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9294B1 - Crushers equipped vehicles - Google Patents
Crushers equipped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9294B1 KR101279294B1 KR1020120110250A KR20120110250A KR101279294B1 KR 101279294 B1 KR101279294 B1 KR 101279294B1 KR 1020120110250 A KR1020120110250 A KR 1020120110250A KR 20120110250 A KR20120110250 A KR 20120110250A KR 101279294 B1 KR101279294 B1 KR 1012792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body case
- shredded
- crusher
- docu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893 paper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LYAJNPCOHFWQQ-UHFFFAOYSA-N kaolin Chemical compound O.O.O=[Al]O[Si](=O)O[Si](=O)O[Al]=O NLYAJNPCOHFWQ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02—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horizontal rotor shaf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2—Feed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문서를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고, 파쇄기에 파쇄될 종이가 끼지 않도록 투입과 배출이 원활하며, 파쇄된 종이를 적재함에 용이하게 적재 및 배출을 할 수 있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은 차량에 탑재되어 문서를 파쇄하도록 된 파쇄기와, 상기 파쇄기에서 배출된 종이칩을 수용하는 적재함을 포함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내측에는 파쇄할 문서를 유도하는 제 2 유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유도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이동판부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면에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이동판부재 일측단에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부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부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는 링크수단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과 상기 다수의 커터날의 양 측면과 본체케이스 내측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홈부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 내부에는 파쇄된 문서를 적재함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동력장치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파쇄된 문서를 적층하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aving a shredd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quickly shred a large amount of documents, to smoothly insert and discharge the paper to be shredded in the shredder, and to easily load the shredded paper. And a vehicle equipped with a crusher capable of discharging, comprising: a crusher mounted on the vehicle to crush documents, and a crusher containing a paper chip discharged from the crusher, wherein the crusher includes: An injection hole into which a document is to be put and an discharge hole from which shredded paper chips are discharged are formed, and a second guide member for guiding a document to be shredded is installed inside the feed hole, and a movable plate membe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member. It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body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is driven by a motor and formed with a guide groove on one side I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air of drive shaft and the moving plate member of the main body case,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ller to move according to the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fixed to the main body case in the center to be rotated A plurality of cutter blades which are pivotally coupled to the pair of drive shafts and hinge shafts are install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both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cutter blades and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The plate member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plate member and grooves of the plate member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document is guided to the cutter blade, the guide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side and the screw is provid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case by transferring the shredded document by loading And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crew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discharged on the other side The structure is made of a loading area for laminating a document shredding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conveying device and the conveying device are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량의 문서를 신속하게 파쇄할 수 있고, 파쇄기에 파쇄될 종이가 끼지 않도록 투입과 배출이 원활하며, 파쇄된 종이를 적재함에 용이하게 적재 및 배출을 할 수 있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having a shredd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quickly shred a large amount of documents, to smoothly insert and discharge the paper to be shredded in the shredder, and to easily load the shredded paper. And a crusher capable of discharging.
일반적으로 기업, 관공서, 문서보관서 등에서는 사용되거나 보관된 문서가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 이를 폐기하게 되는데, 이렇게 폐기 되어야 하는 문서 등에는 개인의 개인정보나 기업의 기밀 등이 수록되어 있어 외부에 유출되는 경우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의식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추세를 감안하면 피해는 점차 확대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In general, in corporations, government offices, archives, etc., used or stored documents will be discarded when they have expired. Documents that should be discarded contain personal information or confidentiality of the company and leaked to the outside. In case of a serious problem, it may cause serious problems, and the damage is inevitably increased in light of the trend of the modern society in which the protection consciousness of personal inform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따라서, 기업, 관공서, 문서보관서 등에서 자체적으로 파쇄기(세절기)를 도입하여 개인정보나 회사기밀이 포함된 문서 등을 파쇄하기도 하나, 보관하는 문서의 양이 방대한 경우 이를 일일이 개별적으로 파쇄하는데는 한계가 있어 보다 용이하게 대용량을 파쇄할 수 있는 파쇄기와 이를 수거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한 차량을 이용하고 있다. Therefore, companies, government offices, document archives, etc. may introduce their own shredders (shredders) to shred documents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or company secrets.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rusher that can more easily crush large capacity and a storage box to collect it.
이와 같은 파쇄기가 구비된 차량은 도 1a,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수단(1)과 상기 운반수단(1)의 탑재실(9)에 탑재되어 이동가능하며, 투입된 폐지를 절단하는 파쇄부(3)와 상기 파쇄부(3)로부터 배출된 절단된 폐지를 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이송시키는 가압부(5) 그리고 상기 가압부(5)로부터 이송된 폐지를 이송하는 이송부(54)와, 상기 이송부(54)에 의하여 공급된 폐지를 적재하는 탑재실(9)과, 상기 탑재실(9)에 적재된 폐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70)로 이루어지는 배출부(7)를 포함하며,상기 이송부(54)는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60)와, 상기 구동모터(60)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구동휠(64)과, 상기 구동모터(60)와 구동휠(64)을 서로 연결하여 폐지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벨트(6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Vehicles equipped with such shredders are mounted in the transport means 1 and the mounting chamber 9 of the transport means 1, as shown in FIGS. 3) and a pressurizing
이와 같은 파쇄기는 파쇄부에 투입된 종이가 파쇄기를 보호하는 케이스 내부와 파쇄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파쇄되지 않고 바로 배출구로 유출될 수 있고, 많이 양의 문서가 유입시 절단하는 파쇄부에 과부하가 걸려 파쇄부가 멈추거나 파쇄부의 축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shredd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se and the shredding part protecting the shredder and flow out to the outlet without being shredded, and the paper shredder cuts when a large amount of documents are int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rushed portion is stopped or the shaft of the crushed portion is broke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쇄기의 투입구로 유입되는 문서 등을 파쇄기로 유도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쇄기의 용량에 따라 적정량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파쇄기가 구비된 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vehicle equipped with a shredder to prevent the documents and the like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shredder to be introduced and outflow into the shredder, the appropriate amount can be input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shredder. There is a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파쇄기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내측에는 파쇄할 문서를 유도하는 제 2 유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유도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이동판부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면에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이동판부재 일측단에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부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부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는 링크수단과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과 상기 다수의 커터날의 양 측면과 본체케이스 내측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홈부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 내부에는 파쇄된 문서를 적재함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동력장치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파쇄된 문서를 적층하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hredder is formed with an inlet for the document to be shredded and an outlet for the shredded paper chip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guide member for inducing the document to be shredded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 A pair of drive shafts and a movable plate of the main body case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induction member, the main body case having a moving plate member and a lower side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being driven by a motor,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at one side thereof. The link means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ller to move along the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the hinge means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main case to be rotated and the hinge means A plurality of cutter blades and a plurality of cutters axially coupled to and coupled to a pair of drive shafts It is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tunnel an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plate member is formed in the groove portion at one side and the groove portion of the plate member is installed in the groove portion of the plate member at the top so that the document is guided to the cutter blade, Inside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case is provided with a screw for transporting the shredded document into the stack, and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crew on one side is installed,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device and the discharge port of the discharge devic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is crushed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acker for stacking documents.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이동판부재의 일측상부면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파쇄기의 제 2 유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blad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member of the crusher so that the blade portion protru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파쇄기가 구비된 차량은 파쇄기의 투입구로 유입되는 문서 등을 파쇄기로 유도 및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파쇄기의 용량에 따라 적정량이 투입되어 신속한 파쇄 및 파쇄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적재함 바닥에 좌, 우 이동하는 이송판부재를 설치하여 파쇄된 종이를 고르게 적재 및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uch a vehicle equipped with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ocuments and the like introduced into the crusher's inlet and outflow into the crusher, and an appropriate amount is add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rusher to prevent rapid crushing and breakage of the crusher.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evenly loading and discharging the crushed paper by installing a transfer plate member moving left and right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box.
도 1a,1b는 종래의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낸 실시예.
도 3a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판부재와 유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a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7a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적재함을 나타낸 단면도.
도 9b는 9b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10a는 본 발명의 적재함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10b는 10b에 대한 작동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판부재와 실린더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실시예.
도 12a,12b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a,13b는 본 발명의 유도가이드부재와 수평바를 나타낸 작동실시예.
도 14a,14b,14c는 본 발명의 승강장치를 나타낸 작동실시예.1A and 1B show an embodiment of a vehicle having a conventional crusher.
2 shows an embodiment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ate member and the gui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embodiment of FIG. 3A.
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the shre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n operational embodiment for 7A.
8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hipp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n operational embodiment for 9B.
Figure 10a is another embodiment showing a stacker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n operational embodiment for 10B.
Figure 11 is an embodiment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ransfer plate member and the cyl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a, 12b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a, 13b is an operating embodiment showing the induction guide member and the horizontal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14b, and 14c are working examples of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interpret the concepts of the terms appropriately It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도 2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을 나타낸 실시예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파쇄기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mbodiment showing a vehicle with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cru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도 2 내지 도 3a,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1)은 차량에 탑재되어 문서를 파쇄하도록 된 파쇄기와, 이 파쇄기에서 배출된 종이칩을 수용하는 적재함을 포함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00)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12)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17)가 형성된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투입구(12)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모터에 구동적으로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축(13,14)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13,14)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15,16)과 상기 다수의 커터날(15,16)의 양 측면과 본체케이스(10) 내측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22)가 형성된 판부재(20)와 상기 판부재(20)의 홈부(22)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 유도부(30)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배출구(17) 내부에는 파쇄된 문서를 적재함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42)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42)를 회동시키는 동력장치(44)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출구(46)가 형성된 이송장치(40)와 상기 이송장치(40)의 배출구(46)와 연결되어 파쇄된 문서를 적층하는 적재함(5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A and 3B, the
상기 구동축(13,14)에 설치되는 모터는 하나의 모터로 상기 구동축(13,14)을 회전시킬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다가 회전되는 구동축(13,14)의 힘이 약해 종이를 파쇄시 파쇄기(100)가 멈출 수 있고, 또한 일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종이를 파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모터는 각각의 구동축(13,14)에 연결되고 하나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파쇄능력을 높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tors installed on the
상기 판부재(20)와 유도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22)가 형성된 판부재(20)와 상기 판부재(20)의 홈부(22)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15,16)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32)이 형성된 유도부(3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이와 같이 판부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와 다수의 커터날(15,1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파쇄기(100)의 용량에 따라 커터날(15,16)의 크기가 크거나 작게 형성시 본체케이스(10)와 다수의 커터날(15,16) 사이에 공간부이 생기는데 상기 공간부로 문서가 파쇄되지 않고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더욱더 용이하게 문서를 파쇄하기 위해 상기 판부재(20)의 홈부(22)에 설치되는 유도부(30)는 본체케이스(10)의 투입구(12)로 유입되는 문서가 커터날(15,16)으로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유도부(30)는 상기 판부재(20)의 홈부(22)로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처에 따라 커터날(15,16)의 형상과 크기가 변경될 수 있어 그에 따른 커터날(15,16)의 사이 공간에 맞게 변경되어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파쇄할 문서를 파쇄기(100)로 더욱더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투입구(12) 내측에는 파쇄할 문서를 상기 커터날(15,16)로 유도하는 제 2 유도부재(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way, the documents to be shredded are placed inside the
상기와 같이 파쇄할 문서를 파쇄기(100) 투입구(12)에 투입시(12) 파쇄기(100)의 적정량 보다 많은 양에 의해 문서를 파쇄하는 커터날(15,16)과 구동축(13,14)에 과부하가 걸려 파쇄기(100)가 멈추거나 구동축(13,14)이 파손될 수 있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유도부재(18)의 일측단부에는 이동판부재(19)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판부재(19)와 대응되는 상기 구동축(13,14) 중 하나의 구동축(13) 일측면에는 안내홈부(13-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유도부재(18)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이동판부재(19)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부재(19)의 일측단에 일측끝단면이 연결되고 타측끝단에는 상기 구동축(13)의 안내홈부(13-1)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부(64)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10)에 고정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62)이 구비된 링크수단(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uch, one end surfa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삭제delete
이와 같이 구동축(13)의 회전에 따라 링크수단(60)과 연결된 이동판부재(19)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열고 닫도록 하여 많은 용량이 유입시 커터날(15,16)로 유입되는 문서 양을 조절하도록 하여 구동축(13,14)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moving
상기와 같이 파쇄할 문서를 더욱더 신속하게 파쇄함과 동시에 구동축(13,14)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부재(19)의 일측단부에는 칼날부(19-1)가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19-1)가 돌출되도록 상기 파쇄기의 제 2 유도부재(18)에는 관통공(18-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8, a blade portion 19-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oving
즉, 상기 이동판부(19)가 이동시 상기 칼날부(19-1)는 적재된 문서를 1차적으로 절단하여 커터날(15,16)로 이송되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moving
이와 같이 파쇄된 문서는 본체케이스(10)의 배출구(17)로 배출되며 상기 배출구(17)의 하부에 설치된 스크류(42)에 이송되고 상기 스크류(42)는 동력장치(44)에 의해 배출구(46)로 이송되어 적재함으로 적재한다. The document shredded as described above is discharged to the
이때 상기 적재함(50)에 파쇄된 문서를 고르게 적제하거나 배출이 용이하도록 도 9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50)의 내측하단에는 두 개의 이송판부재(70-1,70-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판부재(70-1,70-2)의 하부에는 상기 이송판부재(70-1,70-2)를 이동시키는 실린더(80-1,80-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9A, two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are installed at an inner lower end of the
이때 상기 이송판부재(70-1,70-2)와 적재함(50) 사이에는 상기 이송판부재(70-1,70-2)가 실린더(80-1,80-2)에 의해 이동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are easily moved by the cylinders 80-1 and 80-2 between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and the
이와 같이 두 개의 이송판부재(70-1,70-2)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파쇄된 문서가 고르게 적층되고 적재함에 적재된 문서를 배출시 흔들어주기 때문에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wo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are moved in different directions as shown in FIG. 9B, so that the shredded documents are evenly stacked and shaken when ejecting the documents loaded in the stack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released.
상기와 같이 두 개의 이송판부재(70-1,70-2)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0a 내지 도 10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이송판부재(70-1,70-2,70-3)로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wo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may be formed, but as shown in FIGS. 10A to 10B, a plurality of transfer plate members 70-1, 70-2 and 70-3 are provided. It can be formed as.
상기와 같이 다수의 이송판부재(70-1,70-2,70-3)로 형성시 상기 이송판부재(70-1,70-2,70-3)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둘 이상으로 형성되며 이격된 공간에 사이에는 각기 다른 이송판부재(70-1,70-2,70-3)가 설치되고 각기 다른 이송판부재(70-1,70-2,70-3)의 하부에는 실린더(80-1,80-2,80-3)를 설치하여 적재된 문서를 더욱더 흔들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formed of a plurality of transfer plate members 70-1, 70-2, and 70-3,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70-2, and 70-3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nd two or more. Different transfer plate members 70-1, 70-2, and 70-3 are installed in space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ower portions of the different transfer plate members 70-1, 70-2, and 70-3 are provided. The cylinders (80-1, 80-2, 80-3) can be installed to shake the loaded document even more.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송판부재(70-1,70-2)를 형성될 수 있으면 상기 이송판부재(70-1,70-2)는 적재함(50)의 바닥면 뿐만 아니라 적재함(50)의 측면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As such, if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are not only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이송판부재(70-1,70-2)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더욱더 용이하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판부재(70-1)와 다른 이송판부재(70-2)를 연결하는 연결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10) 중심부에는 힌지축(111)이 설치되며 상기 힌지축(111)의 일측면에는 실린더(80-1)와 연결되어 이루어져 하나의 실린더(801-)로 이송판부재(70-1,70-2)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As such, the transfer plate member 70-1 and the other transfer plate member 70-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make the transfer plate members 70-1 and 70-2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The connecting
상기 파쇄기(100)의 본체케이스(10) 외주측면에는 사용자가 직접 종이를 투여할 수 있나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a,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투입구(12)로 절곡된 유도가이드부재(210)와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에 따라 이동되도록 일측단에는 롤러(222)가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축(224)이 설치된 수평바(220)와 상기 수평바(220)의 축(224)에 연결결합되도록 상부에는 통공(232)이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힌지축으로 연결된 회전롤러(234)가 구비된 수직바(230)와 상기 수직바(230)의 하단에 연결되어 파쇄할 종이를 적층하는 안착부(240)와 상기 수직바(230)에 대응되며 상기 수직바(230)의 회전롤러(2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부(252)가 형성된 수직가이드부재(250)와 상기 수직바(230)의 회전롤러(234)가 힌지축에 연결하여 상기 수직바(2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장치(260)를 포함하여 이룬 승강장치(2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의 절곡된 일측끝단에는 ㄷ 자형으로 절곡되어 걸림편(21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bent one end of the
즉,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에 따라 이동되는 수평바(220)가 상측으로 이동시 상기 수평바(220)의 롤러(222)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에 따라 절곡된 부분을 지나면 일차적으로 수평바(220)의 축(224)에 연결된 수직바(230)가 당겨지면서 상기 수직바(230)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회전롤러(234) 부분이 기점으로 회전되며 더욱더 상승시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바의 롤러(222)가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의 걸림편(211)에 위치하면 상기 수평바의 롤러(222)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바(230)을 더욱더 상승시키면 상기 수직바(230)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회전롤러(234)를 기점으로 회전하여 파쇄할 종이를 적층한 안착부(240)의 경사를 증대하므로 파쇄할 종이가 본체케이스(10)의 투입구(12)로 용이하게 유입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안착부(240)가 최상으로 승강시 상기 안착부(240)가 경사진 형태로 이루져 파쇄할 종이가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상기 안착부(240)의 상부면에는 파쇄할 종이를 적층하여 쌓을 수 있으나 보다 용이하게 파쇄할 종이를 적층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부에 이동롤러가 구비된 쓰레기통을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 이동롤러를 부착된 쓰기통을 사용시 상기 안착부(240)를 승강시 상기 이동롤러가 구비된 쓰레기통이 상기 안착부(240)로 부터 이탈될 수 있어 상기 안착부(240)의 상부면에는 이동롤러를 잡아줄 수 있는 걸림편(24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op surface of the
상기 동력장치(260)는 모터와 기어, 체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장치(260)는 하나 내지 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인 승강장치는 도 14a,14b,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실시예로 파쇄할 종이가 담긴 통을 안착부(240)에 안착고정시키고 상기 동력장치(260)을 작동하여 상기 동력장치(260)와 연결된 수직바(230)의 회전롤러(234)가 상기 수직가이드부재(250)의 홈부(252)에 따라 상층으로 이동된다. As shown in FIGS. 14A, 14B, and 14C, the elevating device is fixed to a seat containing a paper to be shredded into a
이때 상기 수직바(230)와 연결된 상기 수평바(220)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에 따라 이동되는 수평바(22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수평바(220)의 롤러(222)는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에 따라 절곡된 부분을 지나면 일차적으로 수평바(220)의 축(224)에 연결된 수직바(230)이 당겨지면서 상기 수직바(230)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회전롤러(234) 부분이 기점으로 회전되며 더욱더 상승시 수평바의 롤러(222)가 상기 유도가이드부재(210)의 걸림편(211)에 위치하면 상기 수평바의 롤러(222)가 고정되고 상기 수직바(230)는 상승되면서 상기 수직바(230)의 힌지축으로 연결된 회전롤러(234) 기점을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240)의 경사가 증대하여 파쇄할 종이가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투입구(12)로 투입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파쇄기에 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고, 파쇄할 종이를 담는 쓰레기통에 파쇄할 종이가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the lifting device can be installed in the crusher to quickly and conveniently input,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aper to be shredded does not remain in the trash containing the paper to be shredded.
1 :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10 : 본체케이스 12 : 투입구
13,14 : 구동축 13-1 : 안내홈부
15,16 : 커터날
17 : 배출구 18 : 제 2 유도부재
18-1 : 관통공 19 : 이동판부
19-1 칼날부
20 : 판부재 22 : 홈부
30 : 유도부 32 : 경사면
40 : 이송장치 42 : 스크류
44 : 동력장치 46 : 배출구
50 : 적재함
60 : 링크수단 62 : 힌지축
64 : 롤러부
70-1,70-2,70-3 : 이송판부재
80-1,80-2,80-3 : 실린더
100 : 파쇄기
110 : 연결부 111 : 힌지축
200 : 승강장치 210 : 유도가이드부재
211 : 걸림편
220 : 수평바 222 : 롤러
224 : 축
230 : 수직바 232 : 통공
234 : 회전롤러
240 : 안착부 242 : 걸림편
250 : 수직가이드부재 252 : 홈부
260 : 동력장치 1: Vehicle equipped with a crusher
10: main body case 12: inlet
13,14: drive shaft 13-1: guide groove
15,16: cutter blade
17
18-1: through hole 19: moving plate part
19-1 Blade
20: plate member 22: groove portion
30: guide part 32: inclined surface
40: feeder 42: screw
44
50: loading box
60: link means 62: hinge axis
64: roller portion
70-1,70-2,70-3: transfer plate member
80-1,80-2,80-3: Cylinder
100: shredder
110: connecting portion 111: hinge axis
200: lifting device 210: induction guide member
211: jam piece
220: horizontal bar 222: roller
224: axis
230: vertical bar 232: through hole
234: rotating roller
240: seating portion 242: locking piece
250: vertical guide member 252: groove
260: power unit
Claims (9)
상기 파쇄기는 파쇄될 문서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파쇄된 종이칩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 내측에는 파쇄할 문서를 유도하는 제 2 유도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유도부재의 일측단부에는 이동판부재가 구비된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 하부에 평행 배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일측면에는 안내홈부가 형성된 한쌍의 구동축과;
상기 본체케이스의 이동판부재 일측단에 연결되며 타측단에는 상기 구동축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내홈부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부가 설치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회동할 수 있도록 힌지축이 설치되는 링크수단과;
상기 한 쌍의 구동축에 축결합되어 회전되며 서로 맞물리도록 된 다수의 커터날과;
상기 다수의 커터날의 양 측면과 본체케이스 내측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홈부가 형성된 판부재와;
상기 판부재의 홈부에 설치되어 문서가 커터날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유도부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배출구 내부에는 파쇄된 문서를 적재함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가 구비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스크류를 회동시키는 동력장치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출구가 형성된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어 파쇄된 문서를 적층하는 적재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A vehicle comprising a crusher mounted on a vehicle to shred a document and a loading box for accommodating paper chips discharged from the crusher, the vehicle comprising:
The shredder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documents to be shredd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shredded paper chips are discharged. A second guide member for inducing documents to be shredded is installed inside the feeder, and a moving plate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guide member. A main body case provided with a member;
A pair of drive shaft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art of the inlet of the main body case and driven by a motor and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roller par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plate member of the main body case, and a roller part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to move along a guide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drive shaft, and a hinge shaft is installed at the center to fix and rotate the main body case. Link means;
A plurality of cutter blades axially coupled to the pair of drive shafts and engaged with each other;
Plate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cutter blades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se and formed with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ide;
An induction part installed on a groove of the plate member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so that a document can be guided to a cutter blade;
A conveying device provided with a screw for transporting the shredded document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ort of the main body case, a power device for rotating the screw on one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port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 vehicle equipped with a shredder, comprising a stacker for stacking shredded document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transfer device.
상기 이동판부재의 일측상부면에는 칼날부가 형성되고 상기 칼날부가 돌출되도록 상기 파쇄기의 제 2 유도부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차량.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blad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plate member, and the second guide member of the crusher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blade portion protru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250A KR101279294B1 (en) | 2012-10-04 | 2012-10-04 | Crushers equipped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0250A KR101279294B1 (en) | 2012-10-04 | 2012-10-04 | Crushers equipped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9294B1 true KR101279294B1 (en) | 2013-07-05 |
Family
ID=4899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0250A Expired - Fee Related KR101279294B1 (en) | 2012-10-04 | 2012-10-04 | Crushers equipped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929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3743B1 (en) | 2015-03-05 | 2016-07-28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20160107829A (en) | 2015-03-05 | 2016-09-19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20160142502A (en) | 2015-06-03 | 2016-12-13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102151565B1 (en) * | 2019-10-14 | 2020-09-03 | 신정환 | A device for shredding plastic or PET bottl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6486A (en) * | 1993-06-30 | 1995-01-20 | Canon Inc | Shredder |
US20020017577A1 (en) | 2000-03-17 | 2002-02-14 | Rajewski Max Ronald | Mobile paper shredder system |
KR100567652B1 (en) | 2004-05-12 | 2006-04-04 | 광림 컴팩 주식회사 | Tower Car with Document Shredder |
US20070152088A1 (en) | 2004-08-13 | 2007-07-05 | Vecoplan, Llc | Mobile Shredder |
-
2012
- 2012-10-04 KR KR1020120110250A patent/KR1012792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6486A (en) * | 1993-06-30 | 1995-01-20 | Canon Inc | Shredder |
US20020017577A1 (en) | 2000-03-17 | 2002-02-14 | Rajewski Max Ronald | Mobile paper shredder system |
KR100567652B1 (en) | 2004-05-12 | 2006-04-04 | 광림 컴팩 주식회사 | Tower Car with Document Shredder |
US20070152088A1 (en) | 2004-08-13 | 2007-07-05 | Vecoplan, Llc | Mobile Shredd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3743B1 (en) | 2015-03-05 | 2016-07-28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20160107829A (en) | 2015-03-05 | 2016-09-19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20160142502A (en) | 2015-06-03 | 2016-12-13 | 주식회사 에코쉬레드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KR102151565B1 (en) * | 2019-10-14 | 2020-09-03 | 신정환 | A device for shredding plastic or PET bott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9294B1 (en) | Crushers equipped vehicles | |
US7658342B2 (en) | Auto-feed buit-in a paper shredder | |
KR101753105B1 (en) | Recyclables wastes crusher | |
KR20160107594A (en) | Crushing apparatus for wastes | |
KR101743149B1 (en)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
US8882008B1 (en) | Dual shredding system for a mobile document shredding vehicle and method of use | |
JP2014018715A (en) | On-vehicle document processing system | |
KR101612534B1 (en) | Crusher for industrial waste | |
Siddiqui et al. | Design and fabrication of paper shredder machine | |
KR101047021B1 (en) | Card Shredding Device | |
KR20130003170U (en) | Mixture separation device | |
KR101615521B1 (en) | Automobile for shredding paper | |
CN110740815A (en) | Biomass grinding machine | |
KR102226030B1 (en) | Paper shredder | |
KR101264412B1 (en) | Crushing apparatus | |
JP2005046827A (en) | Waste paper feeding device of shredder apparatus | |
KR200470384Y1 (en) | A clamshell pulverizer | |
CN208975979U (en) | Card Shredder and Paper Shredder | |
KR102461518B1 (en) | A shredder | |
JP5892740B2 (en) | Chip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hip manufacturing method | |
KR20100042096A (en) | Food garbage crusher | |
KR20160019713A (en) | vehicle loaded shredder | |
KR101643743B1 (en) |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shredder | |
KR101226064B1 (en) | Installing type paper shredder | |
CN216322402U (en) | File crushing apparatus convenient to card paper clear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