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761B1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Google Patents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04761B1 KR101304761B1 KR1020110082651A KR20110082651A KR101304761B1 KR 101304761 B1 KR101304761 B1 KR 101304761B1 KR 1020110082651 A KR1020110082651 A KR 1020110082651A KR 20110082651 A KR20110082651 A KR 20110082651A KR 101304761 B1 KR101304761 B1 KR 101304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ake
- seawater
- pipe
- water
- tid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11 chem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32—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 B08B9/0321—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by the mechanical action of a moving fluid, e.g. by flushing using pressurised, pulsating or purging fluid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cleaning boreholes or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역에서 해수를 여과하여 청정 해수를 취수하고, 여과 공극의 폐색을 즉시 해결할 수 있는 해수 취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조수 간만이 일어나는 해안에 간조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터파기 시공된 취수장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 취수장치는 직육면 형태의 틀체를 이루는 취수프레임과; 상기 취수프레임내의 하부측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2중관 구조를 갖는 다수 개의 해수취수관과; 상기 해수취수관의 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되어 취수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산기관과; 상기 해수취수관의 상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 연결되어 취수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슬러지 포집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water intake apparatus that can filter the seawater by filtering the seawater in the sea area of the tidal tidal difference, and can immediately solve the blockage of the filtration void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intake device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water intake in which the depth is excavated from the low tide sea level in the rising coast, the water intake device comprises: a water intake frame forming a frame of a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seawater intake pipes having a double pipe structu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frame; An acid pipe disposed below the seawater intake pi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ixed to the water intake fra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ludge collecting pipe which is disposed above the seawater intake pipe and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fixed to the water intake fra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안으로부터 해수를 취수하기 위한 해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수장에 충진된 여과사를 역세척 함과 동시에 세척시 발생된 슬러지를 포집하여 여과사의 성능을 유지시켜 양질의 해수를 취수할 수 있도록 한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intake device for taking seawater from the shore of the tidal tidal difference, in particular to backwash the filtered sand filled in the intake and at the same time to collect the sludge generated during washing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ed s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intake system applied to a seawater environment in which tidal waters can be used to take in seawater.
해안 지역의 해수 사용처 즉 수산시장, 어판장, 횟집, 양식장 등은 청정한 해수를 필요로 한다. 국내 서해안과 같이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해안은 점토질을 가지고 있고, 이 점토질은 뻘과 같은 부유물을 포함하고 있어 해안에서 취수한 해수는 별도의 수처리 과정을 통해 사용처에 공급되어 진다. 이때 수처리 과정은 물리적, 화학적 과정을 거치므로 사용요금과 유지비용이 높다.Coastal seawater applications, such as fish markets, fisheries, sushi restaurants, and farms, require clean seawater. Coasts with large tidal differences, such as the west coast of Korea, have clay quality, and the clay quality contains floating matters such as sewage, and the seawater taken from the coast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a separate water treatment process. At this time, the water treatment process is a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 so the use fee and maintenance cost are high.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113688호로서 '바다의 모래층을 여과층으로 활용하는 해수취수 시스템'이 있다. 이 배경기술에서는 해안 또는 해안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해수면 이하 일정 깊이까지 파내려간 터널이나 도랑과; 해저의 모래층이나 파쇄된 암반층에 위치하여 여과되며 하강하는 해수를 집수하는, 도랑이나 터널에서 바다 쪽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집수관과; 각 집수관 말단부에 위치하여 집수관에서 나오는 여과된 해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밸브와; 각 집수관에서 나오는 여과된 해수를 모아 밖으로 이송하는 송수관 및 송수펌프로 이루어지는 바다의 모래층을 여과층으로 활용하여 여과된 해수를 얻는 해수취수 시스템을 제안한다.As a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13688 describes a seawater intake system utilizing a sand layer of the sea as a filtration layer. In this background, tunnels or ditches excavated to a certain depth below sea level, not far from the coast or the coast; A plurality of collecting pipes, which are located in the sand or crushed rock layers of the sea bed, are installed toward the sea in a ditch or tunnel for collecting filtered seawater; A flow control valve positioned at an end of each collection pipe and controlling a flow rate of the filtered seawater coming out of the collection pip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eawater intake system that obtains filtered seawater by using a sand layer of the sea consisting of a water pipe and a water pump that collects filtered seawater from each collection pipe and transports it out.
그러나 위 배경기술은 여과층을 바다의 모래층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뻘을 가지는 해안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터널을 건설하는데 따른 비용의 증가가 발생된다. 또한 여과 공극이 폐색되는 것에 대한 해결 방안이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ckground art ha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in the coast having a sand because the filter layer should be used as the sand layer of the sea. There is also an increase in the cost of constructing a tunnel.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re is no solution to the blocking of the filter por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역에서 해수를 여과하여 청정 해수를 취수하고, 여과 공극의 폐색을 즉시 해결할 수 있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pplied to seawater environment with tidal difference that can solve clean water by filtering seawater in the sea area with tidal differen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awater intake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조수 간만이 일어나는 해안에 간조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터파기 시공된 취수장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취수장치에 있어서,In the water intake device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intake station that is excavat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low tide sea level on the shore where tidal tidal water occurs,
취수장치는,Intake system,
직육면 형태의 틀체를 이루는 취수프레임과;A water intake frame forming a frame of a rectangular shape;
상기 취수프레임내의 하부측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2중관 구조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해수취수관과;A plurality of seawater intake pipes having a double pipe structu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a lower side in the water intake frame;
상기 해수취수관의 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되어 취수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산기관과;An acid pipe disposed below the seawater intake pi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ixed to the water intake frame;
상기 해수취수관의 상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 연결되어 취수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슬러지 포집관을 포함하고;
산기관은,
상호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분배관과;
상기 공기분배관에 직각 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된 급기구멍을 갖는 갖는 공기공급관과;
상기 급기구멍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급기관에 접합되어 있는 기포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ludge collection pipe disposed above the seawater intake pipe and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fixed to the intake frame;
Diffuser,
A plurality of air distribution pipes arranged in parallel and parallel to each other;
A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ion pipes in parallel at right angles and having air supply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thereof;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network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supply hole and bonded to the air supply pip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산기관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역세척용 송풍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ackwash blower is connected to inject air into the diffus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해수취수관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펌프와;A water intake pump for supplying backwash water to the seawater intake pipe;
상기 취수펌프의 흡입구측에 연결되고 집수정으로부터 공급받아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는 저수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ort side of the intake pum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ervoir is further installed to store a predetermined amount of sea water received from the sump.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해수취수관은,The sea intake pipe,
일단이 폐쇄된 파이프형 단면으로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해수취수공을 갖는 취수내부관과;An intake inner pipe having a fixed length in one end with a closed pipe-shaped cross section and having seawater intake ho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n;
상기 취수내부관의 둘레에 여과사의 크기보다 작은 타공구멍을 갖는 타공망으로 감싸진 취수외부관과;A water intake outer tube surrounded by a perforation network having a perforation hol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ltration yarn at the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tube;
상기 취수내부관과 취수외부관의 사이에 압력 조절 및 해수 유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간격유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p retaining ring installed to form a pressure control and seawater inlet space between the intake inner pipe and the intake outer pi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러지 포집관은,The sludge collector tube is
취수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슬러지 합류관과;A sludge conduit pip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ake frame;
상기 슬러지 합류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슬러지 합류관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러지 포집구를 갖는 다수개의 단일 슬러지 포집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ludge confluence pipe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ludge confluence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single sludge collecting pipe having a sludge collecting 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본 발명에 따른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는, 취수장에 충진된 여과사를 역세척할 수 있어 여과 공극의 폐색 현상을 방지하고, 역세척시 발생된 슬러지를 포집하여 여과사의 성능을 유지시켜 양질의 청정 해수를 취수할 수 있다.The seawater intake device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having a difference between tidal tid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backwashing the filtered sand filled in the intake station, preventing the blockage of the filtration voids, and collecting and filtering the sludge generated during backwashing. The company's performance can be maintained to obtain high quality clean seawater.
또한 육지에 접하여 해안에 근접 설치되므로 취수배관을 짧게 구성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it is installed close to the sho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and, the intake pipe can be shortly constructed, and construction is easy.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의 설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의 평면적인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해수 취수장치의 구성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3c는 도 3a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3a에서 취수프레임과 해수취수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해수 취수 장치에 적용되는 해수취수관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K-K선 단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해수 취수 장치에 적용되는 산기관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해수 취수 장치에 적용되는 슬러지 포집관의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에서 해수 취수시 여과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취수 장치에서 역세척 공정시 여과사 세척 및 슬러지 흡입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The following drawings, which are attached in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installation of a seawater intake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seawater intak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block diagram of a preferred seawater int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front view of FIG. 3A.
3C is a side view of FIG. 3A.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intake frame and the sea intake pipe in Figure 3a.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water intake pipe applied to the seawater int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n enlarged view of the KK line cross section in FIG. 5A.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and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ffuser applied to the seawater int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udge collecting tube applied to the seawater int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a is a view showing the filtration flow when seawater intake in the seawater int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b is a view showing the filter washing and sludge suction process during the backwashing process in the seawater intak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 따른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조수간만이 일어나는 해안에 간조 해수면(G0)으로부터 일정 깊이(h)로 터파기 된 취수장(2)에 설치된다. 즉 취수장치(100)는 취수장(2)의 바닥측에 설치된다.Sea water is applied to the difference between sea water environment of the tides according to the
취수장치(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직육면 형태의 틀체를 이루는 취수프레임(110)이 구비된다. 취수프레임(110)은 직육면 형태의 모서리를 따라 구성되어 육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취수프레임(110)에는 해수취수관(120), 산기관(130) 및 슬러지 포집관(140)이 설치되어 있다.
해수취수관(120)은 취수프레임(110)내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해수취수관(120)은 취수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해수 취수관(120)은 펌프실 박스(300)내의 펌핑수단과 배관으로 연결된다. 해수취수관(120)은 2중관 구조를 갖고 있다. 해수취수관(120)은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일단에 흡입구(122b)가 형성되고 타단이 폐쇄된 파이프형 단면으로 외주면에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해수취수공(122a)을 갖는 취수내부관(122)과, 취수내부관(122)의 외측 둘레에 여과사(200)의 크기보다 작은 타공구멍(124a)을 갖는 타공망으로 감싸진 취수외부관(124)과, 취수내부관(122)과 취수외부관(124)의 사이에 압력 조절 및 해수 유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간격유지링(126)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해수취수관(120)은 길이가 긴 경우 복수 개의 관이 플랜지 접합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산기관(130)은 역세척 공정에 사용된다. 도 3a, 도 3c 및 도 6과 같이 산기관(130)은 해수취수관(120)의 하방에 배치되어 취수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다. 산기관(130)은 일단에 급기구(130a)를 갖고 타단이 폐쇄되어 상호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분배관(132)과, 공기분배관(132)에 직각 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배기공(134a)을 갖는 공기배출관(134)과, 배기공(134a)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배출관(134)에 접합되어 있는 기포망(136)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포망(136)은 배기공(134a)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이 타공되어 있다.The
슬러지 포집관(140)은 산기관(130)과 함께 역세척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포집·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3a 및 도 7과 같이 슬러지 포집관(140)은 해수취수관(120)의 상방에 배치된다. 슬러지 포집관(140)은 취수프레임(110)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슬러지 합류관(142)과, 슬러지 합류관(14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슬러지 합류관(14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측에 길이 방향으로 분포되어 있는 슬러지 포집구(144a)를 갖는 다수개의 단일 슬러지 포집관(144)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산기관(13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펌프실 박스(300)내에 역세척용 송풍기(410)가 설치된다. 역세척용 송풍기(410)의 송풍구는 펌프실 박스(300)의 외측 플랜지 배관을 통해 산기관(130)에 연결된다. 또한 해수취수관(120)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펌프실 박스(300)의 일측에 역세척수를 저장하여 두는 저수조(500)가 더 설치된다. 저수조(500)에 저장되는 물은 해수로서 취수펌프(4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Here, the
여과사(200)는 취수장(2)에 충진되어 취수장치(100)로 흡입될 해수를 여과시키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2 ~ 5mm의 일정한 공극을 지닌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작된 규사가 될 수 있다. 여과사(200)는 취수장(2)에 채워져 취수장치(100)를 매설시키며 슬러지 포집구(144a)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까지 충진되어진다. 따라서, 슬러지 포집구(144a)는 여과사(200)층에 위치하지 않는다. 그 결과 여과사(200)의 상면과 단일 슬러지 포집관(144)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층이 유지되고, 그 간격 층의 볼륨은 역세척 후 슬러지 부유물이 떠다닐 수 있는 부유층이 된다.
펌프실 박스(300)는 취수장치(100)에 가까이 위치하여 간조 해수면과 동일한 지면상에 시설되어 만조 수위(GH)시 밀물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펌프실 박스(300)는 콘크리트 철근으로 미리 제작되어 현장에 시공된다. 펌프실 박스(300)는 각종 배관의연결을 위해 방수플랜지가 설치되고, 이 방수 플랜지를 통해 해수취수관(120), 산기관(130), 슬러지 포집관(140)과 연결된다. 펌프실 박스(300)내에는 취수장치(100)의 해수취수관(120)과 연결되어 해수를 흡입함과 동시에 사용처에게 공급하기 위한 취수펌프(400)가 설치된다. 취수펌프는 비자흡식 단단볼류트 펌프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자흡식 단단볼류트 펌프의 사용시 케비테이션 현상이 방지되고 간조시에도 펌핑 흡입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내구성과 펌핑효율이 우수하기 때문이다.The
미설명 부호 '600'은 '집수정'이고, '700'은 '급속여과장치'이다.Unexplained symbol '600' is 'water catch' and '700' is 'quick filtration device'.
이같이 구성된 해수 취수 장치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awater intake apparatus comprised in this way is demonstrated.
먼저, 조수 간만이 일어나는 해안에 간조 해수면(G0)으로부터 일정 깊이(h)로 터파기를 시행하여 취수장(2)을 시공한다. 이때 취수장(2)은 그의 폭과 너비 및 높이가 취수장치(100)를 수용하고도 여과사(200)가 일정 높이로 채워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도록 시공된다.First, the
다음, 취수장(2)의 바닥측에 취수장치(100)를 크레인 장비를 통해 안착시킨다.Next, the
그 다음, 취수장(2)에 취수장치(100)로 흡입될 해수를 여과시키기 위해 여과사(200)를 적정한 높이까지 충진시킨다.Next, the
그 다음, 취수장치(100)에 가까이 위치하여 간조 해수면(G0)과 동일한 지면상에 미리 제작된 펌프실 박스(300)를 설치한다. 바람직하게 펌프실 박스(300)는 취수장치(100)의 후방 육지쪽에 설치된다.Next, the
그 다음, 취수장치(100)의 각종 배관을 펌프실 박스(300)에 방수플랜지를 통해 연결한다. 이때 배관의 연결은 간조시에 시행됨이 바람직하다.Then, various pipes of the
이 후 펌프실 박스(300)의 일측에 취수장치(100)로 역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조(500)가 설치된다.Thereafter, a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시공된 해수 취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seawater intake device constructed and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해수 취수 및 여과 공정>Seawater withdrawal and filtration process
먼저, 펌프실 박스(300)내의 취수펌프(400)가 가동되면 취수장치(100)의 해수취수관(120)에 흡입력이 발생되어 해수가 취수된다. 이때 해수취수관(120)에는 도 8a에 나타난 바와 같이 D방향으로 여과사(200)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된 청정 해수가 취수된다.First, when the
해수취수관(120)에서 취수되는 해수의 경로는 취수외부관(124)을 통해 유입된 후 해수취수공(122a)을 거쳐 취수내부관(122)을 경유한다. 이때 간격유지링(126)에 의해 취수내부관(122)과 취수외부관(124)의 사이에 압력 조절 및 해수 유입 공간이 생겨 여과해수의 흡입은 단락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취수펌프(400)에서 흡입된 청정 해수는 해수공급관(15)을 통해 사용처로 공급된다.The path of the seawater withdrawn from the
이때 여과사(200)층에서는 주로 체거름작용, 저지작용, 중력침강작용에 의하여 취수 과정에서 부유물질이 제거되어 청정해수가 해수취수관(120)으로 취수된다.At this time, in the
한편, 해안에서 발생되는 조류로 인한 해수면의 복원력으로 여과사(200)층에 가해지는 투과 압력의 변화에 의해 여과 효율이 좋아지고, 이때 여과사(200)에 걸러진 극미세한 부유물은 외부로 유출되어 지속된 여과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역세척 공정의 주기를 최대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the change in the permeation pressure applied to the
<역세척 공정><Backwashing Process>
다른 한편, 여과사(200)층에 폐색을 일으키는 부유물이나 점토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역세척 공정을 시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remove the suspended matter or clay causing clogging the
이 역세척 공정은 산기관(130)에 공기를 불어넣어 부유물이나 점토질과 혼합된 여과사에서 1차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시키고 2차적으로 해수취수관(120)에 역세척수를 공급하여 점토질 등을 부유시키고, 이후에 슬러지 포집관(140)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이루어진다. 이때 여과사(200)의 상면과 단일 슬러지 포집관(144)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의 층이 설정되어 있고 그 간격 층의 볼륨은 역세척 후 슬러지 부유물이 떠다닐 수 있는 부유층이 되는데 슬러지 포집관(140)은 부유층에 포함된 점토질 등을 포집하게 된다. This backwashing process blows air into the
산기관(130)에 연결된 역세척용 송풍기(410)가 작동을 개시하면 펌프실 박스(300)내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분배관(132)을 통해 유입되어 공기배출관(134)측 배기공(134a)을 통해 도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U1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공(134a)을 통과한 공기는 기포망(136)에 의해 기포 상태로 부상하여 여과사(200)층으로 침투한다. 이와 동시에 취수펌프(400)의 역동작으로 저수조(500)내의 해수가 해수취수관(120)으로 공급되어 취수외부관(124)의 타공구멍을 통하여 U2방향으로 토출된다.When the
이같이 역세척 공정에서는 기포와 역세척수의 토출로 여과사(200)층에 점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강제로 이탈시킨다. 이후 슬러지 포집관(140)에 연결된 펌프(도시안됨)를 가동시키면 여과사(200)에서 이탈된 슬러지가 슬러지 포집관(140)의 슬러지 포집구(144a)를 통해 포집되어 도시안된 수중배출관을 통하여 외부(해상)로 유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washing process, the sludge adhering to the
이와 같이 역세척 공정에서는 취수장치(100)에서 기포의 주입과 역세척수의 공급으로 여과사(200)에 점착된 슬러지를 이탈·부유시키고 이후 부유된 슬러지를 포집하여 외부로 제거시킴으로써 여과사(200)는 제기능의 여과를 발휘하게 되어 양질의 청정한 해수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ckwashing process, the sludge adhering to the
이같이 본 발명은 조류 간만이 일어나는 해안에서 간조시 수위보다 아래에 설치되는 여과사(200)를 취수장치(100)로 역세척시킬 수 있고 동시에 여과사(200)에 흡착된 슬러지를 이탈·포집시킬 수 있어 여과 효율성이 향상된다. 또한 충진된 여과사(200)를 통해 해수가 여과되어 취수장치(100)로 취수되어 청정한 여과 해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취수장치(200)는 육지와 접해있는 해안 가까이 설치되어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취수된 해수는 청정하여 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비가 저렴하여 사용처에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해수 여과 후 후처리 공정의 처리 비용이 없어지므로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ackwash the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will b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2: 취수장
100: 취수장치
110: 취수프레임
120: 해수취수관
122: 취수내부관
124: 취수외부관
126: 간격유지링
130: 산기관
132: 공기분배관
134: 공기배출관
136: 기포망
140: 슬러지 포집관
142: 슬러지 합류관
144: 단일 슬러지 포집관
200: 여과사
300: 펌프실 박스
400: 취수펌프
500: 저수조2: intake
100: intake device
110: water intake frame
120: seawater intake pipe
122: water intake pipe
124: intake exterior
126: spacing ring
130:
132: air distribution pipe
134: air discharge pipe
136: Bubble net
140: sludge collection tube
142: sludge confluence pipe
144: single sludge collection tube
200: filter yarn
300: pump room box
400: intake pump
500: reservoir
Claims (6)
취수장치(100)는,
직육면 형태의 틀체를 이루는 취수프레임(110)과;
상기 취수프레임(110)내의 하부측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2중관 구조를 갖는 복수개 이상의 해수취수관(120)과;
상기 해수취수관(120)의 하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되어 취수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는 산기관(130)과;
상기 해수취수관(120)의 상방에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병렬 연결되어 취수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있는 슬러지 포집관(140)을 포함하고;
상기 산기관(130)은,
상호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 배치된 복수 개의 공기분배관(132)과;
상기 공기분배관(132)에 직각 방향으로 병렬로 연결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된 급기구멍(134a)을 갖는 공기급기관(134)과;
상기 급기구멍(134a)의 상면에 위치되어 공기급기관(134)에 접합되어 있는 기포망(1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In the water intake device 100 which is installed on the bottom side of the intake station 2, which is excavated from the low tide sea level (G 0 ) to a certain depth (h) on the shore where tidal tides occur.
Intake device 100,
Intake frame 110 forming a frame of the rectangular shape;
A plurality of seawater intake pipes 120 having a double pipe structu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on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frame 110;
An acid pipe 130 disposed below the seawater intake pipe 120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and fixed to the water intake frame 110;
It is disposed above the seawater intake pipe 120 and at the same time parallel to each other includes a sludge collection pipe 140 is fixed to the water intake frame (110);
The diffuser 130,
A plurality of air distribution pipes 132 arrang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 air supply pipe 134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ion pipes 132 in parallel at right angles and having an air supply hole 134a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a length direction on an upper portion thereof;
Seawater intake apparatus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al wat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network 136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air supply hole (134a) and bonded to the air supply pipe (134).
상기 산기관(130)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역세척용 송풍기(41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eawater intake device is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al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washing blower 410 is connected to inject air into the diffuser (130).
상기 해수취수관(120)으로 역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펌프(400)와;
상기 취수펌프(400)의 흡입구측에 연결되고 집수정(600)으로부터 공급받아 해수를 일정량 저장하는 저수조(50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intake pump 400 for supplying backwash water to the seawater intake pipe 120;
Seawater intake device is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ervoir is connected to the inlet side of the water intake pump 400 and received from the sump (600) for storing a certain amount of seawater.
상기 해수취수관(120)은,
일단이 폐쇄된 파이프형 단면으로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고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해수취수공(122a)을 갖는 취수내부관(122)과;
상기 취수내부관(122)의 둘레에 여과사의 크기보다 작은 타공구멍을 갖는 타공망으로 감싸진 취수외부관(124)과;
상기 취수내부관(122)과 취수외부관(124)의 사이에 압력 조절 및 해수 유입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설치된 간격유지링(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awater intake pipe 120,
An intake inner pipe 122 having a pipe-shaped cross-section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a seawater collecting hole 122a at regular interva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n;
An intake outer tube 124 surrounded by a perforated network having a perforated hol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filtration yarn around the intake inner tube 122;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ap maintaining ring 126 installed to form a pressure control and seawater inlet space between the intake inner pipe 122 and the intake outer pipe 124 Seawater intake device.
상기 슬러지 포집관(140)은,
취수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슬러지 합류관(142)과;
상기 슬러지 합류관(14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슬러지 합류관(142)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하부측에 길이 방향으로 슬러지 포집구(144a)를 갖는 다수개의 개별 슬러지 포집관(1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수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udge collection tube 140,
A sludge confluence pipe 142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take frame 110;
A plurality of individual sludge collection pipe 144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ludge confluence pipe 142 and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ludge confluence pipe 142 and having a sludge collecting port 144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ide thereof. Seawater intake device applied to the seawater environment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idal tidal water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651A KR101304761B1 (en) | 2011-08-19 | 2011-08-19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82651A KR101304761B1 (en) | 2011-08-19 | 2011-08-19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0189A KR20130020189A (en) | 2013-02-27 |
KR101304761B1 true KR101304761B1 (en) | 2013-09-05 |
Family
ID=47898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82651A KR101304761B1 (en) | 2011-08-19 | 2011-08-19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0476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438Y1 (en) | 2004-07-14 | 2004-10-11 | (주)오복해양건설 | Land type seawater suction for hood |
KR100936745B1 (en) * | 2009-07-20 | 2010-01-15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The fiber filter system consisted of multiple layers containing biodegradation reaction |
KR100969933B1 (en) * | 2010-01-07 | 2010-07-14 | 뮤러아시아(주) | Inclined lamella clarifier having washing device for settling tank |
KR20100113688A (en) * | 2009-04-14 | 2010-10-22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Seawater intake system using sand layer of sea as filter |
-
2011
- 2011-08-19 KR KR1020110082651A patent/KR10130476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4438Y1 (en) | 2004-07-14 | 2004-10-11 | (주)오복해양건설 | Land type seawater suction for hood |
KR20100113688A (en) * | 2009-04-14 | 2010-10-22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Seawater intake system using sand layer of sea as filter |
KR100936745B1 (en) * | 2009-07-20 | 2010-01-15 | 주식회사삼영이앤티 | The fiber filter system consisted of multiple layers containing biodegradation reaction |
KR100969933B1 (en) * | 2010-01-07 | 2010-07-14 | 뮤러아시아(주) | Inclined lamella clarifier having washing device for settling ta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0189A (en) | 2013-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22644B2 (en) | Cleaning device for filtration layer in seawater infiltration. | |
JP5822623B2 (en) | Seawater osmotic filtration method and osmotic water intake unit | |
KR101089024B1 (en)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06150351A (en) | Wetland type water purification system | |
KR101303822B1 (en) | Seawater intake pipe assembly | |
JP2000186351A (en) | Penetration-type water intake method | |
KR101303821B1 (en) | Seawater intake system having submerged wei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2010275843A (en) | Water storage facility, water storage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and water supply method using the water storage facility | |
JP2008144525A (en) |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system and seawater infiltration intake method | |
CN203877995U (en) | Water taking and water purification integrated device for surface water source | |
JP5869375B2 (en) | Seawater infiltration device | |
KR101304761B1 (en) | Tidal current coast applied seawater intake device | |
KR101539281B1 (en) | Shallow depth well for use indirectness water intake and that method | |
US20160184748A1 (en) | Floating Filtration Apparatus Transfers Seawater without Harm to Marine Life, | |
CN109183720B (en) | A kind of irrigation canals and ditches anti-clogging recharge filter device | |
KR101642355B1 (en) | Filtered Water Intak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4233701A (en) | Floating type suspended matter collection device and method | |
JP6138594B2 (en) | Mobile suspended solids recovery equipment for seawater infiltration. | |
CN211285703U (en) | Percolation water collection pump well with backwashing function | |
JP4002820B2 (en) | Osmosis trench connection unit and method of osmosis trench construction | |
KR101753901B1 (en) | Filter combined with small filtering bag, apparatus therefor and facitility thereof | |
CN216108549U (en) | Side slope drainage device | |
JP2004183206A (en) | Sediment recovery system | |
JP2019218918A (en) | Bottom dirty water suction device | |
CN209741955U (en) | dynamic and static spiral water diversion energy-activated dredging treatment system suitable for weir po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