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532B1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Google Patents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2532B1 KR101342532B1 KR1020130117475A KR20130117475A KR101342532B1 KR 101342532 B1 KR101342532 B1 KR 101342532B1 KR 1020130117475 A KR1020130117475 A KR 1020130117475A KR 20130117475 A KR20130117475 A KR 20130117475A KR 101342532 B1 KR101342532 B1 KR 101342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sec
- seaweed
- mixtur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된 영양제를 통하여 김의 성장 및 착상을 촉진하고 친환경적인 산처리를 통해 병해 예방 및 잡태 제거에 효과적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된 영양제를 통하여 김의 성장 및 착상을 촉진하고 친환경적인 산처리를 통해 병해 예방 및 잡태 제거에 효과적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관한 것이다.
지금부터 300여년 전 광양만 태인도의 원시적인 김 양식을 시작으로 우리 나라의 김 양식은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다수확 품종 등의 기술 혁신, 관련선박 등의 현대화 및 고속화는 물론 가공기계의 자동화로 우리 나라의 김 양식은 획기적인 발전을 해오면서, 어촌 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국민건강식품으로 자리매김 해왔으나, 최근 들어 연작에 의한 어장 생산력 저하와 시설량 증가에 따른 밀식으로 품질이 저하되고 불건전한 산처리제 사용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김 양식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김 그물에 각 포자의 밀도를 적당히 채묘하는 것이 중요하며 육묘기, 유아기를 지나 채취할 수 있는 성엽기에 도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채묘, 육묘, 유아기의 관리가 가장 힘들어, 채묘 후 어린 김이 30mm정도 될 때까지의 성장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어린 싹들이 막 트고 나올 때 규조류나 각종 해적생물들의 부착으로 장애를 받아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김 양식 어민들은 이때부터 파래나 각종 이물질 제거를 위하여 산 처리제나 성장촉진 영양제 등을 약액처리조에 투입하고 김 망을 5~20초 동안 순간적으로 침적시키는 것을 수차례 실시함으로써 육묘 및 육아기를 성장시킨다.
그리고 성엽기에서는 최상품의 김을 제조하기 위한 파래 제거, 성장을 촉진시켜 많은 양의 물김을 생산하기 위한 산 처리제와 성장촉진 영양제 등의 계속적인 투입을 실시하게 된다.
다만, 기존의 산 처리제는 무기산을 사용하였는데, 이로 인해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문제가 수반되었으며 천연 식품인 김의 이미지를 훼손시키게 되어 김의 소비량이 감소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정부는 지난 1994년 산 처리제 성분, 공급절차, 적정사용기준 등을 규정한 '김 양식장 산 처리제 사용기준'을 고시하였고, 1995년에는 김 유기산 처리제 사용 어업인에게 정부지원을 실시하였으며, 2004년에는 유기산 처리제 중 무기산의 사용, 즉 염소, 황산, 질소 이온의 함량을 5.0 중량% 이하에서 9.5 중량% 이하로 상향 조정하여 고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유기산 처리제는 주로 작업 여건이 좋지 않은 시기인 겨울철에 사용되고, 특히 처리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비하고 산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어업인들이 그 사용을 기피하였으며, 결국 35 중량%의 염산을 그대로 사용하다가 적발되기도 하는 등 여전히 유기산 사용이 온전히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해수를 전기분해하는 장치에 의해 산성의 해수 전해수를 생성하여 김의 산 처리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연구개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해수 전해수는 김의 갯병균과 잡해조류를 사멸시키는 효과는 갖고 있으나 김의 생장에 필요한 영양염의 함량이 부족하여 사용시 김이 사멸하는 사세포율이 단시간에 복원되지 않아 그만큼 김의 성장이 더디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된 영양제를 통하여 김의 성장 및 착상을 촉진하고, 친환경적인 산처리를 통해 병해 예방 및 잡태 제거에 효과적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있어서,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설포닐메탄 20~30 중량%, 10 내지 38 중량% 농도의 염산 50~68 중량%, 코발트 2~4 중량% 및 수용성 아미노산 10~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염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 중량부가 천일염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아미노산은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타민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틴, 발린, 메틸오린, 이소루신, 루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50~80 중량부 또는 목초액 5~20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는, 메틸설포닐메탄이라는 유기산과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 등의 각 구성성분의 함량을 최적화함으로써 ①유기산 위주의 산 처리를 통해 갯 병균에 의한 병해를 예방하며, 인 성분이 함유되지 않아 바다의 부영양화 및 적조현상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라는 점, ②김 엽체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김의 착상 및 뿌리의 활착률을 향상시켜 김 생산의 양적 증대를 도모한다는 점, ③ 김의 색을 검고 윤택하도록 하며, 김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파래, 잡조, 규조 등의 이물질, 잡균 및 잡태 등을 제거하여 김 생산의 질적 증대를 도모한다는 점, ④ 상술한 김 생산의 양적/질적 증대를 통해 가격 경쟁력과 품질 향상을 모두 향상시킴으로써 어민의 소득을 증대시킨다는 점, ⑤염산의 일정량을 천일염으로 대체함으로써 무기산의 사용량을 줄여 친환경적이고 어민들의 비용부담을 완화시킨다는 점 등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희석 배율과 침지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김의 사세포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희석 배율과 침지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김의 광합성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희석 배율과 침지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김의 색차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희석 배율과 침지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김의 광합성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희석 배율과 침지처리시간을 달리하여 측정한 김의 색차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있어서,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구성 성분들의 함량비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설포닐메탄 20~30 중량%, 10 내지 38 중량% 농도의 염산 50~68 중량%, 코발트 2~4 중량% 및 수용성 아미노산 10~20 중량%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 MSM)"은 유기 황 화합물이다. 화학식으로 (CH3)2SO2로 나타낸다. 구조식은 하기의 화학식 1과 같다.
메틸설포닐메탄은 식이유황, 천연유기유황으로도 불리며, 미국 캘리포니아 해송에서 추출하며 소나무 니그린에서 만들어지는 천연물질인 천연 유기황 계열의 화합물의 일종이다. 소나무를 증류법으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불순물과 독성이 없는 유기황으로 미국 FDA 검증을 받아 영양, 의학, 식품업계, 화장품업계 등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메틸설포닐메탄은 김 엽체의 단백질과 효소의 생화학적 기능 향상에 기여하고, 엽록소 합성과 광합성을 향상시키며, 지질과 색소합성에 관여하고, 생장소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여 생육조절을 도우며, 기존의 무기산 처리제를 대체하여 항 미생물 독소 및 유인제로 사용되며 김 병해 예방 및 잡태 제거에 효과적이고, 또한 기존의 무기산 처리제와 달리 조해성이 강해 해수에서 빠르게 분해됨으로써 해저에 침적되거나 부유된 상태로 존재하지 않아 해수의 오염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이며, 무기양분의 흡수를 돕는 역할을 수행한다.
메틸설포닐메탄은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영양제 및 산 처리제의 효능을 발휘하기에 미비하고, 30 중량% 이상이면 영양제의 가격 상승으로 제품 단가가 상승하여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염산(HCl수용액)은 10~38 중량% 농도의 염화수소 수용액을 사용하며, 염산의 투입에 따라 발생되는 염화이온(Cl-)은 김 양식장의 산도를 증가시켜 산 처리를 통한 살균 작용을 수행한다. 중국속이 없는 식품 첨가용 염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에 따라 염산 투입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40 중량부를 천일염(NaCl)으로 대체하여 투입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천일염의 혼합투입을 통해 무기산인 염산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적정 염소 이온 농도를 유지하여 살균 작용을 보완할 수 있다.
염산은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50~68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50 중량% 미만이면 김 엽체의 살균 작용 및 병해 예방 작용이 미비하고, 68 중량%를 초과하면 무기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해수에서 부유 상태로 잔류하게 되어 해수 오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코발트(Cobalt)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Co이고 원자 번호는 27이다. 단단하고 강자성을 띤 은백색 원소이다. 자석이나 강도 높은 합금 제조에 사용된다. 화합물은 진한 색을 가지고 있어 잉크, 페인트, 니스에 첨가하는 안료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코발트는 유/무기산과 상호 작용하여 살균 및 살충 효과를 향상시키고, 천연 착색제로서 김 엽체의 바람직한 색상 발현을 유도하며, 미량 첨가되는 미네랄 원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코발트는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2~4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코발트 첨가에 의한 기능 발휘가 미비하고, 4 중량%를 초과하면 코발트 첨가량 대비 효과가 미비하여 비경제적이며 김의 노화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아미노산(Amino acid)은 김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필요한 필수 영양제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 따른 수용성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수용성 복합 아미노산 분말을 사용하며, 이는 단백질 케라친을 가수분해한 후 탈염 및 냉동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된 천연 단백질 아미노산 원이다.
상기 수용성 복합 아미노산 분말은 식물의 영양 결핍을 빠르게 개선하고 결실을 향상시키며, 성장을 촉진하고 병해를 예방하며 일조 부족 및 저온 병충해에 강한 저항력을 부여하고, 뿌리 발근 촉진, 수확량 증대, 면역성 강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수용성 복합 아미노산 분말에는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타민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틴, 발린, 메틸오린, 이소루신, 루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17종의 아미노산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면 그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
수용성 아미노산은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20 중량%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필수 영양제의 공급이 미비하게 되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어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혼합물에는 산화마그네슘 또는 목초액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50~80 중량부 또는 목초액 5~20 중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산화마그네슘은 김의 색상을 검게하고 김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의 50 중량부 미만이면, 효과가 미비하여 김의 맛과 향을 증대시키기 어려우며, 8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다른 미량원소의 흡수를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목초액은 산도를 증가시켜 살균작용을 수행하며 각종 미네랄 성분이 포함된 물질로, 그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산도의 증가 정도가 미비하게 되어 원하는 살균 작용을 얻을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품 단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이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물과 혼합 내지 희석하여 최종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이들의 혼합비를 별도로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0~50 부피배 또는 2~3 중량배의 물로 희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물의 양이 지나치게 소량이면 농도를 조절할 수 없어 제조 및 취급이 어려우며, 지나치게 과량이면 부피가 거쳐 작업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대한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가 양식중인 김의 엽상체에 미치는 영향, 부착 잡태에 대한 구제 효과 및 어장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내시험을 수행하여 이의 효능을 검증하였다.
시험기간은 2013년 2월 1일부터 동년 3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실험장소는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지죽리 소재의 김 양식장(현장실험장소 - 김 엽상체 채집장소)과 전남대학교 여수캠퍼스 수산해양대학 해조류 양식장 연구실(실내실험장소)을 통해 이루어졌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험의 대상이 되는 제품을 제작하였다.(이 제품을 이하 '시험제품'이라 한다.) 식이유향 분말 500g, 35 중량% 농도의 염산 1200g, 코발트 분말 50g, 수용성 복합 아미노산 분말 250g을 혼합하여 시험제품을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현장실험장소 김 양식장의 수질환경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디지털 수온계 YSI-professional를 이용하여 김 양식장의 수온, 염분, 용존산소 및 pH를 측정하였다. 이틀에 걸쳐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측정 일시 | 수온(℃) | 용존산소(mg/L) | 염분(psu) | pH |
2013.02.17 | 8.4 | 10.59 | 33.27 | 7.9 |
2013.03.06 | 8.6 | 11.10 | 33.15 | 7.8 |
이후 시험제품으로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증류수의 희석 배율을 20, 50, 60, 100배로 농도를 달리하였고, 침지처리시간을 10. 15, 20, 25초로 달리하였고 대조군으로서 무처리 김을 사용하였다. 이에 대해 하기의 표 2로 정리하였다.
실험 일시 | 실험 조건 | 대조군 |
|
희석배율(배) | 침지처리시간(초) | ||
2013.03.07 | 20,50,70,100 | 10,15,20,25 | 무처리 김 |
<사세포율 조사(김 엽체의 손상정도 조사)>
실험 조건별로 처리한 김 엽체를 4회 세척한 후 2시간 동안 통기 배양하였다. 그 후 엽체를 0.1% 에리트로신 용액으로 1분간 염색하고 해수로 4회 세척한 후 20개체 씩 건조 표본을 만들었으며, 개체별 면적에 대한 염색 부위의 면적비를 사세표율로 환산하였다.
실험에 대한 결과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희석 배율별 시험제품이 투입된 김 엽체의 사세포율은 20배 희석에서는 4.55~10.05%, 50배 희석에서는 4.80~9.50%, 70배 희석에서는 3.85~7.90%, 100배 희석에서는 3.10%~5.20으로 나타났다.
침지시간별 사세포율은 2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4.55%, 15초에서는 6.10%, 20초에서는 9.30%, 25초에서는 10.05%, 5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4.80%, 15초에서는 5.90%, 20초에서는 7.90%, 25초에서는 9.50%, 7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3.85%, 15초에서는 4.05%, 20초에서는7.50%, 25초에서는 7.90%, 10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3.10%, 15초에서는 4.00%, 20초에서는 4.55%, 25초에서는 5.20%로 나타났다.
시험제품이 투입된 김 엽체의 사세포율은 3.10~10.05%로, 대조군의 사세포율 3.00%보다 높았다. 또한, 시험제품이 투입된 김 엽체의 사세포율은 10% 이하였으며, 일반적으로 김 엽체의 건전성 유무의 기준이 되는 사세포 면적이 20%라는 사실로 보면, 본 실험에서의 김 엽체 상태는 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광합성효율 조사(김 엽체의 조사)>
실험 조건별로 처리한 김 엽체를 4회 세척한 후 2시간 동안 통기 배양하였다. 그 후 엽체 5개를 임의로 선택한 후, Plant Efficiency Analyser(PEA)(Hansatech, ENGLAND)을 사용하여 Fv/Fm 값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김 엽체는 Fv/Fm 값이 0.4~0.6 정도이다. Fv/Fm 값이 0.1 이하일 경우는 개체가 치사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0.1~0.4일 경우에는 치사하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손상을 받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험에 대한 결과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시험제품의 희석 배율에 따른 김 엽체의 광합성효율 Fv/Fm 범위는 20배 희석에서는 0.471~0.499, 50배 희석에서는 0.466~0.484, 70배 희석에서는 0.468~0.497, 100배 희석에서는 0.425~0.477로 나타났다.
침지시간별 광합성효율은 2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0.481, 15초에서는 0.471, 20초에서는 0.497, 25초에서는 0.499, 5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0.484, 15초에서는 0.483, 20초에서는 0.482, 25초에서는 0.466, 7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0.497, 15초에서는 0.495, 20초에서는 0.468, 25초에서는 0.496, 10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0.432, 15초에서는 0.452, 20초에서는 0.477, 25초에서는 0.425로 나타났다.
시험제품이 투입된 김 엽체의 광합성효율은 대조군(0.516)과 차이가 없었고, 모두 0.4이상의 값을 보여, 본 실험에서의 김 엽체의 상태는 정상적이라고 판단된다.
<김 엽체 색택의 변화 조사>
실험 조건별로 처리한 김 엽체를 임의로 3개를 선택하여, 색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색차계(COLORI-METER JC801S, JAPAN)를 이용하여 김 엽체의 상단부, 중단부, 하단부로 나누어 색도차를 3회 측정하였다. 색도의 측정시 색차계의 보정을 위해 표준백판(Standard plate) L값 14.77, a값 12.35, b값 1.30을 사용하였다. 색도의 표시는 밝기를 나타내는 L*값, 적색에서 녹색을 나타내는 a*값, 황색에서 청색을 나타내는 b*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에 대한 결과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시험제품의 희석배율에 따른 김 엽체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명도)의 범위가 20배 희석에서는 55.50~63.35, 50배 희석에서는 53.94~58.89, 70배 희석에서는 48.37~54.06, 100배 희석에서는 49.88~56.62로 나타났다.
a값(적색도)은 20배 희석에서는 -1.07~1.38, 50배 희석에서는 1.01~2.22, 70배 희석에서는 1.76~3.57, 100배 희석에서는 -3.04~1.28로 나타났다. b값(황색도)은 20배 희석에서는 31.56~35.62, 50배 희석에서는 36.63~38.15, 70배 희석에서는 24.57~31.60 100배 희석에서는 23.47~34.29로 나타났다.
침지시간별 색도 측정결과, 명도는 2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55.50, 15초에서는 63.35, 20초에서는 58.89, 25초에서는 60.13, 5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53.94, 15초에서는 54.64, 20초에서는 55.82, 25초에서는 58.89, 7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54.06, 15초에서는 51.53, 20초에서는 52.17, 25초에서는 48.37, 10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54.91, 15초에서는 52.71, 20초에서는 49.88, 25초에서는 56.62로 나타났다.
적색도는 2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0.70, 15초에서는 -1.07, 20초에서는 1.38, 25초에서는 0.91, 5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1.80, 15초에서는 1.91, 20초에서는 2.22, 25초에서는 1.01, 7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1.76, 15초에서는 -0.85, 20초에서는 -0.24, 25초에서는 3.57, 10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3.04, 15초에서는 -3.11, 20초에서는 -3.20, 25초에서는 1.28로 나타났다.
황색도는 2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32.50, 15초에서는 31.56, 20초에서는 35.62, 25초에서는 35.02, 5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37.90, 15초에서는 38.15, 20초에서는 37.89, 25초에서는 36.63, 7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24.57, 15초에서는 25.12, 20초에서는 30.27, 25초에서는 31.60, 100배 희석의 10초에서는 23.47, 15초에서는 29.77, 20초에서는 25.10, 25초에서는 34.29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L값과 b값은 대조군과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a값은 대조군보다 높았다.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3의 실험 결과, 광합성효율은 Fv/Fm값이 0.4이상이었으므로, 김 엽체의 상태는 건전하다고 판단되고, 사세포율은 일반적이지는 않으나 일부 처리 조건에서 10%이하였으며, 일반적으로 김 엽체의 건전성 유무의 기준이 되는 사세포 면적이 20%라는 사실로 보면, 본 실험에서의 김 엽체 상태는 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양식중인 김 엽상체에 미치는 부착잡태 제거와 김 포자의 부착 및 활착률이 높아 성장이 그 만큼 빠르다는 것이 기대되고, 이것은 생산량의 증대와 병해예방에 연결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에 있어서,
메틸설포닐메탄(Methyl Sulfonyl Methane, MSM), 염산, 코발트 및 수용성 아미노산의 혼합물과 물이 포함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메틸설포닐메탄 20~30 중량%, 10 내지 38 중량% 농도의 염산 50~68 중량%, 코발트 2~4 중량% 및 수용성 아미노산 10~2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서,
상기 염산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20 중량부가 천일염으로 대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아미노산은 트레오닌, 아스파라긴, 세린, 글루타민산, 프롤린, 글리신, 알라닌, 시스틴, 발린, 메틸오린, 이소루신, 루신, 티로신, 페닐알라닌, 리신, 히스티딘 및 아르기닌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산화마그네슘 50~80 중량부 또는
목초액 5~20 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7475A KR101342532B1 (ko) | 2013-10-01 | 2013-10-01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17475A KR101342532B1 (ko) | 2013-10-01 | 2013-10-01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42532B1 true KR101342532B1 (ko) | 2013-12-17 |
Family
ID=4998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7475A KR101342532B1 (ko) | 2013-10-01 | 2013-10-01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253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2610B1 (ko) * | 2016-12-08 | 2017-06-29 | 명지테크 주식회사 |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
KR20180077665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풀바이오 |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34749B1 (ko) | 2021-03-31 | 2021-12-06 | 주식회사 팜한농 | 해조류 영양제 및 이의 용도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757B1 (ko) | 2008-04-28 | 2008-09-05 | (주)대성케미칼 |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
KR100868893B1 (ko) | 2008-05-19 | 2008-11-14 | 박수진 |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
-
2013
- 2013-10-01 KR KR1020130117475A patent/KR1013425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6757B1 (ko) | 2008-04-28 | 2008-09-05 | (주)대성케미칼 | 김양식용 유기산 고염처리제 |
KR100868893B1 (ko) | 2008-05-19 | 2008-11-14 | 박수진 |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2610B1 (ko) * | 2016-12-08 | 2017-06-29 | 명지테크 주식회사 | 김 양식용 활성처리제 |
KR20180077665A (ko) | 2016-12-29 | 2018-07-09 | 주식회사 풀바이오 | 김성장 촉진용 이온화 미네랄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334749B1 (ko) | 2021-03-31 | 2021-12-06 | 주식회사 팜한농 | 해조류 영양제 및 이의 용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2553B1 (ko) | 복합 펩티드 셀레노프로테인 양액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 |
KR100868893B1 (ko) | 김양식용 복합영양제 | |
JP6487304B2 (ja) | 水耕栽培方法、葉菜類の製造方法、培養液、及び培養液製造方法。 | |
KR101342532B1 (ko) | 김 양식용 병해예방 영양제 | |
JP2007326746A (ja) | 有機質肥料及びその施用方法 | |
KR101225890B1 (ko) |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40868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김활성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0679665B1 (ko) | 셀레늄을 함유하는 과수 재배용 양액 조성물 및 셀레늄을함유하는 과수의 재배방법 | |
KR101475751B1 (ko) | 김양식용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
JP5632856B2 (ja) | 環境条件の変化に対する植物の適応反応を改善するための液体無機組成物の使用 | |
KR101042070B1 (ko) | 신규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료 첨가제 | |
CN106386607A (zh) | 一种克氏原螯虾分级池塘多茬养殖方法 | |
KR101325491B1 (ko) | 김양식용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86477B1 (ko) | 김양식용 활성처리제 | |
Redmond et al. | Culture of Sargassum in Korea: Techniques and Potential for Culture in the US | |
KR100794320B1 (ko) | 불가사리를 주성분으로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 |
CN103109875B (zh) | 山苍子精油和二硫氰基甲烷制备淡水鱼病防治药剂的方法 | |
Horibe et al. | Effects of Light Wavelength on Daughter Cladode Growth and Quality in Edible Cactus Cultured in a Plant Factory with Artificial Light | |
Mulyaningrum et al. | Growth, Agar Yield and Water Quality Variables Affecting Mass Propagation of Tissue Cultured Seaweed Gracilaria verrucosa in Pond. | |
CN107027565A (zh) | 一种在江淮地区提升水稻品质的种植方法 | |
Tew et al. | Factors correlating with deterioration of giant kelp Macrocystis pyrifera (Laminariales, Heterokontophyta) in an aquarium setting | |
Tsuchimoto et al. | Effects of cultivation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the edible cactus (Nopalea cochenillifera) grown under hydroponic conditions | |
KR101599746B1 (ko) | 개구리밥과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해조류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Muyong et al. | Synergistic impacts of nutrient enrichment and farming methods on the performance of red seaweed Kappaphycus alvarezii | |
Awal et al. | Suitability of inland saline ground water for the growth of marine microalgae for industrial purpo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