측으로 갈수록 내경을 확장할 필요없이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구비됨을 알 수 있다. This kind of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의 다수의 연직관(110) 각각의 일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관(120)이 설치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은 이러한 월류관(120)을 구비하게 됨으로써, 비점오염 발생원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는 초기 우수만을 자연적으로 저감시설로 유도하고, 우수 중 초기우수(1)를 제외한 용량초과수(2)는 연직관(110)에서 월류되어 월류관(120)으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월류관(120)으로 유입된 용량초과수(2)는 바로 하천(4) 측으로 방류되게 된다. 또한, 월류관은 집수구에서 연직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직접 월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확대부를 포함하고 있다. In additi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이러한 월류관(120)을 통해 용량초과수(2)를 하천(4)으로 방류시키고, 초기우수(1)만을 종배수관(130)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종배수관(130)의 규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교량(5)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종배수관(130)의 내경을 일정하게 제작하여도 되기 때문에 설치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Therefore, discharge the excess capacity (2) to the stream (4) through the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100)을 이용한 초기우수 유도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우수 유도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method using the aforementioned initial
먼저, 교량(5)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우수가 노면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연직관(110)으로 유입되게 된다(S1).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우수가 연직관(110)으로 유입된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rst, rainwater is introduced into a plurality of
그리고,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1)가 연직관(110)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교량(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7) 측의 육상부(3)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130)으로 합류되게 된다(S2). The
다음으로 초기우수(1)가 종배수관(130)을 따라 유동되어(S3) 육상부(3)에 구비된 저감시설로 배수되게 된다(S4).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기우수(1)가 종배수관(130)으로 합류되어 유동되는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Next, the initial
그리고, 우수 중 초기우수(1)를 제외한 용량초과수(2)가 다수의 연직관(110)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120)으로 유입되어 하천(4)으로 방류되게 된다(S5).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량초과수(2)가 월류관(120)을 따라 하천(4)에 방류되는 상태의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저감시설물의 제1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the initial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10)은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 전처리조(200), 침투도랑(300) 및 식생대(40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다. As shown in Figure 6a and 6b, the non-point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0)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배수관(130)의 끝단 측에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종배수관(130)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초기우수(1)는 전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전처리조(200)의 체적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전체수질처리용량(WQv)의 20 ~ 30%정도(바람직하게는 25%)에 해당한다. The
전처리조(200)에 유입된 초기우수(1)는 전처리조(200) 내부에 저장되면서 오염물질 일부가 하부로 침강되게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1)에 포함된 토사입자,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되어 비점오염 저감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The initial ooze (1) flowing into the pretreatment tank (200) i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200), and a part of the contaminants is settled downward. Therefore, suspended solids such as soil particles and refuse contained in the
도 7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점부에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종점부에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투도랑(3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7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도랑(300)은 특정한 도랑길이(L)와 깊이(d)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 실시예에서 침투도랑(300)의 깊이는 1 ~ 2.5m정도이고, 내부에 골재가 충진된 일종의 저수조로서 전처리조(200)에서 유입된 초기우수(1)를 48시간(최대 3일이내)에 걸쳐 서서히 하투토층으로 침투시키게 된다. As shown in FIGS. 7A and 7B, it can be seen that the
또한,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도랑(300)과 전처리조(200) 사이에는 격벽(230)을 구비하고 있고, 격벽(230)의 하부에는 2개의 투입공(21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투입공(210)에 의해 전처리조(200)에 저장된 초기우수(1)가 서서히 침투도랑(300)으로 유입되어 침투도랑(300)의 하부로 담수 및 침투되게 된다.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a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도랑(300)은 잔자갈층(330)으로 구성된 상단부와 자갈층(320)으로 구성된 중단부 및 모래층(310)으로 구성된 하단부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잔자갈층(330)과 자갈층(320) 사이 그리고, 자갈층(320)과 모래층(310) 사이 그리고, 자갈층(320)의 측면과 잔자갈층(330)의 측면에는 필터섬유(340)가 구비되게 된다. 침투도랑(300)의 시공은 먼저, 침투도랑을 설치할 위치를 굴착하고, 모래층(310)을 포설한 후, 필터섬유(340)를 깔고, 그 상부로 자갈층(320)을 포설한 후 자갈층(320)에 필터섬유(340)를 깐 후에 그 상부로 잔자갈층(333)을 포설하여 시공하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구체적 실시예에서 잔자갈층(330)을 구성하는 잔자갈의 직경은 평균 약 2.5cm 정도이고, 자갈층(320)을 구성하는 자갈의 직경은 평균 약 4.0cm정도이며, 모래층(310)을 구성하는 모래의 평균직경은 약 0.5cm정도이다. 그리고, 침투도랑(300)의 체적은 전체수질처리용량(WQv)에서 침투도랑(300)에 충진된 골재의 공극률을 나눈값이 된다. In the concrete example, the diameter of the gravel blocks forming the
또한, 전처리조에서 넘친 초기우수(1)는 도 6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도랑(300)의 상부측으로 유입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1)의 유량 및 유속에 따라 일부는 침투도랑(300)의 하부측으로 담수 및 침투되게 되고, 침투도랑(300)으로 담수 및 침투되지 못한 초기우수(1)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대(400)를 거쳐 기존수로(20)로 토출되게 된다.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excellent 1 overflowed in the pretreatment tank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식생대(400)는 침투도랑(300)의 후방에 연결되고 식생수가 식재되어 초기우수를 초과하는 용량초과수만 침투도랑(300)의 상부로 유입되어 기존수로(20)로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일부는 식생대(400)의 하부토층으로 침투되거나 식생에 의한 여과 작용 후에 기존수로(20)로 유입되게 된다. The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0)와 침투도랑(300)의 연결부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조(200) 하부로 침강된 오염물질이 침투도랑(30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투입공(210) 측에 모래팩(220)이 설치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전처리조(200)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초기우수(1)의 토사입자,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 침강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유물질이 침투도랑(300)으로 유입되어서는 아니되고, 이러한 부유물질에 의해 투입공(210)이 막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공(210) 측에 모래팩(220)을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모래팩(220)에 의해 초기 우수(130)의 여과작용과 함께 투입공(210) 막힘 방지효과를 동시에 발생시키게 된다.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0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the aforementioned initial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10)은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 전처리조(200), 모래여과조(500) 등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다. As shown in Figure 10a, Figure 10b and Figure 11, the non-poin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0)는 도 10a, 도 10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배수돤의 후방 끝단측에 설치되어 진다. 따라서 종배수관(130)으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전처리조 측으로 배출되어, 전처리조(20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전처리조(200)의 체적은 오염물질 제거를 위한 전체수질처리용량(WQv)의 20 ~ 30%정도(바람직하게는 25%)에 해당한다. The
전처리조(200)에 유입된 초기우수(1)는 전처리조(200) 내부에 저장되면서 오염물질 일부가 하부로 침강되게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1)에 포함된 토사입사,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 1차적으로 제거되어 비점오염 저감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The initial ooze (1) flowing into the pretreatment tank (200) i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200), and a part of the contaminants is settled downward. Therefore, the suspended solids such as the incineration of the soil and waste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fall (1) are primarily remov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reducing the non-point pollution.
도 12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0)와 기존수로(20)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여과조(500)의 중점부분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2A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조(200)의 후단에는 모래여과조(500)가 설치되게 됨을 알 수 있다. 모래여과조(500)는 전체적으로 전처리조(200)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고, 특정 여과조(300)길이(Lf)와 높이(H), 폭(B)을 가지고 있는 일종의 저수조 형태로 구비된다. 구체적실시예에서 모래여과조(500)는 전처리조(200)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진다. 12A and 12B, it can be seen that the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래여과조(500)는 모래여과조(50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모래층(520)이 구비된 처리조(510)와 처리조(510)와 전처리조(200) 사이 공간에 구비된 대기조(570)를 포함하고 있다. The
그리고, 처리조(510) 내부에는 모래가 충진된 모래층(520)으로 구성되고, 처리조(510)의 하부면은 측면일측과 후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높이조절콘트리트가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전처리조(200)에서 유입된 초기우수(1)는 먼저 대기조(570)에 저장되게 되고, 대기조(570)에서 초기우수(1)가 넘치게 되는 경우 넘친 초기우수(1)가 서서히 처리조(510)의 모래층(520) 상부측으로 유입되게 된다. The
모래층(520) 상부로 유입된 초기우수(1)는 서서리 하부측으로 담수, 침투 및 여과되게 된다. 처리조(510)의 하부면에은 앞서 언급한 높이조절콘크리트(550)가 구비되기 때문에 담수, 침투 및 여과된 초기우수(1)는 경사가 형성된 일측 측면으로 모이게 된다. The initial stormwater (1) that has flow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and layer (520) is desalinated, infiltrated and filtered downward. Since the
그리고, 경사가 형성된 높이조절콘트리트의 일측 측면에는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전방면은 폐쇄되고, 후방면은 개방되며 외면에 복수의 유공홀(561)들이 구비된 유공관(560)이 구비되게 된다. A side wall of the height adjustment concrete having the inclination formed thereon is provided along the side surface, the front side is closed, the rear side is opened, and the
따라서 모래층(520)의 상부로 유입된 초기우수(1)는 모래층(520)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되어 유공관(560) 측으로 모이에 되고, 유공관(560)의 외면에 형성된 유공홀(561)에 의해 유공관(56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유공관(560)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1)는 유공관(560)은 높이조절콘트리트의 상부면을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후방으로의 경사에 의해 후방측으로 이동되고 유공관(560)의 후방면을 통해 기존수로(20)로 토출되게 된다. Therefore, the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조(200)와 모래여과조(500)의 결합부분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입공(240)과 이물질제거용 유공반월판(260)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13a show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510)의 내부는 모래층(520)뿐 아니라 모래층(5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설치된 필터섬유(340)와 모래층(520)과 높이조절콘크리트(550)에 구비되는 골재층(5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A, the interior of the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저리조의 후방면 하단에는 투입공(240)이 형성되어 투입공(240)을 통해 전저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1)가 모래여과조(500)의 대기조(57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투입공(210)을 통해 초기우수(1)가 대기조(570)로 유입되고, 대기조(570)에서 넘친 초기우수(1)가 처리조(510)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투입공(210)이 아닌 전처리조(200)에서 넘친 초기우수(1)가 모래여과조(500)의 대기조(57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대기조(570)를 설치한 것은 투입공(240) 또는 전저리조에서 넘친 초기우수(1)가 바로 처리조(510)의 모래층(520) 상부로 유입되게 되면 모래층(520)이 파손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3a and 13b, the bottom of the rear surface of the pre-precipitation tank is formed with an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공(240)에는 투입관(250)이 설치되게 되고, 투입관(250)에는 이물질제거용 유공반월판(260)이 설치됨을 알 수 있다. 이물질 제거용 유공반월판(260)은 복수의 홀들이 구비되어 전저리조 하부에 침강된 토양입자, 쓰레기 등의 부유물질이 모래여과조(5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러한 부유물질에 의해 투입관(250)이 막히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3a and Figure 13b, the
1:초기우수
2:용량초과수
3:육상부
4:하천
5:교량
6:교각
7:교대
8:배수관
9:장치형 저감시설
10:비점오염 저감시설물
20:기존수로
100:하천 교량용 초기우수유도관
110:연직관
120:월류관
130:종배수관
200:전처리조
210:투입공
220:모래팩
230:격벽
250:투입관
260:유공반월판
300:침투도랑
310:모래층
320:자갈층
330:잔자갈층
340:필터섬유
400:식생대
500:모래여과조
510:여과조
520:모래층
530:골재층
550:높이조절콘크리트
560:유공관
561:유공홀
570:대기조1: Initial Good
2: Capacity exceeded
3:
4: Stream
5: Bridges
6: piers
7: Shift
8: Water pipe
9: Equipment-type abatement facility
10: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facilities
20: existing waterway
100: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 bridge
110:
120:
130:
200: Pretreatment tank
210: input ball
220: Sand Pack
230:
250: input tube
260: Heavy-duty half-
300: penetration ditch
310:
320: Gravel layer
330:
340: Filter fiber
400: The vegetation zone
500: sand filtration tank
510: filtration tank
520: sand layer
530: aggregate layer
550: Height adjustable concrete
560:
561: Through hole
570: Airconditioning
Claims (16)
교량 노면 일측에 설치된 집수구와 연결되는 연직관과,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설치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되며, 집수된 상기 우수의 초기우수를 상기 저감시설까지 유도하는 종배수관과,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직관으로 집수된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상기 종배수관의 용량을 초과한 용량초과수가 유입되어 상기 용량초과수를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월류관을 구비하는 초기우수 유도관;
상기 초기우수 유도관으로 유도된 초기우수가 내부로 유입되어 하부로 상기 초기우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침강시키는 전처리조; 및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상기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을 저감시키기 위한 저감시설;을 포함하고,
상기 월류관은 상기 연직관과 연결되는 연결부에, 집수구에서 연직관으로 유입된 초기우수가 월류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단면 확대부가 형성되며,
하상교량 노면하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종배수관의 직경은 15 ~ 30cm 이며 교량의 길이에 따라 일정하고,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저감시설까지 경사를 가지며,
상기 연직관이 연결되는 상기 교량노면에 천공부에 형성된 집수구를 통해 상기 우수를 상기 연직관으로 집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In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bed bridge,
A vertical pipe connected to a water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ridge road surface, and a reduction facility installed o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ing side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vertical pipe and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reducing the initial excellent water collected; A capacity drainage pipe that leads to a facility and a capacity excess water exceeding the capacity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except the initial excellent among the rainwater collected in the vertical pipe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re introduced to the facility.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having a discharge pipe discharged to the river;
A pretreatment tank for introducing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itial rainwater induction pipe to settle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rainwater to the bottom; And
And a reducing facility for introducing the initial storm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to reduce non-point contaminants in the initial storm,
The cross-sectional enlarged portion is formed on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straight pipe, so that the initial pouring into the straight pipe from the catching port does not flow into the overflow pipe,
It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verbed bridge, and the diameter of the vertical drainage pipe is 15-30cm and is consta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bridge,
The vertical drainage pipe has a slope to the abatement facility,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the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to collect the rainwater to the vertical pipe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ort formed in the perforation portion on the bridge road surfac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상기 저감시설은,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유입되고, 내부에 골재가 충진되어 상기 초기우수를 상기 골재에 담수 및 침투시키는 침투도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batement facility,
The initial rain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s introduced, and the aggregate is filled i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iltration ditch for fresh water and infiltration into the aggregate.
상기 침투도랑과 상기 전처리조 사이에는 구비되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침투도랑은 1 ~ 2.5m의 깊이를 갖고, 모래층으로 충진된 하단부와 자갈층으로 충진된 중단부 및 잔자갈층으로 충진된 상단부로 구비되고,
상기 격벽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를 상기 침투도랑에 침투시키는 투입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a partition provided between the infiltration ditch and the pretreatment tank,
The infiltration trench has a depth of 1 to 2.5 m and is provided with a lower end filled with a sand layer and a top portion filled with a middle portion filled with a gravel layer and a gravel layer,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jection ho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partition to penetrate the initial excellent 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nto the penetration groove.
상기 저감시설은,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초기우수가 상부측으로 유입되고, 내부에 모래층이 충진되어 상기 모래층에 의해 상기 초기우수가 여과되어 여과된 상기 초기우수를 기존수로로 토출시키는 모래여과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abatement facility,
The initial rainwater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and the sand layer is filled therein, and the initial rainwater for the bridg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itial rainwater is filtered by the sand layer to discharge the filtered initial rainwater to the existing waterway.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with induction pipe.
상기 모래여과조의 하단면에 설치되고 후방과 일측 측면으로 경사가 형성된 높이조절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초기우수 유도관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14. The method of claim 13,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an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bridg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nd filtration tank and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concrete formed inclined toward the rear and one side.
교량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다수의 연직관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단계;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으로 합류되는 단계;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종배수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육상부에 구비된 상기 저감시설 측으로 배수되는 단계; 및
배수된 상기 초기우수가 전처리조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 저장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하부로 침강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조와 침투도랑 사이에 구비된 격벽 하부에 형성된 투입공을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침투도랑으로 유입되어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서 넘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침투도랑의 상부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침투도랑의 하부로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상기 저장되는 단계, 상기 침강되는 단계, 상기 침투도랑으로 유입되어 담수 및 침투되는 단계 그리고, 하부로 담수 및 침두되는 단계가 실행되는 도중,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방법.
I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using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bed bridge of claim 11,
A step of introducing rainwater into a plurality of straight pipes through a collection port installed on a bridge road surface;
Joining the initial stormwater flowing into the sewer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 to the sewage pipe provided in the land side of the alternat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Wherein the initial storm flows along the vertical water pipe and drains to the abatement facility provided on the land area; And
A step in which the drained initial storm flows into the pre-treatment tank and is stored;
Precipitat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downward;
Wherein the initial storm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flows into the infiltration trench through the inflow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artition provided between the pretreatment tank and the infiltration trench,
Wherein the initial storm surges in the pre-treatment tank flows into the upper side of the infiltration trench and is dewatered and infiltrated into the infiltration trench;
The storage pipe, the step of settling, the fresh water and the step of infiltrating into the permeate ditch, and the step of fresh water and sedimentation to the bottom, during the execution of the step, the excess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is a number of the vertical pip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being discharged to the river flows into the overflow pipe installed on each side.
교량노면에 설치된 집수구를 통해 집수된 상기 우수가 노면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연직관으로 유입되는 제1단계;
유입된 우수 중 초기우수가 상기 연직관 끝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 측의 육상부에 구비된 저감시설까지 설치된 종배수관으로 합류되는 제2단계;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종배수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육상부에 구비된 상기 저감시설 측으로 배수되는 제3단계; 및
초기우수가 종배수관 끝단 측에 설치된 전처리조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제4단계;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 저장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하부로 침강되는 제5단계;
상기 전처리조에 형성된 투입공을 통해 상기 전처리조에 저장된 상기 초기우수가 모래여과조의 상부측으로 유입되는 제6단계;
상기 투입공을 통해 상기 모래여과조로 유입된 상기 초기우수가 상기 모래여과조 내부에 구비된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되는 제7단계; 및
상기 전처리조 내부에서 넘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모래층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되는 제8단계; 및
상기 모래층에 의해 담수, 침투 및 여과된 상기 초기우수는 상기 모래여과조의 하부면에 설치된 유공관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유공홀을 통해 유입되어 기존수로로 배출되는 제9단계;
상기 제4단계 내지 제9단계가 실행되는 도중, 우수 중 상기 초기우수를 제외한 용량초과수가 다수의 상기 연직관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월류관으로 유입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방법.I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using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y having the initial excellent induction pipe for riverbed bridge of claim 13,
A first step of introducing the rainwater collected through a collecting port installed on a bridge road surface into a plurality of straight pipe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oad surface;
A second step of joining an initial storm of the inflowed stormwater to a longitudinal water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ends of the straight tubular pipe and provided to a abatement facility provided on a land side of an alternate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dge;
A third step in which the initial storm flows along the vertical water pipe and drained to the abatement facility provided in the land portion; And
A fourth step in which the initial storm flows into the pre-treatment tank installed at the end of the type water pipe and is stored;
A fifth step in which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are set down;
A sixth step in which the initial storages stored in the pretreatment tank are introduced into the upper side of the sand filtration tank through the input holes formed in the pretreatment tank;
A step of desalting, infiltrating and filtering 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sand filtration tank through the input hole by a sand layer provided in the sand filtration tank; And
The initial storm surplus in the pretreatment tank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sand layer and is desiccated, infiltrated and filtered by the sand layer; And
The ninth step of the fresh water, infiltrated and filtered by the sand layer is introduc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 hol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e pip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and filtration tank and discharged into the existing water channel;
During the execution of the fourth to ninth step, the excess water except for the initial excellent rainwater flows into the overflow pipe install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discharged to the river;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0291A KR101376446B1 (en) | 2013-03-21 | 2013-03-21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0291A KR101376446B1 (en) | 2013-03-21 | 2013-03-21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76446B1 true KR101376446B1 (en) | 2014-04-01 |
Family
ID=50656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0291A KR101376446B1 (en) | 2013-03-21 | 2013-03-21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64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668B1 (en) * | 2014-08-06 | 2015-07-13 | 다산기업 주식회사 | Drain pipe assembled sand p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626B1 (en) * | 2006-01-05 | 2007-09-04 | 김동필 |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
KR100966038B1 (en) * | 2009-09-04 | 2010-06-25 |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
-
2013
- 2013-03-21 KR KR1020130030291A patent/KR10137644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5626B1 (en) * | 2006-01-05 | 2007-09-04 | 김동필 | Oil seperating drain apparatus of bridge |
KR100966038B1 (en) * | 2009-09-04 | 2010-06-25 |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 |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5668B1 (en) * | 2014-08-06 | 2015-07-13 | 다산기업 주식회사 | Drain pipe assembled sand p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0194B1 (en)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
KR101345009B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infiltration trench | |
CN101775839B (en) | Rainwater penetrating-discharging integrated ecological system | |
KR100959161B1 (en) | Treating System of Rainwater | |
KR100854314B1 (en) | Sanitation facilities of early rainfall | |
Raspati et al. | Review of stormwater management practices | |
JP2009257005A (en) |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for elevated road | |
KR101239389B1 (en) | Natural type and ditch infiltration type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for water reclamation | |
KR101361272B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vegetation waterway | |
KR20110018758A (en) | Early rain separating apparatus | |
KR100958295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1089756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1582931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
KR101450430B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separating vegetation waterway | |
CN201817851U (en) | Rainwater ecological utilization system | |
KR101684697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equipment and rain processing method | |
Begum et al. | A comparative review of stormwater treatment and reuse techniques with a new approach: Green Gully | |
KR20030066574A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0714315B1 (en) | A flower bed type infiltration and detention system | |
KR101376446B1 (en) |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 |
KR101311001B1 (en) |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sand filtering tank | |
KR100952117B1 (en) | Non-point source a contaminant purification system of first rain | |
KR101092245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 |
KR101036279B1 (en) | Apparatus for purifying the osmotic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wate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structure | |
KR20110074380A (en) | Small structured constructed wetland for controlling nps and connecting the ecosystem on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