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864B1 -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0864B1 KR101350864B1 KR1020120019541A KR20120019541A KR101350864B1 KR 101350864 B1 KR101350864 B1 KR 101350864B1 KR 1020120019541 A KR1020120019541 A KR 1020120019541A KR 20120019541 A KR20120019541 A KR 20120019541A KR 101350864 B1 KR101350864 B1 KR 101350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rame
- rotating
- rotation
- rotating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61D33/0014—Seat frames
- B61D33/0028—Seat frames for reversible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57—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 B61D33/0078—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adjustably mounted
- B61D33/0085—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adjustably mounted rotata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철도차량용 회전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하는 바디부;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전실린더와 체결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회전부; 회전실린더에 체결되어 회전실린더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 변경이 용이한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전후 구분없이 운행이 가능하며, 종착역까지 일방향으로 운행 후에는 다시 역방향으로 운행하게 된다. 이러한 철도차량의 특성상, 철도차량의 시트는 운행방향에 따라 그 방향을 변경하여야 한다. 즉, 일방향으로 운행한 후 다시 역방향으로 운행하는 경우, 철도차량의 운행방향에 따라 객실 내에 설치된 시트의 방향을 반대방향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종래 일반적인 철도차량용 시트의 경우, 방향 변경이 가능하기는 하나, 그 구동이 원활하지 않고, 특히, 작업자가 일일이 수동조작하여 방향 변경되는 구조로 시트 방향 변경이 상당히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도차량이 운행방향을 변경할 경우에는 객실 내 모든 시트의 방향을 변경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경우 다수의 시트가 객실 내 마련되는 바, 상기와 같은 시트 방향 변경 작업에 상당한 시간 및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시트 방향 변경 작업이 길어짐에 따라, 철도차량의 배차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운행상 문제점도 함께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간편하게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실린더를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실린더와 체결되는 축결합부를 구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실린더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실린더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된 가이드바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가이드바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와 체결되는 가이드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실린더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프로킷; 및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스프로킷 간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핀을 구비하는 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기 고정핀과 결합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일측에 스토퍼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핀과 체결되며, 상기 캠부재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핀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부재는, 고정핀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페달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캠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캠부재 및 상기 고정핀을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에 의해 누름 구동되어 상기 액츄에이터를 구동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프레임은, 일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브라켓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누름 구동시키는 멈춤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는,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시트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는 구동부 및 고정부를 통한 자동 조작 및 원격 조작이 가능한 바, 다수의 철도차량용 회전시트를 방향 변경시에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는 회전프레임의 구속 해제, 회전 및 재고정과 같은 일련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 구동이 원활하며, 한 번의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구동 제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브라켓 및 가이드바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브라켓 및 가이드바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분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바디부(110), 회전부(120), 구동부(130) 및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바디부(110)는 철도차량의 바닥면 등에 설치되며,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지지하는 전체적인 외골격을 형성한다. 또한, 바디부(110)는 후술할 회전부(120), 구동부(130), 고정부(140) 등이 장착되는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10)는 고정프레임(111)과 회전실린더(11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프레임(111)은 복수개의 지지레그(111a)에 의해 지지되는 프레임(frame)으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어 지지레그(111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고정프레임(111)에는 가이드바(113)가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바(113)는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프레임(111)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바(113)가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가이드바(113)에 대하여는 후술할 가이드브라켓(123)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회전실린더(112)는 고정프레임(111)에 장착된다. 이때, 회전실린더(112)는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회전실린더(112)는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는 고정프레임(111) 위에 장착되는 회전프레임(121)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디부(110)는 간격유지패드(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간격유지패드(114)는 고정프레임(111)과 회전프레임(121) 간에 소정정도 간격을 두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 및 회전실린더(112)의 상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간격유지패드(114)는 고정프레임(111)과 회전프레임(121)을 소정정도 이격되게 하며,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시 각 부재간 충돌이나 간섭을 방지하여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회전부(120)는 바디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바닥면에 고정된 바디부(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회전부(120)에는 승객이 착좌할 수 있도록 쿠션이나 시트가 덮어 씌워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20)는 회전프레임(121)과 축결합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회전프레임(121)은 고정프레임(1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축결합부(122)를 통해 고정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축결합부(122)는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고정프레임(111)에 형성된 회전실린더(112)에 체결된다. 이때, 축결합부(122)는 체결홈(미표시) 등을 통해 회전실린더(112)와 축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실린더(112)가 회전됨에 따라, 축결합부(122) 및 회전프레임(121)이 함께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회전부(120)는 가이드브라켓(1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브라켓(123)은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에 마련된 가이드바(113)와 대응된다. 또한, 가이드브라켓(123)은 회전프레임(12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정프레임(111)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바(113)와 대응되도록, 회전프레임(121)의 양측에 각각 가이드브라켓(123)이 마련된 형태를 예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브라켓 및 가이드바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이드브라켓(123)은 소정정도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브라켓(123)은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회전프레임(121)의 축결합부(1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회전프레임(121)의 양단이 원호 형태의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한편, 가이드바(113)는 가이드브라켓(123)과 체결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며, 가이드브라켓(123)과 대응되도록 소정정도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바(113)는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브라켓(123) 및 가이드바(113)는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여, 보다 원할할 회전 구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시, 가이드바(113)는 고정프레임(111)에 고정되어 있으며, 가이드브라켓(123)은 회전프레임(121)과 함께 회전되게 된다. 회전프레임(121)이 회전하는 동안, 가이드브라켓(123)은 가이드바(113)와 체결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게 되며, 따라서, 회전 이동시 회전프레임(121)이 이탈되거나 요동하는 등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브라켓(123)에는 고정홈(123a) 및 멈춤돌기(123b)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23a)은 가이드브라켓(123)의 일측이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된 것으로, 후술한 고정핀(142a)과 체결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멈춤돌기(123b)는 후술할 리미트스위치(145)를 누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브라켓(123)의 일측이 소정정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고정홈(123a) 및 멈춤돌기(123b)에 대하여는, 후술할 고정부(140)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구동부(130)는 회전프레임(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에 마련된 회전실린더(112)에 체결되어 회전실린더(112)를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회전프레임(121)을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1), 스프로킷(132) 및 체인(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모터(131)는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31)의 로터축에는 체인(133)이 체결될 수 있도록 기어나 스프로킷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로킷(132)은 회전실린더(112)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스프로킷(132)은 필요에 따라, 회전실린더(112)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회전실린더(112)의 하단 외주면에 별개의 부품이 장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체인(133)은 구동모터(131)와 스프로킷(132) 간에 체결되어, 구동모터(131)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구동모터(131)의 구동력은, 구동모터(131)의 로터축, 체인(133) 및 스프로킷(132)을 통해 회전실린더(112)에 전달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실린더(112)가 회전 구동된다.
한편, 고정부(140)는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고정부(140)는 고정브라켓(141) 및 캠부재(142)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141)은 캠부재(142) 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된다.
캠부재(142)는 고정브라켓(141)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42b)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캠부재(142)에는 고정핀(142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핀(142a)은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고하면, 회전프레임(121)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123)에는 고정홈(123a)이 형성되며, 고정핀(142a)은 상기와 같은 고정홈(123a) 부위에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한다. 이때, 캠부재(142)는 힌지축(142b)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므로, 캠부재(142)가 힌지축(142b)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됨에 따라, 고정핀(142a)은 고정홈(123a)에 결합되어 회전프레임(121)을 구속하거나, 고정홈(123a)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프레임(121)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한편, 캠부재(142)에는 상기와 같은 고정핀(142a)의 회동을 조작하기 위한 수동조작페달(142d)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조작페달(142d)을 밟아 필요에 따라 고정핀(142a)을 회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핀(142a)이 회동됨에 따라 회전프레임(121)은 회전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캠부재(142)에는 고정핀(142a)의 회동 반경을 소정범위 이내로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핀(142c)이 체결될 수 있으며, 고정브라켓(141)에는 스토퍼핀(142c)이 체결되는 핀체결홀(141a)이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핀(142c)은 캠부재(142)의 힌지축(142b)과 인접한 부위에 체결되며, 고정브라켓(141)에 형성된 핀체결홀(141a)에 체결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41)에 형성된 핀체결홀(141a)은 캠부재(142)의 회동 반경을 따라 소정정도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브라켓(141)에 형성된 핀체결홀(141a)은 스토퍼핀(142c)이 삽입 체결된 상태에서 소정정도 이동 가능하도록,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부재(142)가 힌지축(142b)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스토퍼핀(142c)은 핀체결홀(141a)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되며, 핀체결홀(141a)의 길이만큼 캠부재(142) 및 고정핀(142a)의 회동 반경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고정부(140)는 탄성부재(143) 및 액츄에이터(14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43)는 캠부재(142)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토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43)는 캠부재(142)에 형성된 고정핀(142a)이 회전프레임(121)에 형성된 고정홈(123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캠부재(14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즉, 도 6을 참고하면, 탄성부재(143)는 캠부재(142)를 A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144)는 캠부재(142)의 일측에 체결되어 힌지축(142b)을 중심으로 캠부재(142)를 소정정도 회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동조작페달(142d) 이외에 액츄에이터(144)를 통하여도 캠부재(142) 및 고정핀(142a)을 회동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자동으로 회전프레임(121)을 구속 또는 구속 해제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여 상기와 같은 고정부(14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외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 캠부재(142)는 탄성부재(143)에 의해 도 6의 A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고정핀(142a)이 고정홈(123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프레임(121)은 고정핀(142a)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며, 고정프레임(111)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수동조작페달(142d)을 밟거나, 액츄에이터(144)가 작동되는 경우, 캠부재(142)는 외력에 의해 도 6의 A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캠부재(142)에 형성된 고정핀(142a)은 고정홈(123a)에서 이탈되게 되며, 이로 인해, 간편하게 회전프레임(121)의 구속을 해제시키고, 필요에 따라, 회전프레임(12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고하면, 고정부(140)는 리미트스위치(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미트스위치(145)는 고정브라켓(14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될 수 있으며, 누름 구동시 액츄에이터(144)를 구동 정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미트스위치(145)의 누름 구동은 회전프레임(121)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121)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123)에는 멈춤돌기(123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멈춤돌기(123b)는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시 리미트스위치(145)를 누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 내지 3 참고). 따라서 구동부(130)에 의해 회전프레임(121)이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하게 되면, 상기와 같은 멈춤돌기(123b)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45)가 작동되며, 이로 인해, 액츄에이터(144)의 구동이 정지되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이 구속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구동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프레임(12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30) 및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하고 고정시키는 고정부(140)를 구동제어 한다.
이때, 조작부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구동 제어할 수 있도록 바디부(110)나 회전부(120)의 일측에 마련되는 로컬조작부(미도시)와, 기관실 등의 중앙제어부에서 다수의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원격으로 구동 제어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부 등에 마련되는 원격조작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다수의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방향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원격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1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의 제 2 작동상태도이다.
먼저, 앞서 설명한 도 1을 참고하면,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철도차량의 운행시나 사용자의 착좌시에는 회전프레임(121)이 고정프레임(11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고하면, 탄성부재(143)에 의해 고정핀(142a)이 고정홈(123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고정핀(142a)에 의해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이 구속되어 회전프레임(121)이 고정되게 된다.
한편, 철도차량의 운행방향이 변경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변경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로컬조작부나 원격조작부를 통해 간편하게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동조작페달(142d)을 통해 수동으로 회전프레임(121)의 구속을 해제하고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로컬조작부나 원격조작부를 통한 자동 조작이나, 수동조작페달(142d)을 통한 수동 조작은 작동방식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바, 이하에서는 로컬조작부나 원격조작부를 통한 자동 조작시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의 방향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로컬조작부 등의 조작부를 통해 고정부(140)를 구동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고정부(140)를 작동시키면, 액츄에이터(144)가 구동되어 캠부재(142)를 회동시키게 된다. 또한, 캠부재(142)가 회동되면, 고정핀(142a)이 고정홈(123a)에서 이탈되게 되며, 이로 인해, 회전프레임(121)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대하여는 상기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회전프레임(121)의 구속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해 구동부(130)를 작동시킨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은 구동 제어는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작동버튼 등을 한 번 누르면, 고정부(140)의 작동 및 회전프레임(121)의 구속 해제가 이뤄지고, 이에 연속하여 구동부(130)의 작동이 이뤄질 수 있다.
구동부(13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131)가 회전실린더(112)를 회전시키며, 이로 인해, 회전프레임(121)이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프레임(121)에 마련된 가이드브라켓(123) 및 고정프레임(111)에 마련된 가이드바(113)를 상기와 같은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이동을 가이드하여 보다 원할한 구동이 일어나도록 보조한다.
한편, 회전프레임(121)이 일측으로 180도 회전되면, 가이드브라켓(123)에 형성된 멈춤돌기(123b)가 고정부(140)의 리미트스위치(145)를 누르게 된다. 이로 인해, 리미트스위치(145)가 작동되어, 리미트스위치(145)는 액츄에이터(144)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액츄에이터(144)가 구동 정지됨에 따라, 캠부재(142) 및 고정핀(142a)은 탄성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다시 회동하게 된다(도 6 참고).
고정핀(142a)이 초기 위치로 다시 복귀함에 따라, 고정핀(142a)은 다시 가이드브라켓(123)에 형성된 고정홈(123a)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회전프레임(121)이 다시 구속 고정되며, 회전프레임(121)이 180도 회전됨에 따라,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방향이 변경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시트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구동부(130) 및 고정부(140)를 통한 자동 조작 및 원격 조작이 가능한 바, 다수의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를 방향 변경시에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용 회전시트(100)는 회전프레임(121)의 구속 해제, 회전 및 재고정과 같은 일련의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어, 구동이 원활하며, 한 번의 조작만으로도 간편하게 구동 제어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110: 바디부 111: 고정프레임 112: 회전실린더
113: 가이드바 114: 간격유지패드 120: 회전부
121: 회전프레임 122: 축결합부 123: 가이드브라켓
123a: 고정홈 123b: 멈춤돌기 130: 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스프로킷 133: 체인
140: 고정부 141: 고정브라켓 141a: 핀체결홀
142: 캠부재 142a: 고정핀 142b: 힌지축
142c: 스토퍼핀 142d: 수동조작페달 143: 탄성부재
144: 액츄에이터 145: 리미트스위치
110: 바디부 111: 고정프레임 112: 회전실린더
113: 가이드바 114: 간격유지패드 120: 회전부
121: 회전프레임 122: 축결합부 123: 가이드브라켓
123a: 고정홈 123b: 멈춤돌기 130: 구동부
131: 구동모터 132: 스프로킷 133: 체인
140: 고정부 141: 고정브라켓 141a: 핀체결홀
142: 캠부재 142a: 고정핀 142b: 힌지축
142c: 스토퍼핀 142d: 수동조작페달 143: 탄성부재
144: 액츄에이터 145: 리미트스위치
Claims (11)
- 바닥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11)과,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실린더(112)를 구비하는 바디부(110);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회전프레임(121)과,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실린더(112)와 체결되는 축결합부(122)를 구비하는 회전부(120);
상기 회전실린더(112)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실린더(11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130); 및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되는 고정브라켓(141); 및
상기 고정브라켓(141)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회전을 구속하는 고정핀(142a)을 구비하는 캠부재(142);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1)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된 가이드바(113)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프레임(121)은,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가이드바(113)와 대응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121)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113)와 체결되는 가이드브라켓(123)을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고정프레임(111)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31);
상기 회전실린더(112)의 하단에 마련되는 스프로킷(132); 및
상기 구동모터(131) 및 상기 스프로킷(132) 간에 체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133);을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21)은, 일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브라켓(123)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브라켓(123)에는 상기 고정핀(142a)과 결합되는 고정홈(123a)이 형성된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142)는, 일측에 스토퍼핀(142c)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141)은, 장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핀(142c)과 체결되며 상기 캠부재(142)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핀체결홀(141a)을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142)는, 고정핀(142a)을 회동시키기 위한 수동조작페달(142d)을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캠부재(142)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143)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캠부재(142) 및 상기 고정핀(142a)을 회동시키는 액츄에이터(144)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고정브라켓(14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121)에 의해 누름 구동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44)를 구동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145)를 구비하는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121)은, 일측 또는 양측에 가이드브라켓(123)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브라켓(123)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45)를 누름 구동시키는 멈춤돌기(123b)가 형성된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9541A KR101350864B1 (ko) | 2012-02-27 | 2012-02-27 |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9541A KR101350864B1 (ko) | 2012-02-27 | 2012-02-27 |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7900A KR20130097900A (ko) | 2013-09-04 |
KR101350864B1 true KR101350864B1 (ko) | 2014-01-14 |
Family
ID=494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9541A KR101350864B1 (ko) | 2012-02-27 | 2012-02-27 |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508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1301A (ko) * | 2020-09-04 | 2022-03-11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형 안마의자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5416B (zh) * | 2013-12-20 | 2017-05-03 | 上海坦达轨道车辆座椅系统有限公司 | 用于列车座椅的旋转基架 |
KR102112604B1 (ko) * | 2018-12-05 | 2020-05-19 | 이원컴포텍 주식회사 | 회전식 자동차 시트 |
KR102228289B1 (ko) | 2019-08-19 | 2021-03-16 | 명보기업 주식회사 | 철도차량의 좌석시트 회전장치 |
JP2021130358A (ja) * | 2020-02-19 | 2021-09-09 | 住江工業株式会社 | シート配列切替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63211B2 (ja) | 1991-01-25 | 1999-10-18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回転シート |
JP3735144B2 (ja) * | 1995-08-11 | 2006-01-18 | 天龍工業株式会社 | ロング・クロス配列切替式乗物用座席群 |
KR100700669B1 (ko) | 2005-09-16 | 2007-03-28 | (주)지멕스 | 열차용 회전식 의자시스템 |
JP2010221973A (ja) | 2009-03-25 | 2010-10-07 | Sumie Kogyo Kk | 回転シート |
-
2012
- 2012-02-27 KR KR1020120019541A patent/KR1013508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63211B2 (ja) | 1991-01-25 | 1999-10-18 | シロキ工業株式会社 | 回転シート |
JP3735144B2 (ja) * | 1995-08-11 | 2006-01-18 | 天龍工業株式会社 | ロング・クロス配列切替式乗物用座席群 |
KR100700669B1 (ko) | 2005-09-16 | 2007-03-28 | (주)지멕스 | 열차용 회전식 의자시스템 |
JP2010221973A (ja) | 2009-03-25 | 2010-10-07 | Sumie Kogyo Kk | 回転シート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31301A (ko) * | 2020-09-04 | 2022-03-11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형 안마의자 |
KR102458291B1 (ko) | 2020-09-04 | 2022-10-25 |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 방향전환이 가능한 회전형 안마의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7900A (ko) | 2013-09-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50864B1 (ko) | 철도차량용 회전시트 | |
JP5242977B2 (ja) | アシストグリップ | |
JP4430646B2 (ja) | 車両シート用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 |
JP4768721B2 (ja) | 自動車のドア・ミラーの格納機構 | |
CN107813737B (zh) | 安全座椅的旋转装置 | |
KR101315793B1 (ko) | 시트의 회전장치 | |
JP2005029151A (ja) |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 |
JP5795397B2 (ja) |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 |
JP7362201B2 (ja) | 座席支持装置 | |
JP5808584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1752242B1 (ko)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 |
JP2007145219A (ja) | 車両用ウォークイン装置 | |
KR101752240B1 (ko) |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 |
JP6815896B2 (ja) | 座席回転装置 | |
KR101268179B1 (ko) |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 |
JPH09158563A (ja) | 電動アクチュエータ | |
JP2008202236A (ja) | 車両用ドアヒンジ装置 | |
JP4853192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2005104173A (ja) | アームレスト装置 | |
KR101042307B1 (ko) | 2도어 타입 승용차의 이지엔트리 장치 | |
KR101881860B1 (ko) | 폴딩겸용 파워 리클라이너 유닛 | |
KR101355619B1 (ko) |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 |
JP6242223B2 (ja) | 車両のシート装置 | |
JP2010089682A (ja) | アームレスト装置 | |
KR101801973B1 (ko) | 푸시형 록킹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