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7752B1 - 초음파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용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67752B1 KR101367752B1 KR1020110051482A KR20110051482A KR101367752B1 KR 101367752 B1 KR101367752 B1 KR 101367752B1 KR 1020110051482 A KR1020110051482 A KR 1020110051482A KR 20110051482 A KR20110051482 A KR 20110051482A KR 101367752 B1 KR101367752 B1 KR 101367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lding
- horn
- electrode
- cathode
- ultrason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23K20/106—Features related to sono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eciprocating ma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28—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950 degrees C
- B23K35/286—Al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2—Cu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는, 끝단에 형성된 가압면을 통해 양극 리드와 양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양극용 혼; 및 상기 양극용 혼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가압면이 끝단에 형성되고, 이 가압면을 통해 음극 리드와 음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음극용 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을 이용한 초음파 용접을 통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전극 간의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 퇴화의 원인이 되는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해소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을 이용한 초음파 용접을 통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전극 간의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 퇴화의 원인이 되는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해소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음파 용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에 포함된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가량으로서, 전자 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약 3배의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구조를 가진 단위 셀을 집합시킨 셀 어셈블리와, 셀 어셈블리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케이스를 구비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셀 어셈블리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셀 어셈블리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된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으며 직렬 또는 병렬 연결을 통해 대용량의 전지 팩을 구성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근 전기 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력 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판형으로 이루어진 전극 리드가 접속된 셀 어셈블리가 파우치 케이스에 전해액과 함께 밀봉된 구조를 가진다. 전극 리드의 일부는 파우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며, 노출된 전극 리드는 이차 전지가 장착되는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이차 전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10)는 전극 조립체(30)와, 전극 조립체(3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극 탭들(40, 50)과, 전극 탭들(40, 50)에 용접되어 결합된 전극 리드(60, 70)와,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하는 파우치 외장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극 조립체(30)는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양극과 음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발전소자로서, 스택형, 젤리-롤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젤리-롤형 구조의 전극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0)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9-88761호(명칭 :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7-47377호(명칭 : 젤리-롤형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각형 이차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스택/폴딩형 구조의 전극 조립체(30) 또는 이 전극 조립체(30)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10)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8-36250호(명칭 : 혼합형 스택 및 폴딩형 전극조립체와 이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 및 한국등록특허 제0987300호(명칭 :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 및 그것의 제조방법)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전극 탭들(40, 50)은 전극 조립체(30)의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전극 리드(60, 70)는 각 극판으로부터 연장된 복수 개의 전극 탭들(40, 50)과 용접에 의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파우치 외장재(20)의 외부로 일부 노출된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파우치 외장재(20)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와 같은 연포장재로 이루어지며, 전극 조립체(3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파우치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를 용접할 때, 열영향부(HAZ: Heat-affected zone)가 양호하고 얇은 금속박의 용접에 용이한 초음파 용접 기법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초음파 용접은 10kHz ~ 75kHz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금속 간의 초음파 진동 마찰열을 통해 금속을 용접하는 기법이다. 즉,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 초음파 진동이 가해지면,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 간의 접촉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된 마찰열로 인하여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서로 용접된다.
양극 구조체(40, 60)와 음극 구조체(50, 70)는 서로 다른 성질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양극 구조체(40, 60)는 주로 알루미늄이 사용되며, 음극 구조체(50, 70)는 구리 또는 니켈 도금된 구리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즉, 양극 탭(40)과 양극 리드(60)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형성되고,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는 구리 또는 니켈 도금된 구리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렇게 이원화된 전극 구조체로 인하여, 양극 탭(40)과 양극 리드(60)의 용접 접합면(이하, '양극 용접 접합면'으로 지칭함)과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용접 접합면(이하, '음극 용접 접합면'으로 지칭함)은 서로 다른 용접 강도를 갖는다. 부연하면, 동일한 초음파 용접 공정을 통해 각 전극 탭(40, 50)과 전극 리드(60, 70)가 용접된 경우, 알루미늄이 니켈 및 구리보다 녹는 점이 낮아 양극 용접 접합면이 음극 용접 접합면보다 쉽게 용접되고,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상기 용접 강도는 용접 부위가 견딜 수 있는 응력을 의미한다.
이렇게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낮음으로 인하여, 이차 전지(10)에서는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접촉 상태가 쉽게 훼손될 수 있다. 즉, 음극 용접 접합면이 양극 용접 접합면보다 낮은 용접 강도를 가짐에 따라 이차 전지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진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의 훼손율이 양극 용접 접합면보다 높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극 간의 용접 강도 불균일 현상은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야기한다. 부연하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음에 따라(즉, 접촉 상태가 불량함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contact resistance)은 양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접촉 저항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렇게 음극 용접 접합면에서 발생하는 높은 접촉 저항은 배터리 셀의 열을 유발함으로써 이차 전지(10)의 전기 전도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한다. 게다가,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은 이차 전지(10)의 퇴화를 가속화시키는 부등 발열 현상 또는 부반응 현상을 야기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의 용접 접합면에 대한 용접 강도를 개선하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극 용접 접합면와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음극 탭과 음극 리드의 결합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개선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극 및 양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상태가 보호되도록, 전극 구조체의 측면 용접 강도를 강화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는, 끝단에 형성된 가압면을 통해 양극 리드와 양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양극용 혼; 및 상기 양극용 혼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가압면이 끝단에 형성되고, 이 가압면을 통해 음극 리드와 음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음극용 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는, 끝단에 형성된 가압면을 통해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혼을 포함하고, 상기 혼에 형성된 가압면의 밀도가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은, 상기 전극 리드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혼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많은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의 양 사이드에 배치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은, 상기 혼의 중앙에 배치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보다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는, 끝단에 형성된 가압면을 통해 양극 리드와 양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양극용 혼; 및 상기 양극용 혼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가압면이 끝단에 형성되고, 이 가압면을 통해 음극 리드와 음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음극용 혼;을 포함하고, 상기 양극용 혼과 음극용 혼 각각에 형성된 가압면의 밀도가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는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을 이용한 초음파 용접을 통해,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는 전극 간의 용접 강도를 균일하게 형성시킴으로써, 이차 전지 퇴화의 원인이 되는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 불균일 현상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전극 용접 부위의 측면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측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차 전지를 보호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되는 이차 전지의 전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되는 이차 전지의 전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되는 이차 전지의 전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100)는 초음파 발진기(110), 초음파 진동자(120), 부스터(booster)(130) 및 혼(horn)(140a, 140b)을 포함한다.
상기 초음파 발진기(110)는 60Hz의 AC 전류를 20kHz 이상의 고주파 전류로 변환시켜 초음파 진동자(120)에게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음파 진동자(120)는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초음파 압전자라고 불리기도 한다. 즉, 초음파 발진기(110)에서 생성된 고주파 전류는 초음파 진동자(120)에 의해 초음파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초음파는 부스터(130)로 이동한다. 부스터(130)는 전달받은 초음파를 증폭시켜 혼(140a, 140b)으로 전달한다.
혼(140a, 140b)은 앤빌(anvil)(150) 상에 놓인 복수의 전극 탭들(310, 320)의 표면을 일정 하중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 탭들(310, 320)로 인가시킴으로써, 양극 탭들(310)과 음극 탭들(320)을 각각 1차 용접한다. 또한, 혼(140a, 140b)은 1차 용접 완료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전극 리드(330, 340)의 표면을 일정 하중으로 가압하고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 리드(330, 340)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전극 리드(330, 340)와 전극 탭(310, 320)을 각각 용접시킨다. 즉, 혼(140a, 140b)은 전극 탭(310, 320)과 접촉된 전극 리드(330, 340)를 일정 압력으로 누르고 부스터(130)로부터 전달받은 증폭된 초음파를 전극용 리드(330, 340)에 인가시킨다. 이에 따라,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접촉 면에서 마찰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마찰열을 통해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가 서로 용접된다.
이러한 혼(140a, 140b)은 서로 상이한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140a)과 양극용 혼(140b)으로 구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양극용 혼(140a)과 음극용 혼(140b)은 전극 리드(330, 340)로 초음파 진동을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부재(141a, 141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은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되고,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이 음극용 혼(141a)과 양극용 혼(141b)의 가압면 밀도를 결정한다. 여기서, 혼(140a, 140b)의 가압면 밀도는 전극 리드(330, 340)를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발신하는 혼(140a, 140b)의 끝단 면적에 대한 밀도로서, 혼(140a, 140b)의 하면의 단위 면적에 포함되는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을 의미한다.
상기 음극용 혼(140b)과 양극용 혼(140a)에 형성된 접촉부재(141a, 141b)의 끝단 면적은 서로 동일하되, 상기 음극용 혼(140b)에 형성된 접촉부재(이하, '음극용 접촉부재'로 지칭함)(141b)의 개수는 양극용 혼(140a)에 형성된 접촉부재(이하, '양극용 접촉부재'로 지칭함)(141a)의 개수보다 많고, 이에 따라 음극용 혼(140b)은 양극용 혼(140a)보다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갖는다. 즉, 음극용 혼(140b)에는 양극용 혼(140a)보다 많은 개수의 접촉부재(141b)가 밀집되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용 접촉부재(141b)의 끝단 면적 총합이 양극용 접촉부재(141a)의 끝단 면적의 총합보다 크게 되어, 결과적으로 음극용 혼(140b)의 가압면 밀도가 양극용 혼(140a)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음극 리드(340)와 음극 탭(320)의 용접 강도를 양극 리드(330)와 양극 탭(310)의 용접 강도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음극용 혼(140b)은 양극용 혼(140a)보다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완료된 음극 구조체와 양극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도 10, 도 14 및 도 17에서 용접 포인트의 형상은 완전한 원형이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돕기 위해서 원형으로 도시하였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혼(140a, 140b)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된 용접 접합면(370, 380)에는 복수의 용접 포인트(351, 361)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용접 포인트(351, 361)는 전극 리드(330, 340)의 전체 하면과 전극 탭(310, 320)의 전체 상면 중에서 초음파 진동을 통해 용융되어 접합되는 부위를 의미한다. 또한, 용접 접합면(370, 380)은 용접 포인트(351, 361)를 통해서 서로 접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리드(330, 340) 하면과 전극 탭(310, 320) 상면의 계면을 의미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용접 포인트(361)의 밀도와 양극 용접 포인트(351)의 밀도는 음극용 혼(140b)의 가압면 밀도와 양극용 혼(140a)의 가압면 밀도와 각각 대응되어 나타난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140b)을 통해 이차 전지의 음극 탭(320)과 음극 리드(340)가 용접되는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서 나타나는 용접 포인트(361)의 밀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포인트(351)의 밀도보다 높다.
이렇게 상대적으로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지는 음극용 혼(140b)에 의해서 초음파 용접이 진행되는 경우,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 수준으로 향상된다. 즉, 전극 리드(330, 340)와 전극 탭(310, 320)의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용접 포인트(351, 361)가 초음파 용접 과정에서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 탭(320)과 음극 리드(340)는 종래의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보다 더욱 강하게 접합되어 용접된다. 이 결과,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강도는 종래의 이차전지(10)에 형성된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강도보다 향상되고, 더불어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 수준만큼 확보된다. 여기서, 용접 강도는 용접 접합면(370, 380)이 견딜 수 있는 응력을 의미한다.
한편, 양극용 접촉부재(141a)와 음극용 접촉부재(141b)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지만, 각 음극용 접촉부재(141b)의 끝단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141a)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혼(840a, 840b)은 서로 다른 크기의 접촉부재(841a, 841b)를 각각 구비한다. 즉, 각 혼(840a, 840b)에 형성된 양극용 접촉부재(841a)와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개수는 서로 동일하지만,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끝단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음극용 접촉부재(841b)와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개수가 서로 동일하지만, 음극용 접촉부재(841b)의 끝단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841a)의 끝단 면적보다 넓음에 따라 음극용 혼(840b)의 가압면 밀도가 양극용 혼(840a)의 가압면 밀도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혼(840a, 8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 공정을 진행하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포인트(961)(즉, 음극 용접 포인트)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포인트(951)(즉, 양극 용접 포인트)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전극 리드(330, 340)와 전극 탭(310, 320)의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개별 용접 포인트(951, 961)가 초음파 용접 과정에서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보다 넓게 형성되고, 이러한 용접 포인트(961)에 의해 음극 탭(320)과 음극 리드(340)는 종래의 음극 탭(50)과 음극 리드(70)보다 더욱 강하게 접합되어 용접된다.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강도는 종래의 이차전지(10)에 형성된 음극 용접 접합면의 용접강도보다 향상되고, 더불어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 수준만큼 확보된다.
한편, 음극용 접촉부재(141b, 841b)의 끝단 총 면적이 양극용 접촉부재(141a, 841a)의 끝단 총 면적과 대비하여 넓게 형성되도록, 복수의 음극용 접촉부재(141b, 841b)가 음극용 혼(140b, 840b)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음극용 혼(140b, 840b)과 양극용 혼(140a, 840a)에는 크기와 개수와 상이한 접촉부재가 형성되지만, 음극용 혼(140b, 840b)에 분포된 접촉부재의 끝단 총 면적은 양극 혼(140a, 840a)에 분포된 접촉부재의 끝단 총 면적 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음극용 혼에 의해서 초음파 공정이 진행되면, 음극 용접 접합면(380)과 양극 용접 접합면(370)에 형성되는 용접 포인트는 개수와 크기가 서로 상이하지만, 음극 용접 접합면(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은 양극 용접 접합면(37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의 총 면적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포인트 밀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포인트 밀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를 통해 초음파 공정을 진행하면,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강도가 양극 용접 접합면(370)의 용접 강도만큼 향상되고, 이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파손이 예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양 전극 간의 용접 강도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 전극 간의 접촉 저항도 균일하게 형성된다.
한편, 이차 전지의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용접 접합면(350, 360)은 측면 방향으로 매우 약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즉, 이차 전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측면 용접 부위가 파괴되는 비율이 다른 용접 부위에 비해서 높다.
도 11은 종래의 이차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차 전지(10)의 전극 리드(60, 70)에 길이 방향(즉, A 방향)과 측면 방향(즉, B 방향)으로 힘을 인가했을 경우, 전극 리드(60, 70)의 길이 방향(즉, A 방향)에 대한 용접 접합면(80, 90)의 용접 강도는 강하나, 측면 방향(즉, B 방향)에 대한 용접 접합면(80, 90)의 용접 강도는 길이 방향에 대한 용접 강도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낮다. 즉, 종래의 이차 전지(10)에 포함된 전극 리드(60, 70)와 전극 탭(40, 50)의 용접 접합면은, 측면 방향(즉, B방향)으로부터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파손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차 전지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용접 접합면(80, 90) 측면에 대한 용접 강도가 개선돼야 한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용접 접합면의 측면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는 초음파 용접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1240a, 1240b)은 전극 리드(330, 340)를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부재(1241a, 1241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재(1241a, 1241b)는 혼(1240a, 12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side)에서 밀집되어 형성된다. 즉, 용접 접합면(370, 380)의 측면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크기의 접촉부재(1241a, 1241b)가 혼(1240a, 12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밀집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혼(1240a, 12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많은 개수의 접촉부재(1241a, 1241b)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양극용 혼(1240a)과 음극용 혼(1240b)의 가압면 밀도는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더 높다.
이러한 혼(1240a, 1240b)을 통해 초음파 용접이 진행되면, 용접 접합면(370, 380)에서 형성되는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밀도는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접합면(370, 380) 중앙보다 양 사이드 부위에서 높다. 즉, 혼(1240a, 12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밀집된 접촉부재(1241a, 1241b)를 통해 초음파 용접이 진행됨에 따라, 용접 접합면(370, 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개수는 용접 접합면(370, 380) 중앙보다 양 사이드(side) 부위에 많고, 이 결과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밀도는 용접 접합면(370, 37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렇게 용접 접합면(370, 380)의 양 사이드에 상대적으로 높은 용접 포인트 밀도를 형성시키는 경우, 용접 접합면(370, 380)의 측면 강도가 향상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혼(1240a, 1240b)을 통해 용접 접합면(370, 380)의 양 사이드에서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밀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시킨 경우, 용접 접합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측면 용접 강도는 향상된다. 부연하면,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로 형성된 용접 포인트(1351, 1361)는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04)의 양 사이드를 더욱 강하게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용접 접합면(370, 380)의 측면 강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1241a, 1241b)의 개수는 혼(1240a, 1240b)의 중앙에서부터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접촉부재(1241a, 1241b)는 혼(1240a, 1240b)의 중앙에서 일정 개수로 형성되고, 혼(1240a, 1240b)의 중앙에서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점 더 많은 개수로 혼(1240a, 1240b)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접촉부재(1241a, 1241b)는 혼(1240a, 12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밀집되어 혼(1240a, 1240b)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접촉부재(1241a, 1241b)의 개수가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혼(1240a, 12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 공정을 진행하면, 용접 접합면(370, 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개수는 상기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에서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용접 포인트(1351, 1361)의 밀도는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접합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측면 용접 강도가 향상된다.
한편, 접촉부재(1241a, 1241b)는 동일한 간격으로 혼(1240a, 1240b)에 분포되어 형성되되, 혼(1240a, 1240b)의 양 사이드에서 분포된 접촉부재(1241a, 1241b)의 끝단 면적이 중앙에 분포된 접촉부재(1241a, 1241b)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음극용 혼과 양극용 혼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한 전극 구조체의 B-B`의 평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혼(1540a, 1540b)에 분포되어 형성되되, 양 사이드에 형성된 접촉부재(1541a, 1541b)의 끝단 면적이 중앙의 접촉부재(1542a, 1542b)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이에 따라, 혼(1540a, 1540b)의 가압면 밀도는 중앙보다 양 사이드가 상대적으로 높다. 즉,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는 혼(1540a, 1540b)의 양 사이드에서 밀집되어 형성되지 않고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하여 혼(1540a, 1540b)에 분포되지만, 양 사이드에서 형성된 접촉부재(1541a, 1541b)의 끝단 면적이 중앙의 접촉부재(1542a, 1542b)의 끝단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혼(1540a, 1540b)의 가압면 밀도가 중앙보다 양 사이드가 높다.
이러한 혼(1540a, 1540b)을 통해 초음파 용접이 진행되면, 용접 접합면(370, 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1, 1652, 1661, 1662)의 밀도는 혼(1540a, 1540b)에 형성된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와 대응되어 나타난다. 즉,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접합면(370, 380)의 양 사이드에서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1, 1661) 면적은 용접 접합면(370, 380) 중앙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2, 1662) 면적보다 넓고, 이에 따라 용접 접합면(370, 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1, 1652, 1661, 1662)의 밀도는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상기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혼(1540a, 15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 공정을 진행하면, 초음파 용접된 전극 용접 접합면(370, 380)은 종래의 전극 용접 접합면(80, 90)에 비해서 측면 용접 강도가 향상된다. 즉, 초음파 용접 공정을 통해서 용접 접합면(370, 380) 양 사이드에서 보다 넓은 용접 포인트(1651, 1661)를 형성시킨 경우, 접합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측면 용접 강도는 향상된다. 부연하면,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1, 1661)는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양 사이드를 더욱 강하게 접합시키는 수단으로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용접 접합면(370, 380)의 측면 강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의 끝단 면적은 혼(1540a, 1540b)의 중앙에서부터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대될 수도 있다. 즉, 혼(1540a, 1540b)의 중앙에서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점 더 넓은 끝단 면적을 가지는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가 혼(1540a, 1540b)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각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의 끝단 면적은 혼(1540a, 1540b)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이렇게 접촉부재(1541a, 1542a, 1541b, 1542b)의 끝단 면적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혼(1540a, 1540b)을 이용하여 초음파 용접 공정을 진행하면, 용접 접합면(370, 380)에 형성된 용접 포인트(1651, 1652, 1661, 1662)의 면적은 상기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에서 양 사이드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용접 포인트(1651, 1652, 1661, 1662)의 밀도는 용접 접합면(370, 380)의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접합된 전극 탭(310, 320)과 전극 리드(330, 340)의 측면 용접 강도가 향상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 또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용접 장치(100)는 측면 방향으로 인가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이차 전지가 보호되도록, 용접 접합면(370, 380)의 측면에 대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에 따른 혼(140a, 140b, 840a, 840b) 및 제3실시 예 또는 제4실시 예에 따른 혼(1240a, 1240b, 1540a, 1540b)은 서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음극 용접 접합면(380)의 용접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극용 혼의 가압면 밀도가 높게 형성되고, 더불어 양극용 혼과 음극용 혼 각각은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압면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실시 예 또는 제2실시 예에 따른 혼(140a, 140b, 840a, 840b) 및 제3실시 예 또는 제4실시 예에 따른 혼(1240a, 1240b, 1540a, 1540b)이 통합 구현되고, 상기 통합 구현된 혼을 통해 이차 전지의 초음파 공정이 진행되면, 이차 전지의 음극 구조체의 용접 강도가 향상되고 동시에 양극 구조체와 음극 구조체의 측면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접촉부재(141a, 141b, 841a, 841b, 1241a, 1241b, 1541a, 1541b, 1542a, 1542b)의 형상이 핀(pin)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기둥 형상, 삼각 기둥 형상, 테이퍼 형상, 반구 형상, 뿔 형상, 쐐기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접촉부재(141a, 141b, 841a, 841b, 1241a, 1241b, 1541a, 1541b, 1542a, 1542b)가 채택되어 초음파 용접에 적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40, 310 : 양극 탭 50, 320 : 음극 탭
60, 330 : 양극 리드 70, 340 : 음극 리드
370 : 양극 용접 접합면 380 : 음극 용접 접합면
351, 361, 951, 961, 1351, 1361, 1651, 1652, 1661, 1662 : 용접 포인트
110 : 초음파 발진기 120 : 초음파 진동자
130 : 부스터 140a, 840a, 1240a, 1540a : 양극용 혼
140b, 840b, 1240b, 1540b : 음극용 혼
141a, 841a, 1241a, 1541a, 1542a : 양극용 접촉부재
141b, 841b, 1241b, 1541b, 1542b : 음극용 접촉부재
60, 330 : 양극 리드 70, 340 : 음극 리드
370 : 양극 용접 접합면 380 : 음극 용접 접합면
351, 361, 951, 961, 1351, 1361, 1651, 1652, 1661, 1662 : 용접 포인트
110 : 초음파 발진기 120 : 초음파 진동자
130 : 부스터 140a, 840a, 1240a, 1540a : 양극용 혼
140b, 840b, 1240b, 1540b : 음극용 혼
141a, 841a, 1241a, 1541a, 1542a : 양극용 접촉부재
141b, 841b, 1241b, 1541b, 1542b : 음극용 접촉부재
Claims (9)
- 이차 전지의 전극 리드와 전극 탭을 초음파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에 있어서,
끝단에 형성된 가압면을 통해 양극 리드와 양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양극용 혼; 및
상기 양극용 혼의 가압면 밀도보다 높은 밀도를 가지는 가압면이 끝단에 형성되고, 이 가압면을 통해 음극 리드와 음극 탭을 가압하면서 초음파를 전달하는 음극용 혼;을 포함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용 혼과 상기 양극용 혼은, 전극 리드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복수의 접촉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음극용 혼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개수가 상기 양극용 혼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개수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용 혼과 상기 양극용 혼은, 전극 리드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음극용 혼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이 상기 양극용 혼에 구비된 접촉부재의 끝단 면적보다 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혼과 음극용 혼 각각에 형성된 가압면의 밀도가 중앙보다 양 사이드에서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482A KR101367752B1 (ko) | 2011-05-30 | 2011-05-30 | 초음파 용접 장치 |
PCT/KR2012/004271 WO2012165862A2 (ko) | 2011-05-30 | 2012-05-30 | 초음파 용접 장치 및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
US14/092,398 US10396317B2 (en) | 2011-05-30 | 2013-11-27 |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electrode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482A KR101367752B1 (ko) | 2011-05-30 | 2011-05-30 | 초음파 용접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7975A Division KR101354142B1 (ko) | 2013-10-02 | 2013-10-02 | 초음파 용접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021A KR20120133021A (ko) | 2012-12-10 |
KR101367752B1 true KR101367752B1 (ko) | 2014-02-26 |
Family
ID=4751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1482A KR101367752B1 (ko) | 2011-05-30 | 2011-05-30 | 초음파 용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77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0894B1 (ko) | 2013-02-04 | 2014-09-18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1678662B1 (ko) | 2013-09-24 | 2016-11-2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초음파 용접상태에 관한 비전측정 최적화방법 및 그 장치 |
CN114284648B (zh) * | 2021-12-30 | 2024-09-13 | 力神(青岛)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多层叠片电芯超声波焊接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7878A (ja) | 2004-03-16 | 2005-09-29 | Toshiba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電極溶接接合装置 |
KR20100094898A (ko) * | 2009-02-19 | 2010-08-27 | 주식회사티움리서치 |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
JP2011000611A (ja) | 2009-06-18 | 2011-01-06 | Nissan Motor Co Ltd | 超音波接合装置および超音波接合方法 |
-
2011
- 2011-05-30 KR KR1020110051482A patent/KR1013677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67878A (ja) | 2004-03-16 | 2005-09-29 | Toshiba Corp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電極溶接接合装置 |
KR20100094898A (ko) * | 2009-02-19 | 2010-08-27 | 주식회사티움리서치 | 리튬전지 및 그 제조방법 |
JP2011000611A (ja) | 2009-06-18 | 2011-01-06 | Nissan Motor Co Ltd | 超音波接合装置および超音波接合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021A (ko) | 2012-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96317B2 (en) |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and secondary battery with enhanced electrode structure | |
JP6899536B2 (ja) | 補強タブ結合構造及び電極リード曲げ結合構造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電池 | |
JP5952402B2 (ja) | 製造工程性の向上したジェリーロ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セル | |
KR101387025B1 (ko) | 접촉저항이 개선된 이차전지 | |
JP5112429B2 (ja) | バッテリーセル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05364295B (zh) | 超声焊接装置、制造可再充电电池的方法以及可再充电电池 | |
US12051827B2 (en) | Electrode assembly configured such that pressure welding portions of electrode tab welding portions have different sizes and ultrasonic welding apparatus configured to manufacture the same | |
KR101367753B1 (ko) |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 |
JP6272642B2 (ja) | 2次電池 | |
KR20190024451A (ko) | 패턴 형성된 외장재부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
KR20130108688A (ko) |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2452328B1 (ko) |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24428B1 (ko) | 플렉서블 전지용 금속탭 | |
KR101367752B1 (ko) | 초음파 용접 장치 | |
KR101520168B1 (ko) |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 |
KR101354142B1 (ko) | 초음파 용접 장치 | |
KR20170130854A (ko) | 이차 전지, 바이폴라 전극 및 바이폴라 전극 제조 방법 | |
KR101277731B1 (ko) |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 |
KR101278507B1 (ko) | 전극 구조체 강도를 개선한 이차 전지 | |
KR101433196B1 (ko) | 초음파 용접 장치 | |
JP2000215879A (ja) | ポリマ―電解質電池 | |
KR102044404B1 (ko) | 전극 탭과 전극 리드 사이에 보강 탭 결합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
KR101924424B1 (ko) | 전극 리드 굽힘 구조를 갖는 플렉서블 전지 | |
JP2005340005A (ja) | 二次電池及び組電池 | |
JP7205723B2 (ja) | 超音波接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