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24972B1 -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4972B1
KR101324972B1 KR1020110067830A KR20110067830A KR101324972B1 KR 101324972 B1 KR101324972 B1 KR 101324972B1 KR 1020110067830 A KR1020110067830 A KR 1020110067830A KR 20110067830 A KR20110067830 A KR 20110067830A KR 101324972 B1 KR101324972 B1 KR 101324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hole
towing
towing plate
ship
installa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034A (ko
Inventor
안창면
정상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497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4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49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6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owing underwater objects or vessels, e.g. fairings for tow-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0Stern posts; Stern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66Tugs
    • B63B35/68Tugs for to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는 선체의 선미에 형성되는 예인부; 상기 예인부에 설치되는 예인플레이트; 상기 예인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키홀부; 상기 예인부에 형성되는 제2키홀부; 및 상기 제1키홀부와 제2키홀부를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towing plate to a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선박 각 부분별로 블록을 조립한 후 이를 도크(DOCK)에 이동시켜 조립함과 아울러 엔진을 탑재하고 여기에 내, 외장등을 조립하여 선박 건조를 완성하게 되는 바, 상기한 선박이 완성되면 도크에 물을 채워서 진수를 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블록 조립 시 선미의 상부 갑판 저면에는 다른 선박을 예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예인 장치가 설치되는 바, 상기한 예인 장치는 다른 선박을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권취할 수 있는 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예인장치가 설치되는 후방 선미에는 피예인 선박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는 예인플레이트(towing plate)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예인플레이트는 타 선박을 예인할 때, 예인선박 측 선미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예인되는 선박을 예인선박 선미에 붙여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예인플레이트는 선체에 용접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는, 예인상황이 아닌 평상시에도 선박에 예인플레이트를 부착하여 운항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예인플레이트를 볼트조립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한 예가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착탈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미국 특허공보 US 7,637,222 (2009. 12. 2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인플레이트의 착탈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인플레이트 설치 후, 고정핀을 결합함으로써, 축결합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결합부재의 제1키홀부에 커버를 결합시켜 체결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의 선미에 형성되는 예인부; 상기 예인부에 설치되는 예인플레이트; 상기 예인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키홀부; 상기 예인부에 형성되는 제2키홀부; 및 상기 제1키홀부와 제2키홀부를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인부는 선체의 선미 데크를 함몰시킨 설치홈을 이용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예인부는 선체의 선미에 연장되는 거치대를 이용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키홀부의 홀 크기와 제1키홀부의 홀 크기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결합부재는 상하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하부 스톱퍼; 및 상기 상/하부 스톱퍼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스톱퍼의 크기를 하부 스톱퍼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스톱퍼의 상면 회전중심에 회전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스톱퍼의 상면에 회전 방지를 위한 고정핀 관통홀이 형성될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홀부 주위 공간은 상기 예인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키홀부의 함몰된 주위공간에는 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인플레이트의 착탈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인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고정핀을 결합함으로써, 축결합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결합부재의 제1키홀부에 커버를 결합시켜 체결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결합부재를 제1키홀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결합부재를 제1키홀부 및 제2키홀부에 결합 후 회전시켜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예인플레이트 형성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는 크게 예인부(110), 예인플레이트(120), 제1키홀부(130), 제2키홀부(140), 축결합부재(150), 고정핀(160), 커버(1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예인부(110)는 선체의 선미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예인부(110)는 예인플레이트(120)를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선박의 선미 데크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예인플레이트(120)의 전방 선미 데크에는 윈치 등과 같은 견인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예인플레이트(120)는 소정두께를 갖는 판형 블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예인플레이트의 평면방향에서의 형상은 선체 전방쪽을 전단이라 하고, 선체 후방쪽을 후단이라고 했을 때, 전단테두리를 직선형태로 제작하고, 후단 테두리는 유선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후단의 유선형 중앙을 내부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함몰되는 홈부는 피예인선의 선수부분이 맞닿아 고정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예인플레이트(120)에는 제1키홀부(13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키홀부(130)는 장공홀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1키홀부(130)를 축결합부재(150)가 수직방향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축결합부재(150)의 하부 스톱퍼(153)가 예인부(110)에 형성된 제2키홀부(140)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키홀부(140)의 형상은 장공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2키홀부(140)와 제1키홀부(130)는 홀크기 및 홀 중심이 수직방향에 일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결합부재(150)는 상하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하부 스톱퍼(151, 153)와, 상기 상/하부 스톱퍼(151, 153) 사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연결축(1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축결합부재(150)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보면 "I"자 형상의 단면형태가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톱퍼(153)의 형상은 제1키홀부(130) 및 제2키홀부(14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를 좀더 작게 형성하여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상부 스톱퍼(151)의 크기(또는 면적)를 하부 스톱퍼(153)의 크기(또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부 스톱퍼(151)가 제1키홀부(130)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제1키홀부(130)의 주위공간을 예인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도록 함으로써, 상부 스톱퍼(151)가 표면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키홀부(130)의 주위 공간을 상부 스톱퍼(151)가 회전했을 때,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여유공간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결합부재를 제1키홀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인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키홀부(130)와 예인부(110)에 형성된 제2키홀부(140)를 차례로 축결합부재(150)의 하부 스톱퍼(153)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부 스톱퍼(153)와 연결축(155)으로 결합된 상부 스톱퍼(151)는 제1키홀부(130)를 관통하지 않고 걸쳐진 상태가 된다. 즉, 상부 스톱퍼(151)는 제1키홀부(130)에 걸쳐진 상태에서 고정핀(160)을 삽입하여 예인부(110)와 예인 플레이트(12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스톱퍼(151)의 상면 회전중심에는 공구홈(151a)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구 등을 이용해 도 3에서와 같이 축결합부재(150)가 회전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결합부재(150)를 제1키홀부(130) 및 제2키홀부(140)에 결합 후 회전시켜 고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축결합부재(150)가 제1키홀부(130) 및 제2키홀부(140)에 대해서 90도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예인부(110) 및 예인플레이트(120)로부터 축결합부재(1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치대 및 예인플레이트 사이의 결합을 지속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재(150)는 대형구조물로서, 작업자의 힘으로 돌릴 수 없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공구를 이용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재(1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업공구는 지랫대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작업공구의 끝단을 끼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 스톱퍼(151)의 상면 회전중심에 공구홈(151a)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구홈(151a)의 형태는 작업공구의 결합단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스톱퍼(151)의 상면에는 예인플레이트(120)의 연결작업이 완료된 후, 축결합부재(150)의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 관통홀(151b)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핀 관통홀(151b)에 고정핀(160)을 관통시켜 축결합부재(15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핀(160)은 고정핀 관통홀(151b)을 관통하여 제1키홀부(130) 주변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홀(131)에 끼워짐으로써, 축결합부재(15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키홀부(13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커버(170)를 결합시켜 결합구조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70)는 상기 제1키홀부(130) 주위의 함몰된 공간과 같은 크기로 제작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이드부(미도시)가 상기 커버(17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1키홀부(130)의 주변에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홈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예인플레이트 형성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 데크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미 데크에서 일정깊이 함몰된 설치홈(111)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의 선미에 연장되는 거치대(113)를 이용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의 (b) 또는 (c)와 같이 상기 예인플레이트(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축결합부재(150)는 상기 예인플레이트(120)의 상면뿐 만 아니라 상기 예인플레이트(120)가 선체와 맞닿는 측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예인플레이트(120)가 상기 예인부(11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예인플레이트의 착탈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인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고정핀을 결합함으로써, 축결합부재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고, 축결합부재의 제1키홀부에 커버를 결합시켜 체결구조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마감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을 간결하게 할 수 있다.
110: 예인부 111: 설치홈
113: 거치대 120: 예인 플레이트
130: 제1키홀부 131: 고정핀 삽입홀
140: 제2키홀부 150: 축결합부재
151: 상부 스톱퍼 151a: 공구홈
151b: 고정핀 관통홀 153: 하부 스톱퍼
155: 연결축 160: 고정핀
170: 커버

Claims (11)

  1. 선체의 선미에 형성되는 예인부;
    상기 예인부에 설치되는 예인플레이트;
    상기 예인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키홀부;
    상기 예인부에 형성되는 제2키홀부; 및
    상기 제1키홀부와 제2키홀부를 수직 관통하여 결합되는 축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축결합부재는 상하 마주보도록 이격된 상/하부 스톱퍼와 상기 상/하부 스톱퍼를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톱퍼가 상기 제1키홀부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하부 스톱퍼가 상기 제2키홀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결합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부는 선체의 선미 데크를 함몰시킨 설치홈을 이용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부는 선체의 선미에 연장되는 거치대를 이용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홀부의 홀 크기와 제2키홀부의 홀 크기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홀부 및 상기 제2키홀부는 장공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톱퍼의 크기를 하부 스톱퍼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톱퍼는 상면 회전중심에 회전용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공구홈을 포함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톱퍼의 상면에 회전 방지를 위한 고정핀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홀부 주위 공간은 상기 예인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키홀부의 함몰된 주위 공간에는 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KR1020110067830A 2011-07-08 2011-07-08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324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30A KR101324972B1 (ko) 2011-07-08 2011-07-08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830A KR101324972B1 (ko) 2011-07-08 2011-07-08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34A KR20130006034A (ko) 2013-01-16
KR101324972B1 true KR101324972B1 (ko) 2013-11-05

Family

ID=47837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8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324972B1 (ko) 2011-07-08 2011-07-08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4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339A1 (en) * 2015-02-23 2016-09-01 Mascull, Roger Thomas Locking system
KR102119976B1 (ko) * 2018-11-29 2020-06-16 현대건설주식회사 위치이동, 유지관리, 극한하중 회피가 가능한 부유식 구조물의 해상연결장치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845A (en) 1989-06-30 1991-01-29 Itc, Incorporated Ski tow fixture
US7637222B1 (en) * 2006-12-18 2009-12-29 Robert Sean Keely Mooring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fast a water craft
KR20100011190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은진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뚜껑
JP2010196791A (ja) 2009-02-25 2010-09-09 Nissan Motor Co Ltd ねじ式ロック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7845A (en) 1989-06-30 1991-01-29 Itc, Incorporated Ski tow fixture
US7637222B1 (en) * 2006-12-18 2009-12-29 Robert Sean Keely Mooring device, and method for holding fast a water craft
KR20100011190A (ko) * 2008-07-24 2010-02-03 주식회사 은진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뚜껑
JP2010196791A (ja) 2009-02-25 2010-09-09 Nissan Motor Co Ltd ねじ式ロック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34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6015B1 (en) Anchor point
KR101324972B1 (ko) 선박용 예인플레이트 설치구조
CN105866765A (zh) 多波束声呐探头船首安装装置与方法
KR20110133214A (ko) 선박용 페어리드
KR20110090680A (ko) 수심 측량기의 선박 설치용 장치
US7992262B2 (en) Flush cleat
KR20140014885A (ko) 헬리콥터 고정 장치
CN205581294U (zh) 多波束声呐探头船首安装装置
KR101613216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의 앵커링 시스템
KR101346398B1 (ko) 드릴쉽 문풀용 개폐 커버
EP2470420B1 (en) Marine housing for a submersible instrument
KR101008880B1 (ko) 멀티빔 음향 측심기 트랜스듀서 장착구
EP2902573A1 (en) Locking device with security clamp and such a security clamp
KR101291055B1 (ko) 해상 구조물용 체인 고정장치
KR101487943B1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JPH0635904Y2 (ja) 繋留装置
KR20160037257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선수부의 불워크 구조
KR20160002060U (ko) 선박 위성 안테나 고정용 포스트
KR20150003002U (ko) 선박 스러스터 터널 액세스 장치
US20170349255A1 (en) Outboard motor mount and side-mount accessory adapter
KR20120122365A (ko) 드릴 쉽의 캐니스터 록킹 핀 설치장치
KR20150089285A (ko) 쇄파 기능을 겸비한 트롤리 레일 서포트의 리세스 지지구조 및 그 지지구조를 갖는 트롤리 레일 서포트
KR200483529Y1 (ko) 리프트 장비의 스틸 와이어 로프 가이드용 가이드 파이프의 상부 서포트 장치
US91451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 transducer to a vessel
KR200495570Y1 (ko) 선박 시설물 부착용 자석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