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851B1 - Clean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lean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7851B1 KR101297851B1 KR1020110106711A KR20110106711A KR101297851B1 KR 101297851 B1 KR101297851 B1 KR 101297851B1 KR 1020110106711 A KR1020110106711 A KR 1020110106711A KR 20110106711 A KR20110106711 A KR 20110106711A KR 101297851 B1 KR101297851 B1 KR 1012978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eaning
- conveyor
- clamps
- product
-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08B3/123—Cleaning travelling work, e.g. webs, articles on a convey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drums in which the article or material is plac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딩기(P)를 통하여 레일(P1)상에 정렬준비되는 제품(A)을 클램핑하여 공급이송하도록 복수개의 클램프(12)가 구비되는 로딩부(10); 상기 로딩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제품(A)이 이격된 상태로 정렬이송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위치고정핀(22)이 복열로 구비되는 컨베이어(20); 상기 컨베이어(20)의 이송라인상에 배치되고, 세정조(34a)가 구비되는 초음파세정실(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정부(30); 및 상기 컨베이어(20) 후단에 설치되고, 세정부(30)를 통과한 제품(A)을 클램핑하여 배출이송하도록 클램프(42)가 구비되는 언로딩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품이 컨베이어의 위치고정핀을 통하여 정렬이송됨에 따라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품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찌그러지거나 표면이 긁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또 제품의 로딩 및 언로딩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정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수행되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세정공정을 완료후 배출되는 제품의 2차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unit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amps (12) to clamp and feed the product (A) to be aligned and prepared on the rail (P1) through the feeder (P); A conveyor (20)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pins (22) provid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products (A) supplied by the loading unit (10) are aligned and transported in a spaced apart state; A cleaning unit 30 disposed on the conveying line of the conveyor 20 and including an ultrasonic cleaning chamber 34 provided with a cleaning tank 34a; And an unloading part 4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20 and provided with a clamp 42 to clamp and discharge the product A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leaning part 30 to be discharged and transported. d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crushing or scratching of the surface by preventing the friction between the products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s the product is aligned and transported through the position fixing pin of the conveyor, and prevents the loading and unloading process of the product A series of cleaning processes, including ones, ar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improving productivity and preventing secondary pollution of products discharged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정장치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코팅(도금)처리를 위해 준비되는 코팅대상물의 표면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세청하기 위한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ing apparatus for washing the foreign matter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coating object to be prepared for coating (plating) treatment.
통상적으로 코팅(도금)처리는 제품의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제품 고유재질의 특성을 향상시키거나 다른 신규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내마모성, 윤활성, 내열성, 내식성, 내약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된다.In general, the coating (plating) treatment is to form a film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s intrinsic properties or to impart other novel properties, mainly to improve wear resistance, lubricity, heat resistance, corrosion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Widely used for the purpose.
그리고, 코팅(도금)처리는 제품의 표면에 형성되는 특성상, 코팅(도금)처리시 표면에 이물질(절삭유, 버어 등)이 잔류할 경우 코팅불량으로 이어지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코팅처리를 수행하기 이전단계에서 세정공정을 수행하고 있지만, 세정공정에 포함된 세척작업 및 건조작업, 그리고 코팅대상물의 로딩/언로딩작업이 모두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되는 실정이므로 작업속도가 지연되어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따랐다.In addition, the coating (plating) treatment is a characteristic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oduct, if the foreign matter (cutting oil, burr, etc.) remaining on the surface during the coating (plating) process leads to poor coating, to perform a coating treatment to prevent this Although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in the previous stage, the cleaning work and drying work included in the cleaning process and the loading / unloading work of the coating object are all performed by manual work. Followed.
이에 종래에 세정장치를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제10-0740269호에서 세척기를 통과한 세척물은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건조부를 통과하면서 표면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증발되고, 이어서 세척물이 건조된 상태로 수거통으로 낙하되는 방식으로 세척공정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In the conventional cleaning apparatus, the wash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machine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740269 passes through the drying unit by the conveyor belt, and the washing water remaining on the surface is evaporated, followed by a container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dried. The technology that the cleaning process is performed in a manner that falls to the prior has been registered.
그런데, 상기한 종래기술은 세척공정 및 건조공정을 일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 설비이지만, 사용상에 있어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이 따랐다.By the way,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an automated facility for performing the washing process and the drying process collectively, but many problems have been followed in use.
첫째, 세척물이 무작위로 투입되어 세척드럼을 통과하는 중에 서로 충돌 및 마찰되어 찌그러지거나 표면이 긁혀 고도의 표면조도를 요하는 정밀부품용으로 부적합한 실정이다.First, it is unsuitable for precision parts that require high surface roughness due to collisions and rubbing or scratching of surfaces while randomly inputting cleaning materials through the cleaning drum.
둘째, 세척드럼을 통과한 세척물은 코팅처리를 포함하는 후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수납상자에 일일이 정렬준비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세척물을 정렬준비하는 작업중에 오염에 재차 노출되는 폐단이 따랐다.Secondly, since the cleaning products having passed through the washing drum have to be prepared in a storage box in order to perform the post-process including the coating treatment, the work is cumbersome, and the waste is exposed again to the contamination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cleaning material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품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찌그러지거나 표면이 긁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제품의 로딩 및 언로딩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정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수행되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세정공정을 완료후 배출되는 제품의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crushing or scratching of the surface by preventing friction between the products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nd also includes a series of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produc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for automatical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cleaning process and preventing secondary pollution of the product discharged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피딩기(P)를 통하여 레일(P1)상에 정렬준비되는 제품(A)을 클램핑하여 공급이송하도록 복수개의 클램프(12)가 구비되는 로딩부(10); 상기 로딩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제품(A)이 이격된 상태로 정렬이송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위치고정핀(22)이 복열로 구비되는 컨베이어(20); 상기 컨베이어(20)의 이송라인상에 배치되고, 세정조(34a)가 구비되는 초음파세정실(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정부(30); 및 상기 컨베이어(20) 후단에 설치되고, 세정부(30)를 통과한 제품(A)을 클램핑하여 배출이송하도록 클램프(42)가 구비되는 언로딩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ing pa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로딩부(10)와 언로딩부(4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1, 2가이드레일(G1)(G2)을 타고 종횡방향으로 위치이송되는 이송프레임(11)(21)과, 이송프레임(11)(21)상에서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3가이드레일(G3)상에서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간격이 확장/축소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클램프(1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클램프(12)(42)는 작동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작동부재는 어느 일측 클램프(12)(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이 형성되는 연결바(50)와, 다른 일측 클램프(12)(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에 수용되는 걸림바(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다수개의 클램프(12)(42) 중에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42)는 이송프레임(11)(21)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42)는 실린더(S)와 연결되어 작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또한, 상기 컨베이어(20)는 세정조(34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하향이송구간(24), 수평이송구간(25), 수직상향이송구간(26)으로 이송라인이 형성되어 제품(A)이 세정조(34a) 내부를 거쳐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직하향이송구간(24)과 수직상향이송구간(26)에 각각 대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20)와 연계구동되어 제품(A)의 상면을 가압하는 지지벨트(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rtical downward
또한, 상기 세정부(30)는 알카리세정실(31) 및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품이 컨베이어의 위치고정핀을 통하여 정렬이송됨에 따라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품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찌그러지거나 표면이 긁히는 현상이 방지되고, 또 제품의 로딩 및 언로딩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정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수행되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세정공정을 완료후 배출되는 제품의 2차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vented from crushing or scratching the surface by preventing friction between the products during the cleaning process as the product is aligned and transferred through the positioning pins of the conveyor, and also the loading and A series of cleaning processes including an unloading process is automatical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prevent secondary pollution of the product discharged after the cleaning process is comple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a 내지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롱딩부와 언로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초음파세정실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verall clea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a whole.
3A to 3B are enlarged views of the longing part and the unloading part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nlarged ultrasonic cleaning chamber of the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세정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세정장치는 세정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제품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찌그러지거나 표면이 긁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또 제품의 로딩 및 언로딩공정을 포함하는 일련의 세정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수행되어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세정공정을 완료후 배출되는 제품의 2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로딩부(10), 컨베이어(20), 세정부(30), 언로딩부(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apparatus, wherein the cleaning apparatus prevents friction between products during the cleaning process to prevent crushing or scratching, and also includes a series of cleaning processes including loading and unloading of products. The
본 발명에 따른 로딩부(10)는 피딩기(P)를 통하여 레일(P1)상에 정렬준비되는 제품(A)을 클램핑하여 공급이송하도록 복수개의 클램프(12)가 구비된다. 로딩부(10)는 통상의 피딩기(P)에 의해 레일(P1)상에 일렬로 정렬준비되는 제품(A)을 후술하는 컨베이어(20)상으로 정렬투입하는바, 이때 제품은 로딩부(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중에 서로간에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컨베이어(20)에 구비되는 각각의 위치고정핀(22)상에 안착된다.The
여기서, 상기 로딩부(1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1, 2가이드레일(G1)(G2)을 타고 종횡방향으로 위치이송되는 이송프레임(11)과, 이송프레임(11)상에 설치되고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3가이드레일(G3)상에서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간격이 확장/축소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클램프(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레일(G1)은 이송프레임(11)을 컨베이어(20)의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가이드레일(G2)은 이송프레임(11)을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Here, the
또, 제3가이드레일(G3)에 설치되는 클램프(12)는 작동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작동부재는 어느 일측 클램프(1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이 형성되는 연결바(50)와, 다른 일측 클램프(1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에 수용되는 걸림바(5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클램프(12) 중에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는 이송프레임(11)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는 실린더(S)와 연결되어 작동력이 전달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클램프(12)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가 이송되면, 연결바(50)와 걸림바(52)가 맞물리는 위치에서 각각의 클램프(12)가 연계작동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확장된다. 이에 레일(P1)상에 밀착된 상태로 준비되는 제품(A)이 로딩부(10)를 통하여 이송되는 중에 클램프(12)의 확장이송에 의해 서로간에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컨베이어(20)의 위치고정핀(22)상에 안착된다.Therefore, when the
즉, 도 3a 내지 3b처럼 어느 일측 클램프(12)가 당겨지면 걸림바(52)가 작동홈(50a)상에서 이송되고, 걸림바가 작동홈(50a)의 단부에 맞물리는 시점부터 인접하는 클램프(12)가 순차적으로 당겨져 서로 간에 간격이 확장된다.That is, when one of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20)는 로딩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제품(A)이 이격된 상태로 정렬이송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위치고정핀(22)이 복열로 구비된다. 컨베이어(20)는 한 쌍의 체인컨베이어가 평행하게 구비되고, 다수개의 위치고정핀(22)이 구비되는 컨베이어바 양단이 체인컨베이어상에 연결되며, 각각의 위치고정핀(22)이 서로간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위치고정핀(22)은 제품(A)을 외측에서 수용하도록 제품(A)의 외경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도 4처럼 하부가 개방된 통형 제품(A)을 로딩시 제품(A)의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컨베이어(20)는 후술하는 세정부(30)의 세정조(34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품(A)이 세정조(34a) 내부를 거쳐 이송되도록 수직하향이송구간(24), 수평이송구간(25), 수직상향이송구간(26)으로 이송라인이 형성되는바,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In addition, the
도 4에서, 상기 컨베이어(20)는 세정조(34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하향이송구간(24), 수평이송구간(25), 수직상향이송구간(26)으로 이송라인이 형성되어 제품(A)이 세정조(34a) 내부를 거쳐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컨베이어(20)는 가이드 기어(롤러)에 의해 이송방향이 전환되는바, 수직하향이송구간(24)에 의해 제품(A)이 세정조(34a) 내부로 투입되고, 이어서 수평이송구간(25)에 의해 세정조(34a) 내부에서 직선이송되며 초음파세정공정이 수행되며, 수직상향이송구간(26)에 의해 세정조(34a) 외부로 배출되어 이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된다.In FIG. 4, the
여기서 수직하향이송구간(24) 및 수직상향이송구간(26)은 제품(A)이 이송중 낙하되지 않도록 60~80도의 경사각으로 형성되거나, 후술하는 지지벨트(28)를 구비할 경우 장비의 전체적인 폭이 축소되도록 9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에서는 90도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함)In this case, the vertical downward
이때, 상기 수직하향이송구간(24)과 수직상향이송구간(26)에 각각 대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20)와 연계구동되어 제품(A)의 상면을 가압하는 지지벨트(28)가 구비된다. 지지벨트(28)는 컨베이어(20)를 구동하는 가이드기어(롤러)와 동력전달수단(기어, 체인)에 의해 연계작동되도록 구비되는 풀리(롤러, 가이드기어)에 의해 양단이 지지되고, 수직하향이송구간(24) 및 수직상향이송구간(26)에서 컨베이어(20)를 타고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이송되는 제품(A)을 밀착지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vertical downward conveying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조(34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컨베이어(20)의 수직하향이송구간(24) 및 수직상향이송구간(26)을 90도로 형성하더라도 제품(A)이 수직방향으로 이송되는 중에 지지벨트(28)에 의해 가압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vertical downwar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부(30)는 컨베이어(20)의 이송라인상에 배치되고, 세정조(34a)가 구비되는 초음파세정실(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초음파세정실(34)은 세정조(34a)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어 제품(A)이 입수된 상태로 초음파장치(U)에 의해 초음파세정공정이 수행되고, 이때 세정조(34a)는 상부가 개방된 통형으로 형성되어, 제품(A)이 컨베이어(20)를 타고 이송되는 중에 세정조(34a)를 거쳐 이송된다.In addition, the
또, 상기 세정부(30)는 알카리세정실(31) 및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이 순차적으로 더 배치된다. 알카리세정실(31)은 노즐을 통하여 알카리수를 분사하여 제품(A)에 잔류하는 이물질 및 기름을 제거하고, 린스세정실(32)은 노즐을 통하여 린스액을 분사하여 전단계에서 분사된 알카리수를 제거하며, 에어블로우실(33)은 노즐을 통하여 고압에어를 분사하여 린스액을 제거하며, 초음파세정실(34)은 알카리수 또는 순수가 저장된 세정조(34a) 내부에 제품(A)을 투입하여 초음파장치(U)를 통하여 미세 이물질을 제거하며, 순수세정실(35)은 노즐을 통하여 순수액을 분사하여 제품(A) 표면에 잔류하는 약품을 제거하며, 에어블로우실(33)은 고압에어를 분사하여 순수제거하며, 열풍건조실(37)은 노즐을 통하여 고온공기를 분사하여 제품표면에 잔류하는 순수를 건조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알카리세정실(31) 및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은 노즐이 제품의 상하부에 위치되고, 컨베이어(20)는 단속이송되면서 상기 각각의 공정을 순차적으로 연속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알카리세정실(31) 및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은 반복 세정효율을 높이기 위해 배치가능한바, 일실시예로서 도 1에서는 알카리세정실(31),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알카리세정실(31),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알카리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순수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 순으로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각각의 세정실 하부에는 호퍼가 구비되어 폐액을 수거후 필터링하여 재사용하도록 구비된다.Meanwhile,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언로딩부(40)는 컨베이어(20) 후단에 설치되고, 세정부(30)를 통과한 제품(A)을 클램핑하여 배출이송하도록 클램프(42)가 구비된다. 언로딩부(40)는 상기 세정부(30)를 거쳐 컨베이어(20)를 타고 배출되는 제품(A)을 이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컨베이어 또는 적재함으로 운반하는바, 이때 언로딩부(40)는 컨베이어(20)상에 이격된 상태로 배출되는 제품(A)을 이송중에 간격을 밀착시킨 상태로 언로딩한다.In addition, the unloading
여기서, 상기 언로딩부(40)는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1, 2가이드레일(G1)(G2)을 타고 종횡방향으로 위치이송되는 이송프레임(21)과, 이송프레임(21)상에 설치되고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제3가이드레일(G3)상에서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간격이 확장/축소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클램프(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가이드레일(G1)은 이송프레임(21)을 컨베이어(20)의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가이드레일(G2)은 이송프레임(21)을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종방향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실린더(S)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Here, the unloading
또, 제3가이드레일(G3)에 설치되는 클램프(42)는 작동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작동부재는 어느 일측 클램프(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이 형성되는 연결바(50)와, 다른 일측 클램프(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에 수용되는 걸림바(5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클램프(42) 중에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42)는 이송프레임(21)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42)는 실린더(S)와 연결되어 작동력이 전달된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실린더(S)의 작동에 의해 다수개의 클램프(42) 중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42)가 이송되면, 연결바(50)와 걸림바(52) 또는 각각의 클램프끼리 밀착되어 서로간의 간격이 축소된다. 이에 컨베이어(20)상에 이격된 상태로 배출되는 제품(A)이 언로딩부(40)를 통하여 이송되는 중에 서로 간에 간격이 밀착된 상태로 배출된다.Therefore, when the
10: 로딩부 20: 컨베이어
30: 세정부 40: 언로딩부10: loading unit 20: conveyor
30: cleaning part 40: unloading part
Claims (7)
상기 로딩부(10)에 의해 공급되는 제품(A)이 이격된 상태로 정렬이송되도록 상부에 다수의 위치고정핀(22)이 복열로 구비되는 컨베이어(20);
상기 컨베이어(20)의 이송라인상에 배치되고, 세정조(34a)가 구비되는 초음파세정실(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정부(30); 및
상기 컨베이어(20) 후단에 설치되고, 세정부(30)를 통과한 제품(A)을 클램핑하여 배출이송하도록 클램프(42)가 구비되는 언로딩부(40);
상기 컨베이어(20)는 세정조(34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수직하향이송구간(24), 수평이송구간(25), 수직상향이송구간(26)으로 이송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하향이송구간(24)과 수직상향이송구간(26)에 각각 대향하게 설치되고, 컨베이어(20)와 연계구동되어 제품(A)의 상면을 가압하는 지지벨트(28)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A loading part 1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lamps 12 for clamping and supplying a product A which is arranged and prepared on the rail P1 through a feeder P;
A conveyor (20) having a plurality of position fixing pins (22) provid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products (A) supplied by the loading unit (10) are aligned and transported in a spaced apart state;
A cleaning unit 30 disposed on the conveying line of the conveyor 20 and including an ultrasonic cleaning chamber 34 provided with a cleaning tank 34a; And
An unloading part 40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conveyor 20 and provided with a clamp 42 to clamp and discharge the product A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cleaning part 30 to be discharged and transported;
The conveyor 20 has a transfer line formed in a vertical downward transfer section 24, a horizontal transfer section 25, a vertical upward transfer section 26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leaning tank 34a,
The support belt 28 is installed to face the vertical downward transfer section 24 and the vertical upward transfer section 26 and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conveyor 20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duct A. Washing apparatus.
상기 로딩부(10)와 언로딩부(40)는 서로 다른 실린더 작동에 의해 제1, 2가이드레일(G1)(G2)을 타고 종횡방향으로 위치이송되는 이송프레임(11)(21)과, 이송프레임(11)(21)상에서 또 다른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제3가이드레일(G3)상에서 컨베이어(20)의 폭방향으로 간격이 확장/축소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클램프(12)(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oading unit 10 and the unloading unit 40 are transport frames 11 and 21 which are transport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on the first and second guide rails G1 and G2 by different cylinder operations; The plurality of clamps 12 and 42 are provided to extend / reduce the gap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veyor 20 on the third guide rail G3 by the operation of another cylinder on the transport frames 11 and 21. Washing apparatus comprising a.
상기 클램프(12)(42)는 작동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되, 작동부재는 어느 일측 클램프(12)(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이 형성되는 연결바(50)와, 다른 일측 클램프(12)(42)에 고정되어 작동홈(50a)에 수용되는 걸림바(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lamps 12 and 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operation member, and the operation member is fixed to one of the clamps 12 and 42 so that the connection bar 50 is formed with the operation groove 50a, and the other side clamp. (12) 42, the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engaging bar 52 is received in the working groove (50a).
상기 다수개의 클램프(12)(42) 중에 어느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42)는 이송프레임(11)(21)상에 고정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위치되는 클램프(12)(42)는 실린더(S)와 연결되어 작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lamps 12 and 42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clamps 12 and 42 are fixed on the transfer frames 11 and 21 and the clamps 12 and 42 positioned at the other end. ) Is a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force is transmitted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S).
상기 세정부(30)는 알카리세정실(31) 및 린스세정실(32), 에어블로우실(33), 초음파세정실(34), 순수세정실(35), 에어블로우실(36), 열풍건조실(37)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leaning unit 30 is an alkaline cleaning chamber 31 and a rinse cleaning chamber 32, an air blow chamber 33, an ultrasonic cleaning chamber 34, a pure water cleaning chamber 35, an air blow chamber 36, hot air Wash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chamber 37 is disposed sequential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11A KR101297851B1 (en) | 2011-10-19 | 2011-10-19 | Clean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6711A KR101297851B1 (en) | 2011-10-19 | 2011-10-19 | Clean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689A KR20130042689A (en) | 2013-04-29 |
KR101297851B1 true KR101297851B1 (en) | 2013-08-19 |
Family
ID=4844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6711A KR101297851B1 (en) | 2011-10-19 | 2011-10-19 | Clean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785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0128B1 (en) * | 2013-12-30 | 2016-01-04 | 박삼열 | Washing method for case of portable an electric equipment |
CN108856133B (en) * | 2018-05-25 | 2024-10-29 | 张家港市科宇信超声有限公司 | Feeding mechanism for ultrasonic cleaning device |
CN108772372B (en) * | 2018-07-19 | 2023-07-18 |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 Multi-station full-automatic ultrasonic cleaning device |
CN111229709B (en) * | 2020-01-18 | 2021-07-13 | 信泰电子(西安)有限公司 | Cleaning line before gilding of circuit board |
KR102157049B1 (en) * | 2020-08-03 | 2020-09-18 | 삼안산업 주식회사 | Device to automatically insert and discharge glass bottles in a continuous flow |
KR102461996B1 (en) * | 2022-08-06 | 2022-11-03 | (주)에스와이나노텍 | A device that automatically washing and drying parts in a servo-controlled chain drive typ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811A (en) * | 1994-02-18 | 1995-09-15 | 이헌조 |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rotary compressor case |
KR19980061610A (en) * | 1996-12-31 | 1998-10-07 | 추호석 | Loading / unloading device including collective dispersion of multi-piece materials |
-
2011
- 2011-10-19 KR KR1020110106711A patent/KR10129785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4811A (en) * | 1994-02-18 | 1995-09-15 | 이헌조 |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rotary compressor case |
KR19980061610A (en) * | 1996-12-31 | 1998-10-07 | 추호석 | Loading / unloading device including collective dispersion of multi-piece material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2689A (en) | 2013-04-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7851B1 (en) | Cleaning apparatus | |
CN100546727C (en) | Automatic bearing cleaning machine | |
KR100823136B1 (en) | A unmanned processing system for grinding of round bar | |
KR101443858B1 (en) | Cleaning device for foreign matter of machining parts | |
CN102335664B (en) | Intelligent control of bottle washing machine | |
KR20120139927A (en) | Automatic cleaning device of pallet | |
US10613036B2 (en) | Conveying and cleaning system and methods for cleaning and stacking trays and/or layer pads | |
JP2009185307A (en) | Surface treatment apparatus | |
KR101288094B1 (en) | turning device for pipe drawing machine | |
KR101204778B1 (en) | Hot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940706B1 (en) | Appatarus for aftertreatment of plate member and method for aftertreatment of plate member using the same | |
US201002943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onveyor Buckets | |
KR20060108516A (en) | Production installation | |
KR100795466B1 (en) | Automatic supply device for section steel | |
KR20100042164A (en) | Roll type tissue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 |
KR100985437B1 (en) | Transferring apparatus for use of leather finishing apparatus | |
CN105256666B (en) | A kind of high density fiberboard produces online compressed water generation apparatus | |
KR101069909B1 (en) | Transfer molding device of muffler | |
CN207566302U (en) | A kind of automatic feeder tool device | |
CN106216438A (en) | The handling equipment of φ 219 φ 355 pipe straightener | |
KR101100744B1 (en) | Apparatus for stacking boxes | |
KR20100130579A (en) | Bobbin transfer equipment | |
CN101712032A (en) | Conveying device | |
KR20040066303A (en) | Apparatus for painting pipe | |
CN100422050C (en) | On-line roller cleaning, oiling and pa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