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149B1 -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1149B1 KR101301149B1 KR1020110139774A KR20110139774A KR101301149B1 KR 101301149 B1 KR101301149 B1 KR 101301149B1 KR 1020110139774 A KR1020110139774 A KR 1020110139774A KR 20110139774 A KR20110139774 A KR 20110139774A KR 101301149 B1 KR101301149 B1 KR 1013011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case
- unit
- diaphragm
- pow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46B13/023—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with means for inducing vibration to the brist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04—With mechanical drive, e.g. spring mechanism or vibrating unit being hit for starting vibration and then applied to the body of a patien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부를 내장한 케이스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며, 케이스 내측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와 결합하여 진동발생부에서 발생한 진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것으로, 케이스의 내측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진동전달부와; 상기 진동전달부에 고정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접촉부재와; 상기 진동전달부와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전동전달부를 케이스내에 지지함과 아울러 진동전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케이스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로 거의 건너가지 않으므로, 진동의 불필요한 소모가 없어 작동이 매우 효과적임은 물론, 진동모터의 부하가 작아 진동모터 및 배터리의 수명이 길고, 특히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에 어뎁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동 목적물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로 거의 건너가지 않으므로, 진동의 불필요한 소모가 없어 작동이 매우 효과적임은 물론, 진동모터의 부하가 작아 진동모터 및 배터리의 수명이 길고, 특히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에 어뎁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동 목적물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化粧)용으로 사용되는 파우더는 주로 여성들의 얼굴을 커버하여, 이를테면 기미나 잡티를 가려주고 피부의 결점을 보완함은 물론 먼지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여 피부건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파우더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예컨대 용기에 담겨져 있는 파우더를 묻혀 얼굴이나 피부에 옮겨 바르는 타입에서부터, 퍼프가 용기에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용기자체를 얼굴에 가볍게 두드려 용기내의 파우더가 퍼프를 통과해 얼굴에 발라지게 하는 타입의 것도 있다.
상기한 첫 번째 옮겨 바르는 타입의 방식에 있어서도, 납작한 퍼프를 손가락에 끼우고 파우더를 묻혀 얼굴에 두드리는 것도 있고, 진동모터를 내장한 이른바 진동식 퍼프도 개발되어 있다.
도 1은 진동식 퍼프로 불리우는 종래의 메이크업용 진동발생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메이크업용 진동발생장치(11)는, 내부공간(17)을 제공하고 하부로 개방되며 하단부에 캡(21)이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디스크형 지지플레이트(19)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9)의 대략 중앙부에 지지되며 하부로 연장되어 있는 진동모터(29)와, 상기 진동모터(29)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7) 및 회로기판(25)과, 상기 캡(21)에 끼워지며 케이스(13)의 외부에 위치하는 스폰지(23)로 구성된다.
상기 진동모터(29)는 피복(31)에 감싸인 상태로 상기 스폰지(23)의 내부로 삽입되어, 스폰지(23)와 결합한다.
도면부호 15는 상기 진동모터(29)를 온오프 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도면부호 33은 배터리의 전기를 진동모터(29)로 보내는 전력선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진동발생장치(1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5)를 온(on)시키면, 상기 진동모터(29)가 배터리(27)의 전기를 받아 진동하며 상기 스폰지(23)를 진동시킨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진동발생장치(22)는, 진동모터(29)에서 출력된 진동 중 많은 부분이 스폰지(23)의 바닥면(23a)으로 전달되지 않고, 케이스(13)로 빠져나가 소멸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바닥면(23a)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스폰지(23)의 바닥면(23a)으로 전달되어야 할 진동의 많은 부분이 케이스(13)로 전달되어 소멸된다는 것이다. 배터리의 전기를 소모하며 기껏 발생한 진동이 원래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것이다.
이는 상기 진동모터(29)가 지지플레이트(19)에 고정되어 있고, 지지플레이트(19)가 케이스(13)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9)가 진동모터(29)와 케이스(13)를 연결하는 음교(音橋)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9)를 통과해 소멸되는 진동 이외에도, 상기 스폰지(23)로 전달된 진동력도 그 일부가 캡(21)을 통해 케이스(13)로 이동하여 없어진다. 이는 케이스(13)가 스폰지(23)에 직접 물려 한 몸체를 이루기 때문에 즉, 스폰지(23)가 케이스(13)에 대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결국, 상기 진동모터(29)에서 발생한 진동 중의 일부분만이 스폰지(23)의 바닥면(23a)에 도달하여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피부에 전달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메이크업용 진동발생장치(11)는, 진동모터(29)에서 발생한 진동의 일부분만이 상기 바닥면(23a)에 도달해 사용될 뿐이고, 대부분의 진동은 상기 바닥면(23a) 까지 이동하지 않고 케이스(13)를 통해 외부로 소멸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상기 진동모터(29)의 출력을 키우기도 하지만, 진동모터(29)의 출력을 키우면 케이스(13)의 내부공간이 좁아지고 더욱이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진다.
또한 케이스(13)가 진동하므로, 화장 중 케이스(13)를 잡고 있는 손에 진동이 전달되어 불쾌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스위치(15)를 누르는 순간 발생한 진동에 의해 깜짝 놀라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로 거의 건너가지 않으므로, 진동의 불필요한 소모가 없어 진동사용 효율이 매우 높음은 물론, 진동모터의 부하가 작아 진동모터 및 배터리의 수명이 길고, 특히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에 어뎁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동 목적물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은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전원부를 내장한 케이스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며, 케이스 내측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진lk동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와 결합하여 진동발생부와 함께 진동하며 케이스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와; 상기 진동전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접촉부재와; 상기 진동전달부와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진동전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케이스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부는, 케이스의 내측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진동차단수단을 통해서만 케이스내에 유지되고, 상기 진동차단수단은; 상기 케이스와 진동전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발생부의 작동시 진동전달부가 케이스의 내측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서로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습동공간을 제공하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습동공간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전달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동전달부에는, 상기 접촉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진동전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어뎁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그 일측에 관통구멍을 갖는 구획판과; 상기 케이스내의 상부공간에 설치되는 전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전력선에 접속하되, 구획판 및 케이스의 내측부와 이격되어 전력선에 매달린 형태를 취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를 그 상면에 수용 고정한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케이스의 내측부 사이에 위치하며, 진동판을 케이스내에 유지시킴과 아울러 진동판의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어뎁터와; 상기 어뎁터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며 피부에 도포물질을 도포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진동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로 거의 건너가지 않으므로, 진동의 불필요한 소모가 없어 진동사용 효율이 매우 높음은 물론, 진동모터의 부하가 작아 진동모터 및 배터리의 수명이 길고, 특히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에 어뎁터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동 목적물을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사용범위가 넓다.
도 1은 종래의 메이크업용 진동발생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적용된 진동판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진동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진동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진동판에 끼워지는 어뎁터 및 스폰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진동판에 끼워지는 다른 형태의 어뎁터 및 진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확대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9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제 2실시예에 적용된 진동판을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진동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진동판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진동판에 끼워지는 어뎁터 및 스폰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진동판에 끼워지는 다른 형태의 어뎁터 및 진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4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41)는, 내부공간(45)을 제공하며 하부로 개방된 케이스(43)와, 상기 케이스(43)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공간(45)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47)과, 상기 구획판(47)에 고정되는 전원부(49)와, 상기 전원부(49)를 작동시키는 스위치(1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획판(47)의 하부에는, 상기 전원부(49)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진동모터(29)와, 상기 진동모터(29)를 수용 고정하며 진동모터(29)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판(53)과, 상기 진동판(53)의 하부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피부와 접하며 도포물질을 피부에 도포하는 진동부재(65)와, 상기 진동판(53)을 구획판(47)의 하부에 유지하되 진동판(53)의 진동이 케이스(4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진동차단부(55)가 구비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43)는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으로서 그 하단부에 홀더링(43a)을 갖는다. 상기 홀더링(43a)은 케이스(43)의 일부분으로서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43)에 대한 홀더링(43a)의 결합방식은 나사결합 이외의 다른 결합방식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9)는, 배터리(27)와 회로기판(25)을 내장한 것으로서, 스위치(15)를 온오프 함에 따라 상기 진동모터(29)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부(49)에 있어서 배터리(27)와 회로기판(25)을 분리하여 배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전원부(49)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선(33)은, 구획판(47)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47a)을 통과해 하부로 연장되며 구획판(47) 하부에서 진동모터(29)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진동모터(29)는 구획판(47)의 하부에 위치하되 케이스(43)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오직 진동판(53)에만 결합한다. 즉 상기 케이스(43) 내부의 어떤 구조체나, 케이스(43)의 내벽면이나, 구획판(47) 등에 접촉하거나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진동판(53)을 케이스(43)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진동모터(29)는 전력선(33)에 매달린 상태로 흔들거릴 것이다. 이와같이 진동모터(29)가 전력선(33)에 매달린 상태라 하더라도, 스위치(15)를 온(on) 시켰을 때 진동모터(29)가 작동해 진동을 발생함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진동발생장치(11)의 경우 진동모터(29)가 견고히 지지플레이트(19)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53)은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일정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 중앙부에 진동모터(29)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모터홀더(53a)를 갖는다.
상기 진동판(53) 을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진동판(53)의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상기한 진동판(53)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한 진동판(53)의 측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진동판(53)은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상면 중앙에 모터홀더(53a)를 갖는다. 상기 모터홀더(53a)는 상기 진동모터(29)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것으로서, 네 개가 상호 마주하며 그 사이에 진동모터를 수용할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각 모터홀더(53a)는 전후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내측면 상단부에 돌기(53f)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모터홀더(53a)의 사이에 진동모터(29)를 압입하면, 진동모터(29)가 돌기(53f)를 지나는 순간, 모터홀더(53a)가 약간 뒤로 물러선 후 앞으로 복원되어, 상기 돌기(53f)가 진동모터(29)를 이탈되지 않도록 하향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모터홀더(53a)가 제공하는 공간으로부터 진동모터(29)를 빼낼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진동판(53)의 하부에는 결합구(53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53d)는 일정 내경을 갖는 암나사홈으로서 그 내부에 후술할 어뎁터(63)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한다. 상기 결합구(53d)에 어뎁터(63)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구(53d)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53e)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구(53d)에 암나사산(53e)을 형성하여 어뎁터(63)를 나사식으로 결합하게 구성하였지만, 진동판(53)에 대한 어뎁터(63)의 결합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가령 결합구(53d) 내부에 암나사산 대신에 지지턱(미도시)을 형성하고, 어뎁터에는 상기 지지턱에 끼워지는 걸림턱(미도시)을 적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는 결합구(53d)에 끼움홈을 형성하고 어뎁터에는 끼움돌기를 만들어 적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어뎁터(63)를 사용하지 않고 진동부재를 진동판(53)에 직결할 수 도 있는데, 경우 상기 결합구의 내부 형상은 당연히 달라진다.
다시 도 2로 돌아와 설명을 이어나간다.
상기 진동판(53)의 하부에는 진동부재(65)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부재(65)는 어뎁터(63)를 통해 진동부재(65)에 착탈 가능하게 유지되며, 경우에 따라 어뎁터(63) 없이 진동판(53)에 직접 고정될 수 도 있다. 상기 진동부재(65)도 케이스(43)에 접촉하지 않는다.
여하튼 상기 진동부재(65)는 진동모터(29)의 작동시 진동판(53)과 함께 진동하며 사용자의 피부에 진동을 제공한다. 상기 진동부재(65)의 바닥면(65a)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부위이다. 사용자는 상기 바닥면(65a)에 도포물질을 묻힌 상태로 바닥면(65a)을 피부에 대고 진동을 발생시켜 도포물질을 바른다. 상기 도포물질로서, 파우더는 물론 젤이나 각종 크림류 또는 오일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진동부재(65)를 이용해 도포물질을 도포함으로서, 도포물질의 도포가 신속하고 특히 피부에 균일한 두께로 얇게 발라진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엷은 화장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피부에 진동을 제공함으로서 화장을 하는 동안 마시지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진동판(53)은, 진동차단부(55)에 의해 케이스(43)의 내측부에 유지된다. 상기 진동차단부(55)는 케이스의 홀더링(43a)과 진동판(53)의 사이에 대칭으로 배치된 것으로서 진동판(53)을 구획판(47) 하부에 유지시킨다.
특히 상기 진동차단부(55)는 진동모터(29)의 작동시, 진동판(53)의 진동이 케이스(43)로 전달되는 것을 거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역할을 구현할 수 있는 한, 상기 진동차단부(55)의 구성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55)의 일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홀더링(43a)과 진동판(53)의 사이에 진동차단부(55)로서 스프링(55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55a)은 진동판(53)을 중심에 두고 다수 개가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55a)을 수평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홀더링(43a)의 내측면과 진동판(53)의 외주면에는 실리콘(55b)이 채워진 실리콘홈(43k,55k)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55a)의 양단부는 상기 실리콘홈(43k,55k)에 삽입되어 실리콘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실리콘(55b)은 접착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스프링(55a)의 양단부를 실리콘홈(43k,55k)내에 고정하여, 홀더링(43a)과 진동판(53)의 사이에 유지시킨다.
상기 구조를 갖는 진동차단부(55)는, 진동판(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쇄하여 진동이 홀더링(43a)으로 건너오는 것을 거의 차단한다.
즉, 상기 진동판(53)에서 발생한 진동은 일측 실리콘홈(55k) 내부의 실리콘(55b)에 의해 1차로 흡수되고, 나머지 진동은 스프링(55a)을 통과하는 동안 거의 소멸되며, 스프링(55a)을 건넌 진동이 있다면 그 진동은 반대측 실리콘홈(43k) 내부의 실리콘(55b)에 흡수된다. 진동판(53)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43)로 거의 흘러가지 않는 것이다. 이는, 진동부재(65)의 진동이 진동부재(65)의 진동을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의미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55)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링(43a)과 진동판(53)의 사이에 탄력줄(55c)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탄력줄(55c)은 그 양단부가 상기 실리콘홈(43k,55k) 내의 실리콘(55b)에 각각 고정된 신축성 부재이다. 상기 탄력줄(55c)은 신축성을 갖는 부재로서 가령 고무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력줄(55c)도 스프링(55a)과 마찬가지로 진동판(53)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룬다.
상기 진동판(53)이 다수의 탄력줄(55c)에 의해 홀더링(43a)의 내측에 유지되므로, 상기 진동판(53)이 진동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실리콘홈(55k) 내부의 실리콘(55b)과, 탄력줄(55c)과, 반대편 실리콘홈(43k)내의 실리콘(55b)에 의해 거의 완벽히 흡수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실리콘(55b)을 적용하지 않고, 탄력줄(55c)의 양단부를 홀더링(43a)과 진동판(53)에 바로 고정시킬 수 도 있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진동차단부(55)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홀더링(43a)과 진동판(53)의 사이에 고무링(55d)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고무링(55d)은 그 상부에 개방구(55e)가 마련되어 있는 속이 빈 탄성부재로서 상기 진동판(53)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고무링(55d)을 홀더링(43a)의 내주면에 고정시킬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홀더링(43a)의 내주면과 진동판(53)의 외주면에 동시에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여하튼, 상기 고무링(55d)은, 진동판(53)에서 발생한 진동이 홀더링(43a)으로 건너가는 것을 차단한다. 즉, 상기 진동판(53)에서 발생하여 홀더링(43a)으로 향하는 진동은 상기 고무링(55d)을 통과하며 고무링(55d)에 거의 흡수 소멸된다. 특히 상기 고무링(55d)에 개방구(55e)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무링(55d)의 탄성 변형율은 매우 크다. 변형율이 크다는 것은 소음의 흡수능력이 좋다는 의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4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41)의 경우, 케이스(43)의 일부분을 이루는 홀더링(43a)의 내측면에 지지부(43c)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지지부(43c)는 홀더링(43a)을 제작할 때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대략 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지지부(43c)의 저면에는 상기한 진동차단부(55)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차단부(55)는 진동판(53)을 지지부(43c)의 하부에 유지시키며, 진동판(53)에서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4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지지부(43c)와 진동판(53)의 사이에 고무주름관(55f)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무주름관(55f)은 연질고무로 제작된 소위 자바라식 주름관으로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일정 두께를 유지하고, 상기 진동판(53)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링의 평면 형태를 취한다.
상기 고무주름관(55f)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43c)의 저면과, 진동판(53)의 상면에는 상호 대향하는 홈(43e,5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주름관(55f)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홈(43e,53b)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진동판(53)에서 발생한 진동이 지지부(43c)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고무주름관(55f)을 링의 형태로 제작하지 않고, 부분 원주형으로 제작하여, 상기 모터홀더(53a)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배치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진동차단부(55)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진동차단부(55)는 고무링(55d)이다. 상기 고무링(55d)은 일반 오링(O-ring)의 형태를 취하지만, 속이 비어 있고 그 측부에 개방구(55e)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 상기 고무링(55d) 대신 일반 오링을 적용할 수 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진동발생장치(41)는, 상기 홀더링(43a) 하부에 제 2홀더링(43b)을 더 갖는다. 상기 홀더링(43a)과 제 2홀더링(43b)은 케이스(43)의 일부분이며, 제 2홀더링(43b)은 홀더링(43a)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홀더링(43b)의 내측면에도 지지부(43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43d)는, 홀더링(43a)의 지지부(43c)와 나란한 걸림수단으로서, 지지부(43c)와의 사이에 습동공간(58)을 제공한다.
상기 습동공간(58)은 후술할 슬라이딩부(53c)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다. 상기 슬라이딩부(53c)는 진동판(53)의 외주면에 추가적으로 형성된 부분으로서, 습동공간(58)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 지지부(43c,43d)의 저면 및 상면에 면접한 상태로 미끄럼 운동한다.
특히 상기 슬라이딩부(53c)의 외주면에는 방진부재(6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방진부재(61)는 방진능력을 갖는 연질 실리콘 부재로서, 상기 슬라이딩부(53c)가 제 2홀더링(43b)에 접하더라도 진동판(53)의 진동이 제 2홀더링(43b)으로 이동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진동판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진동판(53)의 상측 외주면에 슬라이딩부(53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53c)는 일정두께를 갖는 링형부분으로서, 그 상면과 저면이 상기 지지부(43c,43d)에 면접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53c)의 주연부에는 방진부재(6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진부재(61)로서 연질 실리콘 이외에도 방진능력을 갖는 다른 재질의 방진재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판(53)의 하부에는 결합구(53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구(53d)는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홈으로서, 후술할 어뎁터(63)를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상기 결합구(53d)에 대한 어뎁터(63)의 결합 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3은 상기 진동판(53)에 끼워지는 어뎁터(63) 및 스폰지(23)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진동발생장치는 어뎁터(63)를 구비하기 때문에, 진동판(53)에 여러 가지 종류의 진동부재(65)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어뎁터(63)는 진동부재(65)를 고정한 상태로 상기 진동판(53)에 결합하는 부재이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65)는 어뎁터(63)를 통해 진동판(53)에 끼워져 진동판(53)과 함께 진동하는 부재로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부재(65)로서 스폰지(23)와 비탄성부재(67)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비탄성부재(67)에는, 피부와 접하는 표면이 부드럽게 성형된 합성수지이거나 옥돌 등의 원적외선 방출 광물이 포함된다.
여하튼 도 13에 도시한 어뎁터(63)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산(63a)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 걸림돌기(63f)가 마련되어 있는 링형 부재이다. 상기 걸림돌기(63f)는 어뎁터(63)의 내부에 끼워진 스폰지(23)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폰지(23)는 걸림돌기(63f)에 걸려 위아래로 빠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스폰지(23)가 수용되어 있는 어뎁터(63)를 상기 진동판(53)의 결합구(53d)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14는 상기 진동판(53)에 끼워지는 다른 형태의 어뎁터(63) 및 상기 어뎁터(63)에 끼워지는 진동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어뎁터(63)는 비탄성부재(67)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주면에 지지턱(63e)을 갖는다. 상기 지지턱(63e)은 비탄성부재(67)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67a)이 걸리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비탄성부재(67)를 어뎁터(63)의 관통구멍(63b)에 끼워, 지지턱(63e)에 걸림턱(67a)을 맞춘 상태로, 어뎁터(63)를 상기 진동판(53)의 결합구(53d)에 결합하면, 비탄성부재(67)를 진동시키는 진동발생장치가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도포용 진동발생장치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케이스(43)의 내벽면에 턱부(43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턱부(43m)는 지지부(43c)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지지부(43c)와 함께 상기한 습동공간(58)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동판(53)의 테두리부는, 상기 습동공간(58)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진동운동시 상기 턱부(43m)와 지지부(43c)에 의해 상하운동이 제한되며 측방향으로만 진동한다.
아울러, 상기 진동판(5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53d)의 내주면에는 고정홈(53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53k)은 어뎁터(63)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63f)를 수용하여, 어뎁터(63)를 진동판(53)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도포용 진동발생장치는, 어뎁터(63)를 적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상기 진동부재(65)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만큼 활용범위가 넓고, 특히 여러 가지 종류의 진동차단부(55)를 내장하므로 진동모터로부터 발생한 진동이 케이스(43)로 이동하지 않고 진동판(53)으로 전달되므로 그만큼 진동 사용율이 높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진동발생장치 13:케이스 15:스위치
17:내부공간 19:지지프레이트 21:캡
23:스폰지 23a:바닥면 25:회로기판
27:배터리 29:진동모터 31:피복
33:전력선 41:진동발생장치 43:케이스
43a:홀더링 43b:제 2홀더링 43c:지지부
43d:지지부 43e:홈 43k:실리콘홈
43m:턱부 45:내부공간 47:구획판
47a:구멍 49:전원부 53:진동판
53a:모터홀더 53b:홈 53c:슬라이딩부
53d:결합구 53e:암나사산 53f:돌기
53k:고정홈 55:진동차단부 55a:스프링
55b:실리콘 55c:탄력줄 55d:고무링
55e:개방구 55f:고무주름관 55k:실리콘홈
57:제 1홀더링 58:습동공간 61:방진부재
63:어뎁터 63a:수나사산 63b:관통구멍
63f:걸림돌기 63e:지지턱 63f:끼움돌기
65:진동부재 65a:바닥면 67:비탄성부재
67a:걸림턱
17:내부공간 19:지지프레이트 21:캡
23:스폰지 23a:바닥면 25:회로기판
27:배터리 29:진동모터 31:피복
33:전력선 41:진동발생장치 43:케이스
43a:홀더링 43b:제 2홀더링 43c:지지부
43d:지지부 43e:홈 43k:실리콘홈
43m:턱부 45:내부공간 47:구획판
47a:구멍 49:전원부 53:진동판
53a:모터홀더 53b:홈 53c:슬라이딩부
53d:결합구 53e:암나사산 53f:돌기
53k:고정홈 55:진동차단부 55a:스프링
55b:실리콘 55c:탄력줄 55d:고무링
55e:개방구 55f:고무주름관 55k:실리콘홈
57:제 1홀더링 58:습동공간 61:방진부재
63:어뎁터 63a:수나사산 63b:관통구멍
63f:걸림돌기 63e:지지턱 63f:끼움돌기
65:진동부재 65a:바닥면 67:비탄성부재
67a:걸림턱
Claims (6)
- 전원부를 내장한 케이스와;
전력선을 통해 상기 전원부와 접속되며, 케이스 내측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진동하는 진동발생부와;
상기 진동발생부와 결합하여 진동발생부와 함께 진동하며 케이스 외부로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전달부와;
상기 진동전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자의 피부에 접할 수 있도록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접촉부재와;
상기 진동전달부와 케이스의 사이에 설치되며, 진동전달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케이스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진동차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는, 케이스의 내측부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상기 진동차단수단을 통해서만 케이스내에 유지되고,
상기 진동차단수단은;
상기 케이스와 진동전달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진동발생부의 작동시 진동전달부가 케이스의 내측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서로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습동공간을 제공하는 제 1지지부 및 제 2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전달부는, 상기 습동공간내에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에는 상기 진동발생부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홀더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전달부에는, 상기 접촉부재를 수용한 상태로 진동전달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어뎁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고 그 일측에 관통구멍을 갖는 구획판과;
상기 케이스내의 상부공간에 설치되는 전원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전원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와;
상기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구획판의 관통구멍을 통과한 전력선에 접속하되, 구획판 및 케이스의 내측부와 이격되어 전력선에 매달린 형태를 취하는 진동모터와;
상기 진동모터를 그 상면에 수용 고정한 합성수지 성형물로서, 상기 케이스의 내측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과 케이스의 내측부 사이에 위치하며, 진동판을 케이스내에 유지시킴과 아울러 진동판의 진동이 케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진동판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어뎁터와;
상기 어뎁터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시 사용자의 피부에 접하며 피부에 도포물질을 도포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774A KR101301149B1 (ko) | 2011-12-22 | 2011-12-22 |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9774A KR101301149B1 (ko) | 2011-12-22 | 2011-12-22 |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2384A KR20130072384A (ko) | 2013-07-02 |
KR101301149B1 true KR101301149B1 (ko) | 2013-08-29 |
Family
ID=4898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9774A KR101301149B1 (ko) | 2011-12-22 | 2011-12-22 |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114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238B1 (ko) * | 2014-09-26 | 2015-12-24 | 봄텍전자 주식회사 | 피부미용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7458A (ko) * | 2016-10-31 | 2018-05-10 | 송재현 | 경락 및 진동 겸용 마사지 기구 |
KR102035725B1 (ko) * | 2017-11-17 | 2019-10-24 | 허동현 | 흑채 저장용기 |
KR102506018B1 (ko) * | 2020-12-22 | 2023-03-06 | 주식회사 세양 | 내진동성 회로기판이 내장된 무선핸드피스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8032Y1 (ko) | 2003-12-24 | 2004-04-28 | 추윤정 | 전동퍼프 |
KR200365249Y1 (ko) | 2004-07-28 | 2004-10-21 | 추윤정 | 전동 퍼프 |
KR20110078516A (ko) * | 2009-12-31 | 2011-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동퍼프 |
-
2011
- 2011-12-22 KR KR1020110139774A patent/KR1013011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8032Y1 (ko) | 2003-12-24 | 2004-04-28 | 추윤정 | 전동퍼프 |
KR200365249Y1 (ko) | 2004-07-28 | 2004-10-21 | 추윤정 | 전동 퍼프 |
KR20110078516A (ko) * | 2009-12-31 | 2011-07-0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전동퍼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238B1 (ko) * | 2014-09-26 | 2015-12-24 | 봄텍전자 주식회사 | 피부미용장치 |
WO2016048080A1 (ko) * | 2014-09-26 | 2016-03-31 | 봄텍전자 주식회사 | 피부미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2384A (ko) | 2013-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01149B1 (ko) | 도포용 진동발생장치 | |
ES2663209T3 (es) | Amortiguador de golpes para compacto cosmético | |
KR101157556B1 (ko) | 진동 퍼프 | |
TWI568435B (zh) | 按摩裝置 | |
JP7381832B2 (ja) | マッサージ器 | |
JP2015213557A (ja) | 振動体駆動装置 | |
KR200473582Y1 (ko) | 볼 퍼프를 갖는 화장용구 | |
US20160142811A1 (en) | Headphone unit and ear muff unit | |
KR20130104986A (ko) | 화장용 진동퍼프 | |
JP7326543B2 (ja) | 振動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 |
KR20140142945A (ko) | 기능성 화장도구 위생 케이스 | |
BRPI0607815A2 (pt) | embalagem, e, mÉtodo para demonstrar funcionalidade de produto | |
JP2008061673A (ja) | 化粧料容器 | |
WO2017213081A1 (ja) | 美容器 | |
KR101178259B1 (ko) | 진동 파운데이션 | |
JP5340572B2 (ja) | 化粧料容器 | |
CN213759378U (zh) | 按摩仪 | |
KR20130123512A (ko) | 화장용 진동퍼프 | |
CN209808160U (zh) | 一种洁面仪 | |
KR200476704Y1 (ko) | 분리형 파우더용 화장품 용기 | |
KR20140100813A (ko) | 초음파 기능을 구비한 진동 퍼프 | |
KR101745352B1 (ko) | 손잡이 겸용 뚜껑을 구비한 화장용 퍼프 | |
KR101389902B1 (ko) | 공진디바이스를 구비한 진동발생기 | |
CN211750945U (zh) | 震子带和按摩衣物 | |
JP2010201164A (ja) | 指の振動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