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61084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084B1
KR101261084B1 KR1020080050237A KR20080050237A KR101261084B1 KR 101261084 B1 KR101261084 B1 KR 101261084B1 KR 1020080050237 A KR1020080050237 A KR 1020080050237A KR 20080050237 A KR20080050237 A KR 20080050237A KR 101261084 B1 KR101261084 B1 KR 10126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fixing
fixing hole
hole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059A (ko
Inventor
마사키 요코야마
신이치 우츠미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46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3016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4605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301634A/ja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5Annular coils, e.g. for cores of the claw-pole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7/0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 H02K37/10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 H02K37/12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37/14Motors with rotor rotating step by step and without interrupter or commutator driven by the rotor, e.g. stepping motors of permanent magnet type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코일 권선이 보호되고, 취급이 용이한 모터를 제공한다.
[해결 방법] 내주 가장자리에 복수개의 극치 (10) 가 기립 형성된 요크 (YlY2) 에 코일 (12) 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부재 (S1) 와, 로터축 (RS) 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 (RM) 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 (R) 를 구비하고, 로터 (R) 가 스테이터 부재 (S1) 의 내주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되어 이루어지는 모터 (1) 로서, 요크 (YlY2) 의 양 측단에는 코일 (12) 이 고정되는 고정판 (14, 14) 이 기립 형성되고, 코일 (12) 은 고정판 (14) 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요크 (YlY2) 에 장착되고,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 부재 (P) 가 스테이터 부재 (S1) 의 외주면을 덮도록 감겨진다.
모터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축에 장착된 로터 마그넷의 외주에 스테이터 부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회전자에 영구 자석을 사용한 PM 형 (Permanent Magnet Type) 스테핑 모터로서, 예를 들어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코어 (302) 의 내주 가장자리에 기립 형성된 복수개의 극치(極齒)(304) 의 외주를 코일 (306) 이 감도록 배치된 스테핑 모터 (300) 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스테핑 모터 (300) 에서는, 스테핑 모터 (300) 전체의 형상이 코일 (306) 의 직경에 의해 정해져 버리기 때문에, 소정의 권취수를 확보하여 회전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소형화, 박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박형화에 대응한 스테핑 모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과 같이,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에 기립 형성된 극치군의 양측에 쌍으로 이루어지는 각형(角型) 코일을 배치한 편평형 스테핑 모터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편평형 스테핑 모터 (200) 는,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가장자리에 극치군 (202) 이 기립 형성됨과 함께 그 극치군 (202) 을 개재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된 고정판 (204) 이 형성된 일방의 요크 (206) 와, 이 일방의 요크 (206) 의 복수개의 극치 (202) 에 맞물리도록 극치군 (202) 이 형성된 타방의 요크 (208) 와, 이 고정판 (204) 에 삽입 통과되어 일방의 요크 (206) 와 타방의 요크 (208) 사이에 고정되는 코일 (210) 을 갖는 스테이터 부재 (212)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테이터 부재 (212, 212) 의 극치군 (202) 의 내주에 회전축 (214) 에 마그넷 (도시 생략) 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로터 (216) 가 베어링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支承)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테핑 모터 (200) 에서는, 코일 (210) 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마그넷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 (216) 에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어 회전축 (214) 의 일단측으로부터 회전 출력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99466호
이와 같은 모터에 있어서, 일방의 요크 (206) 의 고정판 (204) 과 타방의 요크 (208) 를 고정시키려면, 통상, 타방의 요크 (208) 에 형성된 관통 홀 또는 노치에 일방의 요크의 고정판 (204) 의 선단을 삽입 통과시키고, 이 관통 홀 또는 노치의 단 가장자리와 고정판 (204) 의 표면을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시킨다.
그러나, 일방의 요크의 고정판을 타방의 요크의 관통 홀 또는 노치에 어느 정도의 깊이까지 압입하느냐에 따라, 고정판의 선단과 관통 홀 또는 노치와의 사이의 위치 관계에 상대적인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정판의 선단과 관통 홀 또는 노치와의 용접에 문제가 생겨, 안정적인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품 수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요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는, 로터축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와, 제 1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한 모터로서, 상기 제 1 요크에는 상기 로터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 는 고정부가 형성됨과 함께, 이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에는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는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에 상기 돌기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돌기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 2 요크의 접합판의 일방의 면에, 제 1 요크의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도록 고정부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를 접합판에 형성된 고정 홀에 압입한 상태에서, 돌기의 선단이 접합판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고정부에 대한 고정 홀의 압입 깊이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지 않고, 고정부와 고정 홀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 1 요크와 제 2 요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돌기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면, 돌기의 고정 홀로의 삽입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요크의 돌기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요크의 고정 홀의 개구단 가장자리가 용접되어,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가 고정되도록하면 바람직하다. 제 1 요크의 고정부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를 제 2 요크의 접합판에 형성된 고정 홀에 일방의 면으로부터 압입하면, 돌기의 선단이 접합판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고정 홀과 돌기의 용접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제 1 요크와 제 2 요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요크에 장착되는 프레임은 상기 접합판의 상기 타방의 면에 맞닿아 고정되는 장착부와, 상기 로터축의 일방의 축단을 지승하는 베어링체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 2 요크의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제 2 요크의 접합판의 고정 홀로부터 제 1 요크의 고정부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경우에도, 프레임의 장착부를 제 2 요크의 접합판에 간극 없이 맞닿게 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맞닿는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부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맞닿음부에 있어서 고정부에 고정 홀이 어긋남이 없도록 고정되어, 제 2 요크가 제 1 요크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클리어런스부의 면적을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맞닿음부의 면적을 작게 또는 크게 할 수 있어, 고정 홀에 돌기를 압입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은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각형의 각부 (角部) 에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고정부가 판재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이 각형인 경우, 버는 각부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 홀의 단 가장자리 및 내주면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고정부의 버를 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의 버 등을 고려하여, 고정부의 표면과 고정 홀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리어런스부 이외의 부위에서는 고정부의 표면과 고정 홀의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가 되고, 고정부에 고정 홀이 어긋남이 없도록 고정되어, 제 2 요크가 제 1 요크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압입에 수반하는 부하에 의한 고정부 및 제 2 요크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고정부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때에 버가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정 홀의 단 가장자리 및 내주면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고정판의 버를 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의 버 등을 고려하여, 고정부의 표면과 고정 홀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리어런스부 이외의 부위에서는 고정부의 표면과 고정 홀의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가 되고, 고정부에 고정 홀이 어긋남이 없도록 고정되어, 제 2 요크가 제 1 요크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는, 제 1 요크의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돌기가, 제 2 요크를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 홀에 압입된 상태에서, 제 2 요크의 일방의 면에 제 1 요크의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돌기의 선단이 제 2 요크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에 대한 고정 홀의 압입 깊이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지 않고, 고정부와 고정 홀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요크와 제 2 요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2) 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2 상분의 스테이터 부재를 겹친 스테이터 (S)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1 요크에 제 2 요크의 극치부를 위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스테이터 부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모터 전체의 구성)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2) 는 2 상분의 스테이터 부재 (1) 가 겹쳐져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S)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테이터 (S)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제 1 요크 (Y1) 끼리가 등을 맞대고 겹쳐져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단자대 (42) 가 서로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스테이터 부재 (1) 는 제 1 요크 (Y1) 의 단면 (Y1a, Y1a) 에 있어서 스폿 용접되어, 각 스테이터 부재 (1) 의 극치 (10) 가 동축 상에 배치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S) 의 내주에 배치되는 로터축 (RS) 에 로터 마그넷 (M) 이 장착된 로터 (R) 가 배치되어 모터 (2) 가 구성된다. 로터 (R) 는 각각의 스테이터 부재 (1) 에 대응한 로터 마그넷 (M) 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로터 마그넷 (M) 이 로터축 (RS) 의 외주에 고착된다. 로터축 (RS) 은 양단이 베어링체 (62a, 62b) 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S) 를 구비하는 모터 (2) 에서는, 코일 (12) 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계와 로터 마그넷 (M) 의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 (R) 에 회전 구동력이 부여되어 로터축 (RS) 의 선단측으로부터 회전 출력된다.
로터축 (RS) 의 기단측 (반출력측) 의 축단 (60a) 은 베어링체 (62a) 를 통하여 축지지되어 있다. 로터축 (RS) 은 강구(鋼球)(64a) 를 통하여 지지된다. 강구 (64a) 는 로터축 (RS) 의 축단 (60a) 에 형성된 오목추면(凹錐面)(도시 생략) 과 베어링체 (62a) 에 형성된 오목추면 (66a) 에 의해 지지된다. 스테이터 (S) 의 반출력측 단부 (도면 중 하측면) 에는, 금속의 소결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베어링 홀더 (68a) 가 배치되어 있고, 베어링체 (62a) 는 베어링 홀더 (68a) 의 베어링체용 관통 홀 (70) 에 장착된다. 베어링 홀더 (68a) 보다 더욱 반출력측에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여압(與壓) 부재 (72) 가 배치되어 있고, 여압 부재 (72) 는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베어링 홀더 (68a) 측으로 연장된 6 개의 갈고리부 (74) 가 베어링 홀더 (68a) 의 외주 가장자리에 걸어맞춰짐으로써, 베어링 홀더 (68a) 에 고정되어 있다. 여압 부재 (72) 에는, 판 스프링부 (76) 가 베어링측에 잘라 세워져 있고, 판 스프링부 (76) 는 베어링체용 관통 홀 (70) 에 장 착된 베어링체 (62a) 를 로터축 (RS) 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로터축 (RS) 에 대하여 선단측을 향한 압력을 부여하고 있다.
로터축 (RS) 의 선단측 (출력측) 의 축단 (60b) 은 2 상분의 스테이터 부재 (1) 가 겹쳐져 이루어지는 스테이터 (S) 의 일방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출력측의 면, 즉 도 1 에서는 상측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부재 (1) 의 상면 (후술하는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의 상면) 에 장착되는 프레임 (78) 에 형성된 베어링에 의해 지승되어 있다.
이 프레임 (78) 의 선단측에는, 로터축 (RS) 의 축단 (60b) 에 형성된 오목추면 (도시 생략) 이 맞닿는 1 개의 강구 (64b) 와, 이 강구 (64b) 를 수용하는 베어링체 (62b) 로 이루어지는 베어링이 형성된다. 베어링체 (62b) 는 프레임 (78) 의 장착 홀 (80) 의 내경 치수보다 큰 플랜지 (83)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78) 에 장착되면 축방향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로터축 (RS) 의 스테이터 (S) 로부터 돌출된 리드 스크루부 (82) 의 표면에는 나선상으로 스크루 홈 (8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리드 스크루부 (82) 는 스크루 홈 (84) 에 걸어맞춰지는 슬라이더 (도시 생략) 를 로터축 (RS) 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 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로터축 (RS) 의 회전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부재의 구성)
도 4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 부재 (1) 는 코일 (12) 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N 극 또는 S 극의 자극을 구성하는 극부인 복수개의 극치 (10) 가 내주 가장자리에 기립 형성됨과 함께, 이들 극치 (10) 의 외주측에 코일 (12) 이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고정판 (14) 이 기립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제 1 요크 (Y1) 와, 고정판 (14) 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홀 (16) 를 구비함과 함께 권선이 권회되는 코일 보빈 (18) 과, 제 1 요크 (Y1) 의 복수개의 극치 (10) 와 맞물리도록 복수개의 극치 (10) 가 기립 형성됨과 함께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에 형성된 돌기 (28) 가 삽입 통과되는 고정 홀 (20b) 이 형성된 제 2 요크 (Y2)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요크의 구성)
제 1 요크 (Y1) 는, 저판 (24a) 에 앞서 설명한 로터 마그넷 (M) 이 삽입 통과되는 마그넷용 홀 (22) 이 형성됨과 함께 이 저판 (24a) 의 양측에, 코일 (12) 이 고정되는 고정부로서 고정판 (14, 14) 이 기립 형성된 연결부 (24) 와, 이 마그넷용 홀 (22)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복수개의 극치 (10) 가 기립 형성된 쌍으로 이루어지는 극치부 (26a, 26a)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요크 (Y1) 는,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요크의 가공 성형시에 길이 방향으로 요크를 금형으로부터 압출하도록 성형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성형하면, 요크의 성형시에 수반하는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성형 방법에서는 버 (30) 가 길이 방향에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도 7 참조).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연결부 (24) 는 대략 사각형의 저판 (24a) 의 중앙에 마그넷용 홀 (22) 이 형성되고, 이 저판 (24a) 의 서로 대향하는 단 가장자리로부터 띠 형상의 고정판 (14, 14) 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쌍으로 이루어지는 고정판 (14, 14) 은 저판 (24a) 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절곡되고, 로터축 (RS) 과 거의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굴곡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 (14) 에는 후술하는 제 2 요크 (Y2) 를 구성하는 접합판 (52) 을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 (28) 가 선단면 (14d) 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28) 는 접합판 (52) 의 고정 홀 (20b) 에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돌기 (28) 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으로부터 돌기 (28) 의 선단면까지의 길이는 접합판 (52) 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돌기 (28) 의 선단의 각부는 비스듬하게 노치되어 테이퍼면 (28a) 이 형성되어 있다.
극치부 (26a) 는 연결부 (24) 의 마그넷용 홀 (22)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기립 형성된 복수개의 극치 (10) 의 기단측에 각 극치 (10) 를 연결하는 대좌 (32a) 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대좌 (32a) 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연결부 (24) 의 양 단측에 배치되는 고정판 (14) 이 끼워 넣어지는 노치 (3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 (34) 에 고정판 (14) 이 끼워 넣어진다. 이 제 1 요크 (Y1) 는 쌍으로 이루어지는 극치부 (26a, 26a) 를 연결부 (24) 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되는 분할 코어이다.
연결부 (24) 의 고정판 (14) 의 선단으로부터 이 극치부 (26a) 의 노치 (34) 를 삽입 통과시켜 연결부 (24) 에 극치부 (26a, 26a) 가 일체적으로 장착되면, 복수개의 극치 (10, 10) 의 양측에 고정판 (14, 14) 이 기립 형성된 제 1 요크 (Y1) 가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요크 (Y1) 가 연결부 (24) 와 극치부 (26a, 26a) 가 별체로서 형성되고, 이들이 조합되어 구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제 1 요크는 전체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극치 (10) 나 고정판 (14, 14) 등이 다시 별체로서 나뉘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을 조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 1 요크에 대한 코일의 장착)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14) 을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에 삽입 통과시켜 코일 (12, 12) 을 제 1 요크 (Y1) 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과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의 단면 형상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판 (14) 의 관통 홀 (16) 로의 삽입은 약간의 힘을 가하여 고정판 (14) 을 관통 홀 (16) 에 밀어넣는 가벼운 압입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에,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에는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16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버 등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고정판 (14) 의 버가 관통 홀 (16) 의 개구단 가장자리 또는 내주면에 걸리는 일이 없어, 고정판 (14) 을 순조롭게 관통 홀 (16)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요크 (Y1) 에 코일 보빈 (18) 을 장착하는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판 (14) 을 관통 홀 (16) 에 무리하게 삽입하려 하여 부주의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1 요크 (Y1) 가 변형되거나,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의 내주면이 깎이거나 하여, 제 1 요크 (Y1) 의 극치 (10) 와 코일 (12) 의 위치 관계에 어긋남 등이 생기는 일 이 없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 2 요크의 구성)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요크 (Y2) 는 제 1 요크 (Y1) 에 형성된 복수개의 극치 (10) 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극치 (10) 가 기립 형성된 쌍으로 이루어지는 극치부 (26b, 26b) 와, 이들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26b) 를 서로 고정시킴과 함께 제 2 요크 (Y2) 와 제 1 요크 (Y1) 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합판 (52)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극치부 (26b, 26b) 는 각각 분할된 대좌 (32b, 32b) 에 형성되어 있는 분할 코어이다. 이 쌍으로 이루어지는 극치부 (26b, 26b) 에는 각각 고정판 (14) 이 삽입 통과되는 위치 결정 홀 (20a) 이 형성되고, 접합판 (52) 에는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가 삽입 통과되는 고정 홀 (20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 2 요크 (Y2) 는,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에 형성된 위치 결정 홀 (20a) 에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을 삽입 통과시키고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를 제 1 요크 (Y1) 에 위치 결정한다. 여기서,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과 위치 결정 홀 (20a) 의 단면 형상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판 (14) 의 위치 결정 홀 (20a) 로의 삽입은 약간의 힘을 가하여 고정판 (14) 을 위치 결정 홀 (20a) 에 밀어넣는 가벼운 압입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에, 위치 결정 홀 (20a) 에는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20a-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고정 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버 등이 형성되어 버렸다 하더라도, 이 버 등이 위치 결정 홀 (20a) 의 개구단 가장자리 또는 내주면에 걸리는 일이 없어, 고정판 (14) 을 순조롭게 위치 결정 홀 (20a)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요크 (Y1) 에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를 장착하는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판 (14) 을 위치 결정 홀 (20a) 에 무리하게 삽입하려 하여 부주의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1 요크 (Y1) 및/또는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a, 26b) 가 변형되는 등에 의해,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의 극치 (10) 의 위치 관계에 어긋남 등이 생기거나, 극치 (10) 끼리가 맞닿아 버리거나 하는 일이 없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판 (52) 은 중심에 로터축 (RS) 이 삽입 통과되는 축용 홀 (54) 이 형성된 판상의 부재이다. 축용 홀 (54) 의 양측에는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가 삽입 통과되는 고정 홀 (20b, 20b) 이 접합판 (52) 의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판 (52) 이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에 고정됨으로써,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26b) 를 서로 고정시킴과 함께 제 2 요크 (Y2) 와 제 1 요크 (Y1) 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스테이터 부재 (1) 를 2 상분 겹쳐,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테이터 (S) 가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모터는 스테이터 (S) 를 장착하고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모터의 프레임에 대한 장착)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78) 은 장착부 (86) 를 스테이터 (S) 의 상면에 겹쳐 접합함으로써 스테이터 (S) 에 장착된다. 이 장착부 (86) 의 중심에는 로터축 (RS) 을 삽입 통과하는 축용 홀 (88)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에는 돌기부용 오목부 (90, 90)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86) 가 스테이터 (S) 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지만, 스테이터 (S) 의 상면, 즉 스테이터 (S) 의 출력측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제 2 요크 (Y2) 의 단면으로부터는,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의 선단이 돌출되어 있다. 그래서, 오목부 (90, 90) 가 형성되어 있으면, 이 돌기 (28) 를 피하여, 장착부 (86) 를 스테이터 (S) 의 상면에 간극 없이 맞닿게 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낸 모터 (1) 에는, 오목부 (90, 90) 로서 노치가 형성된 예를 나타내지만, 오목부는 노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요컨대 돌기 (28) 의 선단에 맞닿지 않도록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프레임 (78) 의 장착부 (86) 의 단면과, 스테이터 (S) 의 출력측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제 2 요크 (Y2) 의 단면은 거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86) 와 제 2 요크 (Y2) 의 단면을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프레임 (78) 을 스테이터 (S) 에 고정시킴으로써 로터축 (RS) 에 장착된 로터 마그넷 (M) 이 스테이터 (S) 의 내주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마다의 설명)
도 7 은,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스테이터 부재 (1) 의 제 1 요크 (Y1) 에 있어서는, 연결부 (24) 를 펀칭할 때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연결부 (24) 의 단면에는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버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또한, 저판 (24a) 의 양측의 고정판 (14, 14) 을 절곡시킬 때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판압 방향으로 돌출된 버가 눌려져, 고정판 (14) 의 면방향으로 돌출되는 버 (30) 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 버 (3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의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일방의 장변의 양단으로부터 그 장변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도 7 에는,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의 양측에 버 (30) 가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지만, 고정판 (14) 의 양방의 면에 대략 직사각형의 단면의 4 모퉁이로부터 돌출되도록 버가 형성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이 버 (30) 가 고정판 (14) 의 윤곽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도 있고,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버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8 은, 극치부 (26a) 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 노치 (34) 는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노치 (34) 도 극치부 (26a) 의 1 변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노치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 (34) 의 폭 (W34) 은 고정판 (14) 의 폭 (W14) 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또한,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클리어런스부 (34a) 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는 버 (30) 가 발생하기 쉽고, 이 버 (30) 는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노치 (34) 의 클리어런스부 (34a) 는 버 (30) 를 피하도록, 노치 (34) 의 측면 (34b, 34b) 의 안쪽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버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미리 버가 발생할 것으로 생각되는 장소에 클리어런스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극치부 (26a) 의 노치 (34) 에는 클리어런스부 (34a)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판 (14) 을 노치 (34) 에 삽입할 때에, 고정판 (14) 의 버 (30) 가 노치 (34) 의 단 가장자리에 걸리는 일이 없어, 고정판 (14) 을 순조롭게 노치 (34) 에 삽입 통과시켜 끼워 넣을 수 있다. 그 때문에, 극치부 (26a) 와 연결부 (24) 를 연결하는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판 (14) 을 노치 (34) 에 무리하게 삽입하려 하여 부주의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제 1 요크가 변형되지 않아,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극치부 (26a) 의 노치 (34) 에 클리어런스부 (34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 (14) 의 버 (30) 의 크기를 고려하여, 노치 (34) 의 폭 (W34) 을 큼지막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치 (34) 의 클리어런스부 (34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고정판 (14)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매우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 에는, 고정판 (14) 에 극치부 (26a) 를 장착한 상태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고정판 (14) 의 버 (30) 이외의 부분에는, 노치 (34) 의 단면 (34b, 34b, 34c) 과 딱 맞닿는 맞닿음부 (36a) 가 형성된다. 도 9 에서는, 고정판 (14) 의 양 단면 (14a, 14a) 과 노치 (34) 의 양 측면 (34b, 34b) 이 맞닿아 있다. 또한, 노치 (34) 의 안쪽 단면 (34c) 과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이 맞닿아 있다. 이로써, 극치부 (26a) 가 연결부 (24) 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스테이터 부재 (1) 의 특성이 안정되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 은 코일이 권회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코일 보빈 단체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보빈 (18) 은 각통 형상의 본체 (38) 의 양단에 플랜지 (40a, 40b) 가 형성되어 있고, 일방의 플랜지 (40a) 의 외측단 가장자리에 단자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코일 보빈 (18) 의 본체 (38) 에 구리선 등의 표면에 절연층이 코팅된 권선이 복수회 권회되어 코일 (12) 이 형성된다. 이 권선의 양 단부 (12a, 12a) 는 단자대 (42) 에 형성된 쌍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44, 44) 에 얽힌다. 이 단자 (44, 44) 를 통하여 코일 (12) 에 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이 스테이터 부재 (1) 가 구비하는 1 조의 코일 (12, 12) 에 대한 급전에는, 각각의 코일 (12) 을 감는 방향을 동일하게 하여 직렬로 접속하는 바이폴라 구동, 또는 감는 방향을 반대로 하여 직렬로 접속하는 유니폴라 구동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코일 보빈 (18) 의 중심에는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이 삽입 통과되는 관통 홀 (1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홀 (16)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통 홀 (16) 도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직사각형의 단변의 길이 (T16) 는 고정판 (14) 의 판두께 (T14) 와 거의 동일하게, 장변의 길이 (W16) 는 고정판 (14) 의 폭 (W14) 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은 버 (30) 를 피하도록 클리어런스부 (16a) 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리어런스부 (16a) 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인 관통 홀 (16) 의 내주면의 4 모퉁이에 장변 방향으로 움푹 패인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의 버 (30) 는,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의 단 가장자리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의 클리어런스부 (16a) 는, 대략 직사각형의 4 모퉁이에 장변 방향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 홀 (16) 의 4 모퉁이에 클리어런스부 (16a) 를 형성함으로써, 코일 보빈 (18) 의 방향을 바꾸어도 고정판 (14) 의 버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16a) 가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 (14) 의 양방의 면의 단 가장자리에 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에는, 고정판 (14) 의 버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16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 (14) 의 버 (30) 의 크기를 고려하여, 관통 홀 (16) 의 크기를 큼지막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관통 홀 (16) 의 클리어런스부 (16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고정판 (14)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매우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 은,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에 고정판 (14) 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의 관통 홀 (16) 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관통 홀 (16) 의 고정판 (14)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관통 홀 (16) 에 고정판 (14) 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는, 관통 홀 (16) 의 내주면의 장변측 양면 (16b, 16b) 은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과 타방의 면 (14c)(도면 중에서는 상하의 면) 과 맞닿아 있고, 관통 홀 (16) 의 내주면의 단변측 양면 (16c, 16c) 은 판두께 방향의 양 단면 (14a, 14a)(도면 중에서는 좌우의 면) 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관통 홀 (16) 의 내주면에는 고정판 (14) 의 표면에 간극 없이 맞닿는 맞닿음부 (36b) 가 형성되므로, 코일 보빈 (18) 이 고정판 (14) 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스테이터 부재 (1) 의 특성이 안정되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코일 보빈 (18) 의 관통 홀 (16) 로부터 돌출된 부분에, 추가로 제 2 요크 (Y2) 를 장착 고정시킨다.
도 12 는, 이 극치부 (26b) 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대좌 (32b) 의 위치 결정 홀 (20a) 은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판 (14) 은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위치 결정 홀 (20a) 도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직사각형의 단변의 길이 (T20a) 는 고정판 (14) 의 판두께 (T14) 와 거의 동일하게, 장변의 길이 (W20a) 는 고정판 (14) 의 폭 (W14) 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 (14)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클리어런스부 (20a-a) 가,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은 버 (30) 를 피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판 (14) 의 버 (30) 는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위치 결정 홀 (20a) 의 클리어런스부 (20a-a) 는 대략 직사각형의 4 모퉁이에 장변 방향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 홀 (20a) 의 4 모퉁이에 클리어런스부 (20a-a) 를 형성함으로써, 고정판 (14) 의 타방의 면 (14c) 에 버가 형성되는 경우나, 고정판 (14) 의 양방의 면 (14b, 14c) 의 단 가장자리에 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 홀 (20a) 에는, 고정판 (14) 의 버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20a-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판 (14) 의 버 (30) 의 크기를 고려하여, 위치 결정 홀 (20a) 의 크기를 큼지막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위치 결정 홀 (20a) 의 클리어런스부 (20a-a)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고정판 (14)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매우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 은, 극치부 (26b) 의 위치 결정 홀 (20a) 에 고정판 (14) 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 홀 (20a) 의 고정판 (14)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가 매우 작기 때문에, 위치 결정 홀 (20a) 의 내주면의 장변측 양면은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과 타방의 면 (14c)(도면 중에서는 상하의 면) 과 맞닿아 있고, 위치 결정 홀 (20a) 의 내주면의 단변측 양면은 판두께 방향의 양 단면 (14a, 14a)(도면 중에서는 좌우의 면) 에 맞닿아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홀 (극치부) 의 내주면에는, 고정판의 표면에 간극 없이 맞닿는 맞닿음부 (36c) 가 형성되므로, 제 2 요크 (Y2) 의 극치부 (26b) 가 고정판 (14) 에 흔들림 없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스테이터 부재 (1) 의 특성이 안정되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돌기 (28) 의 높이는 접합판 (52) 의 두께보다 약간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홀 (20b) 에 돌기 (28) 가 압입에 의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접합판 (52) 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이 맞닿음과 함께, 돌기 (28) 의 선단은 접합판 (52)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이 접합판 (52) 은 고정 홀 (20b) 에 돌기 (28) 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외주단면이 극치부 (26b, 26b) 의 대좌 (32b) 의 외주단면과 거의 동일 평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접합판 (52) 의 외주단면과 극치부 (26b, 26b) 의 외주단면을 여러 지점 스폿 용접함으로써, 쌍으로 이루어지는 극치부 (26b, 26b) 가 서로 고정되어 제 2 요크 (Y2) 가 구성된다.
추가로 고정 홀 (20b) 의 단 가장자리와 돌기 (28) 의 표면을 동일하게 용접에 의해 고정시킨다. 이로써, 접합판 (52) 과 제 1 요크의 고정판 (14) 이 고정됨과 함께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가 서로 정확하게 위치 맞춤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 14 는, 이 접합판 (52) 을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고정 홀 (20b) 은 고정판 (14) 의 돌기 (28) 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 (28) 는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홀 (20b) 도 단면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직사각형의 단변의 길이 (T20b) 는 고정판 (14) 의 돌기 (28) 의 판두께 (T14) 와 거의 동일하게, 장변의 길이 (W20b) 는 돌기 (28) 의 폭 (W28) 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 (28) 의 단면의 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클리어런스부 (20b-a) 가, 돌기부 (28) 에 발생하는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은 버 (30a) 를 피하도록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28) 의 버 (30a) 는 고정판 (14) 의 일방의 면 (14b) 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고정 홀 (접합판측)(20b) 의 클리어런스부 (20b-a) 는 대략 직사각형의 4 모퉁이에 장변 방향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홀 (접합판측)(20b) 의 4 모퉁이에 클리어런스부를 형성함으로써, 돌기 (28) 의 타방의 면 (14c) 에 버가 형성되는 경우나, 돌기 (28) 의 양방의 면 (14b, 14c) 의 단 가장자리에 버가 형성되는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기 (28) 의 선단의 각부는 비스듬하게 노치되어 테이퍼면 (28a, 28a)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합판 (52) 의 고정 홀 (접합판측)(20b) 을 돌기 (28) 에 삽입할 때에, 고정 홀 (접합판측)(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가 테이퍼면 (28a, 28a) 에 맞닿으면 고정 홀 (접합판측)(20b) 이 올바른 삽입 위치로 유도되어 접합판 (52) 의 돌기 (28) 에 대한 장착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5 는, 접합판 (52) 의 고정 홀 (20b) 에 돌기 (28) 를 삽입 통과시킨 상 태의 접합판 (52) 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이와 같이, 돌기 (28) 의 단면 형상과 고정 홀 (20b) 의 단면 형상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 (28) 의 고정 홀 (20b) 에 대한 삽입은, 약간의 힘을 가하여 돌기 (28) 를 고정 홀 (20b) 에 밀어넣는 가벼운 압입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에, 고정 홀 (20b) 에는, 돌기 (28) 의 버 (30a) 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 (28) 의 버 (30a) 가 고정 홀 (20b) 의 입구측 단 가장자리 또는 내주면에 걸리는 일이 없어, 돌기 (28) 를 순조롭게 고정 홀 (20b)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제 1 요크 (Y1) 에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을 장착하는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접합판 (52) 이 얇은 두께의 자성체인 경우, 돌기 (28) 를 고정 홀 (20b) 에 무리하게 삽입하려 하여 부주의하게 큰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합판 (52) 이 변형되는 등에 의해, 극치부 (26b) 의 외주단면과 접합판 (52) 의 외주단면의 위치가 어긋나 버리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제 2 요크 (Y2) 가 변형되는 등에 의해,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의 극치 (10) 의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거나, 극치 (10) 끼리가 맞닿거나 하는 일이 없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홀 (20b) 에는, 돌기 (28) 의 버 (30a) 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리어런스부 (20b-a)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돌기 (28) 의 버 (30a) 의 크기를 고려하여, 고정 홀 (20b) 의 형상을 큼지막하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정 홀 (20b) 의 클리어런스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 돌기 (28) 의 외형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매우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고정 홀 (20b) 에 돌기 (28) 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는, 돌기 (28) 의 면방향의 양면 (14b, 14c)(도면 중에서는 상하의 면) 및 판두께 방향의 양 단면 (28b, 28b)(도면 중에서는 좌우의 면) 은 거의 전체면에 걸쳐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에는 돌기 (28) 의 표면에 간극 없이 맞닿는 맞닿음부 (36d) 가 형성되므로, 제 2 요크 (Y2) 와 제 1 요크 (Y1) 가 서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클리어런스부 (20b-a) 에 있어서는, 고정 홀 (20b) 의 내주면과 돌기 (28) 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돌기 (28) 의 표면과 고정 홀 (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 및 접합판측 (52) 과 극치부 (26b, 26b) 의 외주단면을 용접함으로써, 제 2 요크 (Y2) 와 제 1 요크 (Y1) 가 서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로써, 스테이터 부재 (1) 의 특성이 안정되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6 은,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가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의 고정 홀 (20b) 에 삽입 통과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 부재 (1) 가 조립된 상태에서는, 돌기 (28) 의 선단은 고정 홀 (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돌기 (28) 의 양면 (14b, 14c) 및 판두께 방향의 양 단면 (28b, 28b) 은 거의 전체면에 걸쳐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에 맞닿아 있다. 한편, 돌기 (28) 의 버 (30a)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클리어런스부 (20b-a) 에서는, 돌기 (28) 의 표면과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이 약간의 간극을 개재하여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홀 (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를 여 러 지점에 걸쳐 스폿 용접함으로써, 제 1 요크 (Y1) 의 연결부 (24) 의 선단에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이 고정된다.
도 16 에는, 스폿 용접하는 지점으로서 고정 홀 (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의 4 모퉁이 근방과, 단변의 중앙부, 및 장변의 2 지점을 동그라미 표시 x 로 둘러싸 나타내었다. 그 때, 고정 홀 (20b) 의 클리어런스부 (20b-a) 와 돌기 (28) 의 표면 사이의 간극에 부분적으로 용융된 돌기 (28) 가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 홀 (20b) 의 클리어런스부 (20b-a) 와 돌기 (28) 의 표면 사이의 간극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의 클리어런스부 (20b-a) 이외의 부위는 돌기 (28) 의 표면에 간극 없이 맞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어런스부 (20b-a) 의 간극을 용융된 돌기 (28) 의 선단으로 매립함으로써 돌기 (28) 의 표면과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의 접촉 면적을 늘려, 접합판 (52) 을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의 일방의 면에, 제 1 요크의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이 맞닿도록 고정판 (14) 의 선단에 형성된 돌기 (28) 를 고정 홀 (20b) 에 압입한 상태에서, 고정판 (14) 과 고정 홀 (20b) 을 용접함으로써, 고정판 (14) 에 대한 고정 홀 (20b) 의 압입 깊이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지 않고, 고정판 (14) 과 고정 홀 (20b) 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돌기 (28) 의 선단이 접합판 (52)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고정판 (14) 과 고정 홀 (20b) 의 용접을 실시하기 쉽다. 그 때문에, 고정판 (14) 과 고정 홀 (20b) 에 정확하게 용접할 수 있고, 접합판 (52) 을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에 확실히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보빈의 변형예)
다음으로, 코일 보빈에 구비되는 관통구 및/또는 제 2 요크에 형성되는 고정 홀 (극치부) 및 고정 홀 (접합판측) 의 형상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17(a) ∼ (c) 의 설명에 있어서는, 고정 홀 (극치부) 및 고정 홀 (접합판측) 을 고정 홀이라 칭하고,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관통구 (16-1) 및/또는 고정 홀 (20-1) 의 각부에 대략 원 형상의 패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클리어런스부 (16-1a) 및/또는 고정 홀 (20-1a) 이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판 (및/또는 그 선단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14-1) 의 버 (30-1) 가 고정판 (14-1) 의 판두께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관통구 (16-2) 및/또는 고정 홀 (20-2) 의 단변 방향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어런스부 (16-2a) 및/또는 (20-2a) 가 형성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구 (16-3) 및/또는 고정 홀 (20-3) 의 내주면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클리어런스부 (16-3a) 및/또는 (20-3a) 의 폭을 고정판 (14-1) 의 버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클리어런스부 (16-3a) 및/또는 (20-3a) 의 폭 (개구) 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정판 (14-1) 을 관통구 (16-3) 및/또는 고정 홀 (20-3) 에 삽입할 때에, 고정판 (14-1) 의 표면과 관통구 (16-3) 및/또 는 고정 홀 (20-3) 의 내주면이 맞닿는 맞닿음부 (36-3) 의 면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클리어런스부 (16-3a) 및/또는 (20-3a) 의 폭 (개구) 을 작게 하면, 맞닿음부 (36-3) 의 면적은 커지고, 클리어런스부 (16-3a) 및/또는 (20-3a) 의 폭 (개구) 을 크게 하면, 맞닿음부 (36-3) 의 면적은 작아진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판 (14-1) 을 관통구 (16-3) 및/또는 고정 홀 (20-3) 에 압입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힘을 컨트롤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효과)
이 모터 (2) 가 구비하는 스테이터 부재 (1) 에 의하면, 제 2 요크 (Y2) 의 고정 홀 (20b) 에 제 1 요크 (Y1) 의 돌기 (28) 가 압입된 상태에서, 접합판 (52) 의 일방의 면에는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이 맞닿음과 함께, 돌기 (28) 의 선단은 접합판 (52)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고정판 (14) 에 대한 고정 홀 (20b) 의 압입 깊이가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 하지 않고, 고정판 (14) 과 고정 홀 (20b) 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기 (28) 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면 (28a, 28a)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기 (28) 의 고정 홀 (20b) 로의 삽입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요크 (Y1) 의 돌기 (28) 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제 2 요크 (Y2) 의 고정 홀 (20b) 의 개구단 가장자리가 용접되어,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가 고정되므로,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에 형성된 돌기 (28) 를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에 형성된 고정 홀 (20b) 에 일방의 면으로부터 압입하면, 돌기 (28) 의 선단이 접합판 (52)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므로, 고정 홀 (20b) 과 돌기 (28) 의 용접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제 1 요크 (Y1) 와 제 2 요크 (Y2) 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또한 확실히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요크 (Y2) 에 장착되는 프레임 (78) 에는, 접합판 (52) 에 맞닿아 고정되는 장착부 (86) 에, 제 2 요크 (Y2) 의 고정 홀 (20b) 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 (90)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의 고정 홀로부터 제 1 요크 (Y1) 의 고정판 (14) 의 선단면 (14d) 에 형성된 돌기 (28) 가 돌출되어 있어도, 프레임 (78) 의 장착부 (86) 를 제 2 요크 (Y2) 의 접합판 (52) 에 간극 없이 맞닿게 하여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오목부 (90) 에 돌기 (28) 를 걸어맞춤으로써, 프레임 (78) 과 스테이터 부재 (1) 의 위치 맞춤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이로써, 프레임 (78) 과 로터축 (RS) 의 위치 정밀도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에는, 고정판 (14) 의 표면에 맞닿는 맞닿음부 (36d) 와, 고정판 (14) 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클리어런스부 (20b-a)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맞닿음부 (36d) 에 있어서 고정판 (14) 에 고정 홀 (20b) 이 어긋남이 없도록 고정되어, 제 2 요크 (Y2) 가 제 1 요크 (Y1) 에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클리어런스부 (20b-a) 의 면적을 크게 또는 작게 함으로써 맞닿음부 (36d) 와의 접촉 면적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어, 고정 홀 (20b) 에 돌기를 압입할 때에 걸리는 부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판 (14) 의 단면 형상에 맞추어, 고정 홀 (20b) 은 각형 더욱 상세하게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클리어런스부 (20b-a) 는 각형의 각부에 있어서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홀 (20b) 의 단 가장자리 및 내주면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고정판 (14) 의 버를 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고정판 (14) 의 버 등을 고려하여, 고정판 (14) 의 표면과 고정 홀 (20b) 의 내주면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클리어런스부 (20b-a) 이외의 부위에서는 고정판 (14) 의 표면과 고정 홀 (20b) 의 내주면이 밀착된 상태가 되고, 고정판 (14) 에 고정 홀 (20b) 이 어긋남이 없도록 고정되어, 제 2 요크 (Y2) 를 제 1 요크 (Y1) 에 높은 위치 정밀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터 (2) 이면, 쌍으로 이루어지는 요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어긋남이 생기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 수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요크에 2 개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이들 고정부에 대응하는 2 개의 고정 홀이 제 2 요크에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고정부 및 고정 홀은 적어도 1 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 1 요크에 1 개의 고정부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에 대응 하는 고정 홀이 제 2 요크에 형성되고, 또한 제 2 요크에도 고정부가 형성되고, 이 고정부에 대응하는 고정 홀이 제 1 요크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부로서 판상의 고정판의 예를 나타냈지만, 고정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막대 형상, 각주 형상 등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되는 것은 제 2 요크나 코일 보빈에 한정되지 않고, 스테핑 모터에 장착되는 그 밖의 여러 가지 부재이어도, 일방의 부재를 타방의 부재에 삽입 통과시켜 고정시키는 것이면 삽입 통과되는 홀에 클리어런스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브러시리스 모터와 같이 원주상의 스테이터 코어의 원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코일 중심의 장착 홀을 삽입 통과시켜, 스테이터 코어의 원주면에 복수의 코일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코일의 장착 홀에 스테이터 코어의 돌기의 버를 피하는 클리어런스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 (78) 의 프레임 고정부 (86) 의 단면과, 스테이터 (S) 의 상측의 스테이터 부재 (1) 의 제 2 요크 (Y2) 의 단면은 거의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 고정부 (86) 와 제 2 요크 (Y2) 의 단면을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프레임 (78) 을 스테이터 (S) 에 고정시킴으로써 로터축 (RS) 에 장착된 로터 마그넷 (M) 이 스테이터 (S) 의 내주에 배치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된다.
그러나, 이대로의 상태에서는, 스테이터 (S) 에 구비된 대략 각통 형상 코일 (12) 은 그 외주면 중 한 측면은 극치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모터 (2) 의 외주면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다른 세 개의 측면은 스테이터 부재 (1)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 (12) 의 외주면이 스테이터 (S)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코일 (12) 의 외주면이 부주의하게 압압되거나 걸리거나 하여, 코일 권선이 단선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스테이터 (S) 에서는,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극치 (10) 가 노출 상태이기 때문에, 극치 (10) 끼리의 간극으로부터 로터 마그넷 (M) 과 극치 (10) 사이에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여, 로터 (R) 의 회전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스테이터 부재 (1) 의 외주면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 부재 (P) 를 감아, 코일 (12) 의 외주면을 덮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수지 필름 부재 (P) 로서 절연성 베이스 필름에 도전성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선 기판 (92) 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18 은, 이 배선 기판 (92) 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배선 패턴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면의 수지막을 부분적으로 노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선 기판 (92) 은 스테이터 (S) 의 외주면을 한 장의 배선 기판 (92) 으로 덮도록, 스테이터 (S) 의 축방향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폭 (w) 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 (92) 에는,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FPC) 이라고 불리는 가요성이 있는 배선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배선 기판 (92) 은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 (92a) 에 구리 등의 도체박을 적층하고, 이 도체박을 소정의 형상으로 에칭 등에 의해 패터닝하여 배선 패턴 (92b) 을 형성하고, 이 배선 패턴 (92b) 의 더욱 위에서 베이스 필름 (92a) 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 수지막 (92c) 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 배선 기판 (92) 의 일방의 단부 근방에는, 스테이터 (S) 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 (44) 에 대응하는 위치에 단자용 관통 홀 (TH)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S) 는 2 조의 코일 (12, 12, 12, 12) 을 갖고 있고, 각각의 코일 (12) 에 대하여 2 개의 단자 (44) 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합계 8 개의 단자 (44) 는 스테이터 (S) 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의 중앙부에 4 개씩 배치되어 있다. 이 배선 기판 (92) 에는, 배선 기판 (92) 을 스테이터 (S) 의 외주면에 감은 상태에서, 스테이터 (S) 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 4 개의 단자 (44) 를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2 개의 단자용 관통 홀 (TH1, TH2) 이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용 관통 홀 (TH1, TH2) 은 스테이터 (S) 의 일방의 측면에 형성된 4 개의 단자 (44) 를 모아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대략 사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단자용 관통 홀 (TH1, TH2)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하나의 단자용 관통 홀 (TH1, TH2) 에 삽입 통과되는 4 개의 단자 (44) 가 각각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 (TC) 가 단자용 관통 홀 (TH1, TH2) 의 각부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 단자 접속부 (TC) 는 배선 패턴 (92b) 과 동일한 층의 도체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접속부 (TC) 부분의 수지막 (92c) 을 제거함으로써 도체박을 노출시켜, 단자 (44) 와 땜납 등에 의해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선 기판 (92) 의 타방의 단부에는 커넥터용 접속부 (CC)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용 접속부 (CC) 는 배선 패턴 (92b) 과 동일한 층의 도체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용 접속부 (CC) 부분의 수지막 (92c) 을 제거함으로써 도체박을 노출시켜, 커넥터 단자 등과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배선 기판 (92) 은 커넥터용 접속부 (CC) 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배선 기판 (92) 의 배책(配策)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 커넥터용 접속부 (CC) 에 접속되는 커넥터에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FPC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용 접속부 (CC) 에는, FPC 커넥터를 통하여 코일 (12) 에 공급되는 전류 (I1, I2) 가 인가된다.
이 배선 기판 (92) 의 배선 패턴 (92b) 은 스테이터 (S) 에 구비된 각 스테이터 부재 (1) 의 양 측면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코일 (12, 12) 을 직렬로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S) 의 일방의 측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4 개의 단자 (44) 에, 배선 기판 (92) 에 형성된 단자용 관통 홀 (TH1) 을 삽입 통과시킨다. 이들 4 개의 단자 (44) 는 대략 사변형 단자용 관통 홀 (TH1) 의 각부에 배치된다. 배선 기판 (92) 은 단자 (44) 를 지지하는 단자대 (42) 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이 단자용 관통 홀 (TH1) 에 단자 (44) 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단자용 관 통 홀 (TH1) 의 둘레 가장자리의 각부에 형성된 각 단자 접속부 (TC) 에 각 단자 (44) 가 납땜에 의해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테이터 (S) 의 일방의 측면에 형성된 단자 (44) 에 배선 기판 (92) 을 고정시키고,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S) 의 외주면 에 따르게 하면서 배선 기판 (92) 을 감는다. 그리고, 스테이터 (S) 의 타방의 측면에 형성된 4 개의 단자 (44) 를 배선 기판 (92) 에 형성된 단자용 관통 홀 (TH2) 에 삽입 통과시킨다. 이 타방의 측면의 4 개의 단자 (44) 는 일방의 측면의 단자 (44) 와 동일하게 하여, 단자용 관통 홀 (TH2) 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자용 접속부 (TC) 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2 상의 스테이터 부재 (1) 가 겹쳐져 구성되는 스테이터 (S) 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각 4 개의 단자를 배선 기판 (92) 의 단자 접속부 (TC) 에 각각 접속하면, 각 스테이터 부재 (1) 가 갖는 1 쌍의 코일 보빈 (18) 은 급전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된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 기판 (92) 에는, 각 스테이터 부재 (1) 의 코일 (12, 12) 을 각각 접속하기 위하여, 2 조의 배선이 선대칭으로 형성된 배선 패턴 (92b) 을 갖고 있다.
스테이터 (S) 의 단자 (44) 에 배선 기판 (92) 을 접속한 상태에서는, 커넥터용 접속부 (CC1) 로부터 입력된 전류 (I1) 는, 배선 (92b-1) 을 통하여 단자 접속부 (TC1) 에 전송되고, 단자 접속부 (TC1) 에 접속된 단자 (44) 를 통하여 스테이터 부재 (1) 의 일방의 코일 (12) 의 코일 권선의 일단에 입력되고, 이 코일 권 선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된다. 이 일방의 코일 (12) 의 코일 권선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된 전류 (I1) 는, 단자 접속부 (TC2), 배선 (92b-2) 및 단자 접속부 (TC3) 를 통하여 타방의 코일 (12) 의 코일 권선의 일단에 입력된다. 그리고, 이 타방의 코일 (12) 의 코일 권선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어 배선 (92b-3) 을 통하여 커넥터용 접속부 (CC2) 에 전송된다.
스테이터 (S) 의 타방의 스테이터 부재 (1) 에 있어서도, 일방의 스테이터 부재와 마찬가지로, 일방의 커넥터용 접속부 (CC) 로부터 입력된 전류 (I2) 는 병렬로 접속된 코일 (12, 12) 을 거쳐, 타방의 커넥터용 접속부 (CC) 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S) 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단자에 배선 기판 (92) 이 접속됨과 함께, 스테이터 (S) 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선 기판 (92) 이 감겨, 모터 (2) 가 구성된다. 이 때, 스테이터 부재 (1) 가 각각 접촉하는 접촉면과 배선 기판 (92) 이 접촉하지 않도록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면에는 대좌 (32a, 32b) 와 저판 (24a) 의 각부가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가령, 배선 기판 (92) 과 대좌 (32a, 32b) 와 저판 (24a) 의 각부가 접촉하면, 배선 기판 (92) 에 삽입되어 있는 배선 패턴 (92b) 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스테이터 (S) 가 각각 접촉하는 접촉면과 배선 기판 (92) 이 접촉하지 않도록 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리 배선 패턴 (92b) 과 대좌 (32a, 32b) 및 저판 (24a) 의 각부가 접촉하지 않도록 배선 패턴 (92) 의 배치 패턴을 고려하여 배치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모터 (2) 에 의하면, 스테이터 부재 (1) 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코일 (12) 의 외주면이 배선 기판 (92) 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부재에 의해 덮여, 코일 (12) 의 외주면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코일 권선이 단선되는 일이 없다. 또한, 극치 (10) 끼리의 간극으로부터 로터 마그넷 (M) 과 극치 (10) 사이에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12) 의 외주면이 배선 기판 (92) 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부재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모터 (2) 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일 (12) 의 외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수지 필름 부재에 배선 기판 (92) 을 적용함으로써, 코일 (12) 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모터 (2) 의 종래의 모터 케이스를 사용한 경우보다,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를 배치하고 나서 수지 필름 부재인 배선 기판을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감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배선 기판을 감고 나서 로터를 스테이터의 내주에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먼저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배선 기판으로 보호하고 나서, 로터를 스테이터의 내주에 배치하도록 하면, 로터를 스테이터에 장착할 때에도 스테이터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코일 권선의 단선 등이 방지되어, 모터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필름 부재로서 배선 기판을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감을 수 있는 가요성을 가진 것이면 된다. 또한, 수지 필름 부재를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감을 때에는, 미리 스테이터 부재의 외주 형상에 맞추어 굴곡 형성된 수지 필름 부재를 이용해도 된다.
계속해서, 수지 필름 부재를 스테이터의 외주면에 감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2) 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 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의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4 는, 수지 필름 부재인 배선 기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 는, 스테이터의 단자를 배선 기판의 고정용 관통 홀에 삽입 통과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은, 스테이터에 배선 기판을 감아 접속용 접속 구멍에 단자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 모터 (2) 에 있어서, 로터 (R) 등,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2) 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 (2) 는 스테핑 모터로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축 (RS) 과 로터축 (RS) 의 외주면에 고착된 원통 형상의 로터 마그넷 (RM) 을 구비한 로터 (R) 와, 로터 (R) 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스테이터 (S2) 를 갖고 있다.
이 스테이터 (S2) 는 1 조의 스테이터 부재 (S21) 가 등을 맞대고 고정되는 2 상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2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부재 (S21) 는 로터 (R) 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극치 (103) 가 형성된 스테이터 코어 (100) 와, 이 극치 (10) 의 외주에 배치되는 공심(空芯) 코일 (102) 과, 이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을 덮는 케이스부 (104a, 104b) 를 갖는 모터 케이스 (106)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테이터 부재 (S21) 의 요크는 이들 스테이터 코어 (100) 와 모터 케이스 (106) 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 (106) 는 공심 코일 (102) 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과, 공심 코일 (102) 의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 도너츠 형상의 덮개부 (106a) 를 갖고 있다. 이 덮개부 (106a) 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대략 원호 형상인 쌍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부가 대외로 대향하여 기립 형성되고, 또한 내주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극치 (103) 가 기립 형성되어 있다. 공심 코일 (102) 이 이 복수개의 극치 (103) 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면, 이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은 부분적으로 케이스부 (104a, 104b) 에 덮이고, 다른 부분은 케이스부 (104a) 와 케이스부 (104b)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 (108) 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된다. 또한, 이 모터 케이스 (106) 는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케이스부 (104a) 의 선단면에는 모터 케이스 (106) 의 내면에 고착되는 공심 코일 (102) 의 권선 단말인 인출선 (102a) 을 모터 케이스 (106) 의 외측으로 도출하기 위한 인출선용 노치 (11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타방의 케이스부 (104b) 의 선단측의 단면에는 인출선용 노치 (110) 에 대향하는 위치에, 후술하는 스테이터 코어 (100) 의 돌기부 (118) 가 끼워 넣어지는 돌기부용 노치 (112) 가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 (100) 는 모터 케이스 (106) 의 덮개부 (106a) 와 마찬가지로, 공심 코일 (102) 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과, 공심 코일 (102) 의 외경보다 약간 큰 외경을 갖는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터 코어 (100) 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모터 케이스 (106) 의 극치 (103) 와 맞물리도록 복수개의 극치 (103) 가 기립 형성되어 있고, 외주 가장자리에는 공심 코일 (102) 의 인출선 (102a) 을 접속하는 단자 (114) 가 지지된 단자대 (116) 가 장착됨과 함께, 이 단자대 (116) 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쌍을 이루는 스테이터 부재 (S21) 의 스테이터 코어 (100) 끼리를 위치 맞춤하기 위한 돌기부 (118)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테이터 코어 (100) 는 예를 들어 철 등의 자성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 단자대 (116) 는 절연성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다.
이 스테이터 코어 (100) 의 극치 (103) 의 외주에 장착되는 공심 코일 (102) 은 구리선 등의 표면에 자기 융착층이 형성된 권선을 복수회 권회하여 형성된다. 이 자기 융착층은 가열하면서 권선을 소정의 외경을 갖는 지그 등에 감아 가면, 권선의 표면이 융착되어, 공심 코일 (102) 의 형상으로 고정되는 것이나, 권선을 권회한 후에 용제 등에 의해 융착되는 것 등이 적용된다. 이로써, 코일 보빈이 없어도, 권선만으로 공심 코일 (102) 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테이터 (S2)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조립된다. 먼저, 스테이터 부재 (S21) 의 스테이터 코어 (100) 끼리를 등을 맞대고 겹쳐,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기부 (118) 가 겹치도록 하여 위치를 맞춘다. 그리고, 양 스테이터 코어 (100, 100) 의 외주단면을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된 스테이터 코어 (100, 100) 의 외주 가장자리에 합성 수지 재료의 인서트 또는 아웃서트와 성형 등에 의해 단자대 (116) 를 몰드하여 장착한다. 그리고, 공심 코일 (102) 의 표면에 스테이터 코어 (100) 및 모터 케이스 (106) 의 극치 (103) 등이 접촉하지 않도록, 스테이터 코어 (100), 공심 코일 (102) 및 모터 케이스 (106) 를 동축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접근시켜, 공심 코일 (102) 을 극치 (103) 의 외주에 배치한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 (100) 와 모터 케이스 (106) 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스테이터 (S2) 가 조립된다. 그리고, 공심 코일 (102) 의 인출선 (102a, 102a) 이 단자대에 형성된 단자에 얽힌다.
그리고, 이 스테이터 (S2) 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되고, 베어링을 통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된다.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케이스 (106) 에는 개구부 (10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터 케이스 (106) 는 원통의 외주면이 거의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노치된 타원형을 갖고 있다. 또한, 스테이터 코어 (100) 도 모터 케이스 (106) 에 대응하도록 외주 가장자리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테이터 (S2) 의 외주 형상도 동일하게 타원형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터 (S2) 의 외주 형상을 원통의 외주를 노치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테이터 (S2) 의 외형 치수를 작게 하여, 모터 (2)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 케이스 (106) 에 개구부 (108)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구부 (108) 에 있어서는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은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이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이 부주의하게 압압되거나 걸리거나 하여, 코일 권선이 단선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 필름 부재 (P2) 를 감아, 모터 케이스 (106) 의 개구부 (108) 를 덮어, 개구부 (108) 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을 보호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수지 필름 부재 (P) 로서 절연성 베이스 필름에 도전성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배선 기판 (120) 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도 24 는, 이 배선 기판 (120) 을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배선 패턴을 나타내기 위하여 표면의 수지막을 부분적으로 노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선 기판 (120) 은 스테이터 부재 (S21) 가 2 상분 겹쳐진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을 한 장의 배선 기판 (120) 으로 덮도록, 스테이터 (S2) 의 높이 (h2) 와 거의 동일한 크기의 폭 (w2) 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 (120) 에는,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나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FPC) 이라고 불리는 가요성이 있는 배선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이 배선 기판 (120) 은, 배선 기판 (92) 과 마찬가지로,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필름 (120a) 에 구리 등의 도체박을 적층하고, 이 도체박을 소정의 형상으로 에칭 등에 의해 패터닝하여 배선 패턴 (120b) 을 형성하고, 이 배선 패턴 (120b) 의 더 욱 위에서 베이스 필름 (120a) 의 거의 전체를 덮도록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 수지막 (120c) 을 적층하여 형성된다.
도 24 및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배선 기판 (120) 의 일방의 단부 근방에는 스테이터 (S2) 의 외주에 형성된 단자 (114) 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용 관통 홀 (12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관통 홀 (122) 은 배선 기판 (120) 을 스테이터 (S2) 의 외주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배선 패턴 (120b) 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배선 기판 (120) 에는 이 고정용 관통 홀 (122) 보다 중앙에 가까운 위치에 접속용 관통 홀 (12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용 관통 홀 (122) 및 접속용 관통 홀 (124) 은 단자대 (116) 에 지지된 각 단자 (114) 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고, 각 단자 (114) 를 각각 고정용 관통 홀 (122) 및 접속용 관통 홀 (124) 에 삽입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용 관통 홀 (124)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삽입 통과되는 각 단자 (114) 가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 (126) 가 접속용 관통 홀 (124) 의 주위를 감도록 형성된다. 이 단자 접속부 (126) 는 배선 패턴 (120b) 과 동일한 층의 도체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접속부 (126) 부분의 수지막 (120c) 을 제거함으로써 도체박을 노출시켜, 단자 (114) 와 땜납 등에 의해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배선 기판 (120) 의 타방의 단부에는 커넥터용 접속부 (128)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용 접속부 (128) 는 배선 패턴 (120b) 과 동일한 층의 도체박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용 접속부 (128) 부분의 수지막 (120c) 을 제거 함으로써 도체박을 노출시켜, 커넥터 등을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터용 접속부 (128) 에 접속되는 커넥터에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FPC 커넥터를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용 접속부 (128) 에는, 이 FPC 커넥터를 통하여 공심 코일 (102) 에 공급되는 전류 (I3, I4) 가 인가된다.
이 배선 기판 (120) 의 배선 패턴 (120b) 은 스테이터 (S2) 에 구비된 각 스테이터 부재 (S21, S21) 의 공심 코일 (102, 102) 각각에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S2) 에 형성된 단자 (114) 에, 배선 기판 (120) 에 형성된 고정용 관통 홀 (122) 을 삽입 통과시킨다. 배선 기판 (120) 은 단자 (114) 를 지지하는 단자대 (116) 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그리고,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배선 기판 (120) 을 스테이터 (S2) 에 감아 정확히 일주시키면 접속용 관통 홀 (124) 이 단자 (114) 의 위치에 도달하고, 접속용 관통 홀 (124) 에 단자 (114) 를 삽입한다.
그리고, 이 접속용 관통 홀 (124) 에 단자 (114) 가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접속용 관통 홀 (124) 의 주위에 형성된 단자 접속부 (126) 에 각 단자 (114) 가 납땜되어 접속된다.
이 스테이터 (S2) 의 각 스테이터 부재 (S21) 에 있어서는, 커넥터용 접속부 (128-1) 로부터 입력된 전류 (I3) 가 배선 (120b-1)(도 24 참조) 을 통하여 단자 접속부 (126-1) 에 전송되고, 단자 접속부 (126-1)(도 24 참조) 에 접속된 단자 (114) 를 통하여 공심 코일 (102) 의 코일 권선의 일단에 입력되고, 이 코일 (102) 의 코일 권선의 타단으로부터 출력되고, 배선 (120b-2) 을 통하여 커넥터용 접속부 (128-2) 에 전송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테이터 (S2) 에 형성된 단자에 배선 기판 (120) 이 접속됨과 함께, 스테이터 (S2) 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선 기판 (120) 이 감겨, 모터 (2) 가 구성된다.
이 모터 (2) 에 의하면, 스테이터 부재 (S21) 의 모터 케이스 (106) 에 형성된 개구부 (108) 를 수지 필름 부재 (P2) 인 배선 기판 (120) 으로 덮음으로써, 개구부 (108) 로부터 노출된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이 배선 기판 (120) 에 의해 덮인다. 따라서,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이 직접 접촉되는 일이 없으므로, 코일 권선이 단선되는 일이 없다. 또한,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이 배선 기판 (120) 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 부재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모터 (2) 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공심 코일 (102) 의 외주면을 덮어 보호하는 수지 필름 부재에 배선 기판 (120) 을 적용함으로써, 공심 코일 (102) 에 전류를 공급하는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모터 (2) 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복수매의 수지 필름 부 재가 감겨 있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모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스테이터 부재를 겹친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모터가 구비하는 스테이터 부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1 요크에 제 2 요크의 극치부를 위치 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스테이터 부재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제 1 요크의 연결부의 고정판을 위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1 요크의 극치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내는 고정판이 도 10 에 나타내는 극치부에 삽입 통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 은 코일이 권회되지 않은 상태의 코일 보빈 단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코일 보빈의 관통 홀에 고정판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의 관통 홀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2 요크의 극치부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에 나타내는 극치부의 고정 홀 (극치부) 에 고정판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요크의 접합판을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제 2 요크의 접합판의 고정 홀 (접합판측) 에 돌기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6 은 제 1 요크의 돌기가 제 2 요크의 고정 홀에 삽입 통과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 은 관통구 및/또는 고정 홀에 형성되는 클리어런스부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수지 필름 부재인 배선 기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는 단자용 관통 홀에 단자를 삽입 통과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른 모터의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2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1 에 나타내는 스테이터의 내주에 로터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4 는 수지 필름 부재인 배선 기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 는 스테이터의 단자를 배선 기판의 고정용 관통 홀에 삽입 통과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 은 스테이터에 배선 기판을 감아 접속용 접속 구멍에 단자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 은 종래의 스테핑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종래의 편평형 스테핑 모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테이터 부재
2: 모터
10: 극치
12: 코일
14: 고정판
14d: 선단면
16: 관통구
16a, 20a-a, 20b-a, 34a: 클리어런스부
18: 코일 보빈
20: 고정 홀
20a: 위치 결정 홀
20b: 고정 홀
22: 마그넷용 홀
24: 연결부
26a, 26b: 극치부
28: 돌기
28a: 테이퍼면
30, 30a: 버
36a, 36b, 36c, 36d: 맞닿음부
52: 접합판
Y1: 제 1 요크
Y2: 제 2 요크
M: 로터 마그넷
RS: 로터축
R: 로터
S: 스테이터

Claims (11)

  1. 로터축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한 모터로서,
    상기 제 1 요크에는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고정부가 상기 로터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이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에는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는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는 상기 제 1 요크의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압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에 상기 돌기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돌기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기의 선단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삭제
  3. 로터축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한 모터로서,
    상기 제 1 요크에는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고정부가 상기 로터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이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에는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는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는 상기 제 1 요크의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압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에 상기 돌기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돌기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1 요크의 상기 돌기의 선단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 2 요크의 고정 홀의 개구단 가장자리가 용접되어,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요크에 접촉하여, 상기 돌기가 압입되는 고정 홀이 형성되는 접합판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요크에 장착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접합판에 맞닿아 고정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맞닿는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부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다각형의 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8. 로터축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한 모터로서,
    상기 제 1 요크에는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고정부가 상기 로터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이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에는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는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는 상기 제 1 요크의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압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에 상기 돌기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돌기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제 2 요크에 접촉하여, 상기 돌기가 압입되는 고정 홀이 형성되는 접합판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요크에 장착되는 프레임에는 상기 접합판에 맞닿아 고정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제 2 요크의 고정 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로터축의 외주면에 로터 마그넷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로터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요크 및 제 2 요크와, 상기 제 1 요크와 상기 제 2 요크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을 구비한 모터로서,
    상기 제 1 요크에는 상기 코일이 장착되는 고정부가 상기 로터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과 함께, 이 고정부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에는 상기 제 1 요크에 대향하는 일방의 면으로부터 타방의 면에 관통하는 고정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고정 홀에는 상기 제 1 요크의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에 형성된 상기 돌기가 압입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에 상기 돌기가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일방의 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선단면이 맞닿음과 함께, 상기 돌기의 선단부가 상기 제 2 요크의 상기 타방의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고정 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부의 표면에 맞닿는 맞닿음부와, 상기 고정부의 표면과 소정의 간격을 개재하여 대향하는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다각형의 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홀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클리어런스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80050237A 2007-05-31 2008-05-29 모터 KR101261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46071A JP2008301636A (ja) 2007-05-31 2007-05-31 モータ
JP2007146051A JP2008301634A (ja) 2007-05-31 2007-05-31 モータ
JPJP-P-2007-00146051 2007-05-31
JPJP-P-2007-00146071 2007-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059A KR20080106059A (ko) 2008-12-04
KR101261084B1 true KR101261084B1 (ko) 2013-05-06

Family

ID=4009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37A KR101261084B1 (ko) 2007-05-31 2008-05-29 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303374A1 (ko)
KR (1) KR101261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5268B (en) * 2015-12-11 2019-04-03 Dyson Technology Ltd An electric motor
GB2545413B (en) 2015-12-11 2019-04-03 Dyson Technology Ltd A stator assembly
DE102020209303A1 (de) * 2020-07-23 2022-01-2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Aktuator zum Verstellen einer Fahrzeugbaugrupp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312A (ja) * 2000-08-28 2002-03-15 Tdk Corp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04328887A (ja) * 2003-04-24 2004-11-18 Minebea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100540552B1 (ko) 2003-04-16 2006-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텝핑 모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2674B2 (ja) * 1990-10-31 1999-08-09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ツピングモータの製造方法
FR2793966B1 (fr) * 1999-05-21 2002-03-15 Eaton Corp Moteur pas-a-pas a double bobine dans un pla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8312A (ja) * 2000-08-28 2002-03-15 Tdk Corp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100540552B1 (ko) 2003-04-16 2006-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텝핑 모터 구조
JP2004328887A (ja) * 2003-04-24 2004-11-18 Minebea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059A (ko) 2008-12-04
US20080303374A1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301634A (ja) モータ
JP2888142B2 (ja) 回転電動機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20140028128A1 (en) Stepping motor
WO2019142289A1 (ja) 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US6727608B2 (en) Claw-pole type stepping motor
KR101261084B1 (ko) 모터
JP2004180383A (ja) 固定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75947B (zh) 定子、马达以及定子的制造方法
JP2008301636A (ja) モータ
KR101193431B1 (ko) 스테이터 부재 및 모터
JP2011167024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
JP2000014057A (ja) 回転機の電機子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7911094B2 (en) Stepping motor
JP2003164080A (ja) 回転電機の電機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836050B2 (en) Terminal structures for motor with brush to connect motor to external circuit
JP2003274583A (ja) 回転形モータのステータコア構造およびステータの製造方法
JP2007325488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2012170253A (ja) 回転電機、および固定子の製造方法
JP4250369B2 (ja) 回転機
JP4827648B2 (ja) モータ
JP357870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97052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
JP7254675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ステータ製造方法
JP2669086B2 (ja) 小形電動機
JPH07241052A (ja) 回転電機の制御基板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