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45994B1 -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 Google Patents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994B1
KR101345994B1 KR1020120058592A KR20120058592A KR101345994B1 KR 101345994 B1 KR101345994 B1 KR 101345994B1 KR 1020120058592 A KR1020120058592 A KR 1020120058592A KR 20120058592 A KR20120058592 A KR 20120058592A KR 101345994 B1 KR101345994 B1 KR 101345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cb
sheet
air
vacuum chuck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4806A (ko
Inventor
우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기연
Priority to KR102012005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994B1/ko
Priority to JP2012229084A priority patent/JP5250147B1/ja
Publication of KR2013013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9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FPCB의 검사전 단계에서 FPCB가 진공척에 완전 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형 FPCB의 전기적 성능검사 전단계로서 시트형 FPCB를 흡탈착시키는 진공흡탈착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형 FPCB가 안착되도록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의 표면에는 다수의 에어공이 형성되는 진공척과, 상기 진공척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의 안착홈 상에 시트형 FPCB가 순차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 상의 에어를 흡입하여 시트형 FPCB를 안착홈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에어흡입수단과, 상기 진공척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의 안착홈 상에 시트형 FPCB가 순차적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 상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시트형 FPCB를 안착홈의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진공척의 측부에 설치되는 거리조절대에 연결되어 거리조절대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척의 상부에 안착되는 시트형 FPCB의 상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에어배출공이 형성되어 시트형 FPCB의 상부에서 에어를 배출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시트형 FPCB를 진공척의 안착홈에 밀착시키는 에어블로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Automated absorbing-desorbing apparatus for sheet type FPCB}
본 발명은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형 FPCB의 검사전 단계에서 시트형 FPCB가 진공척에 완전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printed circuit board)란 전기 절연성 기판에 구리와 같은 전도성 재료로 회로 라인 패턴을 형성시킨 것으로 전자부품을 탑재하기 직전의 기판을 말한다.
PCB는 기판재료의 종류에 따라 페놀과 에폭시로 제작되는 리지드(Rigid)PCB와 폴리이미드(Polyimid)와 같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플렉서블(Flexible) PCB(FPCB)로 나뉜다.
근래 휴대폰, PDA, 디지털카메라 등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가 대중화되면서 회로 특성이 안정화되고 소형 및 경량화된 PCB가 개인 휴대용 전자장치의 메인기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FPCB는 폴더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굴곡부위의 회로로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FPCB에 부품이 실장되어 전자장치에 사용되게 위해서는 겉모양, 마이크로섹션 및 치수검사, 전기적 성능검사, 기계적 성능검사 등을 거쳐야 한다.
그 중 전기적 성능검사는 FPCB에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는 것으로 FPCB에 실장된 회로패턴의 이상유무 판단, 전기회로의 기능 판단 등을 한다.
상기 FPCB는 시트형과 롤형으로 구분되어지는데, 종래의 시트형 FPCB를 검사대에 이동시키기전에 안착대에 시트형 FPCB를 밀착시키기 위해서 롤러 등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밀착시켜 왔다. 상기한 종래 공정으로 시트형 FPCB를 밀착시키게 되면 시트형 FPCB와 안착대 간에 완전 밀착상태를 이루기 힘들게 되고, 이에 따라 검사시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시트형 FPCB의 검사전 단계에서 시트형 FPCB가 진공척에 완전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시트형 FPCB의 전기적 성능검사 전단계로서 시트형 FPCB를 흡탈착시키는 진공흡탈착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형 FPCB가 안착되도록 상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의 표면에는 다수의 에어공이 형성되는 진공척과, 상기 진공척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의 안착홈 상에 시트형 FPCB가 순차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 상의 에어를 흡입하여 시트형 FPCB를 안착홈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에어흡입수단과, 상기 진공척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의 안착홈 상에 시트형 FPCB가 순차적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 상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시트형 FPCB를 안착홈의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에어배출수단과, 상기 진공척의 측부에 설치되는 거리조절대에 연결되어 거리조절대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척의 상부에 안착되는 시트형 FPCB의 상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에어배출공이 형성되어 시트형 FPCB의 상부에서 에어를 배출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시트형 FPCB를 진공척의 안착홈에 밀착시키는 에어블로워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는 에어흡입수단과 에어배출수단이 형성된 진공척 및 진공척의 상부에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블로워를 순차적으로 이동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시트형 FPCB의 안착수단으로 사용되는 진공척에 시트형 FPCB를 마치 롤러로 밀듯이 자동으로 완전 밀착되게 흡착시킬 수 있고, 탈착 또한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척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흡입수단 및 에어배출수단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블로워의 구성을 알 수 있는 측면도
도 5는 도 4에서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는 시트형 FPCB(2)의 전기적 성능검사 전단계로서 시트형 FPCB를 흡탈착시키는 진공흡탈착장치에 있어서, 진공척(10), 에어흡입수단(20), 에어배출수단(30), 이동체(40) 및 에어블로워(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척(10)은 시트형 FPCB(2)를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 상의 상부에 구비 설치되며, 시트형 FPCB(2)가 안착되도록 그 상부에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안착홈(12)의 표면에는 에어가 이동되는 에어공(14)이 종횡배열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에어공(14)을 통해 이동되는 에어에 의해 시트형 FPCB(2)가 진공척(10)의 표면상에 탈부착되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공(14)은 미세구멍으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미세구멍의 크기는 0.01~0.5㎜ 정도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구멍의 직경이 0.01㎜ 이하이면 에어가 이동되기 곤란하며, 직경이 0.5㎜ 이상이면 에어의 이동 단면적이 넓어 검사대의 표면에 시트형 FPCB(2)의 밀착시 시트형 FPCB(2)의 표면이 미세구멍으로 삽입되어 검사시 최적상태인 평평한 형태를 이루지 못할 우려가 생기게 된다.
또한 에어공(14)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척(10)은 통상 금속재로 형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시트형 FPCB(2)와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세라믹재로 형성되게 하였다.
상기 진공척(10)의 하부측에는 상기 에어공(14)을 통해 에어를 흡입하는 에어흡입수단(20)을 설치한다. 에어흡입수단(20)은 진공척(10)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진공척(10)의 안착홈(12) 표면 주위의 에어를 흡입함으로써 시트형 FPCB(2)가 안착홈(12)에 밀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에어흡입수단(20)은 하나로 설치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종횡배열로 형성된 에어공(14)에 상응하게 다수개로 설치되게 하여 순차적으로 에어를 흡입하도록 구성한다.
그 일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에어흡입수단(20)은 12개로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공(14)에 진공 연통설치되어 시간차를 두고 작동시켜 순차적으로 안착홈(12) 상의 에어를 흡입하여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의 표면상에 밀착되게 흡착시킴으로써 종래 롤러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밀착시키던 공정을 자동화시키면서도 밀착 불량없이 완벽한 밀착상태가 되도록 구현한 것이다.
상기 에어흡입수단(20)을 이용하여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 상에 밀착시키고 난 후 검사대(미도시됨)로 이동되어 검사공정이 끝나면 안착홈(12) 상에서 시트형 FPCB(2)를 탈착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반대로 진공척(10)의 하부측에 설치된 에어배출수단(30)을 이용하여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써 시트형 FPCB(2)가 부드러우면서도 순차적으로 탈착되어지도록 한다.
상기 에어배출수단(30)의 구성은 상술된 에어흡입수단(20)과 동일하며, 단 동작이 반대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에어배출수단(30)은 다수의 에어공(14)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12) 상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의 표면에서 탈착시키게 된다.
상기 에어흡입수단(20)과 에어배출수단(30)은 도 4에서와 같이 하나의 단일 호스에 일체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며, 또한 에어흡입수단(20)과 에어배출수단(30)을 별도로 구성하여도 되나,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에어흡입수단(20)으로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 상에 밀착시킬 때 더 확실한 밀착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시트형 FPCB(2)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지나도록 도 1,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에어블로워(50)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블로워(50)는 상기 진공척(10)의 측부에 설치되는 거리조절대(42)에 연결되어 거리조절대(42)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체(40)에 연결 설치되며, 진공척(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시트형 FPCB(2)의 상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에어배출공(52)이 형성되어 시트형 FPCB(2)의 상부에서 에어를 배출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시트형 FPCB(2)를 진공척(10)의 안착홈(12)에 완전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미설명부호 (45)는 모터, (55)는 에어공급수단임.
2 : 시트형 FPCB 5 : 고정프레임
10 : 진공척 12 : 안착홈
14 : 에어공 20 : 에어흡입수단
30 : 에어배출수단 40 : 이동체
42 : 거리조절대 50 : 에어블로워
52 : 에어배출공

Claims (4)

  1. 시트형 FPCB의 전기적 성능검사 전단계로서 시트형 FPCB를 흡탈착시키는 진공흡탈착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형 FPCB(2)가 안착되도록 상부에 안착홈(12)이 형성되고, 안착홈(12)의 표면에는 다수의 에어공(14)이 형성되는 진공척(10);
    상기 진공척(10)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10)의 안착홈(12) 상에 시트형 FPCB(2)가 순차적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14)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12) 상의 에어를 흡입하여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의 표면에 흡착시키는 에어흡입수단(20);
    상기 진공척(10)의 하부측 상에 각각 다수의 배열로 연결 설치되며, 시간차를 두고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진공척(10)의 안착홈(12) 상에 시트형 FPCB(2)가 순차적으로 탈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에어공(14)에 진공 연통되어 안착홈(12) 상으로 에어를 배출하여 시트형 FPCB(2)를 안착홈(12)의 표면에서 탈착시키는 에어배출수단(30);
    상기 진공척(10)의 측부에 설치되는 거리조절대(42)에 연결되어 거리조절대(42) 상에서 이동되는 이동체(40);
    상기 이동체(40)에 연결 설치되어 진공척(10)의 상부에 안착되는 시트형 FPCB(2)의 상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에어배출공(52)이 형성되어 시트형 FPCB(2)의 상부에서 에어를 배출하면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시트형 FPCB(2)를 진공척(10)의 안착홈(12)에 밀착시키는 에어블로워(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척(10)은 세라믹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흡입수단(20) 및 에어배출수단(30)은 하나의 호스로 연결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KR1020120058592A 2012-05-31 2012-05-31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Active KR101345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92A KR101345994B1 (ko) 2012-05-31 2012-05-31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JP2012229084A JP5250147B1 (ja) 2012-05-31 2012-10-16 順次密着できる構造を有するシート型fpcb自動真空吸脱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8592A KR101345994B1 (ko) 2012-05-31 2012-05-31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4806A KR20130134806A (ko) 2013-12-10
KR101345994B1 true KR101345994B1 (ko) 2013-12-31

Family

ID=4904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8592A Active KR101345994B1 (ko) 2012-05-31 2012-05-31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250147B1 (ko)
KR (1) KR101345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5945A (zh) * 2013-09-27 2014-01-08 昆山迈致治具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定位冷却吸附治具
CN104609183A (zh) 2015-01-26 2015-05-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搬送装置及移动系统
JP6803177B2 (ja) * 2016-08-29 2020-12-2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レーザ照射装置
CN107016936B (zh) * 2017-04-25 2019-05-2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柔性面板曲面贴合的装置及方法
CN107481964B (zh) * 2017-07-18 2023-08-25 罗博特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硅片批量吸取装置
CN110127366A (zh) * 2018-02-09 2019-08-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工件取放系统
KR20210007327A (ko) 2019-07-11 2021-01-20 미래에이티 주식회사 플렉시블 회로기판 공정용 흡착 장치
CN112379241A (zh) * 2020-10-13 2021-02-19 江苏仕邦柔性电子研究院有限公司 一种柔性电子元件吸附台
CN114286617B (zh) * 2021-11-29 2023-05-23 江西昶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smt生产中全自动贴片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192A (ja) 2000-01-24 2001-08-03 Orc Mfg Co Ltd 基板露光方法および装置
JP2002301438A (ja) * 2001-04-06 2002-10-15 Takatori Corp 基板の搬送方法と装置
JP2004294739A (ja) * 2003-03-27 2004-10-21 Pentax Corp 光学処理装置、基板固定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JP3767548B2 (ja) * 2002-12-09 2006-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用の基板の保持治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720B2 (ja) * 1994-05-25 1997-12-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真空チャックにおける被吸着物の吸着方法
JP2003282690A (ja) * 2002-03-25 2003-10-03 Toto Ltd 静電チャック
JP2008229767A (ja) * 2007-03-20 2008-10-02 Misuzu Kogyo:Kk 柔軟シート状部材の真空吸着装置
JP2009117552A (ja) * 2007-11-05 2009-05-28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吸着ステージ
JP2011197872A (ja) * 2010-03-18 2011-10-06 Gunze Ltd 基板貼合装置及び基板貼合方法
JP2011225355A (ja) * 2010-04-22 2011-11-10 Sumitomo Heavy Ind Ltd エア浮上ユニット、ステージ装置、検査システム、露光システム及び塗布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192A (ja) 2000-01-24 2001-08-03 Orc Mfg Co Ltd 基板露光方法および装置
JP2002301438A (ja) * 2001-04-06 2002-10-15 Takatori Corp 基板の搬送方法と装置
JP3767548B2 (ja) * 2002-12-09 2006-04-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用の基板の保持治具
JP2004294739A (ja) * 2003-03-27 2004-10-21 Pentax Corp 光学処理装置、基板固定装置および基板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1524A (ja) 2013-12-12
JP5250147B1 (ja) 2013-07-31
KR20130134806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994B1 (ko) 순차적으로 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시트형 fpcb 자동 진공흡탈착장치
US9656454B2 (en) Screen printing method and screen printing device
KR102586436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공정용 흡착 장치
KR101351044B1 (ko) Fpcb 검사장비의 자동공급배출 적재장치
KR101179649B1 (ko) 표면 실장을 위한 연성회로기판의 보강판 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의 보강판 부착 방법
CN111162024B (zh) 用于安装导电球的设备
CN111162010B (zh) 安装导电球的方法
KR20090116465A (ko) 인쇄회로기판 공급시스템
CN109392254B (zh) 焊球或焊膏搭载装置
KR101309503B1 (ko) 반도체용 캐리어플레이트에 사용되는 캐리어테이프의 부착장치
JP4573639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KR101019037B1 (ko) 표면실장기용 노즐장치
JP2015159135A (ja) 電子部品装着装置
KR102062278B1 (ko) 부품 실장 장치
CN220922443U (zh) 一种可防止变形的基板吸附装置
KR102391169B1 (ko) 실장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CN218987751U (zh) 一种线路板的自动上料定位装置
KR101359013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모듈 테이프 부착장치
JPH0774048B2 (ja) 吸着装置
KR101991382B1 (ko) 회로기판 점착테이프 이형지의 분리 장치
CN209390458U (zh) 一种pcb板吸气透墨装置
CN209777632U (zh) 一种pcb板搬运蜘蛛手机器人设备
KR102103176B1 (ko) 기판 탈부착 장치
KR20210114679A (ko) 실장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부품 실장 장치
KR1015356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트부재 척킹 및 디척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