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48707B1 -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 Google Patents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707B1
KR101348707B1 KR1020120090926A KR20120090926A KR101348707B1 KR 101348707 B1 KR101348707 B1 KR 101348707B1 KR 1020120090926 A KR1020120090926 A KR 1020120090926A KR 20120090926 A KR20120090926 A KR 20120090926A KR 101348707 B1 KR101348707 B1 KR 101348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ring
hub
sealing cap
track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Priority to KR102012009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23Shaft end sealing means, e.g. cup-shaped cap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78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with a diaphragm, disc, or ring, with or without resilient members
    • F16C33/7816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 F16C33/783Details of the sealing or parts thereof, e.g. geometry, material of the mounting reg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8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 F16C19/383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F16C19/385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 F16C19/38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two or more rows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with two rows, i.e. double-row tapered roller bearings in O-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2Wheel hubs or ca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7Encoders, e.g. parts with a plurality of alternating magnetic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은 바깥쪽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안쪽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와 단차부 사이의 외주면에 궤도를 가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단차부에 압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내륜 궤도를 가지는 내륜; 상기 허브를 둘러싸고 중간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궤도 및 상기 내륜의 궤도에 대응하는 외륜 궤도를 내주면에 각각 가지는 외륜; 상기 허브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 궤도 사이에 또는 상기 내륜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궤도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2 개의 열 이상의 구름부재; 상기 내륜의 안쪽을 향하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을 감싼 상태로,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실링 캡;을 포함하되, 상기 외륜에는 상기 실링 캡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 캡의 끝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WHEEL BEARING PROVIDED WITH SEALING CAP}
본 발명은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륜을 감싼 상태로 압입되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엔코더의 출력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검출 신뢰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휠 베어링은 차체에 휠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차량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휠 베어링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륜 휠 베어링과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는 종동륜 휠 베어링으로 대분된다.
구동륜 휠 베어링은 엔진에서 발생하여 변속기를 통과한 토크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륜 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회전 요소와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비회전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요소와 비회전 요소 사이에는 전동체가 개재되어 있다.
종동륜 휠 베어링은 회전 요소가 구동륜 축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뿐 다른 구성은 구동륜 휠 베어링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한 휠 베어링은 축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궤도를 가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궤도를 가지지 않는 외주면에 결합되고 축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궤도를 가지는 내륜과, 상기 허브를 둘러싸고 상기 허브의 궤도 및 상기 내륜의 궤도에 각각 대응하는 궤도를 내주면에 각각 가지는 외륜과, 상기 허브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궤도 사이에 또는 상기 내륜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궤도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구름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휠 베어링에서는 차량의 휠에 결합되는 허브와 허브에 결합되는 내륜이 구동륜 축과 함께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휠 베어링은 차량의 휠에 장착되기 때문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될 경우, 특히 전동체가 장착된 부위에 침입하게 되면 연마면인 내, 외륜 궤도(또는 레이스 웨이)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즉, 휠 베어링에서 내, 외륜 궤도가 손상될 경우에는 휠 베어링의 작동 시, 소음과 진동을 발생시키고, 휠 베어링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휠 베어링에는 실링 캡이 장착된다.
이러한 실링 캡은 휠 베어링의 허브와 내륜을 감싼 상태로,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며, 휠 베어링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휠 베어링에서 실링 캡은 단순히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장착되는 바, 압입 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실링 캡의 양측 단부에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링 캡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는 시일성이 저하됨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휠 베어링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휠 베어링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실링 캡은 외륜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단부에 기밀을 위해 고무부재가 몰딩되는데, 이 고무부재가 외륜과 실링 캡 사이에서 반력으로 작용하게 됨으로써, 실링 캡의 강성 한계가 발생되며, 이로 인해 실링 캡의 단부가 외륜의 외측을 향하여 벌어져 엔코더와 실링 캡 사이에 형성되는 갭이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해짐에 따라, 엔코더의 출력값이 일정치 않아 검출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휠 베어링에서 허브와 내륜을 감싼 상태로,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 장착되는 실링 캡의 변형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시일성 향상을 통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실링 갭을 구비한 휠 베어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실링 캡에 몰딩되는 고무부재의 반력으로 인해 실링 캡이 외륜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코더와 실링 캡 사이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은 바깥쪽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안쪽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와 단차부 사이의 외주면에 궤도를 가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단차부에 압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내륜 궤도를 가지는 내륜; 상기 허브를 둘러싸고 중간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궤도 및 상기 내륜의 궤도에 대응하는 외륜 궤도를 내주면에 각각 가지는 외륜; 상기 허브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 궤도 사이에 또는 상기 내륜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궤도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2 개의 열 이상의 구름부재; 상기 내륜의 안쪽을 향하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을 감싼 상태로,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실링 캡;을 포함하되, 상기 외륜에는 상기 실링 캡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 캡의 끝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캡은 상기 허브의 안쪽에서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며, 단부의 형상이 상기 허브의 안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는 메인 바디;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외륜을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도록 상기 외륜을 향하여 절곡된 끝단에서 상기 그루브에 대응해 상기 허브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압입부; 및 상기 외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압입부의 끝단부에 몰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폭 길이(D1)가 상기 고무부재가 몰딩된 삽입부의 폭 길이(D2)보다 큰 길이(D1>D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안쪽을 향하는 상기 외륜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내면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허브의 안쪽에 대응하는 일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단부가 상기 허브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허브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륜의 안쪽 끝단을 지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기 검출부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d)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상선(X)과 수평을 유지하게 상기 메인 바디의 끝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무부재가 내측과 외측을 감싼 상태로 몰딩되며,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상기 실링 캡의 장착 시, 상기 그루브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압입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외륜의 안쪽을 향하는 상기 그루브의 내면과 상기 고무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그루브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 의하면, 휠 베어링에서 허브와 내륜을 감싼 상태로,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 장착되는 실링 캡의 변형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시일성 향상을 통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륜에 형성되는 그루브를 통하여 실링 캡의 단부에 몰딩된 고무부재의 반력으로 인해 실링 캡이 외륜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코더와 실링 캡 사이에 일정 간극을 유지할 수 있어 엔코더의 출력값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를 통하여 실링 캡에 몰딩된 고무부재의 반력 작용방향을 실링 캡의 압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 캡이 외륜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휠 베어링의 전체적인 내구성과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휠 베어링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서 실링 캡 장착 전 상태의 휠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서 휠 베어링과 실링 캡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서 휠 베어링과 실링 캡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서 휠 베어링과 실링 캡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에서 휠 베어링과 실링 캡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70)을 구비한 휠 베어링(1)은 휠 베어링(1)에서 허브(10)와 내륜(20)을 감싼 상태로, 외륜(30)의 외주면에 압입 장착되는 실링 캡()의 변형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시일성 향상을 통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실링 캡(70)에 몰딩되는 고무부재(78)의 반력으로 인해 실링 캡(70)이 외륜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코더(64)와 실링 캡(70) 사이에 일정 간극(d)을 유지하도록 하여 검출부(60)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70)을 구비한 휠 베어링(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허브(10), 내륜(30), 외륜(40), 구름부재(50), 및 검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바깥쪽’은 휠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하며, ‘안쪽’은 휠의 반대쪽, 즉 차체에 가까운 부분을 의미한다.
먼저, 상기 허브(1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차량의 휠(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된다. 허브(10)의 바깥쪽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12)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10)의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파일럿(18)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플랜지(12)에는 제1 볼트공(14)이 천공되어 있어 차량의 휠이 볼트(16) 등의 결합 수단으로 허브(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럿(18)은 허브(10)에 휠을 장착할 시 휠을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허브(10)의 안쪽에는 단차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10)의 연장된 끝단은 오비탈 포밍 전에는 허브(10)의 축방향으로 곧게 연장되나, 오비탈 포밍 후에는 반경 외측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변형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허브(10)는 단차부(20)와 제1 플랜지(14) 사이의 외주면에 궤도(24)가 형성된다.
상기 내륜(30)은 상기 허브(10)의 단차부(20)에 압입되며, 내륜(30)의 외주면에는 내륜 궤도(32)가 형성된다. 즉, 상기 내륜(30)은 허브(10)의 외주면 중 궤도(19)가 없는 외주면에 결합되며, 내륜(30)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내륜 궤도(3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륜(40)은 상기 허브(10)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 중간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플랜지(42)에는 제2 볼트공(44)이 형성되어 너클(도시하지 않음)이 볼트 등의 결합 수단으로 외륜(40)에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외륜(40)의 반경 내측면에는 허브(10)의 궤도(24)와, 내륜(30)의 내륜 궤도(32)에 대응하는 제1 및 제2 외륜 궤도(46, 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름부재(50)는 허브(10)의 궤도(24)와 제1 외륜 궤도(46) 사이에 개재되는 제1열의 전동체(52)와, 내륜(30)의 내륜 궤도(32)와 제2 외륜 궤도(48) 사이에 개재되는 제2열의 전동체(5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1열의 전동체(52)와 제2 열을 전동체(54)로 구성된 상기 구름부재(50)는 테이퍼 형상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게 제공되며, 각 궤도(24, 32, 46, 48)의 경사면에 대응하여 최소 직경이 중앙부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리테이너(56)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검출부(60)는 상기 내륜(30)의 안쪽을 향하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휠 베어링(1)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게 되며, 상기 내륜(30)의 외주면에 고정 장착되는 슬링거(62)와 상기 슬링거(62)를 통하여 상기 내륜(30)의 안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엔코더(6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휠 베어링(1)을 조립하기 위하여, 제1, 2열의 전동체(52, 54)를 허브(10)의 궤도(24)와 제1 외륜 궤도(46) 사이 및 내륜 궤도(32)와 제2 외륜 궤도(48) 사이에 위치시키고, 내륜(30)을 허브(10)의 단차부(20)에 압입한다. 그 후, 허브(10)의 변형부(22)를 오비탈 포밍을 통해 내륜(30) 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허브(10)에 내륜(30), 외륜(40), 그리고 구름부재(5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변형부(22)의 변형은 내륜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게 되고, 그 압력에 의하여 전동체에는 예압(Pre load)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70)을 구비한 휠 베어링(1)은 상기 외륜(40)에 압입되는 실링 캡(7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 캡(70)의 끝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그루브(49)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루브(49)는 안쪽을 향하는 상기 외륜(40)의 외주면 상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49)는 상기 그루브는 상기 허브(1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바깥쪽과 안쪽을 향하는 양측 내면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휠 베어링(1)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0)의 안쪽에서 상기 허브(10)와 내륜(30)을 감싼 상태로, 상기 외륜(40)의 외주면에 압입되는 실링 캡(70)이 장착되며, 상기 실링 캡(70)은 상기 휠 베어링(1)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 캡(70)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72), 커버부(74), 압입부(76), 및 고무부재(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바디(72)는 상기 허브(10)의 안쪽에서 상기 허브(10)와 내륜(30)을 감싸며, 단부의 형상이 상기 허브(10)의 안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바디(72)는 상기 허브(10)의 안쪽에 대응하는 일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외측을 향하는 단부가 상기 허브(10)의 변형부(22)를 감싸도록 상기 변형부(22)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메인 바디(72)는 상기 허브(10)의 변형부(22)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74)는 상기 검출부(60)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27)로부터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74)는 상기 외륜(40)의 안쪽 끝단을 지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기 검출부(60)의 엔코더(64)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d)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상선(X)과 수평을 유지하게 상기 메인 바디(72)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허브(10)의 축방향 외측을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입부(76)는 상기 커버부(74)의 외주면에서 상기 외륜(40)의 바깥쪽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며, 상기 외륜의(40) 외주면에 압입된다.
그리고 상기 고무부재(78)는 상기 외륜(40)의 외주면과 상기 실링 캡(7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압입부(76)의 끝단부에 몰딩된다.
여기서, 상기 압입부(76)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74)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외륜(40)을 향하여 절곡된 끝단에서 상기 그루브(49)에 대응해 상기 허브(10)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삽입부(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79)는 상기 고무부재(78)가 내측과 외측을 감싼 상태로 몰딩되며, 상기 외륜(40)의 외주면에 상기 실링 캡(70)의 장착 시, 상기 그루브(49)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부(79)는 상기 압입부(76)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79)는 상기 외륜(40)의 안쪽을 향하는 상기 그루브(49)의 내면과 상기 고무부재(78)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그루브(49)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 캡(70)은 상기 고무부재(78)의 반력이 상기 그루브(49)의 내면과 고무부재(78) 사이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허브(10)의 안쪽을 향하여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는 상기 고무부재(78)의 반력과 함께 삽입부(79)가 그루브(49)에 걸림으로써, 외륜(40)으로부터 실링 캡(7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삽입부(79)는 상기 압입부(76)로부터 허브(10)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절곡됨에 따라, 상기 실링 캡(70)이 완전히 압입되어 상기 커버부(74)의 내면이 외륜(40)의 안쪽 끝단에 접촉될 경우, 그루브(49)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실링 캡(70)은 그루브(49)와, 상기 그루브(49)에 삽입되는 삽입부(79)를 통하여 삽입부(79)에 몰딩된 고무부재(78)의 두께로 인한 고무부재(78)의 반력이 외륜(40)과의 사이에 작용함에 따라 발생되던 압입부(76)의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링 캡(70)의 압입부(76)가 변형되지 않게 되면, 너클 등 상대 부품의 조립 시,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링 캡(70) 변형으로 인해 시일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실링 캡(70)의 변형 방지는 상기 외륜(40)의 안쪽 끝단을 지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기 검출부(60)의 엔코더(64)와 커버부(74)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d)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검출부(60)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루브(49)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허브(1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폭 길이(D1)가 상기 고무부재가 몰딩된 삽입부의 폭 길이(D2)보다 큰 길이(D1>D2)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무부재(78)가 몰딩된 삽입부(76)가 상기 그루브(49)에 삽입될 경우, 그루브(49)와 고무부재(78)의 접촉구간이 넓어짐으로써, 외륜(40)과 실링 캡(70)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링 캡(70)을 구비한 휠 베어링(1)을 적용하면, 휠 베어링(1)에서 허브(10)와 내륜(30)을 감싼 상태로, 외륜(40)의 외주면에 압입 장착되는 실링 캡(70)의 변형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시일성 향상을 통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륜(40)에 형성되는 그루브(49)를 통하여 실링 캡(70)의 단부에 몰딩된 고무부재(78)의 반력으로 인해 실링 캡(70)이 외륜(40)의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코더(64)와 실링 캡(70) 사이에 일정 간극(d)을 유지할 수 있어 엔코더(64)의 출력값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검출부(60)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루브(49)를 통하여 실링 캡(70)에 몰딩된 고무부재(78)의 반력 작용방향을 실링 캡의(70) 압입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실링 캡(70)이 외력에 의해 외륜(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휠 베어링(1)의 기밀성 향상을 통한 전체적인 내구성 향상, 및 검출부(60)의 센싱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휠 베어링(1)의 수명 및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체적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휠 베어링 10 : 허브
12 : 제1 플랜지 14 : 제1 볼트공
16 : 볼트 18 : 파일럿
20 : 단차부 22 : 변형부
24 : 궤도 30 : 내륜
32 : 내륜 궤도 40 : 외륜
42 : 제2 플랜지 44 : 제2 볼트공
46 : 제1 외륜 궤도 48 : 제2 외륜 궤도
49 : 그루브 50 : 구름부재
60 : 검출부 70 : 실링 캡
72 : 메인 바디 74 : 커버부
76 : 압입부 78 : 고무부재
79 : 삽입부

Claims (11)

  1. 바깥쪽에 휠을 장착하기 위한 제1 플랜지가 형성되고, 안쪽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랜지와 단차부 사이의 외주면에 궤도를 가지는 허브;
    상기 허브의 단차부에 압입되고, 축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내륜 궤도를 가지는 내륜;
    상기 허브를 둘러싸고 중간부에는 반경 외측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의 궤도 및 상기 내륜의 궤도에 대응하는 외륜 궤도를 내주면에 각각 가지는 외륜;
    상기 허브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 궤도 사이에 또는 상기 내륜의 궤도와 상기 외륜의 외륜궤도 사이에 각각 제공되는 적어도 2 개의 열 이상의 구름부재;
    상기 내륜의 안쪽을 향하는 외주면에 장착되어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부; 및
    상기 허브와 상기 내륜을 감싼 상태로,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되는 실링 캡;을 포함하되,
    상기 외륜에는 상기 실링 캡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링 캡의 끝단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 캡은 상기 허브의 안쪽에서 상기 허브와 내륜을 감싸며, 단부의 형상이 상기 허브의 안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는 메인 바디;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외륜을 향하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압입되도록 상기 외륜을 향하여 절곡된 끝단에서 상기 그루브에 대응해 상기 허브의 내측 중심을 향하여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압입부; 및
    상기 외륜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도록 상기 압입부의 끝단부에 몰딩되는 고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폭 길이(D1)가 상기 고무부재가 몰딩된 삽입부의 폭 길이(D2)보다 큰 길이(D1>D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안쪽을 향하는 상기 외륜의 외주면 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허브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양측 내면이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허브의 안쪽에 대응하는 일면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단부가 상기 허브를 감싸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허브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외륜의 안쪽 끝단을 지나는 가상선(X)을 기준으로 상기 검출부와의 사이에 소정간격의 간극(d)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상선(X)과 수평을 유지하게 상기 메인 바디의 끝단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고무부재가 내측과 외측을 감싼 상태로 몰딩되며, 상기 외륜의 외주면에 상기 실링 캡의 장착 시, 상기 그루브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압입부로부터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외륜의 안쪽을 향하는 상기 그루브의 내면과 상기 고무부재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그루브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KR1020120090926A 2012-08-20 2012-08-20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KR101348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26A KR101348707B1 (ko) 2012-08-20 2012-08-20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926A KR101348707B1 (ko) 2012-08-20 2012-08-20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707B1 true KR101348707B1 (ko) 2014-01-09

Family

ID=50144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926A KR101348707B1 (ko) 2012-08-20 2012-08-20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7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8400A1 (zh) * 2015-05-26 2016-12-0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轴承
KR20180019993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KR102165746B1 (ko) * 2019-05-30 2020-10-15 셰플러코리아(유) 이물 침입 저항성이 향상된 구름 베어링
KR102171408B1 (ko) * 2019-05-17 2020-10-29 허용수 멀티트랙 엔코더를 이용한 주행환경 실시간 예측 스마트휠 센서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833A (ko) * 2002-10-17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베어링 허브 캡
JP2006177897A (ja) * 2004-12-24 2006-07-06 Ntn Corp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装置
KR20120046534A (ko) * 2010-11-02 2012-05-1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용 실링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833A (ko) * 2002-10-17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휠 베어링 허브 캡
JP2006177897A (ja) * 2004-12-24 2006-07-06 Ntn Corp 回転速度検出装置付き車輪用軸受装置
KR20120046534A (ko) * 2010-11-02 2012-05-1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용 실링 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8400A1 (zh) * 2015-05-26 2016-12-01 舍弗勒技术股份两合公司 轴承
KR20180019993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KR101867405B1 (ko) * 2016-08-17 2018-06-15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휠 베어링
KR102171408B1 (ko) * 2019-05-17 2020-10-29 허용수 멀티트랙 엔코더를 이용한 주행환경 실시간 예측 스마트휠 센서모듈
KR102165746B1 (ko) * 2019-05-30 2020-10-15 셰플러코리아(유) 이물 침입 저항성이 향상된 구름 베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9497B2 (ja) 車輪用軸受装置
WO2010113842A1 (ja) 環状密封装置
JP2016186319A (ja) 密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車輪用軸受装置
KR101301075B1 (ko) 휠 베어링용 실링 캡
JP5100056B2 (ja) 車輪用軸受装置
KR101348707B1 (ko) 실링 캡을 구비한 휠 베어링
US20150316103A1 (en) Rolling bearing
KR101826200B1 (ko) 슬링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조립체
KR101814597B1 (ko) 휠 베어링용 실링 캡
JP5061818B2 (ja) 車輪支持装置
JP2008190655A (ja) 密封装置
KR102592737B1 (ko) 드래그 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휠베어링
KR101802278B1 (ko) 휠 베어링 및 휠 베어링의 씰링장치
JP6629545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20020351A (ja) 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2005337446A (ja) 密封型転がり軸受
KR20220136808A (ko) 휠베어링 조립체
KR101411611B1 (ko) 실링 캡 및 이를 이용한 휠 베어링 조립체
JP5415773B2 (ja) 車輪用軸受装置
JP2011080499A (ja) 車輪用軸受装置
JP4756363B2 (ja) 転がり軸受の密封装置
JP6769234B2 (ja) 車輪支持用複列転がり軸受ユニット
KR101867405B1 (ko) 휠 베어링
WO2010079733A1 (ja) 車輪用軸受装置
JP5834551B2 (ja) 転がり軸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8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