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30023B1 - 덕트 클램프 - Google Patents

덕트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0023B1
KR101330023B1 KR1020120018755A KR20120018755A KR101330023B1 KR 101330023 B1 KR101330023 B1 KR 101330023B1 KR 1020120018755 A KR1020120018755 A KR 1020120018755A KR 20120018755 A KR20120018755 A KR 20120018755A KR 101330023 B1 KR101330023 B1 KR 101330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fixing
band
fixed
cei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256A (ko
Inventor
김강돈
Original Assignee
(주)에어피스
주식회사 투핸드플러스
(주)파라스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피스, 주식회사 투핸드플러스, (주)파라스,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filed Critical (주)에어피스
Priority to KR1020120018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0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0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덕트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를 위해 실내나 옥외에 설치되는 공기덕트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벽면이나 바닥, 천정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를 위해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시공되는 덕트를 감싸면서 덕트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로 2분할된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로 이루어지며,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의 마주보는 일단은 회전수단(13)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수단(14)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토록 구성된 고정부재(15) 및 고정부재(15) 고정밴드(11)의 외주면에 연결판(16)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연결판(16)의 일면에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17)이 구비된 지지부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덕트 클램프{DUCT CLAMP}
본 발명은 공기덕트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를 위해 실내나 옥외에 설치되는 공기덕트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벽면이나 바닥, 천정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덕트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기덕트를 클램프를 이용하여 벽면이나 바닥, 천정 등에 매물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관) 클램프(duct clamp)는 건물이나 기계 등에 덕트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높은 압력의 유체를 이송관, 가스관, 유압관, 공기흡배기관, 증기관 등 다양한 종류의 덕트를 고정 지지하도록 소정 간격에 설치되고, 지진, 진동 등 외부 환경에 대처하여 덕트를 견고하게 고정 지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덕트 클램프 중 특히 공기조화장치에 적용되는 덕트 클램프는 건물의 실내나 실외에 시공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덕트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공기조화에 사용되는 덕트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나 원형인 것이 있으나, 특히 원형으로 된 원통형의 덕트으로 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덕트 속을 흐르는 공기의 온도가 그 주위의 온도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어나는 열의 이동을 막고자 할 때는 덕트의 둘레에 단열재 등을 감기도 한다.
덕트의 재질로서는 보통 아연 철판재가 많이 쓰이지만, 때로는 염화비닐이나 유리섬유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 덕트를 이용하여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덕트를 조합 연결하는데, 특히 두 개의 덕트의 양단을 억지끼움으로 결합시켜야 한다. 이때 양단 간의 이음새 틈으로 공기, 열, 가스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연결되는 이음새 외주면을 클램프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조여 안정되게 결합시켜야 한다. 또한 클램프는 덕트를 천정이나 벽면, 바닥 등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데, 이 경우 클램프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지진이나 진동 등과 같은 충격 등에도 덕트와의 결속력이 유지되어야 한다.
여기서 선출원되어 이미 공개된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75788호(2011. 07. 06. 공개)의 '덕트용 클램프'는 수직판의 하단에 절곡된 수평으로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판의 하단 일부를 절개하여 고정판과 반대방향으로 절곡하여 고정판과 더불어 수직판을 지지하는 보강편을 구성하며, 상기 수직판의 중앙을 따내 덕트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안착부의 양측을 수평으로 절곡하여 연결편을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안착부에 대응하여 결속띠를 가지고 덕트를 결속하되, 일단에 구비된 결합편이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절개부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측에 구비된 고정편이 연결편과 맞대어져 볼트로 결합되는 결속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덕트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결속부재의 결합편을 돌려 지지부재의 절개부에 결합하고 볼트구멍에 나사를 체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지지부재가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해 결속부재에 결속된 덕트가 흔들릴 우려가 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85354호(2008. 09. 24. 공개)의 '덕트용 행거 클램프'는 덕트의 바깥둘레면을 감싸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원형상의 상하로 2분할된 상측밴드 및 하측밴드로 이루어지며, 상측밴드와 하측밴드의 마주하는 일단은 힌지부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된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상측밴드에 양측벽과 상판을 가지도록 일체로 돌출 형성된 돌출 고정부와, 상기 돌출 고정부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고 천정의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나사구멍을 가지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기술은 천정에 별도의 앵커볼트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상측밴드와 하측밴드 사이에 덕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측밴드의 고리걸이편에 하측밴드의 결합고리를 끼운 후 조작레버를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0619136호(2006. 08. 25. 등록공고)의 '덕트 지지장치'는 배선용 덕트 또는 전등용 덕트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행거 클램프에 있어서,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행거 클램프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1연결부재 및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연결부재의 상단에 결합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절곡된 연결편이 구비된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 및 제2연결부재의 연결편 사이에 앵글이나 형강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앵글이나 형강과 연결부재와의 결합이 불안정하여 외부충격으로 인해 행거 클램프가 상하로 움직이거나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행거 클램프 내에 덕트를 끼운 후 큰 힘으로 고정판의 위치를 조절하여 덕트를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3484호(2002. 07. 15. 등록공고)의 '공기덕트 고정용 클램프 구조'는 공기덕트 고정용 클램프 구조에 있어서, 고정밴드 내주면에 고정 구비되어 공기덕트 둘레에 밀착되는 탄성재의 보호부재와, 상측의 관통구멍을 향하도록 양측에 랜싱돌기가 절곡 형성되는 결합편과, 둘레가 상기 관통구멍 내에 위치되고 하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랜싱돌기 단부에 위치되는 결합너트가 더 구비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랜싱돌기 단부의 결합너트에 연결앵커를 결합해야 하고, 고정밴드 내에 덕트를 끼운 상태에서 랜싱돌기와 고정밴드를 나사 결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1-0075788호(2011. 07. 06. 공개) 국내 공개특허 제10-2008-0085354호(2008. 09. 24.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0619136호(2006. 08. 25. 등록공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83484호(2002. 07. 15. 등록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서 보이는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덕트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을 고정함으로써 시공시 철근 등의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을 뿐더러 시공 후에는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된 철근 등에 덕트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된 철근 등에 덕트를 견고히 고정하여 지진이나 진동과 같은 외부충격에도 덕트와 클램프와의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는, 공기조화를 위해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시공되는 덕트를 감싸면서 덕트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로 2분할된 고정밴드와 회전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밴드와 상기 회전밴드의 마주보는 일단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수단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토록 구성된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 고정밴드의 외주면에 연결판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의 일면에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이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밴드와 상기 회전밴드는 원형으로 성형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회전밴드의 일단에 외향지게 형성된 두 개의 지지편 사이에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일단에 외향지게 형성된 작동편의 상부에 힌지홈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힌지홈에 회전자재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홈의 입구에는 상기 힌지홈에 삽입된 힌지축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회전밴드의 타단에 수평지게 연장된 하부 체결판 상부에 후크가 상향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타단에 수평지게 연장된 상부 체결판에 체결공이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크와 상기 체결공과의 분리 결합으로 상기 회전밴드와 상기 고정밴드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밴드의 하부 체결판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상부 체결판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과 상기 나사공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으로 상기 회전밴드와 상기 고정밴드가 이중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판의 일면에 철근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된 두 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판은 하나의 철근을 동시에 끼울 수 있는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지지판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되는 철근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밴드와의 거리를 달리하여 인접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의 내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밴드와 상기 연결판의 연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리드가 상기 연결판의 일면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기 고정밴드까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덕트에 클램프를 이용하여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을 고정함으로써 시공시 철근 등의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을 뿐더러 시공 후에는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된 철근 등에 덕트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된 철근 등에 덕트를 견`고히 고정하여 지진이나 진동과 같은 외부충격에도 덕트와 클램프와의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클램프를 덕트에 고정한 후 이에 철근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는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5은 도4에 개시된 A-A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에 개시된 B-B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7은 도4에 개시된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8는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클램프를 덕트에 고정한 후 이에 철근을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는 공기조화를 위해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시공되는 덕트를 감싸면서 덕트에 고정되는 원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서 공기조화를 위한 덕트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15)와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 등의 위치를 잡아주는 지지부재(18)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덕트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덕트가 클램프를 통해 철근의 위치를 잡아주고, 시공 후에는 반대로 철근이 클램프를 통해 덕트를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형이나 직사각형 등의 형상의 고정부재(15)는 상하로 2분할된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의 마주보는 일단은 회전수단(13)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수단(14)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18)는 고정부재(15) 고정밴드(11)의 외주면에 연결판(16)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연결판(16)의 일면에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17)이 구비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덕트 클램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3에 의하면, 공기조화를 위해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시공되는 덕트를 감싸면서 덕트에 고정되는 원형상의 고정부재(15) 즉, 한 쌍의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는 원형의 덕트를 감싸기 용이하도록 원형으로 성형된 띠형상을 가진다. 물론, 덕트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 변형가능함은 당연하다.
상기 회전수단(13)은 고정부재(15) 즉,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를 덕트에 고정하기 위해 회전밴드(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전밴드(12)의 일단에 외향지게 형성된 두 개의 지지편(19) 사이에 힌지축(20)이 형성되고, 고정밴드(11)의 일단에 외향지게 형성된 작동편(21)의 상부에 힌지홈(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힌지축(20)을 힌지홈(22)에 회전자재토록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힌지홈(22)의 입구에 이탈 방지턱(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밴드(12)를 회전시킬 때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힌지홈(22)에 삽입된 힌지축(20)이 힌지홈(22)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탈 방지턱(23)으로 인해 힌지홈(22)의 입구가 힌지축(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지만 고정부재(15)를 포함하는 클램프가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힌지홈(22)에 힌지축(20)을 결합할 때 힘을 가해 누르면 힌지홈(22)의 입구가 벌어지면서 힌지홈(22)에 힌지축(20)이 결합된다. 이후 힌지홈(22)의 입구가 오므라지면서 힌지축(20)이 힌지홈(22)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체결수단(14)은 덕트에 고정부재(15) 즉,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를 설치한 후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밴드(12)의 타단에 수평지게 연장된 하부 체결판(24) 상부에 후크(25)가 상향지게 형성되고, 고정밴드(11)의 타단에 수평지게 연장된 상부 체결판(26)에 체결공(27)이 상하로 관통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크(25)와 체결공(27)과의 분리 결합으로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회전밴드(12)와 고정밴드(11)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4)과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되는 체결수단은 회전밴드(12)의 하부 체결판(24)에 나사공(28)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게 고정밴드(11)의 상부 체결판(26)에 관통공(29)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공(29)과 나사공(28)을 관통하는 나사 결합으로 회전밴드(12)와 고정밴드(11)를 다른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후크(25)와 체결공(27)을 포함하는 체결수단(14)은 필요시 분리 결합이 용이한 구조이고, 관통공(29)과 나사공(28) 그리고 나사로 이루어지는 체결수단은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를 장기간 혹은 영구적으로 견고히 체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물론, 위에서 말한 두 가지의 체결수단(14)은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수단(17)은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수직이나 수평 등과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판(16)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두 개의 지지판(31)이 수직으로 입설되어 철근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3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특히, 연결판(16)의 일면에 두 개의 지지판(31)이 하나의 철근을 동시에 끼울 수 있는 동일선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철근을 적은 힘으로도 끼움홈(30)에 끼울 수 있을 뿐더러 끼움홈(30)과 철근과의 결속력을 배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판(16)의 일면에 두 개의 지지판(31)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되는 철근을 끼울 수 있도록 고정밴드(11)와의 거리를 달리하여 인접되게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이격거리를 가지는 덕트와 철근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끼움홈(30)을 형성하는 지지판(31) 역시 위에서 설명한 힌지홈(22)을 형성하는 작동편(21)과 마찬가지로 내면에 이탈 방지턱(3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움홈(30)에 끼워진 철근이 끼움홈(30)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판(16)의 일면에 수직으로 입설된 보강리브(33)가 고정밴드(11)까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판 형상의 고정밴드(11)와 연결판(16)의 인장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클램프를 이용하여 덕트와 철근을 고정하였을 때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덕트와 철근의 고정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는다.
도4는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클램프를 덕트에 고정한 후 이에 철근을 수평으로 고정 설치하는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5은 도4에 개시된 A-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6은 도4에 개시된 B-B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7은 도4에 개시된 C-C선 확대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7에 의하면, 작업자는 천정이나 바닥, 벽면 등에 가설된 덕트(2)에 고정부재(15)의 고정밴드(11)를 댄 후 회전수단(13)의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밴드(12)를 회전시켜 고정밴드(11)와 맞닿도록 체결수단(14)의 후크(25)를 체결공(27)에 결합한다.
그후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상부 체결판(26)의 관통공(29)과 하부 체결판(24)의 나사공(28)에 나사를 결합하여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를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지부재(18)의 끼움홈(30)에 철근(1)을 끼워 철근을 수평지게 고정한다.
도8은 도1 내지 도3에 개시된 클램프를 덕트에 고정한 후 이에 철근을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시공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8에 개시된 시공과정은 도4에 개시된 시공과정을 동일하다. 다만, 도4에서는 철근(1)이 수평지게 고정되나, 도8에서는 철근(1)이 수직으로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도면에서 모두 도시하지 않았으나, 덕트(2)와 철근(1)의 설치방향에 맞게 클램프를 이용하여 덕트(2)와 철근(1)을 서로 연결 고정할 수 있다.
1 : 철근 2 : 덕트
11 : 고정밴드 12 : 회전밴드
13 : 회전수단 14 : 체결수단
15 : 고정부재 16 : 연결판
17 : 고정수단 18 : 지지부재
19 : 지지편 20 : 힌지축
21 : 작동편 22 : 힌지홈
23 : 이탈 방지턱 24 : 하부 체결판
25 : 후크 26 : 상부 체결판
27 : 체결공 28 : 나사공
29 : 관통공 30 : 끼움홈
31 : 지지판 32 : 이탈방지턱
33 : 보강리브

Claims (11)

  1. 공기조화를 위해 천정이나 바닥, 벽면에 시공되는 덕트를 감싸면서 덕트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하로 2분할된 고정밴드(11)와 회전밴드(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밴드(11)와 상기 회전밴드(12)의 마주보는 일단은 회전수단(13)에 의해 회전자재토록 연결되고, 타단은 체결수단(14)에 의해 분리 결합이 가능토록 구성된 고정부재(15); 및 상기 고정밴드(11)의 외주면에 연결판(16)이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결판(16)의 일면에 상기 천정이나 바닥, 벽면에 매몰 또는 고정되는 철근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17)이 구비된 지지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17)은, 상기 연결판(16)의 일면에 철근을 끼울 수 있는 끼움홈(30)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입설된 두 개의 지지판(31)으로 이루어지는 덕트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지판(31)은 하나의 철근을 동시에 끼울 수 있는 동일선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지지판(31)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하는 철근을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고정밴드(11)와의 거리를 달리 하여 인접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클램프.
  10. 삭제
  11. 삭제
KR1020120018755A 2012-02-24 2012-02-24 덕트 클램프 Active KR101330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55A KR101330023B1 (ko) 2012-02-24 2012-02-24 덕트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755A KR101330023B1 (ko) 2012-02-24 2012-02-24 덕트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6A KR20130097256A (ko) 2013-09-03
KR101330023B1 true KR101330023B1 (ko) 2013-11-18

Family

ID=4944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755A Active KR101330023B1 (ko) 2012-02-24 2012-02-24 덕트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6082B (zh) * 2016-07-12 2019-03-08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发动机设计研究所 一种可调节的对开式测试引线固定装置
KR102341728B1 (ko) 2017-03-21 2021-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500541B (zh) * 2018-12-19 2023-12-19 天津锋尚智慧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供热管道施工支护装置
KR102535867B1 (ko) * 2021-03-25 2023-05-26 박세준 에어컨 응축수 배수용 드레인박스
CN114688364B (zh) * 2022-04-25 2024-06-25 龚子强 一种用于水利工程建设管理的水利管道支撑连接结构
CN116658631B (zh) * 2023-06-06 2023-10-20 盐城市弘通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控制的封隔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420U (ja) * 1992-11-06 1994-05-31 株式会社マルサ フック付クランプ
JP2563544Y2 (ja) * 1991-06-04 1998-02-25 東洋化学株式会社 配管カバー用継手
KR200344283Y1 (ko) * 2003-12-12 2004-03-10 아이월드 주식회사 전선배관 보호장치
KR20110100071A (ko) * 2010-03-03 2011-09-09 (주) 영남메탈 파이프용 커플링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3544Y2 (ja) * 1991-06-04 1998-02-25 東洋化学株式会社 配管カバー用継手
JPH0640420U (ja) * 1992-11-06 1994-05-31 株式会社マルサ フック付クランプ
KR200344283Y1 (ko) * 2003-12-12 2004-03-10 아이월드 주식회사 전선배관 보호장치
KR20110100071A (ko) * 2010-03-03 2011-09-09 (주) 영남메탈 파이프용 커플링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256A (ko)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023B1 (ko) 덕트 클램프
US8011160B2 (en) Bracket and bridging member for metal stud wall
KR200451427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KR200429678Y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연결고정밴드
KR102010187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2082610B1 (ko) 특수커넥터를 이용한 논슬립 탈부착식 안전시트
KR101952388B1 (ko) 내진용 옥내소화전
KR101923628B1 (ko) 배관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KR20130048549A (ko) 관통슬리브
JP2015090199A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KR200427523Y1 (ko) 펜스구조물 조립용 클램프
KR200490331Y1 (ko) 건축물용 합성수지 하지틀
KR101686204B1 (ko) 입상배관 고정장치
KR100827604B1 (ko) 건축물용 전기단자함 구조
KR101206041B1 (ko) 각도 조절형 콘크리트 맨홀
KR100619136B1 (ko) 덕트 지지장치
KR20150004375U (ko) 입상관 고정장치
KR200446654Y1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 클램프
KR102168199B1 (ko) 안전로프 설치용 브라켓 조립체
KR101707559B1 (ko)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2052665B1 (ko) 수평유지력이 확보되는 조립식 온수온돌판넬
JP2015122859A (ja) ケーブル支持具
KR102010186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101965111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KR20110075788A (ko) 덕트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