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65436B1 -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436B1
KR101365436B1 KR1020120133183A KR20120133183A KR101365436B1 KR 101365436 B1 KR101365436 B1 KR 101365436B1 KR 1020120133183 A KR1020120133183 A KR 1020120133183A KR 20120133183 A KR20120133183 A KR 20120133183A KR 101365436 B1 KR101365436 B1 KR 101365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late
concrete
bridge
finger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영
박정우
심기철
장광석
이재욱
이완하
김기만
Original Assignee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슨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결합된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에 지면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부반력에 의해,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EXPANSION JOINT FOR BRIDGE}
본 발명은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교량에 사용될 수 있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구조물의 교량상판(슬래브)은 하중, 온도변화, 콘크리트 크리프, 건조수축, 프리스트레싱 등에 의해 변형(팽창 및 수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상판(슬래브)끼리는 적당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이격시켜 주게 되고, 이격된 공간에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통과)하도록 하고 교량상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이음부에는 변형에 유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빗 모양(또는 손가락 모양)의 핑거를 갖는 핑거 플레이트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핑거 플레이트(1)는 콘크리트부(2)에 고정되는데, 차량 등의 운행에 따라,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핑거에 외력, 예를 들어, 지면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핑거와 반대되는 핑거 플레이트의 부분에는 지면 반대 방향으로 부반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1)와 상기 콘트리트부(2)가 접촉하는 영역(A), 구체적으로, 상기 핑거와 반대 방향의 측면과 접촉하는 콘트리트부(2)의 파손이 쉽게 일어난다. 특히, 상기 핑거 플레이트(1)의 하단과 상기 콘트리트부(2)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개선된 내구성을 갖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결합된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는 고분자 수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및 고감쇠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리트부와 대향하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면과 연결되며,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리트부와 대향하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아크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콘크리트부는 상기 탄성 부재 하부에 배치된 배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핑거 플레이트와 콘트리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돌출부에 지면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부반력에 의해,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에 교축 방향에 평행한 힘이 가해져, 핑거 플레이트들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 상기 콘크리트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격리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100)는 제1 핑거 플레이트(10), 제2 핑거 플레이트(20),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를 지지하는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제2 콘크리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는 교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12)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돌출부(12)들은 교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각 제1 돌출부(12)들은, 평면도상에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는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하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16)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와 상기 제1 삽입부(16)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삽입부(16)에 삽입되는 제1 고정 부재(14)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16)는 제1 결합 부재(18)에 의해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고정 부재(14)는 볼트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결합 부재(18)은 앵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삽입부(16)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는 강철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50)는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과 같은 고분자 수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고감쇠 고무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 부재(50)는 스폰지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하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하단부를 모따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하면은 둔각, 예를 들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일 측면은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의 상면을 연결하는 수직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는 교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를 향하여 돌출된 복수의 제2 돌출부(22)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돌출부(22)들은 교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22)들은 인접한 상기 제1 돌출부(12)들 사이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돌출부(12) 및 상기 제2 돌출부(22)는 교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교호적으로 배열된다.
각 제2 돌출부(22)들은, 평면도상에서,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의 하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26)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삽입부(26)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삽입부(26)에 삽입되는 제2 고정 부재(24)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삽입부(26)는 제2 결합 부재(28)에 의해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60)가 배치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사이 또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 또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의 돌출부에 지면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때, 부반력에 의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의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콘트리트부(40)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에 교축 방향에 평행한 힘이 가해져, 상기 제1 및 제2 핑거 플레이트(10, 20)들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또는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의 접촉부 또는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와 상기 제2 콘트리트부(40)의 접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는 제1 상판 지지부(36) 위에 안착된다. 상기 제1 상판 지지부(36) 위에는 제1 상판(34)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상판(34)의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의 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는 무수축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는 교량에 직접 타설되거나, 별도의 실외 또는 실내에서 타설하여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얻고자 하는 형상을 갖는 거푸집을 준비하고, 시멘트, 모래, 자갈, 균열 방지재, 무수축 혼화재 등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조성물을 거푸집에 타설하고, 양생 및 건조하여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보강 부재(32)는 철근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판 지지부(36)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상판 지지부(36)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부재(32)의 일부는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콘크리트부(30)는 제2 상판 지지부(46) 위에 안착된다. 상기 제2 상판 지지부(46) 위에는 제2 상판(44)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상판(44)의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의 측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0), 상기 제2 콘트리트부(40), 상기 제2 고정 부재(24), 상기 제2 삽입부(26), 상기 제2 결합 부재(28)의 구성 및 형상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0),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1 고정 부재(14), 상기 제1 삽입부(16), 상기 제1 결합 부재(1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들(12, 22) 아래에 배치된 배수 부재(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 부재(70)는 제1 배수 부재 고정부(38) 및 제2 배수 부재 고정부(48)에 의해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및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에 결합된다. 상기 배수 부재(70)는 핑거 플레이트 사이로 누수되는 빗물 등의 배수 또는 이물질을 퇴적을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핑거 플레이트(110), 제2 핑거 플레이트(120),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를 지지하는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0)를 지지하는 제2 콘크리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1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연결되는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의 하면은 둔각, 예를 들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상면을 연결한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160)가 배치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이상의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핑거 플레이트(210), 제2 핑거 플레이트(220),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를 지지하는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20)를 지지하는 제2 콘크리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2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일 측면은 계단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하면과 연결되는 경사면,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상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갖는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210)의 하면은 둔각, 예를 들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250)은 상기 수직면과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2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22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260)가 배치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이상의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핑거 플레이트(310), 제2 핑거 플레이트(320),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를 지지하는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3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320)를 지지하는 제2 콘크리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3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의 일 측면은 아크 형상의 곡선을 형성하는 경사면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320)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의 상면과 연결된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310)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둔각, 예를 들어 90도 초과 18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탄성 부재(350) 및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 역시 아크 형상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32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360)가 배치된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콘크리트부와와 핑거 플레이트의 접촉하는 부분을 아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부반력에 의한 손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이상의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제1 핑거 플레이트(410), 제2 핑거 플레이트(420),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10)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10)를 지지하는 제1 콘크리트부(30),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20)와 결합되며,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20)를 지지하는 제2 콘크리트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10)의 일 측면은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10) 사이에는 제1 탄성 부재(45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는 상기 제1 탄성 부재(450) 아래에 형성된 제1 배수로(470)를 갖는다. 상기 제1 배수로(470)는 상기 제1 탄성 부재(450) 아래로, 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450)와 상기 제1 핑거 플레이트(420) 사이로 침투하는 빗물 등을 배수하여, 제1 핑거 플레이트(420)의 부식,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배수로(470)는 상기 제1 탄성 부재(450)의 하면의 일부분만을 커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콘크리트부(30)는 상기 제1 탄성 부재(450)의 하면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되는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탄성 부재(450)는 상기 수평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20)의 일 측면은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대향하며,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와 상기 제2 핑거 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제2 탄성 부재(460)가 배치된다. 상기 제2 콘크리트부(40)는 상기 제2 탄성 부재(460) 아래에 형성된 제2 배수로(480)를 갖는다.
상기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이상의 설명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는 육상 교량, 해상 교량 및 유사한 건축물에 이용될 수 있다.
10, 110, 210, 310, 410 : 제1 핑거 플레이트
20, 120, 220, 320, 420 : 제2 핑거 플레이트
30 : 제1 콘크리트부 40 : 제2 콘크리트부
50, 150, 250, 350, 460 : 제1 탄성 부재
60, 160, 260, 360, 460 : 제2 탄성 부재
470 : 제1 배수로 480 : 제2 배수로

Claims (8)

  1.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결합된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및 고감쇠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리트부와 대향하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면과 연결되며,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하면과 둔각을 형성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되는 수직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상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7. 일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핑거 플레이트;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결합된 콘크리트부; 및
    상기 핑거 플레이트와 상기 콘크리트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핑거 플레이트는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가황 고무 및 고감쇠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리트부와 대향하는 상기 핑거 플레이트의 일 측면은, 아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8. 삭제
KR1020120133183A 2012-11-22 2012-11-22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365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83A KR101365436B1 (ko) 2012-11-22 2012-11-22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83A KR101365436B1 (ko) 2012-11-22 2012-11-22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436B1 true KR101365436B1 (ko) 2014-02-19

Family

ID=502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83A KR101365436B1 (ko) 2012-11-22 2012-11-22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4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72B1 (ko) * 2016-12-20 2017-02-03 정진교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CN108824184A (zh) * 2018-08-21 2018-11-16 长沙理工大学 高度可调的uhpc桥梁伸缩装置
KR20190087176A (ko) 2018-01-16 2019-07-24 최은철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04A (ja) * 1998-10-30 2000-05-16 Nitta Ind Corp 橋梁用伸縮装置
JP2001020209A (ja) * 1999-07-05 2001-01-23 Motonosuke Arai 道路橋継目部の構造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100869551B1 (ko) * 2008-08-26 2008-12-02 김종길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504A (ja) * 1998-10-30 2000-05-16 Nitta Ind Corp 橋梁用伸縮装置
JP2001020209A (ja) * 1999-07-05 2001-01-23 Motonosuke Arai 道路橋継目部の構造
KR20030077683A (ko) * 2002-03-26 2003-10-04 금초건설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장치 및 설치방법
KR100869551B1 (ko) * 2008-08-26 2008-12-02 김종길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272B1 (ko) * 2016-12-20 2017-02-03 정진교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KR20190087176A (ko) 2018-01-16 2019-07-24 최은철 교량형 미끄럼 방지 신축 이음 장치
CN108824184A (zh) * 2018-08-21 2018-11-16 长沙理工大学 高度可调的uhpc桥梁伸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2700B1 (ko)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102375815B1 (ko)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127561B1 (ko) 콘크리트 무타설 교량 연결 방법
KR10129181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33804B1 (ko) 거푸집 겸용 배수 부재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의 설치 방법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20100089616A (ko) 보강망을 구비한 신축이음
US9695559B2 (en) Transition slab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deck of a bridge with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having a long service life, and methods for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deck of a bridge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20190112451A (ko) 탄성보강재를 이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신축이음 시공방법
KR100644143B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215133B1 (ko)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90089087A (ko) 교량용 핑거플레이트형 신축 이음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1854417B1 (ko) 비배수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986949B1 (ko) 신축이음장치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JP6579931B2 (ja) 橋梁における床版連結構造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20100023214A (ko) 다경간 단순교의 바닥판 연속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