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315018B1 -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018B1
KR101315018B1 KR1020120097914A KR20120097914A KR101315018B1 KR 101315018 B1 KR101315018 B1 KR 101315018B1 KR 1020120097914 A KR1020120097914 A KR 1020120097914A KR 20120097914 A KR20120097914 A KR 20120097914A KR 101315018 B1 KR101315018 B1 KR 101315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astic
connector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6377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1501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1020120097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암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본체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는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 HOUSING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의 단자핀은 암 커넥터의 터미널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단자핀과 터미널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암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 커넥터의 웨이퍼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기존에는 탄성암이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일단부만 본체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구조에 따를 경우, 탄성암이 웨이퍼에 삽입된 상태로 있다 보면 탄성이 유지되지 못하여 하우징이 웨이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하우징에는 터미널이 장착되어 전선과 단자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에 삽입된 터미널은 전선이 당겨졌을 때 하우징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 웨이퍼와의 체결력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하우징은, 내부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암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본체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는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암은 역삽(逆揷)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상기 탄성암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연속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체결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선과 결합되는 터미널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가 구비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터미널의 걸림턱이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벤딩된 후 상기 본체의 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단부가 상기 탄성부와 이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이루는 상기 누름부의 내측벽에는 지지벽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전선과 상대 커넥터의 단자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전선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핀이 수용 가능하도록 공간을 이루고 수용되는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부의 양단부는 본체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므로, 탄성부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부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의 양단부는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져, 일단부만 본체에 연결되어 탄성 변형되는 기존의 탄성암에서 발생하였던 커넥터 빠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형성하는 본체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개구부에 수용되는 터미널의 걸림턱이 걸림되도록 이루어지는바, 터미널이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암 커넥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암 커넥터의 전면도.
도 6은 도 1의 터미널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8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터미널의 단면도.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터미널의 저면을 바라본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암 커넥터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100, 200)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200)의 단자핀(220)은 암 커넥터(100)의 터미널(140)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수 커넥터(200)는 웨이퍼(210) 및 단자핀(220)을 포함한다.
웨이퍼(210)는 수 커넥터(2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웨이퍼(210)에는 암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을 수용하도록 공간을 이루는 수용부(211)가 구비된다.
단자핀(220)은 수용부(211) 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암 커넥터(100)가 수용부(211)에 삽입되면 암커넥터(100)의 터미널(140)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단자핀(220)은, 예를 들어, 한 열당 9개의 핀을 구비하고 두 열이 한 세트로 이루어진 총 16개의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웨이퍼(210)의 양측에는 체결홈(212)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이 수용부(211)에 삽입되면 암 커넥터(100)의 걸림돌기(133)는 체결홈(212)에 걸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 구조를 통하여 암 커넥터(100)는 수 커넥터(200)와 결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암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및 터미널(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암 커넥터(100)의 외관을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211)에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부(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110)은 본체(120) 및 탄성암(130)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20)에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장착부(121)가 형성되며, 터미널(140)은 전선(150)과 결합된 상태로 장착부(121)에 삽입, 체결된다. 터미널(140)은 장착부(121)의 전면을 통하여 삽입되는 단자핀(220)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다. 터미널(140)은 상·하에 각각 일렬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암(130)은 본체(1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12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탄성암(130)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하우징(110)과 웨이퍼(210)와의 결합 구조[예를 들어, 걸림돌기(133)가 체결홈(212)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통하여 암 커넥터(100)는 수 커넥터(2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웨이퍼(210)와의 체결력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하우징(1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암 커넥터(100)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암 커넥터(100)의 전면도이다.
도 4 및 5를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탄성암(130)은 탄성부(131) 및 누름부(132)를 포함한다.
탄성부(131)는 본체(120)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본체(12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된다. 탄성부(131), 구체적으로 본체(120)의 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부분은 외력을 받으면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탄성부(131)에는 수 커넥터(200)의 체결홈(212)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33)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132)는 탄성부(131)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누름 조작을 통하여 탄성부(131)를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누름부(132)는 탄성부(131)의 후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이 수용부(211)에 수용되었을 때 웨이퍼(210)의 양측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누름부(132)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1)의 양단부는 본체(120)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연결되므로, 탄성부(131)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누름부(132)의 누름 조작시 탄성부(131)의 양단부는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단부만 본체에 연결되어 탄성이 상실되는 기존의 탄성암에서 발생하였던 커넥터 빠짐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탄성부(131)는 본체(120)의 측면과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한다. 본체(120)와 탄성부(131)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1)의 양단부는 본체(120)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연속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본체(120)와 탄성암(131)의 연결 부분에 단차가 없는 심플한 하우징(110)이 제공될 수 있다.
본체(120) 좌우측에 배치되는 탄성암(130)은 역삽(逆揷)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와 같이, 탄성암(130)은 서로 다른 크기,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211)의 양측면 및 체결홈(212)의 형태도 탄성암(13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미널(140)이 하우징(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터미널(14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3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체(120)에는 전선(150)과 결합되는 터미널(140)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122)가 구비된다. 록킹부(122)는 개구부(122a) 및 걸림돌기(122b)를 포함한다.
개구부(122a)는 터미널(140)의 걸림턱(143)이 수용 가능하도록 본체(120)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개구부(122a)는 본체(12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장착부(121)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22b)는 개구부(122a)를 형성하는 본체(120)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걸림턱(143)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터미널(140)은 제1연결부(141), 제2연결부(142) 및 걸림턱(143)을 포함하며, 이들은 금속 시트가 벤딩 및 절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연결부(141)는 전선(150)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1연결부(141)는 제1고정부(141a) 및 제2고정부(141b)를 구비한다. 제1고정부(141a)는 전선(150)의 피복부(151)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고정부(141b)는 제2연결부(142)와 제1고정부(141a) 사이에 배치되고, 피복부(151)가 벗겨져 노출되는 코어부(152)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제2연결부(142)는 제1연결부(141)로부터 연장되어 단자핀(220)이 수용 가능하도록 공간을 이루고, 수용되는 단자핀(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연결부(142)는 단자핀(220)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연결부(141)와 제2연결부(142)가 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장착부(121)에 장착되는 구조를 일 예로서 보이고 있다.
걸림턱(143)은 제1연결부(141)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개구부(122a)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걸림턱(143)은 개구부(122a)에 삽입되기 전에 장착부(121)를 관통하는 동안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걸림턱(143)은 개구부(122a)에 삽입되면 걸림돌기(122b)에 걸림되어 터미널(140)이 하우징(1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걸림턱(143)은 제1벤딩부(143a) 및 제2벤딩부(1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벤딩부(143a)는 제2연결부(142)의 일측이 벤딩되어 형성된다. 제2벤딩부(143b)는 제2연결부(142)의 타측이 벤딩되어 형성되고, 단부가 제1벤딩부(143a)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벤딩부(143a, 143b)는 제2연결부(142)와 함께 폐루프를 이루는 수용부(144)를 형성한다. 터미널(140)이 장착부(121)에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턱(143)은 개구부(122a)에 삽입되고 걸림돌기(122b)는 수용부(144) 내에 수용된다. 이러한 걸림 구조에 의하여, 터미널(140)은 본체(1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전선(150)이 당겨지더라도 본체(12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도 10은 도 6의 터미널(140)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 도시된 터미널(140)의 저면을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제2연결부(142)는 제1접촉부(142a)와 제2접촉부(142b)를 포함한다.
제1접촉부(142a)는 단자핀(220)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142)의 양측은 단자핀(220)을 덮도록 각각 벤딩되고, 벤딩된 각 부분이 단자핀(220)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접촉부(142a)를 형성함으로써, 두 지점에서 단자핀(220)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142b)는 제1접촉부(142a)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단자핀(220)의 타측과 접촉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접촉부(142b)는 제2연결부(142)의 저면이 절개 및 내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부(142b)는 단자핀(220)을 가압하여 제1 및 제2접촉부(142a, 142b)에 의하여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접촉부(142a)가 두 지점에서 단자핀(220)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경우, 단자핀(220)이 제2접촉부(142b)와 추가적으로 접촉되어 적어도 총 세 지점에서 접촉 및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접촉부(142b)는 고정부(142b-1), 가압부(142b-2) 및 이탈방지부(142b-3)를 포함한다.
고정부(142b-1)는 제2연결부(142)가 절개되어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고정된다. 고정부(142b-1)의 양측면은 제2연결부(142)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주보는 제2연결부(142)의 양측면과 각각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가압부(142b-2)는 고정부(142b-1)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일 지점에서 제2연결부(142)의 내측으로 벤딩되어 단자핀(220)을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단자핀(220)은 가압부(142b-2)에 의해 가압되어 제1접촉부(142a)에 보다 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탈방지부(142b-3)는 가압부(142b-2)로부터 연장되며, 제2연결부(142)의 내측면에 지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이탈방지부(142b-3)는 제2연결부(142) 중 절개되어 가압부(142b-2)를 형성하는 부분에 지지될 수 있도록 가압부(142b-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2연결부(142)의 내측으로 벤딩된 제2접촉부(142b)는 단자핀(220)과의 접촉에 의해 밀려나더라도 제2연결부(142)의 내측면에 의하여 지지되어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암 커넥터(100')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선 암 커넥터(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암 커넥터(100')의 하우징(110')은 탄성암(130')을 제외하고는 기존의 일반적인 하우징과 동일·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120')에는 기존의 터미널(140')이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131')는 본체(120')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돌출된 탄성부(131')는 'U'자 형태로 벤딩된 후, 본체(12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본체(12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본체(120')의 전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탄성부(131')의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 탄성암(130')의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누름부(132')에는 누름부(132')의 단부가 탄성부(131')와 이격되도록 홈(132a')이 형성된다. 홈(132a')의 형성으로 인하여, 누름부(132')는 일 지점에서 벤딩되는 'ㄴ'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홈(132a')을 이루는 누름부(132')의 내측벽에는 지지벽(132b')이 형성되어 누름부(132')가 조작될 때 누름부(132')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내부에 전선이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암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본체의 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외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향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는 탄성 변형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선과 결합되는 터미널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부가 구비되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터미널의 걸림턱이 수용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걸림턱이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본체의 내벽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역삽(逆揷)을 방지하도록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탄성암은 사출 성형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양단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연속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상대 커넥터의 체결홈에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벤딩된 후 상기 본체의 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누름부의 단부가 상기 탄성부와 이격되도록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이루는 상기 누름부의 내측벽에는 지지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하우징.
  10.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어 전선과 상대 커넥터의 단자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전선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단자핀이 수용 가능하도록 공간을 이루고, 수용되는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면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에 걸림되도록 이루어지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20097914A 2012-09-04 2012-09-04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315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4A KR101315018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4A KR101315018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018B1 true KR101315018B1 (ko) 2013-10-02

Family

ID=4963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14A KR101315018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0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317A (zh) * 2017-10-19 2018-03-23 王燕军 一种母头连接器、公头连接器及组合
CN114447668A (zh) * 2022-01-10 2022-05-06 东莞市英联电子有限公司 一种带扣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014A (en) * 1991-02-1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Male connector
JP3457166B2 (ja) * 1997-11-27 2003-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200454693Y1 (ko) * 2009-04-08 2011-07-19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4014A (en) * 1991-02-12 1993-10-19 Yazaki Corporation Male connector
JP3457166B2 (ja) * 1997-11-27 2003-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KR200454693Y1 (ko) * 2009-04-08 2011-07-19 주식회사 연호전자 전기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34317A (zh) * 2017-10-19 2018-03-23 王燕军 一种母头连接器、公头连接器及组合
CN107834317B (zh) * 2017-10-19 2024-03-29 王燕军 一种母头连接器、公头连接器及组合
CN114447668A (zh) * 2022-01-10 2022-05-06 东莞市英联电子有限公司 一种带扣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546B1 (ko) 커넥터 터미널
JP5563241B2 (ja) 電気コネクタ
US999163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housing side wall with resilient inner arm and stationary outer arm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8241063B2 (en) Connector having a body with a positioning projection engaging a positioning depression on a shield case
US2019029649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7402087B2 (en) Electric connector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8851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53415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CN111029848B (zh) 防水连接器
KR101315018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707144B1 (ko) 커넥터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1158972B2 (en) Socket connector assembly
CN217306798U (zh) 电连接器
US20180145440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ing module structure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KR102005586B1 (ko) 커넥터 모듈
KR101654573B1 (ko) 커넥터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JP6172760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88404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quipped with enhanced locking mechanism there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