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971B1 - 하수구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용 배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5971B1 KR101305971B1 KR1020120023123A KR20120023123A KR101305971B1 KR 101305971 B1 KR101305971 B1 KR 101305971B1 KR 1020120023123 A KR1020120023123 A KR 1020120023123A KR 20120023123 A KR20120023123 A KR 20120023123A KR 101305971 B1 KR101305971 B1 KR 101305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wage
- sewer
- gear
- connecting line
- guide pulle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배수장치는 차도의 가장자리와 접해있으며 상기 차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도로 경계턱을 형성하는 보도의 밑에 위치하고 정면부의 상단부는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에는 하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수 고임 공간을 형성하며, 하단부에는 하수로와 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수구통과,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 풀리와, 상기 차도 및 보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뻗도록 상기 안내 풀리의 중심과 결합하는 풀리 회전축과, 상기 안내 풀리에 걸쳐져서 상기 안내 풀리의 회전에 따라 한쪽 말단부가 상승하면 다른 한쪽 말단부가 하강하도록 수직 이동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리는 망 형태의 거름부로서 상승하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부와,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려서 상기 하수 고임 공간 중 상기 거름부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집수통과, 상기 풀리 회전축과 회전 중심을 공유하도록 상기 풀리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 기어와,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기어보다 상기 하수 유입구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기어를 축으로 하여 힌지 운동 가능하며 수직하게 세워지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이 비어 있을 때는 상기 집수통은 상기 거름부의 하중에 의해 위로 끌어올려져 상기 하수통 내에서 일정 높이만큼 위로 떠 있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으로 내려와있으며 상기 개폐문은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려주고, 하수가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과 상기 하수 유입구 사이의 틈새로 하수가 유입되어 상기 하수구통에 고이게 되며, 하수가 상기 개폐문의 아래쪽이 들려져 힌지 운동될 정도의 세기로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의 힌지 운동에 따른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풀리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좌측 안내 풀리 및 상기 우측 안내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집수통에 담기면 상기 집수통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차도 위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던 하수 유입구 커버를 수직하게 설치함으로써 환경적인 쾌적함을 높이는 한편 물흐름을 원활하게 수행해주는 하수구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주택가 및 도로에는 빗물이나 가정 및 공장 등에서 나오는 오수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지하 하수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그 하수로의 하수 유입구는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덮개는 차량 이동에 맞추어져 있으며 쓰레기나 시각적인 면은 고려하고 있지 않아 냄새와 시각적인 불쾌감을 주고 더욱이 쓰레기나 낙엽 등의 유입으로 하수로 내에서 부패하여 악취를 풍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인도 밑으로 설치하여 하수 유입구가 보이지 않으며 쓰레기나 낙엽 등의 유입이 차단하며 하수로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현저히 줄이는 기능을 하고 우천시에는 자동으로 유입구를 개방하여 물이 잘 흘러들어가게 하는 한편 거름장치가 자동으로 설치되어 우천시 쓰레기 유입을 막는 기능을 하는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배수장치는 차도의 가장자리와 접해있으며 상기 차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도로 경계턱을 형성하는 보도의 밑에 위치하고 정면부의 상단부는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에는 하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수 고임 공간을 형성하며, 하단부에는 하수로와 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수구통과,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 풀리와, 상기 차도 및 보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뻗도록 상기 안내 풀리의 중심과 결합하는 풀리 회전축과, 상기 안내 풀리에 걸쳐져서 상기 안내 풀리의 회전에 따라 한쪽 말단부가 상승하면 다른 한쪽 말단부가 하강하도록 수직 이동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리는 망 형태의 거름부로서 상승하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부와,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려서 상기 하수 고임 공간 중 상기 거름부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집수통과, 상기 풀리 회전축과 회전 중심을 공유하도록 상기 풀리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 기어와,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기어보다 상기 하수 유입구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기어를 축으로 하여 힌지 운동 가능하며 수직하게 세워지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이 비어 있을 때는 상기 집수통은 상기 거름부의 하중에 의해 위로 끌어올려져 상기 하수통 내에서 일정 높이만큼 위로 떠 있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으로 내려와있으며 상기 개폐문은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려주고, 하수가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과 상기 하수 유입구 사이의 틈새로 하수가 유입되어 상기 하수구통에 고이게 되며, 하수가 상기 개폐문의 아래쪽이 들려져 힌지 운동될 정도의 세기로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의 힌지 운동에 따른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풀리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좌측 안내 풀리 및 상기 우측 안내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집수통에 담기면 상기 집수통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 풀리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좌측 안내 풀리와 우측 안내 풀리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줄은 상기 좌측 안내 풀리에 걸쳐지는 좌측 연결줄과 상기 우측 안내 풀리에 걸쳐지는 우측 연결줄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수구통의 천장을 형성하는 보도에는 하수구통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에는 개폐 가능한 맨홀뚜껑이 장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수통의 바닥면은 한쪽 가장자리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바닥면 중 가장 낮게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름부가 최대로 상승할 때 상기 안내풀리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수구통의 하수 유입구 부근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거름부가 걸려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하수 유입구가 인도 아래쪽의 도로 경계턱의 측면에 형성돼 있는데 개폐문에 의해 가려져 있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 않으며, 하수 유입구를 통해 하수가 유입될 때는 개폐문이 열려서 하수의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거름망에 의하여 쓰레기나 낙엽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하수로와 통하는 배수구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며 악취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하수구용 배수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배수장치는 하수구통(100), 좌측 안내풀리 및 우측 안내풀리(200), 풀리 회전축(300), 좌측 연결줄 및 우측 연결줄(400), 거름부(500), 제1 기어(600), 제2 기어(610), 개폐문(700), 집수통(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도(20)는 사람이 보행하는 길이고 차도(10)는 차량이 주행하는 길로서 보도(20)와 차도(10)가 만나는 곳에는 보도(20)가 차도(10)보다 높게 위치함으로써 도로 경계턱이 형성된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도(10) 중 보도(20)와 인접한 부분은 도로 경계턱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보도(20)의 아래쪽에는 내부에 하수 고임 공간(120)이 형성되는 하수구통(100)이 매설된다. 하수구통(100) 중 도로를 향하는 면인 정면부 중 상단부는 도로 경계턱의 차도(10)를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며 이러한 하수구통(100) 중 도로 경계턱의 차도(10)를 바라보는 면에는 차도(10) 및 보도(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태의 하수 유입구(110)가 형성된다. 하수구통(100)의 하단부의 일측면에는 하수로와 통하는 배수구(130)가 형성된다.
하수구통(100)의 천장을 형성하는 보도(20)에는 사람이 하수구통(100)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맨홀이 형성되고 맨홀에는 개폐 가능한 맨홀뚜껑(30)이 구비된다.
안내 풀리(200)는 좌측에 설치되는 두개의 좌측 안내 풀리와, 우측에 설치되는 두개의 우측 안내 풀리로서 모두 네 개가 하수구통(100)의 천장을 형성하는 보도(2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좌측 안내풀리(200)와 우측 안내풀리(200)는 서로 떨어져서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나란히 위치한다. 두 개의 좌측 안내풀리(200)는 앞뒤 방향으로 인접 설치되고 두 개의 우측 안내풀리(200)도 앞뒤 방향으로 인접 설치된다.
연결줄(400)은 좌측 안내풀리(200)에 걸쳐지는 좌측 연결줄(400)과 우측 안내풀리(200)에 걸쳐지는 우측 연결줄(400) 두 개가 구비된다. 좌측 연결줄(400)은 두 개의 좌측 안내풀리(200)에 걸쳐져서 좌측 안내풀리(200)에 회전에 따라 한쪽 말단이 상승하면 다른 한쪽 말단이 하강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우측 연결줄(400)은 두 개의 우측 안내풀리(200)에 걸쳐져서 우측 안내풀리(200)에 회전에 따라 한쪽 말단이 상승하면 다른 한쪽 말단이 하강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거름부(50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망 구조를 가진 수직한 판 형태의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수구통(100) 중 하수 유입구(110)가 형성된 쪽, 즉, 차도(10)를 향하는 쪽을 앞쪽이라 하고 그와 마주보는 반대쪽을 뒤쪽이라고 정의하는데, 거름부(500)의 상단의 좌측단은 좌측 연결줄(400)의 앞쪽 말단과 결합하고 거름부(500)의 상단의 우측단은 우측 연결줄(400)의 앞쪽 말단과 결합하여 거름부(500)가 좌측 연결줄(400) 및 우측 연결줄(400)에 매달려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서 하수구통(100)의 전면부의 내측면과 거의 맞닿도록 설치된다. 거름부(500)는 최대로 하강하면 하수 유입구(100)를 전혀 가로막지 않고 최대로 상승하면 하수 유입구(110) 전체를 가로막도록 설치된다. 거름부(500)가 최대로 상승할 때 안내풀리(200)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구통(100)의 하수 유입구(110) 부근 양쪽 내측면에는 거름부(500)가 걸려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통(800)은 상단부의 좌측부가 좌측 연결줄(400)의 뒤쪽 말단과 결합하고 상단부의 우측부가 우측 연결줄(400)의 뒤쪽 말단과 결합하여 좌측 연결줄(400) 및 우측 연결줄(400)에 매달리는 것으로서, 거름부(500)보다 약간 뒤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집수통(800)의 상면은 개구되고 바닥면은 뒤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며 바닥면의 후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수공(810)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안내 풀리(200)와 우측 안내 풀리(200)를 서로 연결하는 풀리 회전축(300)이 구비된다. 풀리 회전축(300)의 좌측 말단은 좌측 안내 풀리(200)의 중심과 결합하고 풀리 회전축(300)의 우측 말단은 우측 안내 풀리(200)의 중심과 결합하며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다. 좌측 안내 풀리(200)와 우측 안내 풀리(200)는 각각 두개씩이므로 풀리 회전축(300)도 두 개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풀리 회전축(300) 중 앞쪽에 있는 풀리 회전축(300)의 좌측부와 우측부의 둘레에는 각각 제1 기어(600)가 구비되어 제1 기어(600)가 풀리 회전축(300)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제2 기어(610)는 하수 고임 공간(120)의 천장인 보도(20)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제1 기어(600)의 앞쪽에서 제1 기어(600)와 맞물리도록 한 쌍이 설치된다.
개폐문(700)은 하수 유입구(110)의 대부분을 가리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판이다. 개폐문(700)은 수직하게 세워지더라도 하수 유입구(110)를 전체를 가리지는 않고 하수 유입구(110)의 맨 아래쪽 가장자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개폐문(700)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거름부(500)보다는 약간 앞쪽에 위치한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수 유입구(110)가 앞뒤로 약간 길쭉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하게 세워진 개폐문(700)은 하수 유입구(110)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용 배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수 유입이 없을 때는 거름부(500)의 무게와 집수통(800)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어서 거름부(500)와 집수통(800)이 서로 같거나 비슷한 높이에 매달려 있게 되고, 개폐문(700)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하수가 하수 유입구(110)를 통해 흘러오더라도 하수의 양이 미미하여 하수가 개폐문(700)의 하단과 차도(10) 경사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흘러들어와서 하수구통(100)의 전면부 내측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거름부(500)를 위로 끌어올리거나 개폐문(700)을 힌지 운동시키지는 못한다.
그러나 하수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폐문(700)은 힌지운동되어 아래쪽이 뒤쪽으로 들어올려져서 개폐문(700)이 하수를 가로막지 않게 되고 집수통(800)은 아래로 내려가며 거름부(500)는 상승하여 하수 유입구(110)를 막음으로써 하수는 망 형태의 거름부(500)를 통과하여 하수구통(100) 내부로 흘러들어올 수 있지만 쓰레기나 낙엽 등은 거름부(500)에 의해 걸러짐으로써 하수구통(10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게 되어 쓰레기나 낙엽 등에 의하여 하수구통(100)의 배수구(130)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거름부(500)가 들러올려지는 원인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 원인은 하수의 강력한 흐름에 의해 개폐문(700)이 밀려서 들어올려지는 것인데, 개폐문(700)이 힌지 운동을 하면 제2 기어(610)가 회전하고 제2 기어(610)와 맞물린 제1 기어(600)가 회전하면서 좌측 안내 풀리(200)와 우측 안내 풀리(200)를 회전시켜 좌측 연결줄(400) 및 우측 연결줄(400)을 움직이는데 그 움직이는 방향이 집수통(800)은 내려가고 거름부(500)는 올라가도록 하는 방향인 것이다.
둘째 원인은 하수가 하수구통(100) 내부로 대량 유입됨에 따라 하수의 일부가 집수통(800) 속으로 들어가게 되어 집수통(800)의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에 좌측 연결줄(400)과 우측 연결줄(400) 중 집수통(800)과 결합된 말단은 하강하고 거름부(500)와 결합된 말단은 상승하게 됨에 따른 것이다.
하수의 대량 유입이 그치면 집수통(800) 내부의 하수는 집수통(800)의 배수공(810)을 통해 낙하하여 배수구(13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차도 20: 보도
30: 맨홀뚜껑 100: 하수구통
110: 하수 유입구 120: 하수 고임공간
130: 배수구 200: 안내 풀리
300: 풀리 회전축 400: 연결줄
500: 거름부 600: 제1 기어
610: 제2 기어 700: 개폐문
800: 집수통 810: 배수공
30: 맨홀뚜껑 100: 하수구통
110: 하수 유입구 120: 하수 고임공간
130: 배수구 200: 안내 풀리
300: 풀리 회전축 400: 연결줄
500: 거름부 600: 제1 기어
610: 제2 기어 700: 개폐문
800: 집수통 810: 배수공
Claims (5)
- 차도의 가장자리와 접해있으며 상기 차도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도로 경계턱을 형성하는 보도의 밑에 위치하고, 정면부의 상단부는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로 경계턱의 상기 차도 쪽을 바라보는 면에는 하수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하수 고임 공간을 형성하며, 하단부에는 하수로와 통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하수구통;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 풀리;
상기 차도 및 보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뻗도록 상기 안내 풀리의 중심과 결합하는 풀리 회전축;
상기 안내 풀리에 걸쳐져서 상기 안내 풀리의 회전에 따라 한쪽 말단부가 상승하면 다른 한쪽 말단부가 하강하도록 수직 이동하는 연결줄;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리는 망 형태의 거름부로서, 상승하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거름부;
상기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의 양 말단 중 상기 하수구통 중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 측면과 상대적으로 먼 말단과 결합하여 상기 연결줄에 매달려서 상기 하수 고임 공간 중 상기 거름부보다 안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수구통 내부에 설치되는 상면이 개구되고, 하단부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집수통;
상기 풀리 회전축과 회전 중심을 공유하도록 상기 풀리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는 제1 기어;
상기 하수 고임 공간의 천장인 상기 보도의 아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1 기어보다 상기 하수 유입구와 가깝게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려서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결합하여 상기 제2 기어를 축으로 하여 힌지 운동 가능하며 수직하게 세워지면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리도록 설치되는 개폐문을 포함하고,
상기 집수통이 비어 있을 때는 상기 집수통은 상기 거름부의 하중에 의해 위로 끌어올려져 상기 하수통 내에서 일정 높이만큼 위로 떠 있고 상기 거름부는 상기 하수 유입구의 아래쪽으로 내려와있으며 상기 개폐문은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려주고,
하수가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과 상기 하수 유입구 사이의 틈새로 하수가 유입되어 상기 하수구통에 고이게 되며,
하수가 상기 개폐문의 아래쪽이 들려져 힌지 운동될 정도의 세기로 유입되면 상기 개폐문의 힌지 운동에 따른 상기 제2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어가 회전함에 의하여 상기 풀리 회전축이 회전하여 상기 좌측 안내 풀리 및 상기 우측 안내 풀리가 회전하면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고,
상기 하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집수통에 담기면 상기 집수통이 하강함으로써 상기 좌측 연결줄 및 상기 우측 연결줄을 밑으로 잡아당겨서 상기 거름부가 상승하여 상기 하수 유입구를 가로막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배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풀리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좌측 안내 풀리와 우측 안내 풀리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줄은 상기 좌측 안내 풀리에 걸쳐지는 좌측 연결줄과 상기 우측 안내 풀리에 걸쳐지는 우측 연결줄 한 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배수장치. - 삭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통의 바닥면은 한쪽 가장자리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며 상기 배수공은 상기 바닥면 중 가장 낮게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배수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가 최대로 상승할 때 상기 안내풀리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하수구통의 하수 유입구 부근 양쪽 내측면에는 상기 거름부가 걸려서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용 배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123A KR101305971B1 (ko) | 2012-03-07 | 2012-03-07 | 하수구용 배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123A KR101305971B1 (ko) | 2012-03-07 | 2012-03-07 | 하수구용 배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05971B1 true KR101305971B1 (ko) | 2013-09-12 |
Family
ID=4945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123A KR101305971B1 (ko) | 2012-03-07 | 2012-03-07 | 하수구용 배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597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95123A (zh) * | 2014-09-28 | 2015-01-21 | 周伟 | 一种可防臭的淋浴房底座 |
KR101543235B1 (ko) | 2013-10-07 | 2015-08-13 | 이경우 | 하수구용 배수장치 |
CN113152646A (zh) * | 2021-04-25 | 2021-07-23 | 合肥轩杰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给排水用防堵塞装置及其操作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547A (ko) * | 2006-04-21 | 2006-06-28 | 이경우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KR20060073544A (ko) * | 2006-02-22 | 2006-06-28 | 이경우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KR20100008568A (ko) * | 2008-07-16 | 2010-01-26 | 주식회사 은경이엔지 |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
KR20110028097A (ko) * | 2009-09-11 | 2011-03-17 | 이병상 |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
-
2012
- 2012-03-07 KR KR1020120023123A patent/KR1013059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544A (ko) * | 2006-02-22 | 2006-06-28 | 이경우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KR20060073547A (ko) * | 2006-04-21 | 2006-06-28 | 이경우 |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
KR20100008568A (ko) * | 2008-07-16 | 2010-01-26 | 주식회사 은경이엔지 |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
KR20110028097A (ko) * | 2009-09-11 | 2011-03-17 | 이병상 | 승강구조를 가지는 이중맨홀뚜껑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3235B1 (ko) | 2013-10-07 | 2015-08-13 | 이경우 | 하수구용 배수장치 |
CN104295123A (zh) * | 2014-09-28 | 2015-01-21 | 周伟 | 一种可防臭的淋浴房底座 |
CN113152646A (zh) * | 2021-04-25 | 2021-07-23 | 合肥轩杰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建筑给排水用防堵塞装置及其操作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332416B (zh) | 一种自动翻转式雨水口截污装置 | |
KR101208359B1 (ko) | 하수구의 오염원 유입 및 악취 배출 차단 장치 | |
KR101543235B1 (ko) | 하수구용 배수장치 | |
KR101291612B1 (ko) |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 |
CN203834424U (zh) | 一种地下建筑物防水浸系统 | |
CN104863247B (zh) | 带过滤功能的下水道雨篦子 | |
KR101305971B1 (ko) | 하수구용 배수장치 | |
KR101064335B1 (ko) | 악취차단기능이 있는 빗물받이 | |
CN113047398A (zh) | 一种市政道路排水系统 | |
KR101320456B1 (ko) | 하수구와 배수홀의 연결구조 | |
CN204225213U (zh) | 楼宇雨污分流装置 | |
KR20110054572A (ko) | 커버가 장착된 그레이팅 및 이를 구비하는 집수조 | |
KR101730150B1 (ko) |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 |
CN207121984U (zh) | 一种市政路面防臭水井盖 | |
CN207063122U (zh) | 一种楼宇雨污分流器 | |
KR200423927Y1 (ko) | 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 |
CN209260875U (zh) | 一种防堵塞下水道盖板 | |
CN206308785U (zh) | 联合式防堵塞城市雨水口 | |
CN202730658U (zh) | 一种带有暗置式引流沟的公交站台 | |
KR101077132B1 (ko) | 도로용 빗물받이 | |
KR102249356B1 (ko) | 빗물받이 홈통 구조체 | |
CN205153093U (zh) | 一种防管道堵塞井盖 | |
KR101383819B1 (ko) | 덮개 일체형 우수받이 | |
CN208201937U (zh) | 一种防堵塞井盖 | |
KR200466978Y1 (ko) | 굴착공을 이용한 우수 저장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