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755B1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3755B1 KR101283755B1 KR1020120028123A KR20120028123A KR101283755B1 KR 101283755 B1 KR101283755 B1 KR 101283755B1 KR 1020120028123 A KR1020120028123 A KR 1020120028123A KR 20120028123 A KR20120028123 A KR 20120028123A KR 101283755 B1 KR101283755 B1 KR 1012837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hold
- handle
- fastener
- hand
- stan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승객이 자신의 신장에 맞게 임의로 손잡이의 높낮이 및 사용방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 및 조정할 수 있고, 하나의 손잡이로 두 명의 승객이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이 자신의 신장에 맞게 임의로 높낮이 및 사용방향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 및 조정할 수 있고, 아울러 하나의 손잡이를 두 명의 승객이 선택적으로 함께 사용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손잡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특정의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버스나 전철 등과 같은 각종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에는 입석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가 좌석의 등받이 또는 루프 등에 고정된 지지용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지지용 바에 매달린 손잡이의 경우 차량의 주행이나 코너링, 급제동, 급출발 시 등에 승객이 손을 들어올려서 붙잡고 몸을 지탱 및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관성에 의해 넘어지거나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지지용 바에 설치되는 손잡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1)에 연결되는 스트랩(3)과, 이 스트랩(3)에 고정되는 핸드홀드(hand hold)(2) 및 스트랩(3)이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바(1)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승객이 핸드홀드(2)를 잡은 상태에서 몸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게 되면 고무재질의 스트랩(3)이 금속재질의 지지바(1)와 접촉 및 마찰 간섭되어 불쾌감을 유발하는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 매달린 위치가 성인남성의 평균 신장치를 기준 및 고려하여 차체바닥과 일률적인 높이를 두고 설정되어 있는 특성상 여성 또는 어린이 등과 같이 신장이 상대적으로 기준치보다 작은 승객의 경우에는 핸드홀드(2)가 닿지 않아 이를 잡지 않은 상태로 탑승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차량의 급정거나 급출발 및 흔들림 발생 시 자칫 안전사고 유발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홀드(2)에 손이 겨우 닿는 정도인 승객의 경우 핸드홀드(2)를 잡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수밖에 없는 데다 핸드홀드(2)를 잡더라도 장시간 동안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만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마련이다.
이에 따라 입석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 및 편의에 따라 손잡이의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구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449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8963호, 등록특허 제10-0809034호, 등록특허공보 제10-0918720호, 등록특허 제10-083081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13826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431호, 등록특허 제10-0923351호, 등록특허 제10-1035383호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들은 각각이 높낮이를 조절할 수는 있지만 그 사용방향을 조절할 수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고, 아울러 승객이 붐비는 러시아워(rush hour) 때에는 그 개수의 부족으로 인해 한정된 인원의 승객만이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많은 제약이 따랐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 및 문제점의 해결에 역점을 두어 키가 작은 사람들은 손잡이를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내려 편안하게 잡을 수 있고, 승객이 붐빌 때에는 하나의 손잡이를 두 명의 승객이 각각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손잡이를 개발하고자 심혈을 기울여 연구하던 중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이 잡는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면서 필요에 따라 하나의 손잡이를 두 개로 분리하여 두 명의 승객이 선택적으로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객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손잡이의 높이를 임의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키가 작은 승객이나 어린이들도 손잡이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특히 상기 핸드홀드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나의 손잡이를 두 개로 분리한 후 잡는 방향을 임의로 조정하여 두 명의 승객이 동시에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양태는,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홀드가,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관절 이음된 제1핸드홀드와, 상기 제1핸드홀드와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2핸드홀드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제2핸드홀드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핸드홀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핸드홀드와 연결된 스트랩과,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체결구와, 상기 수체결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체결구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용수철과,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내장되어 상기 수체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와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암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암체결구는,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암체결구가 상기 수체결구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체결구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체결구의 록킹돌기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기 제2핸드홀드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돌기와,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제2핸드홀드의 후크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시소운동시켜 상기 후크돌기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경사블록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의 후크돌기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버튼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과, 상기 제2핸들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블록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로, 상기 스토퍼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그 교차점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춘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이 적정인원일 경우에는 승객의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제1 및 제2핸드홀드를 하나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출퇴근이나 통학 시간과 같이 승객이 붐벼 적정인원을 초과한 경우에는 버튼을 누르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나의 제1 및 제2핸드홀드를 분리한 후 잡는 방향을 임의 및 편의대로 회전 조정함으로써 두 명이 동시에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제2핸드홀드를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고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손잡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 신장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손잡이를 자신에게 알맞은 편안한 높이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잡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의 급출발, 급제동, 코너링 시 등에 안정성을 높여 운행 중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손잡이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 중 수체결구와 스프링 힌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잠금수단이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높낮이조절수단 중 수체결구와 스프링 힌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국부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먼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크게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한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삼각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핸드홀드(100)와, 이 핸드홀드(100)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B)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핸드홀드(100)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의 서로 대향하는 하부면에는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잠금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그 각각의 상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즉,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은 연결부(200)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부(200)의 하단과 관절 이음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 즉, 제2핸드홀드(120)는 연결부(200)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이 고정되어 있고,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20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은 제1핸드홀드(110)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1핸드홀드(110)의 상단과 플렉시블 조인트(140)로 연결 이음되어 있다.
여기서 제2핸드홀드(120)의 상단에도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같은 회전축(미도시)이 고정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연결부(200)의 하부에는 그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미도시)은 제2핸드홀드(120)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2핸드홀드(120)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될 수도 있다. 이때, 플렉시블 조인트는 후술하는 스트랩(210)이 간섭없이 통과하도록 중공을 가지는 것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홀드(100)는 미끄럼 방지와 파지 시 그립감 및 감촉이 우수하며 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드홀드(100)의 외형을 도면에서는 삼각형 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 링 형상 또는 사각형 링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연결부(200)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볼 조인트 등과 같은 방식의 관절 이음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B)에 제1핸드홀드(100)를 매다는 역할과 함께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조절수단을 내장하여 보호하고, 아울러 제2핸드홀드(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매달아서 견고하게 지탱 및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200)의 외측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과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조절수단 등을 감싸서 보호하는 하우징(201)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는 한 쌍의 레일홈(204)이 형성된 플레이트(203)가 장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03)의 하부에는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130)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축지지판(20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의 하우징(201)은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금속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잠금수단은 후크돌기(111), 스토퍼(122), 경사블록(123), 버튼(124), 제1 내지 제3스프링(125)(126)(1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후크돌기(111)는 제1핸드홀드(110)의 제2핸드홀드(120)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에는 걸림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22)는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하여 양방향 시소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외측 단부에는 걸림홈(111a)과 대응하는 형상의 걸림돌기(12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122)는 시소운동에 따라 승강하면서 후크돌기(111)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호 구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후크돌기(111)가 제2핸드홀드(120)의 제1핸드홀드(110)와 마주하는 하부면에 형성된 후크홀(120)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되고, 제1핸드홀드(110)와 제2핸드홀드(120)의 마주하는 하부면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122)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경사블록(123)의 이동에 따른 접촉 시 그 교차점의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후크돌기(111)의 상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도록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스토퍼(122)의 경사블록(123)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블록(123)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경사블록(123)이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전진 이동하면 스토퍼(122)의 경사면이 경사블록(123)의 경사면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그 힌지핀(128)을 중심으로 하는 시소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스토퍼(122)와 후크돌기(111)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경사블록(123)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전후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이동 방향에 따라 스토퍼(122)를 힌지핀(128)을 중심축으로 하는 시소운동을 시켜서 후크돌기(111)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게 된다.
버튼(124)은 제2핸드홀드(120)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있고, 누름 조작에 따라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로 삽입 및 상승되면서 경사블록(123)을 전진 이동시켜 스토퍼(122)의 후크돌기(111)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버튼(124)의 경사블록(123)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블록(123)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하는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버튼(124)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 버튼(124)이 상승하면 그 경사면에 의해 경사블록(123)이 미끄러지면서 전진 이동하게 된다.
제1스프링(125)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스토퍼(122)가 후크돌기(111)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
제2스프링(126)은 제2핸들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경사블록(123)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
제3스프링(127)은 제2핸드홀드(120)의 내부에 장착되어 버튼(124)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스프링(125)(126)(127)은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탄성체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제2핸드홀드(120)의 상단은 연결부(200)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승객이 임의로 연결부(200)에 대한 그 설치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높낮이조절수단은 크게 스트랩(210), 수체결구(220), 용수철(230), 암체결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트랩(210)은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에 삽입 및 하우징 내부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이 제2핸드홀드(12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스트랩(210)의 하단은 고리 형상으로 겹쳐지게 접어서 박음질하여 제2핸드홀드(120)의 상부와 핀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스트랩(210)은 일반 로프와 달리 강도 및 인장력이 우수하며 외형의 변형 시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자체 복원력이 뛰어난 아라미드섬유를 이용하여 평직으로 제직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금속 와이어 등과 같이 잘 휘어지면서 승객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정도의 것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게 채용할 수 있다.
수체결구(220)는 스트랩(210)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고, 그 몸체의 양측으로는 록킹돌기(221)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라운딩진 테두리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용수철(230)은 상단이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이 수체결구(2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수체결구(220)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게 된다.
암체결구(240)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내장되어 제2핸드홀드(120)의 높낮이 조절 시 수체결구(220)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245)가 부드러운 곡선으로 라운딩진 테두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부(245)의 하부 내측에는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와 대응하는 형상의 록킹홈(24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암체결구(240)는 하부에 슬라이더(243)가 각각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고정된 플레이트(203)의 상면에 얹혀서 그 슬라이더(243)가 플레이트의 레일홈(2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와 연결부의 하우징(201) 사이에는 외력에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가 수체결구(220)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244)이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수체결구(220)가 하강 시 그 삽입부(245)가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와 접촉되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플레이트의 레일홈(20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그 삽입부(245)가 양방향으로 벌어지게 되어 수체결구(220)를 회전시키지 않더라도 상호 간에 삽입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구속스프링(244)은 압축변형되다가 수체결구(220)의 록킹돌기(221)가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의 록킹홈(246)에 끼워진 상태가 되면 원래의 형태로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수체결구(220)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 상측에는 수체결구(220)의 위치가 하방으로 자유로이 이동되지 않도록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수체결구의 록킹돌기(221)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2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암체결구(241)(242)는 연결부의 하우징(201)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204)이 형성된 플레이트(203)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어 수체결구(220)와의 면접촉 시 그 슬라이더(243)가 레일홈(204)을 따라 이탈됨 없이 양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승객이 적정인원일 경우 등 평상 시에는 제1핸드홀드(110)와 제2핸드홀드(120)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핸드홀드(110)는 연결부(200)와 관절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핸드홀드(100)를 잡은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신체의 위치나 방향을 변경하더라도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핸드홀드(100)가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회전되고, 이로 인해 승객은 항상 핸드홀드(100)를 안정적인 상태로 잡고 서 있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퇴근이나 통학 시간과 같이 승객이 붐벼 적정인원을 초과한 경우에는 버튼(124)을 눌러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를 분리한 후 두 사람이 각자 잡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편안하게 잡을 수 있다.
이때, 제2핸드홀드(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와 연결 결합된 수체결구(220)의 위치가 위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는 스프링 힌지(250)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제1핸드홀드(110)와 마찬가지로 승객이 안정적으로 잡고 서 있을 수 있다.
또한,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과 같이 기준치보다 신장이 작은 사람이 핸드홀드(100)를 잡을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24)을 눌러 제1 및 제2핸드홀드(110)(120)를 분리한 후 제2핸드홀드(120)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시키고,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핸드홀드(120)를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용수철(230)이 인장되면서 수체결구(220)가 하강하여 암체결구(240)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제2핸드홀드(12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회전시키면 수체결구(220)는 암체결구(240)에 의해 그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렇게 되면 스트랩(210)이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에서 하부로 인출된 길이만큼 제2핸드홀드(12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2핸드홀드(120)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킬 경우에는 제2핸드홀드(120)를 대략 90도 정도로 회전시키면 용수철(23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연결부의 하우징(201)에서 인출된 스트랩(210)이 신속하게 연결부의 하우징(201) 내부로 삽입되면서 원래대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 힌지(25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수철(230)의 탄성 복귀력으로 상승하는 수체결구(220)와 접촉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되면서 수체결구(220)를 자연스럽게 통과시킨 후 그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승객이 제2핸드홀드(120)를 잡아당기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힌지(250)에 의해 다시 구속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는 키가 작은 사람이나 어린이 등 신장에 관계없이 누구라도 자신에게 알맞은 높이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잡고, 차량의 급출발, 급제동, 코너링 등과 같은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된 자세를 유지 및 확보할 수 있어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핸드홀드 110: 제1핸드홀드
111: 후크돌기 120: 제2핸드홀드
121: 후크홀 122: 스토퍼
123: 경사블록 124: 버튼
125: 제1스프링 126: 제2스프링
127: 제3스프링 128: 힌지핀
130: 회전축 140: 플렉시블 조인트
200: 연결부 201: 하우징
202: 축지지판 203: 플레이트
204: 레일홈 210: 스트랩
220: 수체결구 221: 록킹돌기
230: 용수철 240: 암체결구
241: 제1암체결구 242: 제2암체결구
243: 슬라이더 244: 구속스프링
245: 삽입부 246: 록킹홈
250: 스프링 힌지 B: 지지바
111: 후크돌기 120: 제2핸드홀드
121: 후크홀 122: 스토퍼
123: 경사블록 124: 버튼
125: 제1스프링 126: 제2스프링
127: 제3스프링 128: 힌지핀
130: 회전축 140: 플렉시블 조인트
200: 연결부 201: 하우징
202: 축지지판 203: 플레이트
204: 레일홈 210: 스트랩
220: 수체결구 221: 록킹돌기
230: 용수철 240: 암체결구
241: 제1암체결구 242: 제2암체결구
243: 슬라이더 244: 구속스프링
245: 삽입부 246: 록킹홈
250: 스프링 힌지 B: 지지바
Claims (13)
-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각각 관절 이음되고,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잠금수단이 구비된 제1 및 제2핸드홀드로 이루어진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의 회전축들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에 대해 각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로 연결 이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핸드홀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핸드홀드와, 상기 핸드홀드를 차량의 루프에 고정된 지지바에 매달기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석 승객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핸드홀드는,
상기 연결부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의 하단과 관절 이음된 제1핸드홀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한 높낮이가 가변 가능하도록 상단이 상기 연결부와 높낮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제2핸드홀드;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홀드와 제2핸드홀드는 서로 대칭적으로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잠금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단에는 회전축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는 상기 제1핸드홀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핸드홀드에 대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제1핸드홀드와 플렉시블 조인트로 연결 이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고 하단이 상기 제2핸드홀드와 연결된 스트랩;
상기 스트랩의 상단에 고정되고 양측에 록킹돌기가 형성된 수체결구;
상기 수체결구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체결구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용수철;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내장되어 상기 수체결구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측면의 폭만큼 개구된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부 내측에 상기 수체결구의 록킹돌기와 대응하는 록킹홈이 형성된 암체결구;
를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구는,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하측에 고정되고 한 쌍의 레일홈이 형성된 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칭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레일홈을 따라 전후진 이동 가능하게 하부에 슬라이더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암체결구;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암체결구가 상기 수체결구와 접촉간섭을 일으켜 구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구속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체결구의 위치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수체결구의 록킹돌기 하면과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스프링 힌지를 더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제1핸드홀드의 상기 제2핸드홀드와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 후크돌기;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시소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후크돌기와 선택적으로 접촉간섭을 일으켜 상기 후크돌기가 상기 제2핸드홀드의 후크홀을 통해 내부로 삽입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토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고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스토퍼를 시소운동시켜 상기 후크돌기와의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경사블록;
상기 제2핸드홀드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어 누름 조작에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경사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스토퍼의 후크돌기에 대한 접촉간섭을 해제시키는 버튼;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1스프링;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경사블록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2스프링;
상기 제2핸드홀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버튼이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는 제3스프링;
을 포함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 한 쌍이 서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져 그 교차점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되면서 상기 후크돌기와 접촉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ko) | 2012-03-20 | 2012-03-20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ko) | 2012-03-20 | 2012-03-20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3755B1 true KR101283755B1 (ko) | 2013-07-17 |
Family
ID=48996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8123A KR101283755B1 (ko) | 2012-03-20 | 2012-03-20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37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9464A (zh) * | 2021-08-05 | 2021-11-09 | 周磊 | 一种公交车用防急刹吊环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1805A (ja) | 1999-09-01 | 2001-03-21 | Sasaki:Kk | 吊り革 |
KR100955779B1 (ko) | 2007-05-04 | 2010-05-03 | 성예경 | 승객의 안전용 손잡이 |
-
2012
- 2012-03-20 KR KR1020120028123A patent/KR1012837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1805A (ja) | 1999-09-01 | 2001-03-21 | Sasaki:Kk | 吊り革 |
KR100955779B1 (ko) | 2007-05-04 | 2010-05-03 | 성예경 | 승객의 안전용 손잡이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19464A (zh) * | 2021-08-05 | 2021-11-09 | 周磊 | 一种公交车用防急刹吊环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5048183A1 (en) | Travel sleep mask apparatus to support the head of a user | |
JP6745355B2 (ja) | 携帯用の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締結装置 | |
WO2017148309A1 (zh) | 一种便携式可折叠的多功能儿童安全座椅 | |
CN105263366A (zh) | 用于增强旅行舒适性的头部保护装置和座椅 | |
TWI656047B (zh) | Child seat | |
KR101283755B1 (ko)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손잡이 | |
CN205365307U (zh) | 一种便携式儿童安全坐垫 | |
KR100896296B1 (ko) |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 | |
KR20140008117A (ko) | 결합확인수단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 | |
CN210047366U (zh) | 儿童安全座椅脚踏 | |
CN207291756U (zh) | 能利用安全带强化安装稳定性的儿童安全座椅 | |
KR101665201B1 (ko) | 차량승하차용 이동 지지대 | |
CN104417485B (zh) | 汽车安全带舒适度调节器 | |
KR101357410B1 (ko) | 자동차용 수납식 테이블 | |
KR101885792B1 (ko) | 버스 손잡이 조립체 | |
KR101991726B1 (ko) | 대중교통의 입석 승객용 접이식 손잡이 | |
CN201841980U (zh) |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的椅背角度调节装置 | |
CN202219740U (zh) | 儿童安全座椅及其角度调节机构 | |
KR101526393B1 (ko) |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 |
CN210652773U (zh) | 一种汽车便携式儿童安全垫 | |
KR102139422B1 (ko) |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 |
KR200188054Y1 (ko) | 접이식 차량용 유아 안전의자 | |
JP4927610B2 (ja) | 車両壁面支持装置 | |
KR200382634Y1 (ko) | 애완동물용 카시트 | |
KR200266416Y1 (ko) |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