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53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3538B1 KR101273538B1 KR1020120008277A KR20120008277A KR101273538B1 KR 101273538 B1 KR101273538 B1 KR 101273538B1 KR 1020120008277 A KR1020120008277 A KR 1020120008277A KR 20120008277 A KR20120008277 A KR 20120008277A KR 101273538 B1 KR101273538 B1 KR 101273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lephone number
- service
- network connection
- connection means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CS 기반의 통화 서비스와 PS 기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PC에서 CS 기반의 통화 서비스와 PS 기반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화 서비스 및 VoI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방의 대표 번호를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Claims (2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PS(Packe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1 전화 번호와 CS(Circui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2 전화 번호가 할당된,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1 시스템인 경우, P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2 시스템인 경우, C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 및 상기 제 2 전화 번호 모두가 활성화되고,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2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2 전화 번호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상기 제 1 전화 번호가 우선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P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3 전화 번호와 상기 C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4 전화 번호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대표 번호로 설정된 경우,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는 070 형식의 전화 번호이고,
상기 제 2 전화 번호는 01X 형식의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스템은 WiFi(Wireless Fidelity) 시스템이고,
상기 제 2 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서비스 제공 방법.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장치로서,
제 1 통신 시스템 및 제 2 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송수신하는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PS(Packe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1 전화 번호와 CS(Circui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2 전화 번호가 할당된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을 판단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1 시스템인 경우 PS(Packe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2 시스템인 경우, CS(Circui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 및 상기 제 2 전화 번호 모두가 활성화되고,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2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2 전화 번호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상기 제 1 전화 번호가 우선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P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3 전화 번호와 상기 C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4 전화 번호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 1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대표 번호로 설정된 경우,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는 070 형식의 전화 번호이고,
상기 제 2 전화 번호는 01X 형식의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스템은 WiFi(Wireless Fidelity) 시스템이고,
상기 제 2 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PS(Packe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1 전화 번호와 CS(Circuit Switching)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2 전화 번호가 할당된, 상대방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1 시스템인 경우, P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제 2 시스템인 경우, C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 및 상기 제 2 전화 번호 모두가 활성화되고,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2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2 전화 번호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수단이 상기 제 1 시스템인 경우,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상기 제 1 전화 번호가 우선권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P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3 전화 번호와 상기 CS 기반 발신 서비스를 위한 제 4 전화 번호가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제 1 시스템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와 상기 제 2 전화 번호 중 하나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대표 번호로 설정된 경우, 해당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발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화 번호는 070 형식의 전화 번호이고,
상기 제 2 전화 번호는 01X 형식의 전화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스템은 WiFi(Wireless Fidelity) 시스템이고,
상기 제 2 시스템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77A KR101273538B1 (ko) | 2012-01-27 | 2012-01-2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8277A KR101273538B1 (ko) | 2012-01-27 | 2012-01-2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3538B1 true KR101273538B1 (ko) | 2013-06-17 |
Family
ID=4886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8277A Active KR101273538B1 (ko) | 2012-01-27 | 2012-01-27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353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154A (ko) * | 2009-09-01 | 2011-03-09 | 주식회사 케이티 |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 |
KR20110128473A (ko) * | 2010-05-24 | 2011-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20002244A (ko) * | 2010-06-30 | 2012-01-05 | 주식회사 케이티 | 착신 호를 설정하는 방법 |
KR20120002239A (ko) * | 2010-06-30 | 2012-01-05 | 주식회사 케이티 |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
2012
- 2012-01-27 KR KR1020120008277A patent/KR10127353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4154A (ko) * | 2009-09-01 | 2011-03-09 | 주식회사 케이티 |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의 호 발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 |
KR20110128473A (ko) * | 2010-05-24 | 2011-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20002244A (ko) * | 2010-06-30 | 2012-01-05 | 주식회사 케이티 | 착신 호를 설정하는 방법 |
KR20120002239A (ko) * | 2010-06-30 | 2012-01-05 | 주식회사 케이티 |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183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신 데이터 송신 및 통신 리스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
CN104735255B (zh) | 分屏显示方法和系统 | |
CN107820331A (zh) | 通话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CN104834517A (zh) | 一种移动终端省电的方法及移动终端 | |
KR2014003810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6131319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终端 | |
CN105094555A (zh) | 一种通过滑动手势切换应用程序的方法及装置 | |
CN104796956A (zh) | 一种移动终端网络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 |
CN105764085A (zh) | 一种异常耗电的检测方法及终端 | |
CN104836910A (zh) | 一种移动终端应用权限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 |
CN105792384A (zh) |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 | |
KR101873762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04780260A (zh) | 一种移动终端音量控制的方法及移动终端 | |
CN104935734A (zh) | 一种移动终端应用切换的方法及移动终端 | |
KR101915987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27353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81307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30081800A (ko) | 영상 수신 방법 및 영상 전송 방법 | |
KR20130059124A (ko) | 단말기 간 접속하여 멀티프로세싱을 하는 방법 및 그 단말기 | |
KR20120010057A (ko) | 전화 착발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20012552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수신 호 제어 방법 | |
KR10164549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통화 제어 방법 | |
KR20130004996A (ko) | 이종망간 VoIP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05764116A (zh) | 一种终端之间的连接方法及终端 | |
KR101727494B1 (ko) | 통화 중 대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