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60835B1 -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0835B1
KR101260835B1 KR1020060061102A KR20060061102A KR101260835B1 KR 101260835 B1 KR101260835 B1 KR 101260835B1 KR 1020060061102 A KR1020060061102 A KR 1020060061102A KR 20060061102 A KR20060061102 A KR 20060061102A KR 101260835 B1 KR101260835 B1 KR 101260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symbol
transmission
delay time
interference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562A (ko
Inventor
황덕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12,082 priority Critical patent/US7924958B2/en
Priority to JP2008557210A priority patent/JP5053297B2/ja
Priority to PCT/KR2007/001033 priority patent/WO2007100215A1/en
Publication of KR2007008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0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08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1Receiv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6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channel coding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7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91Space-time diversity
    • H04B7/0894Space-time diversity using different delays betwee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입출력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통신시스템을 위한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수의 데이터 열들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열들에 대한 프리 코딩을 수행하여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에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하는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킨 후, 상기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으로 출력한다.
Figure R1020060061102
다중입출력(MIMO), FDFR, Pre-coding, Delay time, Transmitter, Receiver

Description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A MULTI ANTENNA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입출력 시스템의 송신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송신 안테나와 1개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다중입출력 시스템의 수신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입출력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통신 시스템을 위한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 신호는 다중경로, 감쇄, 시변 잡음, 간섭 등의 다양한 요소들로 인해 유선환경에서보다 심한 왜곡을 겪게 된다. 다중 경로에 의한 페이딩 현상은 지형적 구조물에 의한 반사나 사용자의 이동에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페이딩 채널을 겪은 전송신호는 수신단에서 심각한 왜곡된 상태로 수신되고 이는 시스템 전체 성능을 열화 시키게 된다. 따라서 페이딩 현상은 무선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 통신에 장애가 되는 가장 큰 요소로서, 페이딩 및 사용자 간 간섭 등의 무선 채널에서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 것은 무선 환경에서의 고속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러한 페이딩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전송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간 다이버시티 방식으로는 다중 송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와 다중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수신 안테나 다이버시티가 있으며, 이러한 다중 송/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공간 다이버시티를 얻는 시스템을 MIMO 시스템으로 통칭 한다.
MIMO 시스템에서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해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지는 시공간 부호화에 의해 결정되며, 수신 안테나들 각각은 상기 송신 안테나들 각각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시공간 복호화를 수행한다.
시공간 부호화와 달리 공간 다중화 기법은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을 다른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고속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중화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간 다중화 기법에서 수신신호는 수신단에서 공동 또는 분리 검출 (joint or separate detection) 방식을 통해 복호화된다. 공동 검출 방식에서는 하나의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뿐만 아니라 타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들도 고려하여야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간 다중화 MIMO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최적의 복호 알고리즘으로 최대 우도 (Maximum Likelihood: ML) 복호화가 알려져 있다. 최대 우도 복호 기법을 이용하면 송신 안테나의 수에 관계없이 수신 안테나의 수와 동일한 다이버시티 차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최소평규자승오류(minimum mean square error: MMSE)나 제로-포싱 (zero-forcing)과 같은 타 복호기법들과 비교하여 최대 우도 복호화 기법은 신호대잡음비 (signal-to-noise ratio: SNR)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SNR 이득은 송신 안테나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전술한 다중화 방식의 MIMO 시스템에서는 다중화 이득을 얻을 수는 있으나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는 얻을 수 없다. 반면에 시공간 부호화 방식은 다이버시티 이득으로 수신신호의 신뢰도가 개선될 수는 있으나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는 불리하다. 따라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으면서도 데이터의 전송율의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풀 다이버시티 풀 레이트 (Full Diversity Full Rate, FDFR)의 지원이 가능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시에 다수의 데이터 열을 전송하면서도 송신 공간 다이버시티뿐만 아니라 수신 공간 다이버시티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송하고자 하는 각 데이터 열을 서로 다른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켜 전송하는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수신 데이터 열이 수신측에서 지연된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수신 데이터 열을 복호화하는 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송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열들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열들에 대한 프리 코딩을 수행하여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프리 코더와,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에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하는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킨 후, 상기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으로 출력하는 지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입력하여 전송 심볼 개수만큼의 전송 심볼 열들로 분리하고, 각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원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간섭 제거부와,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채널 행렬 변환부와, 상기 채널 행렬 변환부가 출력한 전송 심볼 열들 각각을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들을 미리 정의된 추정 채널 행렬에 의해 복호하여 추정 전송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추정 전송 신호를 상기 수신신호를 전송한 송신장치와 동일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엔코더와,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과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에 대응하는 채널 행렬을 곱하여 복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원 신호를 상기 간섭 제거부로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송신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열들을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 열들에 대한 프리 코딩을 수행하여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에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대응하는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연이 이루어진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상기 매핑된 송신 안테나들 각각을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은,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수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전송 심볼 개수만큼의 전송 심볼 열들로 분리하는 과정과, 각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원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 각각을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연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들을 미리 정의된 추정 채널 행렬에 의해 복호하여 추정 전송 신호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 전송 신호를 상기 수신신호를 전송한 송신장치와 동일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된심볼들과 상기 부호화된 심볼에 대응하는 채널 행렬을 곱하여 상기 복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 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후술 될 본 발명은 송신장치에서 각 데이터 열을 서로 다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하여 전송하고, 수신 장치에서 데이터 열별로의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데이터 열을 복원하는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 복수의 데이터 열들을 서로 다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하기 위한 송신장치 및 송신방법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리고 수신한 데이터 열들을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복원하는 수신 장치 및 수신방법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데이터 열에 대응한 지연 시간을 서로 다르게 결정한다. 예컨대, 각 데이터 열에서 동일한 전송 시점에서 전송되어야 할 심볼들 중 하나의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을 연속하는 전송 시점에서 순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하나의 데이터 열을 제외한 나머지 데이터 열에 대해서는 심볼 전송 인터벌의 정수 배만큼의 지연 시간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송신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데이터 열들은 프리 코더 (Pre-Coder)(110)로 입력된다. 상기 복수의 데이터 열들 각각에 대응하여 임의의 시점에 입력되는 비트 셋 D는 [d1, d2,..., dM]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 1에서는 송신 안테나의 개수와 동일한 수의 데이터 열이 입력되는 것을 가정하고 있다.
상기 프리 코더(110)는 입력되는 복수의 데이터 열들에 대해 변환 행렬 F를 곱하여 프리 코딩 (Pre-coding)을 수행한다. 상기 프리 코딩은 각 입력 심볼의 에너지를 전체 안테나로 확산시킨다. 그리고 상기 프리 코딩의 수행에 의해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생성한다. 상기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의 수는 송신 안테나의 개수와 일치한다. 즉 상기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각각은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들 각각에 매핑된다. 상기 프리 코딩은 각 데이터 열을 구성하는 비트들을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재배열함으로써, 새로운 데이터 심볼 열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코딩된 각 데이터 심볼 열 내에는 서로 다른 데이터 열의 비트들이 배치된다.
상기 복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 각각에 대응하여 임의의 시점에 출력되는 코딩 심볼 셋은 [x1, x2,..., xM]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J번의 전송 시점을 가정할 때, 상기 프로 코더(110)로부터 얻어지는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의 행렬 x는 하기 <수학식 1>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1
여기서 xmj는 송신 안테나 m(1≤m≤MT)에 대응하여 전송 시점 j(1≤j≤J)에 프리 코더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심볼이다. 상기 J는 시스템의 성능을 고려하여 임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MT를 3, J를 5라 가정하면, 상기 행렬 x는 하기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2
상기 프리 코더(110)로부터 출력되는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중 하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은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로 전달된다. 하지만 나머지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은 대응하는 지연기로 전달된다.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프리 코더(110)로부터 출력되는 첫 번째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 x1을 지연 없이 첫 번째 송신 안테나 (ANT #1)로 전달하는 것을 가정하 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 코더(110)로부터 출력되는 나머지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은 대응하는 지연기로 전달된다. 즉 두 번째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 x2는 지연기 #1(120-1)로 전달되며, M번째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 xM은 지연기 #M-1(120-M-1)로 전달된다.
상기 지연부(120)는 상기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 즉 x2 내지 xM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을 각각을 미리 결정된 서로 다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하여 출력한다. 상기 지연부(120)는 복수의 지연기들로 구성된다. 상기 지연기의 개수는 상기 첫 번째 송신 안테나를 제외한 나머지 송신 안테나들의 개수와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지연부(120)를 구성하는 각 지연기는 자신에게 전달되는 코딩된 심볼 열들을 순차적인 지연 시간만큼 지연시켜 출력한다. 상기 각 지연기에 대응한 지연 시간은 Z-(m-1)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m (1≤m≤MT)은 송신 안테나 인덱스이고, Z는 지연 계수이다. 상기 지연 계수는 상기 지연기의 지연 정도를 결정하는 요소이다. 일예로 상기 지연 계수는 심볼 전송 인터벌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심볼 전송 인터벌은 하나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 내에서 임의의 심볼을 전송한 후 다음 심볼을 전송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수학식 2>의 코딩된 데이터 심볼 열들이 출력되는 상황을 가정하면, 상기 지연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심볼 행렬 x는 하기 <수학식 3>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3
상기 <수학식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5개의 전송 구간에서 전송될 심볼들이 7개의 전송 구간에 걸쳐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연으로 인해 전송할 심볼이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는 심볼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심볼이 전송되지 않는 위치의 수는 2×(1+...+MT)로 정의된다.
상기 <수학식 3>에서 보이고 있는 각 심볼 열들은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개의 송신 안테나와 1개의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MIMO 시스템의 수신장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간섭 제어부(210)로 전달된다. 상기 수신신호 y는 MIMO 시스템을 가정할 시, 하기 <수학식 4>로 나타날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5
,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6
는 i번째 송신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전송신호이고,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7
,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8
는 i번째 수신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이고,
Figure 112006047349737-pat00009
,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0
는 가우시안 잡음이다.
상기 도 2에서는
Figure 112011049899937-pat00011
가 3인 MIMO 시스템의 수신장치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수신신호 y는 하기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2
여기서 h1, h2, h3 각각은 채널 벡터이다.
상기 <수학식 5>에서 x의 전송 심볼 x1, x2, x3 중 하나의 전송 심볼은 지연 없이 전송되며, 나머지 두 개의 전송 심볼은 서로 다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이 이루어졌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송신장치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따라 서 수신장치는 각 전송 심볼이 가지는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수신 신호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간섭 제거부(210)는 상기 수신신호로부터 현재 수신 시점에서 이미 디코더(240)에 의해 복호된 신호, 즉 앞선 신호 벡터가 현재 신호 벡터의 심볼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한다. 즉 상기 수신신호는 x를 구성하는 전송 심볼의 개수만큼의 열로 분리된다. 상기 간섭 제거부(210)는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감산기(212, 214)를 이용하여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에 존재하는 간섭 성분을 감산하여 제거한다.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은 복호기로부터의 피드-백 정보를 다시 프리 코딩하여 부호화한 후 복원기(260)에서 해당 심볼에 대응하는 채널 벡터들을 곱해서 제공된다.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은 채널 행렬 변환부(220)로 제공된다. 상기 채널 행렬 변환부(220)는 아직 복호되지 않은 심볼들로부터의 간섭, 즉 현재 복호되는 신호보다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가 현재 신호 벡터의 심볼에 미치는 간섭을 제거한다.
현재 수신 시점에서의 채널 행렬을 하기 <수학식 6>이라 할 때, 채널 행렬 변환기(222, 224) 각각의 변환 행렬은 하기 <수학식 7>과 하기 <수학식 8>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3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4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5
상기 채널 행렬 변환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들은 지연부(230)로 제공되어 지연 시간이 보상된다. 즉 송신장치에서 이루어진 지연에 대응한 지연 시간에 대한 역 보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연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심볼 열들은 송신장치의 프리 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순서로 정렬된 심볼들이 출력된다. 상기 지연부(230)는 복수의 지연기들(232, 234)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장치에서 지연이 이루어지지 않은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는 지연기(232)는 상기 송신장치에서의 최대 지연 시간을 적용하여 해당 전송 심볼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장치에서 최대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에 대해서는 지연 없이 출력한다.
상기 지연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전송 심볼들은 디코더(240)로 입력된다. 상기 디코더(240)는 수신 시점에서 추정되는 채널 행렬과 프리 코더에 의해서 왜곡된 입력 전송 심볼들에 대한 복호를 수행하여 추정 전송 신호 x1, x2, x3를 출력한다. 상기 디코더(240)에서 사용되는 추정 채널 행렬은 하기 <수학식 9>로 정의된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6
여기서 F는 프리 코더의 메트릭스이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9>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하기 <수학식 10>을 가정하고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7
상기 추정 전송 신호 x1, x2, x3 는 엔코더(250)로 제공되어 송신장치에서 이루어진 부호화와 동일한 방식에 의해 부호화된 심볼로 출력된다. 상기 엔코더(250)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된 심볼은 복원부(260)로 제공되어 전송 심볼의 형태로 다시 복원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송 심볼을 복원하는 것은 상기 수신 신호로부터 제거할 간섭 성분을 임의로 생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복원부(260)로부터 출력되는 간섭 제거 성분은 하기 <수학식 11>과 하기 <수학식 12>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8
Figure 112006047349737-pat00019
전술한 바에 의해 생성된 전송 심볼은 상기 간섭 제거부(210)로 피드-백된 다.
한편 본 발명은 보다 좋은 성능을 얻기 위해 행렬 X1을 찾기 위해 순방향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역방향 동작에 의해 행렬 X2를 찾는다. 그리고 상기 X1과 상기 X2 중에서 Y-HX의 Frobenius morm이 최소인 것을 최종적으로 선택한다. 행렬 A의 프로비니어스 몸(Frobenius morm)은 AA'의 트레이스(trace)이다. 여기서 A'은 A의 허미션 변환(Hermitian transpose)이다. 한편 H'F를 위한 MMSE 수신기와 같은 선형 수신기들은 ML 또는 스피어 디코더(sphere decoder)를 대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 발명은 N개의 부 반송파를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시스템에 적용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에도 활용할 수 있다. MN 크기를 가지는 프리 코더가 OFDM 시스템에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프리 코더는 부 반송파를 위해 X1, X2, , XN 행렬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송 심볼 열 별로 서로 다른 지연을 갖도록 하고, 수신 시 이를 고려하여 전송 심볼을 복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 다이버시티 성능뿐만 아니라 풀 레이트 성능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입력하여 전송 심볼 개수만큼의 전송 심볼 열들로 분리하고, 각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원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간섭 제거부와,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채널 행렬 변환부와,
    상기 채널 행렬 변환부가 출력한 전송 심볼 열들 각각을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부와,
    상기 지연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들을 미리 정의된 추정 채널 행렬에 의해 복호하여 추정 전송 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와,
    상기 추정 전송 신호를 상기 수신신호를 전송한 송신장치와 동일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심볼들을 출력하는 엔코더와,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과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에 대응하는 채널 행렬을 곱하여 상기 복원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복원 신호를 상기 간섭 제거부로 제공하는 복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제거부는,
    상기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에 대응하는 감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산기들 각각은 입력되는 전송 심볼 열로부터 상기 복원 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행렬 변환부는,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에 대응하는 채널 행렬 변환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 행렬 변환기들 각각은 입력되는 전송 심볼 열로부터 상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는,
    상기 채널 행렬 변환부가 출력한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에 대응하는 지연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연기들 각각은 상기 송신장치에서 적용된 지연 시간을 상쇄하기 위해 입력되는 전송 심볼 열을 지연시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 중 상기 송신장치에 의해 지연이 이루어지지 않는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을 상기 송신장치에서 적용된 최대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는, 현재 복호되는 신호보다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써 현재 복호되지 않은 신호를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장치.
  19.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열 수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전송 심볼 개수만큼의 전송 심볼 열들로 분리하는 과정과,
    각 전송 심볼 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원 신호에 의해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 각각을 순차적인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키는 과정과,
    상기 지연이 이루어진 전송 심볼 열들을 미리 정의된 추정 채널 행렬에 의해 복호하여 추정 전송 신호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추정 전송 신호를 상기 수신신호를 전송한 송신장치와 동일한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심볼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과 상기 부호화된 심볼에 대응하는 채널 행렬을 곱하여 상기 복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송 심볼 열의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에서 상기 복원 신호를 감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에서 상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키는 과정은,
    상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 인한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 중 최대 지연 시간을 갖는 전송 심볼 열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심볼 열들 각각을 상기 송신장치에서 적용된 지연 시간을 상쇄하기 위해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상기 부호화된 심볼들 중 상기 송신장치에 의해 지연이 이루어지지 않는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을 상기 송신장치에서 적용된 최대 지연 시간에 의해 지연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성분이 제거된 전송 심볼 열들로부터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는, 현재 복호되는 신호보다 시간적으로 뒤진 신호로써 현재 복호되지 않은 신호를 의미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열 수신방법.
KR1020060061102A 2006-02-28 2006-06-30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260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12,082 US7924958B2 (en) 2006-02-28 2007-02-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multi-antenna system
JP2008557210A JP5053297B2 (ja) 2006-02-28 2007-02-28 マルチアンテナ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送受信装置及びその方法
PCT/KR2007/001033 WO2007100215A1 (en) 2006-02-28 2007-02-28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a multi-antenna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735506P 2006-02-28 2006-02-28
US60/777,355 200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562A KR20070089562A (ko) 2007-08-31
KR101260835B1 true KR101260835B1 (ko) 2013-05-06

Family

ID=3861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102A Active KR101260835B1 (ko) 2006-02-28 2006-06-30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4958B2 (ko)
JP (1) JP5053297B2 (ko)
KR (1) KR101260835B1 (ko)
WO (1) WO2007100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30382A1 (en) * 2006-03-30 2007-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data streams in a MIMO system
US8913677B2 (en) * 2007-08-20 2014-12-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mbol timing relative offset multi antenna system and method
US8098755B2 (en) * 2007-09-07 2012-01-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beamforming in a multiple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odebook
KR101027233B1 (ko) 2008-07-23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참조신호 전송 방법
KR101027237B1 (ko) 2008-07-30 2011-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방법
KR101048883B1 (ko) * 2009-01-20 2011-07-1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순환지연 다이버시티 기법과 에너지 확장변환 기반 등화 기법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 및 수신장치
WO2010130101A1 (zh) * 2009-05-15 2010-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预编码方法、装置及系统
JP5355301B2 (ja) * 2009-08-21 2013-11-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基地局、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8917796B1 (en) * 2009-10-19 2014-12-23 Marvell International Ltd. Transmission-mode-aware rate matching in MIMO signal generation
US8743854B1 (en) * 2010-09-27 2014-06-03 Rockwell Collins, Inc. Signal separation and SINR enhancement
EA024352B1 (ru) 2010-12-10 2016-09-30 Сан Пэтент Траст Способ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кодирования и пере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5546681B2 (ja) 2011-04-19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リコーディング方法、プリコーディング装置
CN111200571B (zh) * 2018-11-19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10965352B1 (en) 2019-09-24 2021-03-30 Rampart Communications,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using very large multiple-in multiple-out (MIMO) antenna systems with extremely large class of fast unitary transformations
US11316576B2 (en) * 2019-10-30 2022-04-26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precoder device for use in such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62A1 (en) 2000-10-27 2002-05-02 Nortel Networks Limited Combination of space-time cod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nd the use of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space-time coding
US20050281351A1 (en) 2004-06-21 200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ull-diversity, full-rate space-time block coding for even number of transmit antennas
WO2007004031A1 (en) 2005-07-01 2007-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yclic prefix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9378A (en) * 1988-06-09 1989-05-09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Sub-band coding of images with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US6493399B1 (en) 1998-03-05 2002-12-10 University Of Delawar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that eliminates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and multipath cancellation using a plurality of optimal ambiguity resistant precoders
US6477200B1 (en) * 1998-11-09 2002-11-05 Broadcom Corporation Multi-pair gigabit ethernet transceiver
US6975666B2 (en) * 1999-12-23 2005-12-13 Institut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Interference suppression in CDMA systems
US6859503B2 (en) * 2001-04-07 2005-02-22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transceiver for controlling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s channel
DE60215153T2 (de) * 2002-08-21 2007-10-25 Lucent Technologies Inc. Drahtloses MIMO Telekommunikationssystem mit Multilevel-Coded Modulation unter Verwendung von iterativer Ermittlung von Soft-Schätzwerten und entsprechende Methode
US7002900B2 (en) 2002-10-25 2006-02-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iversity processing for a multi-antenna communication system
US6917885B2 (en) * 2003-06-06 2005-07-12 Ster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ulating and controlling chemical concentration in a gas mixture
JP4182345B2 (ja) * 2003-06-26 2008-11-19 日本電気株式会社 干渉キャンセルユニット及びマルチユーザ干渉キャンセラ
KR101050570B1 (ko) 2003-12-03 2011-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시공간 트렐리스 코드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성능 개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7194042B2 (en) * 2004-01-13 2007-03-20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with spatial spreading in a mimo communication system
US7447268B2 (en) * 2004-03-31 2008-11-04 Intel Corporation OFDM system with per subcarrier phase rotation
US8233555B2 (en) * 2004-05-17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Time varying delay diversity of OFDM
KR100754795B1 (ko) * 2004-06-18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주파수 공간 블록 부호의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617757B1 (ko) * 2004-10-25 2006-08-2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어레이 안테나를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시스템에서의 송/수신장치 및 방법
WO2006098011A1 (ja) * 2005-03-16 2006-09-21 Fujitsu Limited 多入力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通信装置及びチャンネル推定及び分離方法
US7907688B2 (en) * 2005-05-31 2011-03-15 Intel Corporation Open loop MIMO receiver and method using hard decision feedback
JPWO2007102363A1 (ja) * 2006-03-01 2009-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5762A1 (en) 2000-10-27 2002-05-02 Nortel Networks Limited Combination of space-time coding and spatial multiplexing, and the use of orthogonal transformation in space-time coding
US20050281351A1 (en) 2004-06-21 2005-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ull-diversity, full-rate space-time block coding for even number of transmit antennas
WO2007004031A1 (en) 2005-07-01 2007-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adapting a cyclic prefix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53297B2 (ja) 2012-10-17
US20070211816A1 (en) 2007-09-13
WO2007100215A1 (en) 2007-09-07
JP2009528761A (ja) 2009-08-06
US7924958B2 (en) 2011-04-12
KR20070089562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835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장치 및 방법
JP5397428B2 (ja) Mimo−ofdm通信方法およびmimo−ofdm通信装置
JP4845738B2 (ja) 線形プリコーディングされた信号のマルチアンテナ伝送方法、対応するデバイス、信号、および受信方法
KR100799901B1 (ko) 다중 송신 안테나를 위한 ofdm 채널 추정 및 트래킹
Zhao et al. Detection schemes for space-time block code and spatial multiplexing combined system
US8229016B2 (en) MIMO receiver and MIMO communication system
WO2007094832A2 (en) Recursive and trellis-based feedback reduction for mimo-ofdm with rate-limited feedback
KR100943610B1 (ko) 다중 시공간 블록 부호화 방식을 사용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 안테나 셔플링 정보 피드백 장치 및 방법
RU200813637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ередач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частот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с одной несущей с множеством входов и множеством выходов
GB2391775A (en) Space and time diversity in multicarrier CDMA transmission
KR101497928B1 (ko) 다중입력 다중출력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35990A (ja) 送信器及び送信方法
KR100688119B1 (ko) 성능 향상 위한 시공간 블록 부호화 장치 및 방법
KR20090117581A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전송 다이버시티 방법
KR100922957B1 (ko) 다중입출력 통신시스템의 신호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70100163A (ko) 공간 다중화 신호를 복호화하는 방법 및 그에 해당하는수신기
KR100474651B1 (ko) 송신 다이버시티 사전 결합 방식과 최적 트렐리스 부호화방식을 이용한 단일 캐리어 및 다중 캐리어 미모 시스템
CN101321144B (zh) 一种多输入多输出正交频分复用系统传输方法及收发信机
KR101222130B1 (ko) 전치등화기를 이용한 다중입력 다중출력 무선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41274A (ko) Ofdm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순환 지연 다이버시티 협력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4549162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070240B1 (ko) 다중 사용자 mimo 시스템에서 벡터 섭동 기반의 송신 다이버시티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782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디코딩하는 수신기 및 방법
KR101073921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 적용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1100211B1 (ko) 다중안테나를 이용한 신호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