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929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1929B1 KR101281929B1 KR1020060061888A KR20060061888A KR101281929B1 KR 101281929 B1 KR101281929 B1 KR 101281929B1 KR 1020060061888 A KR1020060061888 A KR 1020060061888A KR 20060061888 A KR20060061888 A KR 20060061888A KR 101281929 B1 KR101281929 B1 KR 1012819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 outdoor
- heat exchanger
- air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9—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the layout or mutual arrangement of components, e.g. of compressors or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박스와 커패시터 등의 전자부품을 실내측의 전반부에 설치하여 조작부와 근접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측과; 상기 실내측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과; 상기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과 실외측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벽의 후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공간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조화기를 조립시에 전기 배선이 용이하며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동형, 공기조화기, 컨트롤박스, 배선, 조작부
Description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보인 내부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기조화기 110. 프론트케이스
112. 토출구 114. 토출그릴
116. 루버 118. 이동손잡이
119. 조작부 119'. 버튼
120. 리어케이스 122. 외기유입구
124. 외기토출구 126. 흡입구
130. 베이스 132. 안내유로
134. 이격돌기 136. 집수부
138. 펌프수용공간 140. 캐스터
150. 구획판 150' 분리벽
152. 제1집수공간 154. 천공부
156. 지지돌기 158. 만수방지구멍
159. 형합돌기 160. 컨트롤박스
170. 커패시터케이스 172. 커패시터
210. 실내열교환기 220. 필터
230. 실내송풍장치 232. 실내모터
233. 체결플랜지 234. 실내팬
235. 실내오리피스 237. 실내하우징
237'. 공기유입홀 237". 실내가이드
238. 실내하우징커버 239. 모터장착구멍
310. 드레인팬 312. 제2집수공간
314. 낙수공 320. 실외열교환기
330. 실외송풍장치 332. 실외모터
334. 실외팬 336. 실외오리피스
338. 실외하우징 338'. 외기유동홀
339. 실외하우징커버 339'. 장착홀
340. 모터브라켓 350. 집수통
360. 압축기 370. 응축수유동수단
372. 응축수펌프 374. 안내호스
I . 실내측 O . 실외측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박스와 커패시터 등의 전자부품을 실내측의 전반부에 설치하여 조작부와 근접하도록 함으로써 전기 배선이 용이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팽창밸브, 실내열교환기 등의 구성부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작동 유체인 냉매가 상술한 각 구성 부품 내부를 순환하면서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되고, 이러한 냉매의 순환작용에 의해 실내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하게 된다.
즉,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이며,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모세관)-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 또는 냉매의 역방향 순환에 의한 난방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설치 후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바닥에 캐스터가 부착되어 일정 범위만큼 이동이 가능한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 0252478호에 게시된 이동형 에어컨(이 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본체(11) 내부에는 냉매 가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콤프레셔(12) 및 고온·고압의 냉매를 저온으로 응축시키는 응축기(13), 저온으로 응축된 냉매를 기화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 외부 공기의 열을 빼앗아 찬공기를 발생기키는 증발기(14), 실외기팬모터(15), 응축수 저장물통(16) 등 실외기의 부품과 실내기의 부품이 함께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의 하면에는 다수의 캐스터(17)가 설치되어 본체(11)의 유동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증발기(14)는 응축기(13)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즉, 상기 응축기(13)는 응축수수집통(22)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4)는 하단부에는 응축수 유도판(2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상측에는 상기 응축수 유도판(21)이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유도판(21)의 하단 일측에는 증발기(14)로부터 낙수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유도판(21)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제1유도관(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상측에는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수 비산 프로펠러(24)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외기팬모터(15)의 모터축(15a) 하단부와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응축수수집통(22) 내부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산시키게 된다.
상기 응축수수집통(22)의 우측단에는 상측으로 단차진 단턱(22a)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22a) 일측에는 응축수수집통(22)에 집수된 응축수의 수위가 단 턱(22a)보다 높을 때에 응축수 상기 저장물통(16)으로 안내하는 제2유도관(25)이 형성된다.
도면부호 중 미설명부호 18은 냉기토출구, 19는 온기토출구, 20은 실외기팬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공기조화기에는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면 상부에 조작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는 압축기(12) 및 실외기모터(15) 등과 같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조작부와 전장부품은 서로 많이 이격되어 있어서 전기 배선시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와 전장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은 그 길이가 상당하여 단선 등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전선이 단선되면 공기조화기의 작동이 불가함은 물론 별도의 유지 보수비용이 추가로 발생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만족도 저하를 야기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장부품 및 조작부가 실내측 전반부로 집약되도록 구성하여 전기 배선이 용이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장부품과 조작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며, 단선이 미연에 방지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측과; 상기 실내측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과; 상기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과 실외측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벽의 후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공간이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방에는, 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 전하를 축적하는 커패시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측의 상면 전반부에는, 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한다.
삭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컨트롤박스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후측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을 강제하는 실내송풍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송풍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와, 상기 실내모터와 축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과, 상기 실내팬이 발생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실내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후측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을 강제하는 실내송풍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송풍장치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와, 상기 실내모터와 축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과, 상기 실내팬이 발생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실내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실내오리피스의 상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기울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내오리피스의 폭은, 상기 구획판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의 조립시 전기 배선이 용이하며, 누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율이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형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100)는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의 외형을 가지며, 프론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스(120) 및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즉, 상기 프론트케이스(110)는 공기조화기(100)의 전면, 상면 및 좌/우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리어케이스(120)는 후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바닥면은 베이스(130)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와 리어케이스(120) 및 베이스(130)가 결합되면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전면 상부에는 후측에서 공기조화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전방으로 토출되도록 천공된 토출구(112)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 구(112)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토출그릴(114)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그릴(114)의 후측에는 세로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단부를 기준으로 좌/우로 회동하는 루버(116)가 구비된다. 상기 루버(116)는 루버모터(미도시)로부터 전달받은 회전동력으로 좌/우 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며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간섭하여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케이스(110)의 측면 상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이동손잡이(118)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30)의 하면에는 공기조화기(100)를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캐스터(140)가 다수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손잡이(118)를 파지한 상태로 공기조화기(100)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캐스터(140)는 구름 운동하여 공기조화기(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상면 즉, 프론트케이스(110)의 상면 전반부에는 조작부(119)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119)는 공기조 화기(100)의 조작을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버튼(119')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눌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 내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공기조화기(10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15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구획판(150)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설치되어 실내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내측(I)이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150)의 하측에는 실외열교환기(320)가 설치되어 실외기 역할을 수행하는 실외측(O)이 형성된다.
전술한 리어케이스(120)의 후면 중앙부에는 동일한 크기로 천공된 외기유입구(122) 및 외기토출구(124)가 구비된다. 상기 외기유입구(122)와 외기토출구(124)는 실외공기가 실외측(O) 내부를 경유하여 다시 실외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외기유입구(122)와 외기토출구(124)에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된 덕트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 전반부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는 리어케이스(120)의 상반부에 천공된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사각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리어케이스(120) 사이에는 필터(22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220)는 상기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서 이물만을 선택적으로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126)가 형성된 리어케이스(120)의 상반부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의 후측에는 실내송풍장치(230)가 구비된다. 상기 실 내송풍장치(230)는 실내공기가 흡입구(126)로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력과,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력을 동시에 발생한다.
즉, 상기 실내송풍장치(23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232)와, 상기 실내모터(232)와 축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234)과, 상기 실내팬(234)이 발생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안내하는 실내오리피스(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내오리피스(235)는 실내팬(234) 후측에서 대략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된 실내하우징(237)과,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중앙부를 차폐하는 실내하우징커버(238)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측(I)을 전/후로 구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폭은 실내측(I) 내부의 종단면 크기와 대응되며,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폭은 상기 구획판(150)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중앙부에는 후방의 공기가 전방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공기유입홀(237')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홀(237')은 실내팬(234)이 회전시에 실내팬(234)의 후면 중앙부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이 전달되는 곳으로, 상기 실내팬(234)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234)이 회전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실내하우징(237)과 흡입구(126)에는 이러한 흡입력이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측(I)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전면에는 실내가이드(23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실내가이드(237")는 실내하우징커버(238)의 외형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실내하우징커버(238)와 결합시에 내부가 전방 상부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하반부는 실내팬(234)의 외경보다 조금 큰 크기로 동그랗게 형성되고,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상반부는 좌/우로 갈수록 점점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상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하우징(237)과 실내하우징커버(238)이 결합되면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상부는 내부 공간을 전방 상부를 향해 개구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234)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주면 방향으로 토출하게 되면 토출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내부 벽면에 의해 안내되어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가이드(237")의 상단부는 토출구(112)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오리피스(235)가 실내측(I)에 장착되면 상기 실내하우징(237)은 후방과 전방을 구획하게 되며, 상기 실내오리피스(235)의 상단부는 토출구(112)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12)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내하우징커버(238)의 하부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모터장착구멍(239)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장착구멍(239)은 실내모터(232)가 장착되는 곳으로, 상기 실내모터(232)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모터(232)의 전반부가 모터장착구멍(239)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실내모터(232)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플랜지(233)와 실내하우징커버(238)를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모터(232)는 실내오리피스(235) 내부에서 유동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실내송풍장치(230) 및 실내열교환기(210)는 상기한 구획판(150)의 상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 전반부에는 실내열교환기(210)가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를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할 때 발생하는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제1집수공간(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은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응축수가 중앙부로 모일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중앙부에는 천공부(도 6 의 도면부호 154)가 형성된다.
상기 천공부(154)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가 구획판(15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310)으로 응축수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바닥면에는 좌/우로 길게 상방 돌출된 지지돌기(15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56)는 실내열교환기(21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실내열교환기(210)의 하중을 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우측 바닥면에는 만수방지구멍(158)이 형성된다.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은 제1집수공간(152)에 많은 응축수가 집수되었을 때 실외 측(O)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바닥면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하측으로 유동하는 응축수보다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되는 응축수가 상대적으로 많게 되면,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아래에서 설명할 집수통(350)으로 낙수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바닥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드레인팬(310)과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형합돌기(도 6의 도면부호 159)가 구비된다. 상기 형합돌기(159)는 드레인팬(310)의 개구된 상부보다 조금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형합돌기(159)와 드레인팬(310)이 결합되면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하측으로 낙수되는 응축수는 드레인팬(310)의 내부로 낙수된다.
상기 구획판(150)의 전반부 즉, 상기 제1집수공간(152)의 전방에는 분리벽(15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150')은 실내열교환기(210)와 아래에서 설명할 컨트롤박스(160) 사이에 상방 돌출되어 실내열교환기(210)와 컨트롤박스(16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분리벽(150')의 상단부는 컨트롤박스(160)의 상단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분리벽(150')의 후측에는 응축수가 집수되는 제1집수공간(1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송풍장치(230)가 발생한 공기 유동에 의해 응축수의 비산되어 컨트롤박스와 접촉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분리벽(150')의 전방에는 컨트롤박스(160)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 스(160)는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세히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컨트롤박스(16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인쇄회로기판이 내장되어 전장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60)로부터 이격된 우측에는 커패시터케이스(170)가 구비된다. 상기 커패시터케이스(170)는 컨트롤박스(160)보다 조금 짧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는 전하를 축적하여 용량이 작은 배터리 역할을 하는 커패시터(Capacitor,172)가 구비된다.
상기 커패시터(172)는 전장부품이 작동시에 방출되는 전자파를 감소시켜 전자파장애(EMI)를 상쇄시킴으로써 많은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으로, 열에 대한 내구성이 약한 인쇄회로기판에 이러한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커패시터(172)는 컨트롤박스(160)로부터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패시터케이스(170)에 보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판(1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31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은 상기 구획판(150)을 관통하여 낙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상기 드레인팬(310)의 상면 중앙부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제2집수공간(31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집수공간(312)은 구획판(150)에 1차로 집수되었다가 상기 천공부(154)를 통해 낙수되는 응축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부(154)의 하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집수공간(312)의 바닥면에는 하방향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낙수 공(314)이 형성된다. 상기 낙수공(314)은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면은 상방향으로 함몰되며, 함몰된 횡단면적은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횡단면적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측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20)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 드레인팬(310)의 하측에는 실외공기를 냉매로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320)가 직립되게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는 베이스(130)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210)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좌측에는 실외송풍장치(330)가 구비된다. 상기 실외송풍장치(330)는 상기 외기유입구(122)로 흡입력을 발생하고 상기 외기토출구(124)로는 송풍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실외송풍장치(330)는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외모터(332)와, 상기 실외모터(332)와 축결합되어 풍력을 발생하는 실외팬(334)과, 상기 실외팬(334)이 발생한 공기 유동의 방향을 안내하는 실외오리피스(3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오리피스(336)는 열교환된 공기와 그렇지 않은 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외기토출구(124)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즉, 상기 실외오리피스(336)는 상기 실외측(O)을 좌/우로 구획하는 실외하우징(338)과, 상기 실외하우징(338)의 좌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실외팬(334)이 수용되도록 하는 실외하우징커버(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외하우징(338)은 중앙부가 천공되어 외기유동홀(338')을 형성하며,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통해 실외하우징(338) 우측의 공기가 좌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실외하우징커버(339)의 중앙부에는 실외모터(332)가 장착되는 장착홀(339')이 천공되며, 상기 모터장착구멍(239)에 실내모터(232)가 장착되는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실외모터(332)와 실외하우징커버(339) 사이에는 모터브라켓(3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모터브라켓(340)은 사각판을 다수회 절곡하고 상부를 동그랗게 절제하여 형성한 것으로,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며, 동그랗게 절제된 상부에는 상기 실외모터(332)의 외주면 하부가 선(線)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브라켓(340)은 실외송풍장치(330)의 하중을 지지하여 실외송풍장치(330)가 베이스(13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가 결합되어 형성된 실외오리피스(336)의 후반부 상측에는 토출안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즉,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의 후반부 상측은 서로 대응되는 모양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실외하우징(338)과 실외하우징커버(339)의 결합시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 모양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통해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토출안내홀(미도시)을 통해 상기 외기토출구(124)로 토출되며, 이를 위해 상기 토출안내홀(미도시)은 상기 외기토출구(124)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하단부에는 정사각판 형상의 베이스(130)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에는 상기 실외열교환기(320)가 설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길게 상방 돌출된 안내유로(132)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유로(132)는 낙수공(314)을 통해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된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응축수펌프(372)로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로(132)의 내부에는 이격돌기(134)가 형성된다. 상기 이격돌기(134)는 전/후로 긴 사각판을 직립되게 형성시킨 것으로, 상기 이격돌기(134)의 상단부는 실외열교환기(320)의 하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와 베이스(130) 상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 우측 전반부에는 집수통(350)이 구비된다. 상기 집수통(350)은 내부에 응축수가 집수되는 곳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으로 낙수되는 응축수를 수용하게 된다.
상기 집수통(350)의 후방에는 압축기(36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360)는 작동 유체인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것으로, 상기 압축기(360)의 내부는 실외열교환기(320) 및 실내열교환기(210)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360) 내부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공기조화기(100)의 냉/난방 운전 모드에 따라 실외열교환기(320) 또는 실내열교환기(2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베이스(130)의 좌측 후반부에는 집수부(136)가 형성된다. 상기 집수 부(136)는 안내유로(132) 내측의 응축수가 집수되는 곳으로, 상기 안내유로(132)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 놓이도록 함몰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136)의 전반부에는 응축수유동수단(370)이 구비된다. 상기 응축수유동수단(370)은 집수부(136)에 집수된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15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를 수냉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상기 응축수유동수단(370)은 크게 응축수를 상방향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수펌프(372)와,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향으로 유동되는 응축수를 상기 구획판(150)의 상면으로 안내하는 안내호스(3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응축수펌프(37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하측의 응축수를 상측으로 강제 유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30)의 좌측 전반부에 구획되도록 형성된 펌프수용공간(138)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펌프(372)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안내호스(374)가 끼워지며, 상기 안내호스(374)의 타단부는 상기 제1집수공간(152) 내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펌프(372)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집수부(136) 및 펌프수용공간(138)에 고인 응축수는 응축수펌프(372)를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안내호스(374)를 따라 상기 제1집수공간(152)으로 모이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냉방모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조작부(119)를 조작하여 공기조화기(100)에 전원이 인가하면, 상 기 실내모터(232)와 실외모터(332)는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실내모터(232)는 실내하우징(237)에 흡입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구(126)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내측(I)으로 흡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측(I)으로 유입된 실내 공기는 필터(220)에 의해 이물이 필터링되어 정화된다.
이후 상기 필터(220)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홀(237')을 관통하여 실내오리피스(235) 내부로 유입된 후에 상기 실내하우징(237)의 절곡된 상부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내송풍장치(230)의 전방으로 배기된다.
상기 실내오리피스(235) 내부에서 전방으로 배기된 실내공기는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실내열교환기(21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열교환 된 후에 차가워진 상태에서 계속 전방으로 진행하여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박스(160)와 커패시터케이스(170)는 분리벽(150')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는 기류(열교환되어 차가운 실내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모터(332)는 실외하우징(338)을 기준으로 우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며, 이러한 흡입력은 상기 외기유입구(1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실외공기는 덕트(미도시)를 통해 실외측(O)으로 유입되며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와 열교환된 후 상기 외기유동홀(338')을 관통하여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오리피스(336)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기 실외팬(334)의 외주 면 방향으로 송풍된 후에 상기 실외오리피스(336)의 개구된 상방향을 통해 토출되며, 이후 상기 외기토출구(124)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작동중에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에는 응축수가 발생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유동한 후,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다.(도 6 참조)
상기 제1집수공간(152)에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천공부(154)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다.
상기 제2집수공간(312)에 집수된 차가운 응축수는 상기 낙수공(314)을 통해 상기 실외열교환기(320)의 상단부로 낙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로 낙수된 응축수는 실외열교환기(320)의 내부를 경유하는 뜨거운 냉매를 수냉식으로 식힌 다음 상기 베이스(130)의 상면, 즉 안내유로(132) 내부로 집수된다.
상기 안내유로(132) 내부로 집수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부(136)로 모인 후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향으로 강제되며, 상기 응축수펌프(372)에 의해 상방 강제된 응축수는 안내호스(37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제1집수공간(152)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실외열교환기(320)는 실내열교환기(210)의 외면에서부터 발생된 차가운 응축수로 수냉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100)의 장시간 사용으로 상기 응축수펌프(372)가 많은 양의 응축수를 제1집수공간(152)으로 보내게 되더라도, 상기 만수방지구멍(158)을 통해 상기 집수통(350)으로 집수되므로 응축수가 집수부(136)를 넘쳐 흐르는 것 은 방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컨트롤박스 및 커패시터를 실내측 전반부로 집약시켜 조작부와 근접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를 조립시에 전기 배선 작업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장부품과 조작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이유로 인하여 단선이 방지되므로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제품 신뢰성 향상도 기대된다.
Claims (8)
- 내부에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는 실내측과;상기 실내측의 하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실내열교환기와 직교하도록 설치된 실외열교환기가 구비되어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측과;상기 실외측과 실내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측과 실외측을 상/하로 구획하는 구획판; 및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획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상기 분리벽의 후측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가 실내 공기를 열교환 할 때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공간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전방에는,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박스와,전하를 축적하는 커패시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의 상면 전반부에는,다수개 부품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벽은,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에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박스와 실내열교환기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분리벽은 상기 컨트롤박스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실내열교환기의 후측에는,실내 공기의 흡입 또는 토출을 강제하는 실내송풍장치가 구비되고,상기 실내송풍장치는,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실내모터와,상기 실내모터와 축결합되어 공기 유동을 강제하는 실내팬과,상기 실내팬이 발생한 공기유동의 방향을 전방으로 안내하는 실내오리피스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오리피스의 상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기울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실내오리피스의 폭은, 상기 구획판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1888A KR101281929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조화기 |
US11/710,468 US7735332B2 (en) | 2006-07-03 | 2007-02-26 | Air conditioner |
EP07250832.8A EP1876399B1 (en) | 2006-07-03 | 2007-02-28 | Air conditioner |
CNB2007101081364A CN100561058C (zh) | 2006-07-03 | 2007-05-30 | 空调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61888A KR101281929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526A KR20080003526A (ko) | 2008-01-08 |
KR101281929B1 true KR101281929B1 (ko) | 2013-07-03 |
Family
ID=39035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61888A KR101281929B1 (ko) | 2006-07-03 | 2006-07-03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1929B1 (ko) |
CN (1) | CN100561058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6654B1 (ko) * | 2013-04-29 | 2014-10-06 | 박만재 | 증발기가 송풍 유닛과 함께 회전 가능한 냉방 장치 |
KR20200105309A (ko) | 2019-02-28 | 2020-09-07 | 에스큐엔지니어링(주) | 고출력 레이저 타음을 이용한 콘크리트 건전도 평가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62356A (ja) | 2003-03-27 | 2003-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ダクト式空気調和機 |
KR20040021343A (ko) * | 2002-09-03 | 2004-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
JP2005274077A (ja) * | 2004-03-26 | 2005-10-06 | Corona Corp | 一体型空気調和機 |
KR20050101757A (ko) * | 2004-04-20 | 2005-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2006
- 2006-07-03 KR KR1020060061888A patent/KR1012819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5-30 CN CNB2007101081364A patent/CN10056105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1343A (ko) * | 2002-09-03 | 2004-03-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
JP2003262356A (ja) | 2003-03-27 | 2003-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ダクト式空気調和機 |
JP2005274077A (ja) * | 2004-03-26 | 2005-10-06 | Corona Corp | 一体型空気調和機 |
KR20050101757A (ko) * | 2004-04-20 | 2005-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3526A (ko) | 2008-01-08 |
CN101101138A (zh) | 2008-01-09 |
CN100561058C (zh) | 200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6904B1 (ko) | 공기조화기 | |
EP1918657B1 (en) | Air conditioner | |
EP1876399B1 (en) | Air conditioner | |
KR20080003525A (ko) | 공기조화기 | |
KR101727413B1 (ko) | 공기 조화기의 에어가이드 | |
KR10128192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300921B1 (ko) | 공기조화기 | |
CN115046260B (zh) | 烟机结构及空调烟机 | |
CN217817099U (zh) | 烟机结构及空调烟机 | |
KR101280689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90010420A (ko) | 공기조화기의 배기안내수단 | |
KR20080070140A (ko) | 이동식 공기조화기 | |
KR10047404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413072B1 (ko) | 에어컨 실내기용 배플의 응축수 안내구조 | |
KR10039849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392403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CN115046263B (zh) | 烟机结构及空调烟机 | |
CN115095922B (zh) | 空调烟机及其控制方法 | |
CN217817103U (zh) | 烟机结构及空调烟机 | |
CN218820727U (zh) | 除湿机 | |
KR100593079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
KR100564485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838399B1 (ko) | 공기 조화기 | |
CN115095921A (zh) | 烟机结构及空调烟机 | |
KR100593081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