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50276B1 -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76B1
KR101350276B1 KR1020110116273A KR20110116273A KR101350276B1 KR 101350276 B1 KR101350276 B1 KR 101350276B1 KR 1020110116273 A KR1020110116273 A KR 1020110116273A KR 20110116273 A KR20110116273 A KR 20110116273A KR 101350276 B1 KR101350276 B1 KR 10135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lever
connector
cover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1113A (ko
Inventor
김태경
김관희
안재혁
Original Assignee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6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276B1/ko
Priority to JP2012244627A priority patent/JP5669806B2/ja
Priority to DE102012110738A priority patent/DE102012110738A1/de
Priority to CN201210448357.7A priority patent/CN103101516B/zh
Priority to US13/673,552 priority patent/US20130305475A1/en
Publication of KR2013005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the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pivot pin mounted between the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WIPER CONNECTOR FOR VEHICL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330, 331, 340, 341)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퍼 암의 걸림돌기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몸체부(320, 321), 및 상기 몸체부(320, 321)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퍼 암의 전후방 또는 상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덮개부(310, 311)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320, 321)는 하부 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222, 220)에 끼움결합하는 끼움쇠(350, 35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WIPER CONNEC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 운행 중에 이물질이나 눈 또는 비를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방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퍼 암에 의해 연결된 링크장치를 모터가 구동함으로써 부채꼴 모양으로 반복적인 왕복운동을 한다.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토너먼트형으로 금속재의 레버들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레버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조립체는 배킹 플레이트가 설치된 와이퍼스트립을 복수개의 토너먼트 레버가 와이퍼 스트립을 굴곡시켜서 자동차 유리의 곡률을 추종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시 유리면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상(lifting)하거나 채터링(chattering)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종별로 서로 다른 규격과 형상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와이퍼 구동 암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암에 대응되는 형태의 전용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즉, 종래의 차량용 구동 암은 크게 걸림 구조를 갖는 ′U′자형 클립 타입, 플러그 형태로 꽂는 베이어닛(bayonet) 타입, 측부에 돌기를 형성하여 이 돌기에 의한 끼움 구조를 취하는 핀(Pin) 타입과, 보쉬사(Bosch社)에서 개발된 것으로 와이퍼 장치의 측부에서 끼움 결합하는 방식의 사이드 홀(side hole) 타입 및 와이퍼 장치의 상부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결합하는 방식의 탑 락(Top Lock) 타입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여러 종류의 구동 암은 그 형태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 전용의 와이퍼 장치만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 10-2010-0064983(2010.6.15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하나 이상의 와이퍼 암을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핑 시에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는, 와이퍼 암을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연결시키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300, 301)에 있어서, 양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330, 331, 340, 341)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퍼 암의 걸림돌기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몸체부(320, 321), 및 상기 몸체부(320, 321)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퍼 암의 전후방 또는 상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덮개부(310, 311)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310)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6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20, 321)는, 하부 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222, 220)에 끼움결합하는 끼움쇠(350, 351),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63)과 결합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편(362), 및 상기 덮개부(310)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부(361)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20)는 측면에 결합홈(364)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10)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돌기(365)는 상기 결합홈(364)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310)의 전후방 움직임을 안내하고 회전움직임의 회전축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20)는, 하부 면에 와이퍼 한 쌍의 슬릿홈(3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몸체부(32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0, 311) 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되거나, 또는 몸체부(32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 블레이드에 하나 이상의 와이퍼 암을 연결시키기 위한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핑 시에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부가 형성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일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스트립의 타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레버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레버 조립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레버 조립체의 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VC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VB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의 VA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d는 도 6의 IVC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e는 도 6의 IVB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f는 도 6의 IVA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를 위에서 바라본 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와이퍼 암이 장착된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부 및 어댑터부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4 실시예의 어댑터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4a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헤드부가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사시도이다.
도 1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와 덮개부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와이퍼 암이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결합된 와이프 블레이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결합된 와이프 블레이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서 덮개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전체적인 구성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일부 특징이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상단에 마련되어 와이퍼 암(20)의 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커넥터(미도시)(300)와 연결되는 어댑터부(미도시)(200), 차량의 유리창면에 밀착되어 차량의 유리창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스트립(600), 토너먼트형으로 연결되어 와이퍼 스트립을(60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버 조립체(lever assembly)(500), 레버 조립체(500)를 수용하는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설명한 도 1a 및 도 1b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400) 중앙부근에 어댑터부(200)가 마련된다. 어댑터부(200)에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커넥터(300)가 장착되며, 상기 커넥터(300)는 와이퍼 암(20)의 선단을 수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암(미도시)의 선단에 연결되고, 차량 유리(30)의 유리면(와아핑면)(30a)에 대하여 와이퍼 암으로부터 가압력을 받는다. 와이퍼 암은 와이퍼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전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차량 유리(30)의 유리면(30a)에서 소정 각도 범위로 와이핑한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와이퍼 스트립(600)의 일단부 및 타단부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와이퍼 스트립(600)에 장착되는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레버 조립체(500)는 복수의 제1 레버(510)와 복수의 제2 레버(5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의 제1 레버(510)와 한 쌍의 제2 레버(510)로 이루어진 와이퍼 블레이드(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도 1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은 직접 유리면(30a)에 접촉하여 와이핑을 하는 와이핑 립(lip)부(620)와 상기 레버 조립체(500)에 지지되는 베이스부(61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은 자동차의 유리에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그 유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탄성재료 즉 고무재와 같은 탄성재료 또는 탄성 합성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610)는 레버 조립체(500)의 제1 레버(510)와 제2 레버(520)의 체결구(511, 521)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체결구(511, 521)는 요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610) 및 와이핑 립부(620)는 와이퍼스트립(60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부(61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630)이 연장된다. 스프링 특성을 갖는 장방형 금속재 플레이트인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700)는 두 개의 배킹 플레이트 수용홈(630) 각각에 수용된다. 유지부(640)는 상기 체결구(511, 52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용되는 부분이다.
도 3a에 도시된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 일단의 유지부(640)는 상기 체결구(511, 521)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방형이나, 도 3b에 도시된 타단은 제2 레버의 제2 체결구(521)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레버(520)의 제2 체결구(521) 중 하나는 상기 유지부(640)의 타단에만 마련된 슬로프(641)의 벽과 결합부(642)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제2 체결구(521)의 길이방향 움직임은 돌기부(611)에 의해 제한된다.
배킹 플레이트(700)는 상기 와이퍼 립부(620)에 탄성과 강성을 인가한다. 와이퍼 암으로부터 가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가압력은 상기 레버 조립체(500)을 통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으로 분배된다. 이 때, 상기 가압력은 상기 배킹 플레이트(700)에 의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길이방향으로 분산된다. 따라서, 상기 배킹 플레이트(700)은 탄성을 가지며,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강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배킹 플레이트(700) 및 배킹 플레이트 수용홈(630)은 와이퍼 스트립의 강성 또는 탄성 정도에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레버 조립체를 도시한 정면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부와 레버 조립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레버 조립체(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1 레버(510)와, 상기 제1 레버(510)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400)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레버(5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510)는 상기 제2 레버(520)의 와이퍼 중앙 방향 선단과 결합하되, 상기 제1 레버(510)의 결합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레버(510)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레버(520)는 일단이 상기 제1 레버(510)와 힌지 결합되고 중앙부는 커버부(400)에 결합되며, 타단은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한다. 예컨대, 한 쌍의 제1 레버(510)가 4점, 한 쌍의 제2 레버(520)이 2점을 지지하는 6점 지지구조를 갖게 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레버(510)는 각각 2점씩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하며, 한 쌍의 제2 레버(520)는 각각 1점씩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한 쌍의 제1 레버(510) 및 한 쌍의 제2 레버(520)를 포함하는 레버 조립체(500)는 전체적으로 와이퍼 스트립(600)을 6점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6점 지지구조로써,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하게 되면, 제2 레버(520)가 와이퍼 스트립의 끝단을 충분히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스트립(600)에 삽입되는 배킹 플레이트(700)의 길이방향 중심부는 유리면(30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된다. 예컨대, 레버 조립체(500)가 와이퍼 스트립(600)의 양끝단을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레버 조립체(6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와이퍼 스트립(600) 전체에 분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와이핑을 위해서 배킹 플레이트(700)의 곡률은 유리면(30a)의 곡률보다 커야한다. 다시 말해서, 배킹 플레이트(700)의 곡률반경(600)은 유리면(30a)의 곡률반경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조립체(600)의 6점 지지구조는 레버 조립체(600)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와이퍼 스트립(600)에 길이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킹 플레이트(700)의 곡률은 유리면(30a)의 곡률보다 작거나 없어도 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인가되는 가압력에 따라 배킹 플레이트(700)의 곡률을 정확히 조정하는 것은 공정시간이 많이 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버 조립체(600)의 6점 지지구조는 곡률이 없거나 곡률이 작은 배킹 플레이트(700)를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와이퍼 스트립(600)에 하중을 배분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레버(51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상기 베이스부(61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레버(51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베이스부(61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유리면(30a)과의 곡률을 맞추기 위해 상기 배킹 플레이트(700)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레버(510), 제2 레버(520)에 의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곡률이 유지되는 경우, 배킹 플레이트(700)의 곡률은 없을 수도 있다. 레버 조립체(500)와 커버부(400)는 와이퍼 암으로부터 인가되는 가압력을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에 분배한다.
상기 한 쌍의 제1 레버(510)는 각각 두 개의 제1 체결구(511), 제1 관통공(512), 두 개의 암부(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레버(510)는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산모양의 폴드부(mountain fold)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레버(510)는 중앙이 상기 커버부(400)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레버(510)는 하부측으로 개방된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형성된다.
상기 제1 레버(510)의 상기 제1 관통공(512)은 상기 제2 레버(52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해 상기 제1 레버(51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공(512)은 상기 제1 레버의 폭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 관통공(512)은 후술하는 제2 레버(520)의 제2 관통공(522)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제1 관통공(512)와 제2 관통공(522) 사이에는 제2 스페이서(532)가 끼워져 제1 관통공(512)과 제2 관통공(522)의 결합을 강화한다. 제1 레버(510)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체결구(5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체결구(511)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레버 조립체(500)는 하나의 제1 레버(510)와 하나의 제2 레버(520)를 포함하는 좌우 대칭의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제2 레버(520)들은 커버부(4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즉, 수지재인 커버부(400)부가 통상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 레버의 기능을 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0)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커버부(400)가 금속재가 아닌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체로 제품의 성형이 가능하므로 단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400)를 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외관 형상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부(400)의 형상의 자유도가 증가할수록 주행풍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변형이 용이하다.
도 6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상기 커버부(400) 및 레버 조립체(500)와 와이퍼 스트립(600)의 결합상태를 전면으로부터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도 6의 VC 내지 IVA에 대한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를 참조하면, 제1 레버(510)의 횡방향 중심선은 L2이며, 제2 레버(520)의 상단부의 횡방향 길이 중심은 L2와 일치한다. 이하, L2를 레버 조립체(500)의 횡방향 중심선이라 한다. 레버 조립체(500)의 횡방향 중심선 L2는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상기 제1 레버(510)의 제1 체결구(511)는 요크 형상일 수 있다.
도 6의 IVC에 대한 축 방향 단면을 도시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구(511)의 횡방향 중심선은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과 일치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520)는 와이퍼 암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제1 레버(510)에 전달한다. 또한, 제2 레버(520)는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한다. 제2 레버(520)는 커버부(400)와 결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전체 형상을 유지한다.
한 쌍의 제2 레버(520) 각각은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체결구(521), 상기 제1 레버(51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 관통공(522), 두 개의 암부(523a, 523b), 상기 중앙커버부(고정커버부)(410)와 결합하기 위한 제3 관통공(524), 상기 커버부(400)의 사이드(side)커버부(가동커버부)(42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연결홈(525), 제2 연결홈(526)를 포함하고 있다.
제2 레버(520)는 상기 커버부(400) 측으로 볼록한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레버(520)는 하부측으로 개방된 U자 형태의 단면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레버(520)의 중심방향 암부(523a)는 제1 레버(51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레버(520)의 단면의 하부측과 제1 레버(510)의 단면이 모두 U자 형태이므로, 제1 레버(510)의 일부가 제2 레버(520)에 수용될 때, 제1 레버(510)와 제2 레버(520)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를 유리면에 더욱 더 밀착시켜 와이핑 성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암부(523)는 와이퍼 중심방향 암부(523a)와 선단방향 암부(523b)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중심방향 암부(523a)에는 제2 관통공(5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레버(510)와 힌지 결합한다. 상기 제2 관통공(522)은 상기 제2 레버(52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통공(512)와 제2 관통공(522)에는 제1 연결핀(551)이 관통되어 제1 레버(510)와 제2 레버(520)을 결합시킨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관통공(524)에는 제2 연결핀(552)이 관통하여 제2 레버(520)와 커버부(40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2 레버(520)의 선단방향 암부(523b)에는 상기 커버부(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연결홈(525) 및 제2 연결홈(526), 및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체결구(521)가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제2 체결구(521)의 횡방향 중심선은 상기 제1 레버(510)의 제1 체결구(511)와 마찬가지로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과 일치한다. 상기 제2 체결구(521)는 요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레버(520)에는 상기 커버부(40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3 관통공(524)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레버(520)는 상기 커버부(400)와의 결합을 위한 제1 스페이서(531), 스페이서 클립(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0)의 하단부에 중앙커버부(410)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리브(rib)(530b)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0)은 상기 리브(530b)가 중앙커버부(410)의 슬롯(slot, 413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브(530b)가 중앙커버부(410)의 슬롯(413a)에 결합되면, 탄성 걸림쇠(530a)가 슬롯(413a)의 끝단부에 걸림으로써, 스페이서 클립(530)이 후방으로 움직임을 구속하여 결합을 강화한다.
도 4, 도 5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520)의 제3 관통공(524)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스페이서(530)가 마련되고, 상기 스페이서(530)와 제2 레버(520)사이에 스페이서 클립(531)이 마련된다. 스페이서(530)는 상기 제2레버(520)와 상기 커버부(400) 사이의 힌지 결합구조를 강화함과 동시에 상기 제2레버(520)를 좀 더 가압하여 와이퍼 스트립(600)의 유리면(30a)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1)은 횡방향 단면이 아치형이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스페이서(530)를 감싸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1)의 하단부에 중앙커버부(410)의 길이방향으로 외측에 리브(rib)(531a)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1)은 상기 리브(531a)가 중앙커버부(410)의 슬롯(slot)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클립(531)은 중앙커버부(410)가 상기 제2레버(520)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530)와 상기 스페이서 클립(531)은 일체로 움직이며, 이로써 상기 제2레버(520)의 회동이 원활해진다. 수지재인 스페이서 클립(531)은 금속재인 제2 레버(520)와 제1 스페이서(530)와의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하고, 제2 레버(520)에 대한 제1 스페이서(530)의 가압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스페이서(532)는 제1레버(510) 제2레버(520)가 힌지 결합하는 부위에도 삽입되어, 제2 레버(520)와 제1 레버(510)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관통공(524)과 상기 제1 레버(510)의 선단측 제1 체결구(511)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선단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레버(520)의 회동축은 제1 레버(510)의 선단측 제1 체결구(51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선단으로부터 제3 관통공(524)이 제1 체결구(511)보다 가까우면, 제2 체결구(521)에 과도한 하중이 분포되고, 제1 체결구(511)에는 상대적으로 하중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체결구(511)가 유리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지 못하게 되어 제1 체결구(511)의 와이핑 성능이 저하된다. 반대로, 선단으로부터 제1 체결구(511)가 더 가까우면, 제2 체결구(521)에 충분한 하중이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제2 체결구(521)의 와이핑 성능이 저하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자동차의 유리면의 곡률에 따라 제1 레버(510)의 길이방향 길이, 즉 제1 체결구(511) 사이의 거리는 조정될 수 있다.
이 때, 제1 레버(510)의 복수의 체결구(511)와 제2 레버의 체결구(521)는 등간격으로 와이퍼 스트립(60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레버(520)의 체결구(521)에 인가되는 가압력은 제1 레버(510)의 체결구(511)에 인가되는 가압력의 보다 커서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와이핑에 있어서 와이퍼의 부상 및 채터링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와이핑이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레버 조립체(500)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퍼 암으로부터의 가압력을 상기 레버 조립체(500)에 분배하여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유리면(30a)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400)는 중앙커버부(410)와 두 개의 사이드커버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410, 420)는 본 발명의 핀부(finned section)(415, 425)를 포함하며, 중앙커버부(410)에 형성된 핀부인 중앙핀부(415)의 상측선단인 중앙핀부 상측선단(411)과 사이드커버부(420)에 형성된 사이드핀부(425)의 상측선단인 사이드핀부 상측선단(421)은 상기 커버부(400)의 핀부(415, 425)의 상측선단을 구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중앙커버부(410)의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중앙커버부(410)와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각각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중앙커버부(410)와 사이드커버부(420)는 결합되어 커버부(400)를 구성하고, 커버부(400)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커버부(400)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레버 조립체(500)의 길이방향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40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과 함께 일체적 외관을 제공한다.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제2 레버(520)의 일부분인 단면인 제1 연결홈(525), 선단방향 암부(523b), 제2 연결홈(526)를 포함한 제2 레버(520) 전체의 단면은 하부공간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자동차 유리면을 와이핑할 때, 와이핑 방향이 바뀜에 따라 와이퍼 블렐이드(10)에 전달되는 비틀림 모멘트에 대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내구성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의 정면도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연결홀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도 2a, 도 2b, 도 4, 도 5,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중앙커버부(410)는 상기 와이퍼 암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더부(412), 한 쌍의 제1 레버 커버부(413), 한 쌍의 중앙핀부(415)를 포함하며, 한 쌍의 중앙핀부(415)에는 각각 중앙핀부 상측선단(4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홀더부(412)는 중앙커버부(41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하부에 레버 조립체(500)을 수용하지 않으며, 와이퍼 암(20)과의 결합을 위한 개구부(412a) 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댑터부(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는 상기 제1 레버(510)의 전체를 커버하도록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중앙커버부(410)는 와이퍼 암 측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레버 조립체(500)에 외력을 인가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와이퍼 스트립(600)을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시킨다.
도 5, 도 8a,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홀더부(412)는 내부에 금속재의 레버를 수용하지 않아, 형상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즉, 연결홀더부(412)에는 핀부의 형성이 유리하다. 즉, 연결홀더부(412)의 외측 형상도 차량의 주행시 주행풍에 따른 가압력을 와이퍼 블레이드(10) 전체로 효율적으로 분배되도록 연결홀더부 핀부(415a)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상기 커버부(400)의 선단부로 공기의 흐름을 분산시켜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부상을 방지한다.
도 7d, 도 7e, 및 도 7f를 참조하면, 중앙커버부(410)의 단면에는 내측 각 꼭지점 부분에 피육부(416)가 설치된다. 이로써, 중앙커버부(410)는 뒤틀림 모멘트에 대한 저항력 증가 및 강성이 증가한다. 내측 구조물의 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커버부(410)의 내측에 리브(417)가 마련된다.
상기 리브(417)는 중앙 커버부(4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중앙 커버부(410)에 수용되는 제1 레버(510)와의 유격을 줄여 제1 레버(510)의 측면 움직임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와이핑을 가능하게 한다.
도 8a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홀더부(412)는 평행한 측벽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횡방향 중심은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과 일치한다.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차량 전방측 외측은 하단부에 연결홀더부 핀부(41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의 상측선단은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하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커버부(400)의 상측선단인 중앙핀부 상측선단(411)과 만나는 곡선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중앙커버부(410)에 형성된 중앙핀부(415)는 제1 레버 커버부(413)와 연결홀더부(412)에 일체로 형성되는 핀부를 형성하여, 주행풍에 의한 가압력을 커버부(400)의 전체로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다.
차량의 전방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내측에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어댑터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개구부(412a)는 모서리의 형상이 곡률을 가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홀더부(412)의 개구부(412a)에 집중되는 응력을 중앙커버부(410)의 제1 레버 커버부(413)로 전달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홀더부(412)는 연결클립(412b)을 통해 와이퍼 암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클립(412b)은 상기 연결홀더부(412)와 커넥터(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클립(412b)은 종래의 소재보다 질김성이 강하고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형성된다. 연결클립(412b)이 질김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와이퍼 암과 연결클립(412b)의 마찰로 인한 연결클립(412b)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연결클립(412b)은 와이핑 동작시에 비틀림에 의한 응력과 모멘트가 가장 많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연결클립(412b)의 소재를 질김성이 강하고 플렉서블한 소재로 함으로써, 연결홀더부에 인가되는 비틀림 모멘트 및 응력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 있다. 연결클립(412b)은 상기 커버부(400)보다 플렉서블하여 연결홀더부(412) 내측으로 삽입하여도 연결홀더부(412)의 돌출이 없다. 따라서, 외관에 영향이 없어 상기 핀부(415, 425)의 형상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연결클립(412b)은 커버부(400)가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커버부(400)의 강성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 도 5, 도 7e, 도 7f, 도 8a, 도 8b 및 도 8c를 참조하면, 제1 레버 커버부(413)는 중앙커버부(410) 양단에 위치하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는 하부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그 개방부는 상기 제1 레버(5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U자형태로 형성된다. 제2 레버(520)의 중심방향 암부(523a)는 제1 레버(510)의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는 상기 제2 레버(520)의 중심방향 암부(523a)를 수용한다. 상기 중앙커버부(410)의 중앙핀부(415)는 연결홀더부에 형성된 연결홀더부 핀부(415a)와 제1 레버 커버부(413)에 형성된 제1 레버 커버부 핀부(415b)를 포함한다. 연결홀더부 핀부(415a)와 제1 레버 커버부 핀부(415b)는 중앙핀부(415)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연결홀더부(412)에 형성되어,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주행풍을 좌우로 분산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상기 연결홀더부(412)의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 선단부로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레버 커버부 핀부(415b)는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에 형성되어 주행풍을 좌우 또는 상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는 중앙핀부(415)가 일체로 형성된다. 주행 차량으로 가해지는 주행풍을 받음으로써 유리면(30a)에 대하여 와이퍼 스트립(60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발생시키는 중앙핀부(415)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도 4, 도 5, 도 6,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상기 제2 레버(5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하부측에 개방부를 가지며, 그 개방부는 상기 제2 레버(5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U자형태로 형성된다. 도 7a,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핀부(425)의 상측 선단인 사이드핀부 상측선단(421)은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으로부터 그 횡방향 중심선 L1의 횡방향 일측에 소정거리를 두고 오프셋 된 형상이다.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상기 제1 레버 커버부(413)의 핀부(415b)로부터 연장되는 사이드핀부(425)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상기 제2 레버(520)의 선단방향 암부(523b)를 수용한다.
사이드핀부(425)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 되어 있는 사이드핀부 상측선단(421)로부터 와이퍼 스트립(600) 방향으로 오목지도록 형성된다. 사이드커버부(420)는 내측하부에 제2 레버(5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이드커버부(420)의 내측하부는 제2 레버(5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져야 한다. 사이드핀부 상측선단(421)이 차량 후방측에 형성되면, 사이드커버부(420)의 내측하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깊이가 얕아져서 제2 레버(420)가 완전히 수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레버(420)를 완전히 수용하여 제2 레버(42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와이핑을 가능하도록 사이드핀부 상측선단(421)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의 중심선 L1으로부터 차량 전방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또한,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핀부(425)의 오프셋 d는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의 선단측으로 가면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주행풍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상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부상 및 채터링이 방지된다.
즉, 차량의 주행시 주행풍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핀부(415, 425)를 따라 커버부(400)의 좌우 및 상부로 흐르게 된다. 이로써 상기 핀부(415, 425)의 상측선단(411, 421)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횡방향 중심선 L1으로부터 차량 전방측으로 오프셋되어 핀부(415, 425)의 횡방향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음에도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양호한 와이핑 성능을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는 상기 제2 레버(52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돌기(4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레버(520)는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의 지지돌기(422)에 의해 제2 체결구(521)의 상부가 지지된다. 상기 지지돌기(422)는 상기 제2 레버(520)의 상기 제2 체결구(521)가 상기 사이드커버부(420)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2 레버(520)의 모멘트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2 레버(520)를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와 일체가 되도록 결합시키며, 상기 제2 레버(520)가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결합돌기(423), 제2 결합돌기(424)를 포함한다.
도 4, 도 5, 도 7a, 도 7b 및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핀부(425)는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의 상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425)는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의 상부면의 형상의 변화에 의하여 구현된다. 상기 핀부(425)는 와이핑 동작시 자동차 유리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를 자동차 유리(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돌기(423)는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레버(52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레버(520)의 제1 연결홈(525)은 상기 형성된 공간에 결합 수용될 수 있도록 레버의 하단이 외측으로 휘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결홈(525)은 제1 결합돌기(423)에 의하여 걸림되어 상기 제2 레버(520)가 상기 사이드커버부(4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레버(520)의 선단방향 암부(523b)의 횡방향 폭은 상기 제2 연결홈(526)의 횡방향 폭보다 넓다. 즉, 사이드커버부(420)의 상기 제2 결합돌기(424)는 상기 제2 레버(520)에 제2 연결홈(526)를 횡방향으로 가압하여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커버부(420)으로부터 상기 제2 레버(5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어댑터부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부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부(200)는 중앙부(212)와 한 쌍의 선단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212)에는, 상기 중앙부(212)의 중앙에 형성되며,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는 끼움홈(222), 커넥터(미도시)의 하단부와 만나는 제1 수용부(223), 제2 수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부(200)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2)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42)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핀부(415)의 일부인 연결홀더부 핀부(415a)가 연결홀더부(412)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242)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오목부(242)의 형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부(200)는 그 하면이 상기 오목부(242)에 맞게 형성된다.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더부(412)는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 선단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415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제1레버 커버부(413)에 형성되는 제1레버 커버부 핀부(415b)와 함께 중앙커버부(410)의 중앙 핀부(415)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차량 주행시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인가되는 주행풍의 압력을 좌우로 흐르도록 하여 가압력을 전체 와이퍼 블레이드(10)에 분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부는(200)는 핀부(415a)를 구비한 연결홀더부(412)에 형성된다. 또한, 어댑터부(200)는 상기 커버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소재도 커버부(400)와 동일한 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성확보를 위하여 어댑터부(200)의 하부는 개방형이 아닌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어댑터부(200)의 횡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부(212)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횡방향 중심을 대응축으로 하여 마주보며 수직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부(212) 한 쌍의 판상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중앙부(212)의 양 끝단에는 커넥터(미도시)의 하단부와 만나는 제1 수용부(223), 제2 수용부(224)가 형성된다. 중앙부(212)의 중앙에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홈(222)이 형성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212)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횡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끼움홈(222), 제1 수용부(223), 제2 수용부(224)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횡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22)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중앙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선단부(232)는 상기 어댑터부(200)의 양단에 형성되며, 중앙부(212)의 제1 수용부(223), 제2 수용부(224)와 각각 접한다. 선단부(232)는 연결홀더부(412)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어댑터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부(201)는 상기 커버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는 끼움홈(220)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201)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0)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40)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핀부(415)의 일부인 연결홀더부 핀부(415a)가 연결홀더부(412)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240)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오목부(240)의 형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댑터부(201)는 그 하면이 상기 오목부(240)에 꼭 맞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더부(412)는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 선단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415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제1레버 커버부(413)에 형성되는 제1레버 커버부 핀부(415b)와 함께 중앙커버부(410)의 중앙 핀부(415)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차량 주행시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인가되는 주행풍의 압력을 좌우로 흐르도록 하여 가압력을 전체 와이퍼 블레이드(10)에 분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부는(201)는 핀부(415a)를 구비한 연결홀더부(412)에 형성된다. 또한, 어댑터부(201)는 상기 커버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소재도 커버부(400)와 동일한 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성확보를 위하여 어댑터부(201)의 하부는 개방형이 아닌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부는(201)는 상기 커버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부(201)는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강성을 높인다. 상기 어댑터부(201)의 일단은 경사를 이루는 상기 오목부(240)의 일단(230)과 만나며, 상기 어댑터부(201)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400)의 상면과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어댑터부(201)의 타단은 상기 커버부(400)와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어댑터부(201)의 양단부 모두가 상기 오목부(240)의 양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만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어댑터부(201)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22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횡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홈(22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방향 중앙부근에 원형홈 형태로 형성된다. 어댑터부(201)는 상기 끼움홈(220)에 커넥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9)은 어댑터부(201)의 상부에서 끼움홈(220)으로 갈수록 횡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은 용이하도록 하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오목부(240)의 양단부는 연결홀더부(412)로부터 중앙으로 갈수록 아랫방향 경사가 형성되며, 경사는 직선이거나 곡선일 수 있다. 상기 양단부(230)중에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미도시)의 덮개부분이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오목부(240)의 일단부(230)의 경사를 따라 상기 커넥터(미도시)의 덮개부분이 가이드 되며 전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미도시)의 형상에 따라 어댑터부(200)는 양측의 선단부 모두가 상기 커버부(400)의 상면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어댑터부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부(202)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1)에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부(202)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1)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41)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핀부(415)의 일부인 연결홀더부 핀부(415a)가 연결홀더부(412)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241)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오목부(241)의 형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부(202)는 그 하면이 상기 오목부(241)에 맞게 형성된다.
어댑터부(202)는 상기 커버부(40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소재도 커버부(400)와 동일한 수지재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성확보를 위하여 어댑터부(202)의 하부는 개방형이 아닌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부(202)의 상부측은 와이퍼 스트립(600)의 횡방향 중심선 L1을 대응축으로 하여 마주보며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돌출되는 2쌍의 연결돌기(211)와 한 쌍의 끼움홈(22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어댑터부(202)는 한 쌍의 연결돌기(211), 끼움홈(221), 선단부(231)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돌기(211)는 커넥터(미도시)의 바닥으로부터 수용되어 어댑터부(202)에 커넥터(미도시)를 장착시킨다. 끼움홈(221)은 커넥터(미도시)와 결합하여 와이퍼 암(20)이 힌지시킬 수 있는 부분이다. 선단부(231)는 연결홀더부(412)로부터 일정하게 연결홀더부의 양 선단측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부(202)는 핀부를 구비하는 커버부(40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핀부를 구비하는 중앙커버부(410)에 형성될 수 있다.
어댑터부의 제4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
도 13a는 어댑터부(203)가 와이퍼 블레이드(10)에 탈부착이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어댑터부(203)이 부착된 사시도이다.
도 13c는 상기 탈부착이 가능한 어댑터부(203)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상기 어댑터부(203)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어댑터부(200)와 동일한 끼움홈(225), 제1 수용부(233), 제2 수용부(23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는 탈부착 가능한 어댑터부(203)와 결합하기 위하여 연결홀더부의 상측면에 안착부(205)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205)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5)에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부(203)는 커버부(400) 연결홀더부(412)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오목부(245)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45)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핀부(415)의 일부인 연결홀더부 핀부(415a)가 연결홀더부(412)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오목부(245)는 상기 와이퍼 스트립(600)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오목부(245)의 형태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U자 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더부(412)는 하부측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 선단방향으로 연장되는 핀부(415a)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제1레버 커버부(413)에 형성되는 제1레버 커버부 핀부(415b)와 함께 중앙커버부(410)의 중앙 핀부(415)를 형성한다. 상기 연결홀더부 핀부(415a)는 차량 주행시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인가되는 주행풍의 압력을 좌우로 흐르도록 하여 가압력을 전체 와이퍼 블레이드(10)에 분산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부(203)는 핀부(415a)를 구비한 연결홀더부(412)에 형성된다.
어댑터 안착부(205)의 일측에는 상기 어댑터부(203)와의 결합 및 탈착을 위한 안착부 걸림돌기(206)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205)는 어댑터부(203)와의 결합을 위하여 양 사이드에 요철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어댑터부(203)도 요철구조를 가지고 있어 서로 맞물린다. 즉, 상기 어댑터부(203)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안착부(205)와 결합하기 위한 요철부(216)와 어댑터부 걸림쇠(217)를 더 포함하고 있다. 어댑터부(203)의 요철부(216)와 상기 안착판(205)의 요철구조가 맞물린 후, 어댑터부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어댑터부 걸림쇠(217)가 안착부 걸림돌기(206)에 의해 전후방 움직임이 구속된다.
어댑터부(203)의 탈착시는 상기 어댑터부 걸림쇠(217)를 들어올리면 안착부 걸림돌기(206)으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어댑터부(203)를 후방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 후 상측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탈부착이 가능한 어댑터부(203)는 요철부(216)의 형상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안착판(205)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측면은 커넥터(미도시)와의 결합에 따라 형상이 바뀔 수 있다. 와이퍼 암(20)에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미도시)의 형태가 달라지고, 커넥터(미도시)마다 결합 가능한 어댑터 형상이 다르다. 따라서, 탈부착이 가능한 어댑터부(203)는 하나의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와이퍼 암(20)의 형태에 따라, 어댑터부와 커넥터를 고를 수 있다.
이처럼, 어댑터부(203)가 탈부착 가능함으로써, 하나의 와이퍼 블레이드(10)에서 다양한 와이퍼 암(20)과 결합 가능하다.
다음으로,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연결이 가능한 와이퍼 암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와이퍼 암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각각 커넥터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덮개부 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 커넥터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차체의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퍼 암(2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와이퍼 블레이드에 커넥터(300)가 장착되어 상기 커넥터에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와이퍼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부(200)는 상기 연결홀더부(412) 내측에 장치되어 후술할 커넥터와 함께 여러 형태의 구동암과의 조립을 가능하게 한다.
커넥터
제1 실시예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는 어댑터부(200)에 장착되는 커넥터(300)에 대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0)는 하부측에 상기 어댑터부(200)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부측은 개방되어 있다. 도 14a, 도 14b, 도 14c 및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0)는 몸체부(320)와 덮개부(310)를 포함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320)는 상기 어댑터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끼움쇠(350)를 포함하고, 도 9a에 도시된 커넥터(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0)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되거나, 또는 도 9b에 도시된 상기 커넥터(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결합부(330) 및 제2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20)의 하부 면에는 어댑터부(200)의 중앙부(212)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슬릿홈(354)을 포함한다. 도 10a와 도 14d를 참조하면, 슬릿홈(354)에 어댑터부(200)의 중앙부(212)가 수용되면 한 쌍의 슬릿홈(354)은 중앙부(212)와 네 면에서 만나게 된다. 따라서, 슬릿홈(354)과 중앙부(212)는 네 면에서 습동하게 된다. 습동면적이 넓어지고 커넥터(300)의 하부 공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와이핑 동작시의 유격을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인 와이핑이 가능해진다.
도 15a 및 도 15b는 여러 형태의 와이퍼 암과 결합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형태를 나타낸다.
도 14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10)의 내측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365)와 몸체부(320)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홈(3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돌기(365)는 몸체부(320)에 마련된 결합홈(364)에 끼워져 상기 덮개부(310)의 전후방 움직임을 안내한다. 커넥터(300)에 와이퍼 암을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덮개부(310)는 결합홈(364)에 의해 안내되는 수평방향의 직선움직임이 필요하다. 따라서, 와이핑 시에 와이퍼 암의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덮개부(310)가 열리지 않게 되므로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10)는 몸체부(32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310)의 분실 가능성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365)는 덮개부(310)의 회전시에는 회전축이 된다.
상기 몸체부(320)에는 상기 덮개부(310)의 전후방을 안내하는 안내부(361), 상기 덮개부(310)의 결합돌기(365)가 결합되는 결합홈(364), 덮개부(310)의 걸림홈(363)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성걸림편(3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커넥터(300)의 하부내측에는 상기 어댑터부(200)의 끼움홈(222)에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300)를 상기 어댑터부(200)에 장착시키는 끼움쇠(350)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200)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222)은 상기 커넥터(300)의 끼움쇠(350)를 탄성적으로 수용하여 상기 커넥터(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결합부(330)는 커넥터(30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과 결합하기 위하여 커넥터(3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안내하는 제1 결합부(330)에 형성된 슬롯 홈과 상기 커넥터(3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롯 홈을 따라 안내된 상기 와이퍼 암의 걸림돌기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지지되는 슬라이딩 부를 포함한다.
제2 결합부(340)는 커넥터(300)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0)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의 걸림돌기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덮개부(310)는 몸체부(320)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310)는 와이퍼 암의 선단의 일부를 위에서 덮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후방 및 상측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2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하단부(352)는 상기 어댑터부(200)의 제1 수용부(223)에 맞물리며, 몸체부(320)의 후단 하부측에 형성되는 제2 하단부(353)는 상기 어댑터부(200)의 제2 수용부(224)에 맞물릴 수 있다. 덮개부(310)는 몸체부(320)의 일부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4a 내지 도 14d를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300)와 어댑터부(200)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상기 어댑터부(200)에 상기 커넥터(300)가 장착된 형태를 나타내며, 도 17b는 덮개부(310)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어댑터부(200)의 상측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어댑터 중앙부(212)의 끼움홈(222)에 수용되는 끼움쇠(350)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 중앙부(212)의 끼움홈(222)은 상기 끼움쇠(350)를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30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00)의 하단부에는 상기 헤드부의 덮개(31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는 안내부(3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361)는 커넥터(300)의 선단측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300)에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커넥터(300)의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330) 또는 제2 결합부(340)에 와이퍼 암이 결합 지지되면, 안내부(361)를 따라 커넥터(300)의 덮개부(310)가 커넥터(300)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커넥터(300)의 몸체부(320)의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탄성걸림편(362)이 덮개부(310)의 사이드에 형성된 걸림홈(363)에 돌출되어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와이퍼 암은 전후방 및 상측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탄성걸림편(362)와 걸림홈(363)은 커넥터(300)의 양측면에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한 쪽 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서 상기 와이퍼 암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a 내지 도 14d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10)의 걸림홈(363)에 돌출되어 있는 탄성걸림편(362)이 좌우에서 눌려 상기 걸림홈(363)로부터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커넥터 덮개부(310)는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커넥터(30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며, 안내부(361)의 끝까지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덮개부(310)는 커넥터(300)의 진행방향 하측으로 90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00)의 덮개부(310)가 상기 덮개부(310)에 형성된 결합돌기(365)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와이퍼 암은 제1 결합부(330) 또는 제2결합부(3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덮개부(310)가 와이퍼 암을 구속 또는 해제시킬 때, 전방측 직선으로 움직인 후에 회전을 하기 때문에, 덮개부(310)가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경우보다 공간활용이 우수하다. 즉, 개구부가 커지기 때문에, 와이퍼 암을 커넥터(300)에 장착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00)는 덮개부(310)가 직선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커넥터보다 필요공간이 줄어들어, 커넥터(300)가 결합되는 어댑터부(200)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또한, 어댑터부(200)가 형성되는 오목부(242)의 길이도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10)에서 오목부(242)가 차지하는 공간이 줄게되어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강성확보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내부(361)는 와이핑 시에 와이퍼 암에 의한 회전 모멘트에 의하여 덮개부(31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와이퍼 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넥터(300)의 끼움쇠(350)가 어댑터부(200)의 끼움홈(222)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300)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어댑터부(200)에 끼움쇠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다음으로 커넥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16a 내지 도 16d는 어댑터부(201)에 장착되는 커넥터(301)에 대한 도면이다. 도 16c 및 도 16d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1)는 하부측에 상기 어댑터부(201)와 결합하기 위하여 하부측은 개방되어 있다.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1)는 몸체부(321)와 덮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321)는 커넥터(301)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1)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되는 제2 결합부(341), 상기 커넥터(301)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결합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쇠(351)는 도 11a에 도시된 어댑터부(201)의 끼움홈(220)에 수용된다.
덮개부(311)는 상기 오목부(240)의 선단부(23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6d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01)의 하부측은 상기 어댑터부(201)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 형태이다. 커넥터(301)의 하부내측에는 상기 어댑터부(201)의 끼움홈(220)에 수용되어 상기 커넥터(301)를 상기 어댑터부(201)에 장착시키는 끼움쇠(351)를 포함한다.
제1 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듯이 도 15a 및 도 15b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결합부(331)는 커넥터(301)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결합부(341)는 커넥터(301)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1)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311)는 오목부(240)의 일단부(230)에 맞물리도록 선단이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부(311)는 몸체부(321)의 일부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311)는 와이퍼 암의 선단의 일부를 위에서 덮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후방 및 상측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a는 상기 어댑터부(201)에 커넥터(301)가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18b는 덮개부(311)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1a, 도 11b, 도 16a 내지 도 16d,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301)와 어댑터부(201)의 결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및 도 16a 내지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301)는 상기 어댑터부(201)의 상측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301)의 끼움쇠(351)는 가이드 홈(219)에 의해 안내되어 끼움홈(220)에 끼워진다. 가이드 홈(219)는 어댑터부(201)의 상부에서 끼움홈(220)으로 갈수록 횡방향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넥터(301)의 끼움홈(351)의 결합은 용이하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커넥터(301)는 상기 어댑터부(201)의 끼움홈(220)에 수용되는 끼움쇠(351)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부(201)의 끼움홈(220)에 끼워진 상기 끼움쇠(351)는 상기 어댑터부(201)를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30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커넥터(301)가 어댑터부(2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이 커넥터(301)에 결합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어댑터부(201)에 커넥터(301)가 장착되고, 상기 커넥터(301)에 와이퍼 암이 결합된다.
상기 몸체부(321)는 상기 커넥터(301)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결합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 암(ca)는 커넥터(301)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돌기가 있으며 이는 상기 커넥터(301)의 제1 결합부(331)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유도되며, 이는 상기 커넥터(301)의 하단에서 상기 커넥터(301)의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후방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301)의 덮개부(311)에 의해 전방측 움직임이 제어된다.
그리고, 커넥터(301)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1)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되는 제2 결합부(3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301)는 상기 와이퍼 암(ta)과 결합을 위한 제2 결합부(341)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암의 결합돌기는 상기 커넥터(301)의 제2 결합부(341)에 끼워져 후방 지지된다. 상기 덮개부(311)는 상기 와이퍼 암(20)의 선단을 상부에서 덮는 방식으로 커버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311)에 의하여 와이퍼 암(ta)의 회전과 전방측 움직임이 제어된다.
상기 커넥터의 덮개부(311)는 하단부가 상기 오목부(240)의 일단부(230)와 접하게 형성된다.
커넥터(301)에 와이퍼 암(2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커넥터(301)의 사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결합부(331) 또는 제2 결합부(331)에 와이퍼 암(20)이 결합 지지되면, 상기 덮개부(311)는 도 11a에 도시된 상기 오목부(240)의 일단부(230)를 따라 전후방으로 움직여 상기 와이퍼 암의 선단을 구속한다. 이로써, 상기 와이퍼 암은 전방 및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서 상기 와이퍼 암(20)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a, 도 11b,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11)는 오목부(240)의 일단부(23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301)의 덮개부(311)가 오목부(240)의 일단부(230)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와이퍼 암은 제1 결합부(331) 또는 제2 결합부(34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커넥터(301)의 끼움쇠(351)가 어댑터부(201)의 끼움홈(220)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301)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어댑터부(201)에 끼움쇠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와이퍼 블레이드
30 : 차량 유리, 30a : 유리면
200, 201, 202, 203: 어댑터부
205 : 안착부
206 : 안착부 걸림돌기
211 : 연결돌기
212 : 중앙부
216 : 요철부
217 : 어댑터부 걸림쇠
219 : 가이드 홈
220, 221, 222, 225 : 끼움홈
223, 233 : 제1 수용부
224, 234 : 제2 수용부
230 : 오목부의 단부
231, 232 : 어댑터부의 선단부
240, 241, 242, 245 : 오목부
300, 301 : 커넥터
310, 311 : 덮개부
320, 321 : 몸체부
330, 331 : 제1 결합부
340, 341 : 제2 결합부
350, 351 : 끼움쇠
352 : 제1 하단부
353 : 제2 하단부
354 : 슬롯홈
361 : 안내부
362 : 탄성걸림편
363 : 걸림홈
364 : 결합홈
365 : 결합돌기
400 : 커버부
410 : 중앙커버부
411 : 중앙핀부 상측선단
412 : 연결홀더부
412a : 개구부
412b : 연결클립
413 : 제1 레버 커버부
413a : 내측홈
415 : 중앙핀부
415a : 연결홀더부 핀부
415b : 제1 레버 커버부 핀부
417 : 리브
420 : 사이드커버부
421 : 사이드핀부 상측 선단
422 : 지지돌기
423 : 제1 결합돌기
424 : 제2 결합돌기
425 : 사이드핀부
500 : 레버 조립체
510 : 제1 레버
511 : 제1 체결구
512 : 제1 관통공
513 : 암부
520 : 제2 레버
521 : 제2 체결구
522 : 제2 관통공
523 : 암부
523a : 중심방향 암부
523b : 선단방향 암부
524 : 제3 관통공
525 : 제1 연결홈
526 : 제2 연결홈
530 : 스페이서 클립
530a : 탄성 걸림쇠
530b :스페이서 리브
531 : 제1 스페이서
532 : 제2 스페이서
551 : 제1 연결핀
552 : 제2 연결핀
600 : 와이퍼 스트립
610 : 베이스부
611 : 돌기부
620 : 립부
630 : 배킹 플레이트 수용홈
640 : 유지부
641 : 슬로프
642 : 결합부
700 : 배킹 플레이트

Claims (6)

  1. 와이퍼 암을 와이퍼 블레이드(10)에 연결시키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300, 301)에 있어서,
    양측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330, 331, 340, 341)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퍼 암의 걸림돌기를 수용하여 결합하는 몸체부(320, 321); 및
    상기 몸체부(320, 321)에 결합되는 상기 와이퍼 암의 전후방 또는 상하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덮개부(310, 311)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310)는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6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320, 321)는,
    하부 면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중앙부에 형성된 끼움홈(222, 220)에 끼움결합하는 끼움쇠(350, 351),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363)과 결합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탄성걸림편(362), 및 상기 덮개부(310)의 직선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부(361)를 더 포함하는,
    차랑용 와이퍼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20)는 측면에 결합홈(364)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10)의 내측에 마련된 한 쌍의 결합돌기(365)는 상기 결합홈(364)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310)의 전후방 움직임을 안내하고 회전움직임의 회전축이 되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20)는,
    하부 면에 와이퍼 한 쌍의 슬릿홈(354)을 포함하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2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덮개부(310, 311) 측으로 연장되는 탭이 형성된 와이퍼 암(ta)이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부(32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촉되는 캡을 구비한 와이퍼 암(ca)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20110116273A 2011-11-09 2011-11-09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35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3A KR101350276B1 (ko) 2011-11-09 2011-11-09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JP2012244627A JP5669806B2 (ja) 2011-11-09 2012-11-06 車両用ワイパーコネクタ
DE102012110738A DE102012110738A1 (de) 2011-11-09 2012-11-09 Wischerverbinder für Fahrzeug
CN201210448357.7A CN103101516B (zh) 2011-11-09 2012-11-09 车辆用雨刮连接器
US13/673,552 US20130305475A1 (en) 2011-11-09 2012-11-09 Wiper connecto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6273A KR101350276B1 (ko) 2011-11-09 2011-11-09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113A KR20130051113A (ko) 2013-05-20
KR101350276B1 true KR101350276B1 (ko) 2014-01-13

Family

ID=4814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273A KR101350276B1 (ko) 2011-11-09 2011-11-09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305475A1 (ko)
JP (1) JP5669806B2 (ko)
KR (1) KR101350276B1 (ko)
CN (1) CN103101516B (ko)
DE (1) DE102012110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US9174611B2 (en) 2011-07-28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O2013126907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10723322B2 (en) 2012-02-24 2020-07-28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1474838B1 (ko) *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FR3015397B1 (fr) * 2013-12-20 2017-03-31 Valeo Systemes Dessuyage Moyen de support pour un systeme d'essuyage d'une vitre d'un vehicule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KR101675892B1 (ko) * 2014-12-22 2016-11-14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1584313B1 (ko) * 2015-05-08 2016-01-11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CN105172752A (zh) * 2015-09-17 2015-12-23 丹阳镇威汽配有限公司 雨刮臂连接装置及其连接方法
EP3368383B1 (en) 2015-10-26 2021-08-0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DE102015225889A1 (de) 2015-12-18 2017-06-22 Robert Bosch Gmbh Wischervorrichtung
WO2017201458A1 (en) 2016-05-19 2017-11-23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9311450A (zh) 2016-05-19 2019-02-05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CN109715449A (zh) 2016-05-19 2019-05-03 电缆塔制造有限公司 挡风玻璃雨刮器连接器
US10717414B2 (en) 2016-05-19 2020-07-21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blade
US11040705B2 (en) 2016-05-19 2021-06-22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FR3056511B1 (fr) * 2016-09-29 2022-01-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stitutif d'un systeme d'essuyage
FR3056512A1 (fr) * 2016-09-29 2018-03-30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stitutif d'un systeme d'essuyage
JP2021514325A (ja) 2018-02-19 2021-06-10 トリコ プロダクツ コーポレーション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アームアダプタ、結合器、およびアセンブリ
USD904275S1 (en) 2019-04-16 2020-12-08 Trico Products Corporation Adapter for windshield wiper arm
USD896156S1 (en) 2019-04-16 2020-09-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for windshield wiper
USD895523S1 (en) 2019-04-16 2020-09-08 Trico Products Corporation Coupler for windshield wiper
CN113820001B (zh) * 2021-10-12 2023-07-18 上海工程技术大学 用于测试雨刮和风窗摩擦振动噪声的实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69B1 (ko) * 2009-01-14 2009-10-06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KR200449008Y1 (ko) 2009-12-07 2010-06-09 동양기전 주식회사 조립성 향상 및 중량이 감소한 차량용 와이퍼
WO2011032760A1 (de) * 2009-09-15 2011-03-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anlenkung an einem wischerarm
KR20110112792A (ko) * 2010-09-10 2011-10-1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5861A1 (de) * 1999-07-30 2001-02-01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zwischen Umkehrlagen bewegbaren, zur Scheibe belasteten Wischerarm
DE19952054A1 (de) * 1999-10-28 2001-05-03 Bosch Gmbh Robert Wischvorrichtung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JP3898186B2 (ja) * 2003-02-14 2007-03-28 ケーシーダブリュー 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ワイパーブレード組立体
BR112012011686B1 (pt) * 2009-11-17 2020-02-04 Bosch Gmbh Robert adaptador para conectar um elemento conector em um braço limpador, com uma lâmina limpadora
DE102010064161A1 (de) * 2010-12-27 2012-06-28 Robert Bosch Gmbh Wischblattadapter, insbesondere für eine Kraftfahrzeugwischvorrichtung
US8806700B2 (en) * 2011-07-29 2014-08-19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per blade conn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169B1 (ko) * 2009-01-14 2009-10-06 주식회사 캐프 차량용 범용 와이퍼 장치
WO2011032760A1 (de) * 2009-09-15 2011-03-24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mit einer adaptereinheit zur anlenkung an einem wischerarm
KR200449008Y1 (ko) 2009-12-07 2010-06-09 동양기전 주식회사 조립성 향상 및 중량이 감소한 차량용 와이퍼
KR20110112792A (ko) * 2010-09-10 2011-10-13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1113A (ko) 2013-05-20
CN103101516A (zh) 2013-05-15
JP5669806B2 (ja) 2015-02-18
DE102012110738A1 (de) 2013-05-16
US20130305475A1 (en) 2013-11-21
JP2013100084A (ja) 2013-05-23
CN103101516B (zh)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0276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314726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20130051112A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35027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9174610B2 (en) Wiper blade and wiper for vehicle
US20130117957A1 (en) Windshield wiper
JP4293465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050819B1 (ko) 와이퍼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와이퍼 시스템
KR10132034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20160123910A (ko) 윈드쉴드 와이퍼 어셈블리
US9862356B2 (en) Wiper blade
KR20140002659A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EP3398821B1 (en) One-touch slide assembly type wiper blade
KR20130049034A (ko) 와이퍼 블레이드
JP201601110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JP4203069B2 (ja) ワイパブレード
KR20043883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JP4227052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5964700B2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