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8194B1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8194B1 KR101268194B1 KR1020110103572A KR20110103572A KR101268194B1 KR 101268194 B1 KR101268194 B1 KR 101268194B1 KR 1020110103572 A KR1020110103572 A KR 1020110103572A KR 20110103572 A KR20110103572 A KR 20110103572A KR 101268194 B1 KR101268194 B1 KR 1012681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attachment
- wall
- groove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8—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one or more scre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물의 양측에서 고정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부착물의 노출면에 수직되게 각각 형성되고, 고정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는 위치가변홀; 위치가변홀 내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체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위치가변홀에 각각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고정볼트 각각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고, 고정볼트가 위치가변홀 내에서 고정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시, 고정부를 피하여 부착물의 삽입부와 함께 홈에 삽입될 수 있고, 고정볼트가 위치가변홀 내에서 고정부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측에 위치하여 조임시, 고정부에 걸림으로써 부착물이 홈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편을 포함하도록 한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센트 등과 같은 부착물을 벽체에 마련된 홈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부착물의 고정을 위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ariable position hole each formed perpendicular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attachment so as to deviate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x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attachment, extending toward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respectively; Fixing bolts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variable position hole to change the fastening position in the direction extending 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And screwed to each end of the fixing bolt, and the fixing bolt is positioned on the side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ortion in the variable hol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together with the insert of the attachment avoiding the fixing portion. , And the fixing bolt is located on the side facing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xing part 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and when tightening,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to include a fixing piece for fixing the attachment to the groove by being caught in the fixing part.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 attachment such as an outlet in a groove provided in the wall,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construction for fixing the attachm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 등과 같은 부착물을 벽체에 마련된 홈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부착물의 고정을 위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 attachment such as an outlet in a groove provided in the wall, and thus a wall that can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construction for fixing the attachment. It relates to an attachment fixing device.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건물 및 가정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전기기구에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규격화되어 벽체에 일정 부분 매립 설치되는 매립형의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outlet is for easily supplying electric power applied to buildings and homes to electrical appliances, and is mainly used in the form of a buried type that is standardized to a predetermined size and is partially buried in a wall.
이와 같은 콘센트는 벽체에 설치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인입선이 일측을 통해 유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플러그가 꽂히는 콘센트단자와, 배면에 콘센트단자를 고정 지지한 상태에서 하우징의 입구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플레이트는 나사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 결합된다.Such an outlet is installed on the wall, and a housing where an incoming line from which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flows through one side, an outlet terminal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plugged in, and an outlet terminal fixedly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housing. It consists of a plate that is fixedly coupled to. At this time, the plate is fixedly coupled to the housing by coupling means such as screws or bolts.
또한, 콘센트는 벽체에 설치되기 위하여, 벽체의 일정 부위에 수직으로 홈을 파고, 홈을 통해 배선을 하며, 배선된 말단에 콘센트를 설치하게 되는데, 콘센트의 설치를 위하여 벽체의 홈에 브라켓을 설치하고, 브라켓의 양측으로 돌출된 고정부에 콘센트를 볼트 체결하게 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be installed in the wall, the outlet is to dig a groove vertically to a certain portion of the wall, to wire through the groove, and to install the outlet at the wired end, to install the bracket in the groove of the wall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utlet Then, the socket is bolted to the fixing parts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bracket.
그러나, 콘센트를 벽체의 홈에 설치된 브라켓의 고정부에 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시, 어둡거나 브라켓이 콘센트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 나사나 볼트를 브라켓의 고정부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하는 것이 어렵고, 이로 인해 콘센트의 부착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when fixing the outlet using screws or bolts to the fixing part of the bracket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wall, when it is dark or the bracket is covered by the outlet, it is recommended to fasten the screw or bolt to the screw hole formed in the fixing part of the bracket. It was difficult, and because of this, it took a lot of time and effort to attach the outlet.
이와 같은 문제점은 콘센트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콘센트와 같이 벽체에 일부 매립되어 브라켓에 고정되는 구조체, 예컨대, 셋톱박스, 전선함, 경보장치 등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을 가진다.This problem is not limited to the outlet, but also has the same problem in the case of a structure, such as a set-top box, wire box, alarm device is embedded in the wall and fixed to the bracket, such as the outlet.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센트 등과 같은 부착물을 벽체에 마련된 홈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부착물의 고정을 위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groove provided on the wall, such as an outlet,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construction for fixing the attachment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벽체의 홈 내측에 설치된 브라켓의 적어도 일측의 변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의 중심에 부착물을 고정하되, 부착물의 삽입부가 상기 홈 내에 설치되도록 고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측의 변에 대응되는 상기 부착물의 적어도 일측의 변에 인접하여, 상기 부착물의 상기 적어도 일측의 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장형(長形)의 홀로서, 이 장형 홀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고정부의 중심과, 상기 적어도 일측의 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위치가변홀; 상기 위치가변홀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위치가변홀에 관통 삽입된 고정볼트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한다. 이 때에,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위치가변홀 내에서 상기 브라켓의 고정부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를 피하여 상기 부착물의 삽입부와 함께 상기 벽체 내의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위치가변홀 내에서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고정볼트를 죄면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에 홈의 벽체 내부로부터 벽체 바깥쪽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부착물이 상기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one side of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ixing the attachment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bracket installed inside the groove of the wall, An apparatus for fixing an insertion portion of the bracket to be installed in the groove, th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ide of the attachment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 of the attachment corresponding to a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bracket from which the fixing portion protrudes. A long hole extending along the length of the long hole, the variable length hole being formed so as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xing part and the at least one side; A fixing bolt inserted into the variable position hole; And a fixing piece screwed to an end of the fixing bolt inserted into the variable position hole. At this time, when the fixing bolt is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bracket 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the fixing piece avoids the fixing portion and the groove in the wall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attachment. And the fixing bolt is moved toward the fixing part with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and the fixing bolt is tightened so that the fixing piece is caught from the inside of the wall of the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wall so that the attachment is removed from the groove. It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come out.
상기 위치가변홀은,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를 피하여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1안착부와,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2안착부 사이에, 상기 고정볼트가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하고 위치가변홀의 측벽에 걸리면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를 피하여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1안착부와,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2안착부 사이에, 상기 고정볼트가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하고 위치가변홀의 측벽에 걸리면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position hole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in which the fixing bolt is position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the fixing bolt is locat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caught by the fixing portion. Between the two seating portion, the fixing bolt is formed to have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fixing bolt does not pass freely but is caught on the side wall of the position change hole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voiding the fix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in which the fixing bolt is located and the second seating part in which the fixing bolt is locat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caught in the fixing part, the fixing bolt does not pass freely but is caught by the side wall of the variable hole. For this purpose, a locking portion having a restoring force may be formed.
상기 위치가변홀은, 상기 부착물의 대향하는 변에 인접하여,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variable position holes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adjacent to opposite sides of the attachment.
상기 고정편은, "ㄴ"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수평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ece is made of a "b" shape, it can be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 is caught in the fixing portion.
상기 고정편은, "ㄷ"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수평을 이루는 어느 한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ece is made of a "c" shape, it can be formed to extend so that any one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caught in the fixing portion.
상기 고정편은, 판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ec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so that one end thereof is caught by the fix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콘센트 등과 같은 부착물을 벽체에 마련된 홈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부착물의 고정을 위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groove provided in the wall, such as an outlet,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construction for fixing the attach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마련된 고정편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에 마련된 고정편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ing piece provided in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fixing piece provided in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100)는 벽체(1)의 홈(2) 내측에 설치된 브라켓(3)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4)에 부착물(10)을 고정하는 장치로서, 위치가변홀(110), 고정볼트(120), 그리고 고정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wal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는 콘크리트 구조체와, 콘크리트 구조체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마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벽체(1)의 홈(2) 내측면에 브라켓(3)이 매립됨으로써 억지 끼움 방식이나 볼팅 등에 의해 고정되고, 브라켓(3)의 양측에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에 의해 고정부(4)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고정부(4)에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다. 또한, 벽체(1)의 홈(2)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물(10)로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콘센트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벽체에 일부 매립되는 구조체, 예컨대, 셋톱박스, 전선함, 경보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콘센트로 이루어질 경우 홈(2)에 삽입되기 위한 삽입부(11)가 하부에 마련되고, 전기 기구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커넥트홈(12)이 단일 또는 다수로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 2 and 3, the wall (1) may be made of a concrete structure, and a finish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In addition, the
위치가변홀(110)은 부착물(10)이 홈(2) 내에 삽입시 부착물(10)에서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부착물(10)의 노출면에 수직되게 각각 형성되고,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The
위치가변홀(110)은 본 실시예에서처럼 부착물(10)의 대각선 방향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2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고정볼트(120)는 위치가변홀(110) 내에서 연장 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체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위치가변홀(110)에 각각 삽입된다.The
고정편(130)은 고정볼트(120) 각각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고, 고정볼트(120)가 위치가변홀(110) 내에서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시, 고정부(4)를 피하여 부착물(10)의 삽입부(11)와 함께 홈(2)에 삽입될 수 있고, 고정볼트(120)가 위치가변홀(110) 내에서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측에 위치하여 조임시, 고정부(4)에 걸림으로써 부착물(10)이 홈(2)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고정되게 한다.
위치가변홀(110)은 고정편(130)이 고정부(4)를 피하여 홈(2)에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볼트(120)가 위치하는 제 1 안착부(111)와, 고정편(130)이 고정부(4)에 걸릴 수 있도록 고정볼트(120)가 위치하는 제 2 안착부(112) 사이에, 고정볼트(120)가 걸리면서 통과하도록 복원력을 가지는 걸림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위치가변홀(110)은 양측에 고정볼트(120)가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제 1 안착부(111)와 제 2 안착부(112)가 각각 마련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10)의 삽입부(11)가 홈(2)에 삽입시 고정편(130)과 고정부(4)사이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30)이 고정부(4)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걸림부(113)는 위치가변홀(110)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 대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목부를 형성할 수 있고, 부착물(10)의 재질적인 특성, 예컨대 부착물(10)에서 위치가변홀(110)이 형성되는 부분이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볼트(120)의 통과를 허용하도록 휨에 따른 복원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볼트(120)가 제 1 및 제 2 안착부(111,112) 사이를 쉽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볼트(120)의 위치 가변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도록 한다.The
고정편(13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ㄴ"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평을 이루는 부분이 고정부(4)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고정부(4)에 안정적으로 걸림으로써 부착물(10)이 홈(2)으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로서 고정편(230)은 "ㄷ"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수평을 이루는 한 부분이 고정부(4; 도 1 내지 도 3에 도시)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로서 고정편(330)은 판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단이 고정부(4; 도 1에 도시)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고정편(130,230,330)은 고정볼트(120)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홀(미도시)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브라켓(3)의 고정부(4)에 걸릴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iece (130, 230, 330) is formed with a screw coupling hole (not shown) for screwing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10), 예컨대 콘센트의 삽입부(11)가 벽체(1)의 홈(2) 내에 고정되기 위하여 삽입시, 고정볼트(120)는 위치가변홀(110) 내에서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인 제 1 안착부(111)에 위치한 상태에서 그 끝단에 나사 결합된 고정편(130)이 고정부(4)와의 간섭없이 고정부(4)를 지나면서 홈(2)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물(10)의 삽입부(11)가 벽체(1)의 홈(2) 내에 삽입되면, 고정볼트(120)를 위치가변홀(110) 내에서 고정부(4)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를 향하는 측으로 이동시켜서 제 2 안착부(112)에 위치한 상태에서 조이면, 고정편(130)의 끝단이 고정부(4)에 걸리게 됨으로써 부착물(10)이 홈(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홈(2)에 고정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한편, 부착물(10)을 홈(2)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의 역순에 의하여 부착물(10)을 홈(2)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100)에 의하면, 콘센트 등과 같은 부착물을 벽체에 마련된 홈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부착물의 고정을 위한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wall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 : 벽체 2 : 홈
3 : 브라켓 4 : 고정부
10 : 부착물 11 : 삽입부
12 : 커넥트홈 110 : 위치가변홀
111 : 제 1 안착부 112 : 제 2 안착부
113 : 걸림부 120 : 고정볼트
130,230,330 : 고정편1: wall 2: home
3: bracket 4: fixing part
10: attachment 11: insertion portion
12: connect groove 110: location variable hole
111: first seating part 112: second seating part
113: catching part 120: fixing bolt
130,230,330: Fixed piece
Claims (6)
상기 고정부가 돌출되어 있는 상기 브라켓의 적어도 일측의 변에 대응되는 상기 부착물의 적어도 일측의 변에 인접하여, 상기 부착물의 상기 적어도 일측의 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장형(長形)의 홀로서, 이 장형 홀의 길이 방향 양단은 상기 고정부의 중심과, 상기 적어도 일측의 변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위치가변홀;
상기 위치가변홀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위치가변홀에 관통 삽입된 고정볼트의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상기 위치가변홀 내에서 상기 브라켓의 고정부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를 피하여 상기 부착물의 삽입부와 함께 상기 벽체 내의 홈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위치가변홀 내에서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고정부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고정볼트를 죄면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에 홈의 벽체 내부로부터 벽체 바깥쪽으로 걸리게 되어 상기 부착물이 상기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attachment 10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4 protruding from the sid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bracket 3 installed inside the groove 2 of the wall, the insertion portion 11 of the attachment 10 is the groove (2) A device for fixing to be installed in,
An elongated hole formed along an edg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attachment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 of the attachm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side of the bracket from which the fixing portion protrudes.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le is a variable position hole formed so as to deviate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side;
A fixing bolt inserted into the variable position hole; And
Including a fixing piece screwed to the end of the fixing bolt inserted through the variable position hole,
When the fixing bolt is in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bracket 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the fixing piece is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in the wall together with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attachment avoiding the fixing portion. Moving the fixing bolt toward the fixing part and tightening the fixing bolt 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so that the fixing piece is caught from the inside of the wall of the groove to the outside of the groove so that the attachment does not escape from the groove. Wall attachment fixture characterized in that fixed.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를 피하여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1안착부와, 상기 고정편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위치하는 제2안착부 사이에, 상기 고정볼트가 자유롭게 통과하지 못하고 위치가변홀의 측벽에 걸리면서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복원력을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position hole,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in which the fixing bolt is locat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avoiding the fixing part, and the second seating part in which the fixing bolt is located so that the fixing piece can be caught in the fixing part. Wall fixing fix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having a restoring force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bolt does not pass freely but is caught on the side wall of the variable position hole.
상기 부착물의 대향하는 변에 인접하여, 서로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position variable hole,
Adjacent to opposite sides of the attachment,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diagonal direction.
"ㄴ"자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수평을 이루는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ece,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b" shape, the horizontal portion is extended so as to be caught in the fixing portion.
"ㄷ"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수평을 이루는 어느 한 부분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ece,
By being made in the "c" form, the wall attachmen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to extend so as to catch the fixing portion.
판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부착물 고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piece,
The plate attachment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the plate, the end is extended so as to be caught in the fixing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572A KR101268194B1 (en) | 2011-10-11 | 2011-10-11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572A KR101268194B1 (en) | 2011-10-11 | 2011-10-11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107A KR20130039107A (en) | 2013-04-19 |
KR101268194B1 true KR101268194B1 (en) | 2013-05-27 |
Family
ID=48439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35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8194B1 (en) | 2011-10-11 | 2011-10-11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819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7329B1 (en) * | 2020-11-24 | 2021-06-21 | 주식회사 미래에스엠 | Non-perforate type support bracket for utility shelf |
KR102520461B1 (en) * | 2021-04-06 | 2023-04-10 | 이석환 | Concentric plug and wall fixing apparatus |
KR200497796Y1 (en) * | 2021-08-10 | 2024-02-29 | 전태환 | Protect cover fixing device for set top box and TV peripheral device of concent fix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3238A (en) | 2004-03-05 | 2005-09-15 | Mirai Ind Co Ltd | Box cover |
-
2011
- 2011-10-11 KR KR1020110103572A patent/KR1012681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53238A (en) | 2004-03-05 | 2005-09-15 | Mirai Ind Co Ltd | Box cov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9107A (en) | 2013-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580058B2 (en) | Electric junction box fixing structure | |
AU2015202798B2 (en) | Plumbing outlet box with mounting features | |
KR101530576B1 (en) | Sectional roof connector | |
KR200474526Y1 (en) | Connector for electric metal conduit flexible | |
US9650765B2 (en) | Plumbing outlet box with integrated mounting features | |
KR101816316B1 (en) |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busway components | |
KR101268194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
KR20170088541A (en) | Panel Wall-Buried Composite Electric Terminal Box | |
KR100655881B1 (en) | Building electrical terminal box fixture structure | |
KR102015853B1 (en) | Cable tray of apartment building | |
KR20180124444A (en) | A connector for electric conduit | |
KR100609817B1 (en) | Ceiling electrical junction box for apartment house | |
KR200465966Y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a cable try | |
US20190041041A1 (en) | Brackets for lighting fixture systems | |
KR20160023436A (en) | Cable tray joint | |
CN102544785A (en) | A device for positioning at least one multiple round plug | |
KR101127466B1 (en) | Support for conducting wire of a thunderbolt with lightening rod | |
KR100942819B1 (en) | Linking assembly for lintel at building work | |
KR102576413B1 (en) | Box retaining panel for wiring assembling the wiring box into the junction box installer with a one-touch touch | |
KR200451739Y1 (en) | Wiring box with fixing member | |
CA2892865C (en) | Plumbing outlet box with mounting features | |
KR101398158B1 (en) | A steel grating for robbery prevent | |
KR101206304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sticked matter on wall | |
KR101293192B1 (en) | Telecommunication Box | |
KR20110019848A (en) | Coupling structure of embedded electrical wiring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