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244B1 -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5244B1 KR101295244B1 KR1020110056859A KR20110056859A KR101295244B1 KR 101295244 B1 KR101295244 B1 KR 101295244B1 KR 1020110056859 A KR1020110056859 A KR 1020110056859A KR 20110056859 A KR20110056859 A KR 20110056859A KR 101295244 B1 KR101295244 B1 KR 101295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 dust collecting
- collecting tube
- impeller
- scatte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집진관; 상기 제 1집진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1노즐부; 상기 제 1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1임펠러; 상기 제 1노즐부 상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2노즐부; 및 상기 제 2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임펠러; 를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집진력을 가짐으로써, 배기의 중단 우려가 없으며 망체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집진력을 가짐으로써, 배기의 중단 우려가 없으며 망체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작업중에 발생되는 비산먼지나 유해물질들은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대표적인 요소로서 장시간에 걸쳐서 비산먼지나 유해물질들을 흡입하면 인체의 심폐계에 치명적인 질병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소석회(수산화칼슘, Ca(OH)2) 등의 분말을 용해하는 용해조에서는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소석회분진이 함께 배출될 수 있으므로, 소석회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집진장치(300)는 용해조(310)에서 날아오는 소석회분진을 집진하기 위하여 내부에 살수 노즐(320)을 구비한다.
그러나, 기존의 살수 노즐(320)의 집진력은 그리 높지 않아 분진의 일부만이 침전되게 되고, 나머지 대부분의 분진은 집진장치(300)의 상측에 위치한 망체(330)에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망체(330)가 분진에 의해 막히게 되어 배기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망체(330) 자체를 계속적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어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향상된 집진력을 가짐으로써, 배기의 중단 우려가 없으며 망체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 1집진관, 상기 제 1집진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1노즐부, 상기 제 1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1임펠러, 상기 제 1노즐부 상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2노즐부 및 상기 제 2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임펠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노즐부와 상기 제 2임펠러 사이에 형성되어 하측의 분진을 제 2임펠러측으로 유도하는 제 1가이드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분진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분진필터는, 제 1케이스, 상기 제 1케이스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 1커버, 상기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망 및 상기 제 1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제 1충전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집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 1망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집진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집진관, 상기 제 2집진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3노즐부 및 상기 제 3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3임펠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3임펠러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의 분진을 제 3임펠러측으로 유도하는 제 2가이드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는 제 2분진필터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분진필터는, 제 2케이스, 상기 제 2케이스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 2커버, 상기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망 및 상기 제 2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제 2충전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집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 2망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집진관과 상기 제 2집진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 1집진관에서 상기 제 2집진관으로 상측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집진관과 상기 제 2집진관의 하측은 용해조와 연결되고, 용해조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집진관의 길이는, 용해조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집진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향상된 집진력을 가짐으로써, 배기의 중단 우려가 없으며 망체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노즐부와 제 1임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분진필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노즐부와 제 1임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분진필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100, 이하 집진장치)는 용해조(105)에 설치되어 그로부터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용해조(105)는 소석회(수산화칼슘, Ca(OH)2) 분말 등을 용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100)는 제 1집진관(110), 제 1노즐부(130), 제 1임펠러(140), 제 2노즐부(150), 제 2임펠러(160)를 포함한다.
제 1집진관(110)은 용해조(105) 등과 같이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 연결된다. 또한, 그 내부 공간에 노즐부(130, 150)와 임펠러(140, 160)가 설치된다.
또한, 제 1집진관(110)의 하측은 볼트(111) 등을 통하여 용해조(105)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 1집진관(110)의 상측에는 제 1망체(120)가 볼트(121) 등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 1노즐부(130)는 제 1집진관(110)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한다. 또한, 제 1임펠러(140)가 존재하는 하측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1임펠러(140)는 제 1노즐부(130)의 하측에 설치되고, 회전 운동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여 제 1노즐부(130)에서 분사되는 물과 용해조(105)로부터 유입된 분진 사이의 흡착력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와류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 종래의 집진장치(300)에 비해 보다 많은 분진을 다시 용해조(105) 내부로 침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집진장치(100)의 집진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2차 집진을 수행하는 제 2노즐부(150)와 제 2임펠러(160)가 설치된다.
제 2노즐부(150)는 제 1노즐부(130)와 동일하게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하며, 제 1노즐부(130)의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제 2임펠러(160)가 존재하는 하측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2임펠러(160)는 제 1임펠러(140)와 동일하게 회전 운동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제 2노즐부(150)의 하측에 설치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임펠러(160)는 제 1노즐부(130)와 제 2노즐부(150)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 1노즐부(130)와 제 1임펠러(140)를 통한 1차 집진 후, 다시 제 2노즐부(150)와 제 2임펠러(160)를 통한 2차 집진을 수행할 수 있어 집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노즐부와 제 1임펠러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의 제 1노즐부(130)와 제 1임펠러(140)의 구성을 살펴본다.
제 1노즐부(130)는 물이 공급되는 유수관(131)과 물이 분출되는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수관(131)의 일단에 결합되는 노즐(1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물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한 오링(132)을 그 사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수관(131)에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39)가 상기 유수관(131)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노즐부(150) 역시 상술한 제 1노즐부(13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노즐부(150)의 유수관에도 물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39)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임펠러(140)는 복수의 회전날개(141)를 구비하여 회전 동작을 통해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임펠러(140)는 제 1집진관(110) 내부에 존재하는 유수관(131)에 연결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임펠러(160) 역시 상술한 제 1임펠러(14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는 제 1가이드관(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가이드관(170)은 제 1노즐부(130)와 제 2임펠러(160) 사이에 설치되어, 제 1노즐부(130)와 제 1임펠러(140)에 의해 집진되지 않은 하측의 분진을 상측에 존재하는 제 2임펠러(160)측으로 유도한다.
특히, 제 1가이드관(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측의 분진을 모아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어 제 2노즐부(150)의 집진력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의 집진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제 1가이드관(170) 내부에는 흡착 등을 통해 분진을 제거하는 제 1분진필터(18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분진필터(180)는 깔때기 모양의 제 1가이드관(170)에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제 1분진필터(180)가 설치됨으로써, 제 1노즐부(130)와 제 1임펠러(140)에 의한 1차 분진 제거, 제 1분진필터(180)에 의한 2차 분진 제거, 제 2노즐부(150)와 제 2임펠러(160)에 의한 3차 분진 제거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진력이 보다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분진필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분진필터(180)는 제 1케이스(181), 제 1커버(182), 제 1망(183), 충전재(185)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케이스(181)는 내부에 충전재(185)가 삽입되는 몸체로서, 제 1커버(18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1커버(182)는 제 1케이스(181)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그 사이에 제 1망(183)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망(183)은 제 1케이스(181)의 상단에 설치되며,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분진이 제 1분진필터(18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1케이스(181)의 하단에도 별도의 망(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재(185)는 분진을 포집하기 위하여 제 1케이스(181)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이 흡착되는 필터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유리섬유, 셀룰로스 섬유, 활성탄 등 기존에 알려진 다른 필터 재료들이 충전재(185)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제 1커버(182)를 통해 제 1분진 필터(180) 내에 수명이 다 된 충전재(185)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외부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200, 이하 집진장치)는 제 2집진관(210), 제 3노즐부(230), 제 3임펠러(240)를 더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실시예에 비해 별도의 제 2집진관(210)을 더 구비하여 집진력을 보다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집진관(210)은 제 1집진관(110)과 함께 분진이 발생되는 장소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집진관(110)과 제 2집진관(210)이 용해조(105)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집진관(210)의 하측은 볼트(211) 등을 통하여 용해조(105)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 2집진관(210)의 상측에는 제 2망체(220)가 볼트(221) 등을 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 3노즐부(230)는 제 2집진관(210) 내부에 설치되어, 분진을 집진하기 위한 물을 분사한다. 또한, 제 3임펠러(240)가 존재하는 하측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제 3임펠러(240)는 제 3노즐부(230) 하측에 설치되고, 회전 운동을 통해 와류를 형성하여 제 3노즐부(230)에서 분사되는 물과 용해조(105)로부터 유입된 분진 사이의 흡착력을 상승시킨다.
제 3노즐부(230)와 제 3임펠러(24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노즐부(130)과 제 1임펠러(140)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제 3노즐부(230) 역시 유수관(131), 오링(132), 노즐(1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수관(131)에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139)가 상기 유수관(131)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3임펠러(240) 역시 복수의 회전날개(141)를 구비하여 회전 동작을 통해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200)는 제 2가이드관(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가이드관(250)은 제 3임펠러(240) 하측에 설치되어, 하측의 분진을 제 3임펠러(240)측으로 유도한다.
특히, 제 2가이드관(2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측의 분진을 모아 상측으로 전달할 수 있어 제 3노즐부(230)의 집진력이 강화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2가이드관(25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에서 설명된 제 1가이드관(170)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200)의 집진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제 2가이드관(250) 내부에는 흡착 등을 통해 분진을 제거하는 제 2분진필터(260)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분진필터(260)는 깔때기 모양의 제 2가이드관(250)에서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분진필터(260)는 제 1분진필터(18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분진필터(180)와 같이 제 2케이스, 제 2커버, 제 2망, 제 2충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은 제 1분진필터(18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200)에서는 제 1집진관(110)과 제 2집진관(21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290)이 더 설치된다.
제 1집진관(110)과 제 2집진관(210) 중 어느 한 곳에 분진이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관(290)을 구비함으로써 집진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어 집진 효율이 전반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제 1집진관(110)은 노즐부 및 임펠러를 각각 두 개씩 구비하여 집진력이 높은 점을 감안하여 제 2집진관(210)에 비해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된다.
이 경우, 제 1집진관(110)의 집진력을 초과하는 분진이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일부의 분진을 제 2집진관(2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290)은 제 1집진관(110)에서 제 2집진관(210)측으로 상측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용해조(105) 내부에서도 그 위치에 따라 분진의 농도는 상이하다. 즉, 용해액 근처에서는 분진의 농도가 높게 되고, 용해액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농도는 옅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진력이 높은 제 1집진관(110)은 용해액 근처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에 대하여 집진을 수행하고, 그에 비해 집진력이 다소 떨어지는 제 2집진관(210)은 용해조(105)의 상단 부근에서 집진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를 위하여, 제 1집진관(110) 중 용해조(105)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L1)는 제 2집진관(210) 중 용해조(105)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길이(L2)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집진장치 105: 용해조
110: 제 1집진관 120: 제 1망체
130: 제 1노즐부 140: 제 1임펠러
150: 제 2노즐부 160: 제 2임펠러
170: 제 1가이드관 180: 제 1분진필터
110: 제 1집진관 120: 제 1망체
130: 제 1노즐부 140: 제 1임펠러
150: 제 2노즐부 160: 제 2임펠러
170: 제 1가이드관 180: 제 1분진필터
Claims (13)
- 제 1집진관;
상기 제 1집진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1노즐부;
상기 제 1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1임펠러;
상기 제 1노즐부 상측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2노즐부; 및
상기 제 2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2임펠러;
상기 제 1집진관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2집진관;
상기 제 2집진관 내부에 설치되어 물을 분사하는 제 3노즐부;
상기 제 3노즐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 3임펠러; 및
상기 제 1집진관과 상기 제 2집진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관; 을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노즐부와 상기 제 2임펠러 사이에 형성되어 하측의 분진을 제 2임펠러측으로 유도하는 제 1가이드관; 을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는 제 1분진필터; 를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진필터는,
제 1케이스;
상기 제 1케이스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 1커버;
상기 제 1케이스와 상기 제 1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 1망; 및
상기 제 1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제 1충전재; 를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 1망체; 를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임펠러 하측에 형성되어, 하측의 분진을 제 3임펠러측으로 유도하는 제 2가이드관; 을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가이드관 내부에 설치되는 제 2분진필터; 를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분진필터는,
제 2케이스;
상기 제 2케이스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 2커버;
상기 제 2케이스와 상기 제 1커버 사이에 위치하는 제 2망; 및
상기 제 2케이스 내부에 삽입되는 제 2충전재; 를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집진관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 2망체; 를 더 포함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제 1집진관에서 상기 제 2집진관으로 상측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집진관과 상기 제 2집진관의 하측은 용해조와 연결되고, 용해조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집진관의 길이는, 용해조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집진관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859A KR101295244B1 (ko) | 2011-06-13 | 2011-06-13 |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6859A KR101295244B1 (ko) | 2011-06-13 | 2011-06-13 |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797A KR20120137797A (ko) | 2012-12-24 |
KR101295244B1 true KR101295244B1 (ko) | 2013-08-12 |
Family
ID=47904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6859A KR101295244B1 (ko) | 2011-06-13 | 2011-06-13 |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524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9195A (ko) | 2017-12-27 | 2019-07-05 |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
KR20220073142A (ko) | 2020-11-26 | 2022-06-03 | ㈜거성플랜트 | 2차전지용 미세분말소재 정량 충진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5523A (ja) * | 1993-12-09 | 1995-06-20 | Jiro Sasaoka | 気液の接触処理と固体分離装置 |
JPH11169654A (ja) * | 1997-12-17 | 1999-06-29 | Toyo Dynam Kk | 循環式微生物脱臭装置 |
KR20070084817A (ko) * | 2006-02-22 | 2007-08-27 | 주식회사 해림엔지니어링 | 황화수소를 함유한 폐가스 처리장치 |
KR100824033B1 (ko) | 2007-08-30 | 2008-04-21 | 엔에코기술주식회사 | 회전식 통로를 구비한 제습탑 |
-
2011
- 2011-06-13 KR KR1020110056859A patent/KR10129524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55523A (ja) * | 1993-12-09 | 1995-06-20 | Jiro Sasaoka | 気液の接触処理と固体分離装置 |
JPH11169654A (ja) * | 1997-12-17 | 1999-06-29 | Toyo Dynam Kk | 循環式微生物脱臭装置 |
KR20070084817A (ko) * | 2006-02-22 | 2007-08-27 | 주식회사 해림엔지니어링 | 황화수소를 함유한 폐가스 처리장치 |
KR100824033B1 (ko) | 2007-08-30 | 2008-04-21 | 엔에코기술주식회사 | 회전식 통로를 구비한 제습탑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9195A (ko) | 2017-12-27 | 2019-07-05 |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공사장용 분진 집진장치 |
KR20220073142A (ko) | 2020-11-26 | 2022-06-03 | ㈜거성플랜트 | 2차전지용 미세분말소재 정량 충진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7797A (ko) | 2012-1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38021B2 (ja) | 煙霧フィルター方式の空気清浄装置 | |
CN104548776B (zh) | 一种改良结构的工业除尘器 | |
CN205287922U (zh) | 一种带自动除尘的真空除尘器 | |
CN207307482U (zh) | 一种多级循环废气高效净化设备 | |
KR101295244B1 (ko) | 분진 비산 방지용 집진장치 | |
CN206642539U (zh) | 一种纺织企业用的除尘装置 | |
TWM560938U (zh) | 除塵除霧裝置及吸收塔 | |
CN207605541U (zh) | 一种双过滤式除尘机 | |
CN109126347A (zh) | 一种工矿企业用烟雾粉尘收集净化装置 | |
CN210993548U (zh) | 一种搅拌楼除尘系统 | |
CN204234208U (zh) | 湿式电除尘器及其排水装置 | |
CN204034492U (zh) | 流化床烘干工序除尘净化装置 | |
CN207288236U (zh) | 一种纺织机械用去尘装置 | |
CN205182449U (zh) | 一种新型喷雾除尘器 | |
CN207126306U (zh) | 一种烟道脱硫除尘喷淋装置 | |
CN205000987U (zh) | 风动煤尘清洁器 | |
CN205627458U (zh) | 除尘装置 | |
CN202690108U (zh) | 一种煤矿除尘设备 | |
CN109865408A (zh) | 一种次氯酸钙生产中氯气的全自动处理装置 | |
CN103405973A (zh) | 一种快开天然气过滤器 | |
CN209423304U (zh) | 一种新型多功能废气净化环保设备 | |
CN208911691U (zh) | 一种建筑工地用的喷雾降尘设备 | |
CN105381675A (zh) | 一种新型喷雾除尘器 | |
CN209123516U (zh) | 一种除尘器的集尘装置 | |
CN207898386U (zh) | 一种阻燃烧烤车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