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31781B1 -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781B1
KR101331781B1 KR1020110092355A KR20110092355A KR101331781B1 KR 101331781 B1 KR101331781 B1 KR 101331781B1 KR 1020110092355 A KR1020110092355 A KR 1020110092355A KR 20110092355 A KR20110092355 A KR 20110092355A KR 101331781 B1 KR101331781 B1 KR 10133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static pressure
pressure sensor
reference value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9151A (ko
Inventor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1009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7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2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7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60C23/0405Mechanically generated visible signals, e.g. by using a gauge nee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5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 B60C23/0416Automatically identifying wheel mounted units, e.g. after replacement or exchange of wheels allocating a corresponding wheel position on vehicle, e.g. front/left or rear/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35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 B60C23/0438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comprising signal transmission means, e.g. for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corresponding wheel mounted receiver
    • B60C23/0442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comprising signal transmission means, e.g. for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corresponding wheel mounted receiver the transmitted signal comprises further information, e.g. instruction codes, sensor characteristics or identification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35Vehicle body mounted circuits, e.g. transceiver or antenna fixed to central console, door, roof, mirror or fender
    • B60C23/0444Antenna structures, control or arrangements thereof, e.g. for directional antennas, diversity antenna, antenna multiplexing or antennas integrated in fe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7/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tyre pressure or the pressure in other inflated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타이어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TPMS 센서 모듈; 각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압센서; 정압센서에 부착되어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부; TPMS 센서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타이어 압력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타이어의 압력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정압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검출값을 이용하여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가 좌측 타이어인지 또는 우측 타이어인지를 판단하는 리시버; 및 리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타이어의 정압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LF 이니시에이터 없이도 저압 발생한 타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이 장착된 차량에 있어서, 타이어의 위치(좌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은 타이어의 공기압을 모니터링하며 규정 공기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경고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타이어의 공기압이 너무 높거나 낮으면 타이어가 터지거나 차량이 쉽게 미끄러져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연료 소모량이 많아져 연비가 악화되고, 타이어 수명이 짧아질 뿐 아니라 승차감과 제동력도 많이 떨어진다.
이러한 타이어의 결함을 막기 위해 차량에 장착하는 안전장치가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이며, 타이어에 부착된 전파식별(RFID) 센서로 타이어의 압력과 온도를 감지한 뒤 이 정보를 운전석으로 보내 운전자가 실시간으로 타이어의 압력 상태를 점검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면 타이어의 내구성·승차감·제동력 향상은 물론, 연비도 높일 수 있고, 주행 중 차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것도 막을 수 있다.
이 시스템은 미국 법규로 제정되어지고 있으며, 여러 자동차 메이커와 부품 업체에서 개발 적용 중에 있다.
또한 현재 유럽 및 국내에도 옵션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법규 제정 또한 검토 중이므로 향후 기본 적용이 예상되는 시스템 중 하나이다.
한편 고급 사양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각 바퀴에 장착되는 TPMS 센서 모듈(10), TPMS 센서 모듈(10)의 위치(또는 타이어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LF 이니시에이터(20), TPMS 센서 모듈(10)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리시버(30) 및 표시장치(40)로 구성된다.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에 있어서 차량이 키 온(Key on)되면 리시버(30)는 각 LF 이니시에이터(20)를 통해 TPMS 센서 모듈(10)에 LF 신호를 송신하고, 이 신호에 의해 RF 신호를 송신하는 TPMS 센서 모듈(10)을 확인하여 각 TPMS 센서 모듈(10)의 위치를 판단한다.
그리고 차량의 타이어 공기압이 저하되면 리시버(30)는 TPMS 센서 모듈(10)로부터 받은 센서 ID와 공기압 정보를 통해 운전자에게 공기압 경보 및 해당 타이어의 위치를 표시장치(40)에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은 LF 이니시에이터(20)를 2~4개 장착하여 각각의 TPMS 센서 모듈(10)과 LF 통신을 함으로써 LF 이니시에이터(20)의 LF 필드(Field)에 대한 센서의 응답을 통해 TPMS 센서 모듈(10)의 위치를 판단해 왔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비교적 값이 비싼 2개 또는 4개의 LF 이니시에이터(20)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품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그에 따라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TPMS)의 원가 및 그를 적용하는 차량의 원가 상승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타이어의 정압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LF 이니시에이터 없이도 저압 발생한 타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4개의 타이어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TPMS 센서 모듈; 각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압센서; 정압센서에 부착되어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부; TPMS 센서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타이어 압력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타이어의 압력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정압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검출값을 이용하여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가 좌측 타이어인지 또는 우측 타이어인지를 판단하는 리시버; 및 리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좌측 타이어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부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압축되고,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이완된다.
또한, 우측 타이어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부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이완되고,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수축된다.
또한, 정압센서의 기준값은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스프링부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스프링부의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정압센서를 통해 검출된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정압센서는 스프링부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가 이완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구현되고, 리시버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한다.
또한, 리시버는 차량의 후진 주행 시,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한다.
또한, 정압센서는 스프링부가 이완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구현되고, 리시버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한다.
또한, 리시버는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한다.
본 발명은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타이어의 정압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LF 이니시에이터 없이도 저압 발생한 타이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타이어의 회전 방향(가속 방향)에 따른 정압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좌우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은 타이어의 공기압을 검출하여 무선 송신하는 4개의 TPMS 센서 모듈(110A~110D), 이 TPMS 센서 모듈(110A~110D)의 근처에 설치되는 4개의 정압센서(120A~120D), 이 TPMS 센서 모듈(110A~110D)로부터 타이어의 압력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해당 타이어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리시버(130) 및 리시버(1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타이어의 공기압 저하 및 시스템 이상 발생 시 경고등 점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140)를 포함한다.
TPMS 센서모듈(110A~110D)은 타이어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센서(미도시), TPMS 센서모듈(110A~110D)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미도시),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압력센서에 의해 검출된 타이어 압력과 관련된 무선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한다.
정압센서(120A~120D)는 TPMS 센서 모듈(110A~110D)의 근처에 장착되어 타이어의 회전 방향(가속 방향)에 따라 가변되는 검출값을 리시버(130)에 제공한다.
리시버(130)는 1개의 수신 안테나(132)와,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미도시)을 포함한다. 마이컴은 TPMS 센서 모듈(110A~110D)로부터 송신되는 타이어 압력 정보를 수신 안테나(132)를 통해 무선 수신하여 타이어의 압력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압력 이상인 타이어가 발생한 경우 표시장치(14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표시장치(140)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한다. 또한, 마이컴은 정압센서(120A~120D)로부터 전송 받은 검출값을 이용하여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가 좌측 타이어(FL, RL)인지 또는 우측 타이어(FR, RR)인지 판단하고,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와 위치 정보가 표시장치(140)에 함께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타이어의 회전 방향(가속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TPMS 센서 모듈(110A~110D)이 장착된 타이어가 좌측 타이어인지 우측 타이어인지를 판단한다.
표시장치(140)는 리시버(130)로부터 전송 받은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표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타이어의 회전 방향(가속 방향)에 따른 정압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타이어의 좌우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각 타이어에 내장된 TMPS 센서 모듈(110A~110D)의 위치 정보를 별도의 LF 이니시에이터 필요 없이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TPMS 센서 모듈(110A~110D) 또는 타이어의 좌우 위치를 간단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타이어의 내부에는 TPMS 센서 모듈(110A~110D) 외에 TPMS 센서 모듈(110A~110D)의 근처에 정압센서(120A~120D)가 설치된다. 정압센서(120A~120D)의 일면에는 탄성 부재(122A~122D)가 부착되고, 탄성 부재(122A~122D)의 일면에는 이동 부재(124A~124D)가 부착되고, 이동 부재(124A~124D)에는 스프링부(126A~126D)가 부착되며, 스프링부(126A~126D)의 단부에는 고정 부재(125A~125D)가 부착된다. 타이어가 회전(차량의 전진 또는 후진)하는 동안 이동 부재(124A~124D)는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타이어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 부재(124A~124D)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 부재(122A~122D)와 스프링부(126A~126D)는 이동 부재(124A~124D)의 이동 방향에 따라 압축되거나 이완된다. 여기서, 이동 부재(124A~124D)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122A~122D)가 이완되면 스프링부(126A~126D)는 수축되고, 반대로 이동 부재(124A~124D)의 이동 방향에 따라 탄성 부재(122A~122D)가 수축되면 스프링부(126A~126D)는 이완된다. 이 때, 정압센서(120A~120D)는 스프링부(126A~126D)의 압축 또는 이완에 따른 압력값을 검출한다.
또한, 타이어의 내부에는 TPMS 센서 모듈(110A~110D)과 정압센서(120A~120D)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128A~128D)가 설치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전방 좌측 타이어(FL)와 전방 우측 타이어(FR)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차량의 정차 시)의 타이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의 (B) 도면은 전방 좌측 타이어(FL)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의 (A) 도면은 전방 우측 타이어(FR)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측 타이어(FL)의 내부에는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터리(128B), TPMS 센서 모듈(110B), 정압센서(120B), 탄성 부재(122B), 이동 부재(124B), 스프링부(126B) 및 고정 부재(125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반면, 전방 우측 타이어(FR)의 내부에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터리(128A), TPMS 센서 모듈(110A), 정압센서(120A), 탄성 부재(122A), 이동 부재(124A), 스프링부(126A) 및 고정 부재(125A)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차량의 정차 시)에는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른 관성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 부재(124A, 124B)가 이동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좌우측 타이어의 스프링부(126A, 126B)에는 압축 또는 이완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스프링부(126A, 126B)는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한다.
도 3b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의 타이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전진 주행할 때에는 타이어의 회전(가속) 방향과 반대 방향의 관성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 부재(124A, 124B)에는 아래쪽을 향하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124A, 124B)는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3b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측 타이어(FL)의 내부에는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터리(128B), TPMS 센서 모듈(110B), 정압센서(120B), 탄성 부재(122B), 이동 부재(124B), 스프링부(126B) 및 고정 부재(125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122B)는 이완되고 이에 따라 이동 부재(124B)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부(126B)는 압축된다. 반면, 도 3b의 (A)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우측 타이어(FR)의 내부에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터리(128A), TPMS 센서 모듈(110A), 정압센서(120A), 탄성 부재(122A), 이동 부재(124A), 스프링부(126A) 및 고정 부재(125A)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122A)는 압축되고 이에 따라 이동 부재(124A)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부(126B)는 이완된다. 차량이 전진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아래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전방 좌측 타이어(FL) 내부의 스프링부(126B)는 압축되고, 전방 우측 타이어(FR) 내부의 스프링부(126A)는 이완된다. 정압센서(120A, 120B)는 스프링부(126A, 126B)의 압축 또는 이완에 따른 압력값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방 좌측 타이어(FL)에 장착된 정압센서(120B)의 검출값과 전방 우측 타이어(FR)에 장착된 정압센서(120A)의 검출값은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내게 된다.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즉, 차량의 정차 시 좌우측 타이어의 스프링부(126A, 126B)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정압센서(120A, 120B)를 통해 검출된 값(전압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스프링부(126A, 126B)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126A, 126B)가 이완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정압센서(120A, 120B)를 구현하면, 정압센서(120A, 120B)의 검출값에 따라 타이어의 좌우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정압센서(120A, 120B)의 기준값을 2.5V로 설정했을 때 차량이 전진 주행하는 경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예: 3.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반대로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예: 2.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게 된다. 물론,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즉, 차량의 정차 시 좌우측 타이어의 스프링부(126A, 126B)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정압센서(120A, 120B)를 통해 검출된 값(전압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스프링부(126A, 126B)가 이완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126A, 126B)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정압센서(120A, 120B)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정압센서(120A, 120B)의 기준값을 2.5V로 설정했을 때 차량이 전진 주행하는 경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예: 3.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반대로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예: 2.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게 된다.
도 3c는 차량의 후진 주행 시의 타이어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후진 주행할 때에는 타이어의 회전(가속) 방향과 반대 방향의 관성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 부재(124A, 124B)에는 위쪽을 향하는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124A, 124B)는 관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인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도 3c의 (B)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좌측 타이어(FL)의 내부에는 상부 방향에서 하부 방향으로 배터리(128B), TPMS 센서 모듈(110B), 정압센서(120B), 탄성 부재(122B), 이동 부재(124B), 스프링부(126B) 및 고정 부재(125B)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122B)는 압축되고 이에 따라 이동 부재(124B)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부(126B)는 이완된다. 반면, 도 3c)의 (A)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우측 타이어(FR)의 내부에는 하부 방향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터리(128A), TPMS 센서 모듈(110A), 정압센서(120A), 탄성 부재(122A), 이동 부재(124A), 스프링부(126A) 및 고정 부재(125A)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탄성 부재(122A)는 이완되고 이에 따라 이동 부재(124A)가 위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부(126B)는 압축된다. 차량이 후진 주행하는 경우, 타이어의 회전(가속)에 따라 위쪽 방향으로 발생되는 관성력으로 인해 전방 좌측 타이어(FL) 내부의 스프링부(126B)는 이완되고, 전방 우측 타이어(FR) 내부의 스프링부(126A)는 압축된다. 정압센서(120A, 120B)는 스프링부(126A, 126B)의 압축 또는 이완에 따른 압력값을 검출하기 때문에, 전방 좌측 타이어(FL)에 장착된 정압센서(120B)의 검출값과 전방 우측 타이어(FR)에 장착된 정압센서(120A)의 검출값은 서로 다른 값을 나타내게 된다.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즉, 차량의 정차 시 좌우측 타이어의 스프링부(126A, 126B)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정압센서(120A, 120B)를 통해 검출된 값(전압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스프링부(126A, 126B)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126A, 126B)가 이완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정압센서(120A, 120B)를 구현하면, 정압센서(120A, 120B)의 검출값에 따라 타이어의 좌우 위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정압센서(120A, 120B)의 기준값을 2.5V로 설정했을 때 차량이 후진 주행하는 경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예: 3.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반대로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예: 2.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게 된다. 물론,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즉, 차량의 정차 시 좌우측 타이어의 스프링부(126A, 126B)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정압센서(120A, 120B)를 통해 검출된 값(전압값)을 기준값으로 하고, 스프링부(126A, 126B)가 이완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스프링부(126A, 126B)가 수축하는 경우에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정압센서(120A, 120B)를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에는 정압센서(120A, 120B)의 기준값을 2.5V로 설정했을 때 차량이 후진 주행하는 경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예: 3.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반대로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예: 2.0V)을 출력하는 정압센서(120A)(120B)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게 된다.
이처럼 차량의 주행 시 각 타이어(FL, FR, RL, RR)의 회전 방향이나 운동 방향(차량이 전진 주행 중인지 아니면 후진 주행 중인지 여부)을 알게 되면 각 TPMS 센서 모듈(110A~110D)이 장착된 타이어의 위치가 좌측인지 우측인지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에는 총 4개의 타이어가 구비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좌측과 우측 타이어의 구별만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전방과 후방측 타이어의 구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들 수 있으나, 이는 간단하게 해결될 수 있다.
즉, 각 TPMS 센서 모듈(110A~110D)에서 송출하는 RF 신호는 거리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RF 신호를 수신받는 리시버(130)를 차체의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한다면, 당연히 전방측 바퀴와 후방측 바퀴 간의 거리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측 타이어의 TPMS 센서 모듈(110A, 110B)과 후방측 타이어의 TPMS 센서 모듈(110C, 110D)에서 송출하는 신호의 세기가 다르기 때문에 리시버(130)는 전방측 타이어인지 후방측 타이어인지에 대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110A~110D: TPMS 센서 모듈 120A~D: 정압센서
122A~122D: 탄성 부재 124A~124D: 이동 부재
125A~125D: 고정 부재 126A~126D: 스프링부
128A~128D: 배터리 130: 리시버(receiver) 140: 표시장치

Claims (8)

  1. 4개의 타이어 내부에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TPMS 센서 모듈;
    각 TPMS 센서 모듈의 근처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압센서;
    상기 정압센서에 부착되어 상기 타이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 또는 이완되는 스프링부;
    상기 TPMS 센서 모듈로부터 송신되는 타이어 압력 정보를 무선 수신하여 상기 타이어의 압력 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정압센서로부터 전송 받은 검출값을 이용하여 상기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가 좌측 타이어인지 또는 우측 타이어인지를 판단하는 리시버; 및
    상기 리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 이상이 발생된 타이어의 압력 정보와 위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타이어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부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압축되고,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이완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타이어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부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이완되고, 상기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수축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센서의 기준값은 상기 타이어가 회전하지 않을 때 상기 스프링부가 압축 또는 이완되지 않아 상기 스프링부의 원래 길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에 상기 정압센서를 통해 검출된 전압값으로 설정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센서는 상기 스프링부가 수축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상기 스프링부가 이완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리시버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압센서는 상기 스프링부가 이완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보다 큰 값을 검출하도록, 상기 스프링부가 수축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검출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리시버는 차량의 전진 주행 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는 차량의 후진 주행 시, 상기 기준값보다 큰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좌측 타이어로 판단하고, 상기 기준값보다 작은 전압값을 출력하는 상기 정압센서가 장착된 타이어를 우측 타이어로 판단하는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KR1020110092355A 2011-09-14 2011-09-14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33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355A KR101331781B1 (ko) 2011-09-14 2011-09-14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355A KR101331781B1 (ko) 2011-09-14 2011-09-14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51A KR20130029151A (ko) 2013-03-22
KR101331781B1 true KR101331781B1 (ko) 2013-11-21

Family

ID=4817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355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1781B1 (ko) 2011-09-14 2011-09-14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293B1 (ko) 2015-05-20 2016-09-30 (주)티에이치엔 타이어 공기압 측정모듈 및 타이어 공기 주입 밸브의 밸브 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202A (ja) 2000-03-15 2001-09-26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ー
JP2004523763A (ja) 2001-03-22 2004-08-05 キネティック リミテッド 応力センサ
KR100783953B1 (ko) 2006-12-08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압력감지 시스템의 공기압 센싱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4202A (ja) 2000-03-15 2001-09-26 Pacific Ind Co Ltd タイヤ空気圧センサー
JP2004523763A (ja) 2001-03-22 2004-08-05 キネティック リミテッド 応力センサ
KR100783953B1 (ko) 2006-12-08 2007-12-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 압력감지 시스템의 공기압 센싱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9151A (ko) 201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1335B2 (ja) 自動車用タイヤのトレッド溝深さ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472587B1 (en) Tire deformation detection
US6938467B2 (en) Transmitter of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US7212105B2 (en) Transmitter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EP1452349A2 (en) Transmitter of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and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US20110308310A1 (en) Load Based Wheel Position Determination
US114403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ire wear and defects
WO2002092364A2 (en) Vehicle and vehicle tire monitor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67431A (ko) 타이어 결함 경고 장치
US7236892B2 (en) Vehicle wheel sta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0783960B1 (ko)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의 감지센서 위치 확인장치 및 방법
US7116217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CN102529604A (zh) Tpms轮胎压力监测系统
JP2004535977A (ja) 遠隔タイヤ圧力監視システム
KR101331781B1 (ko) 타이어 압력 감지 시스템
KR101965964B1 (ko) 타이어와 휠 사이의 접촉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45014Y1 (ko) 타이어 공기압 측정용 압력센서 및 이를 구비한 타이어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JP2009292443A (ja) タイヤ空気圧警報装置
US8514063B2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having a test function for the sensor module
KR101720978B1 (ko) 타이어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92830B1 (ko) 좌우 타이어 구분이 가능한 tpms 센싱모듈
KR200450432Y1 (ko) 타이어 공기압 측정용 압력센서 및 이를 구비한 타이어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
JP4215586B2 (ja) ランフラット走行状態検知装置
KR100747355B1 (ko) 타이어압력감지시스템(tpms)의 타이어 위치 확인 장치
KR100794738B1 (ko) 타이어의 압력 및 진동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