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621B1 - 다층 분할식 건조기 - Google Patents
다층 분할식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5621B1 KR101265621B1 KR1020060079413A KR20060079413A KR101265621B1 KR 101265621 B1 KR101265621 B1 KR 101265621B1 KR 1020060079413 A KR1020060079413 A KR 1020060079413A KR 20060079413 A KR20060079413 A KR 20060079413A KR 101265621 B1 KR101265621 B1 KR 101265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dryer
- container
- hot air
- supply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6—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heatable surfaces for contacting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분할식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대상물을 수용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다층의 구조로 된 신개념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콘테이너와;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대상물들을 다층으로 분할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개념의 다층 분할식 건조기이다.
소형건조기, 다층분할, 신발건조, 모자건조
Description
도1은 종래의 건조기를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 및 복합장치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드럼식 건조기, 10...드럼식 건조기 본체
30...드럼식 건조기 콘트롤러 200...다층 분할식 건조기
210...바닥 211...도어
212...좌측벽 213...우측벽
214...후벽 215...유입구
216...배출구 217...슬라이딩홈
218...메인제어장치 220...콘트롤러
221...선택버튼 222...놉
223...액정화면 224...LED
230...히터 240...송풍팬
251~253...선반 254...관통공
260...스팀공급장치 300...열풍전달유로
310~340...전기적 연결수단
본 발명은 다층 분할식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대상물을 수용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다층의 구조로 된 신개념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의류 처리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러한 의류 처리 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 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의류 처리 장치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로 종래의 대형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소비자가 부담하여야 하는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종래의 건조기들은 모두 그 크기가 크기 때문에 세탁기와 건조기를 함께 구비하는 경우 그 설치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
또한, 종래의 건조기는 대형화되어 상대적으로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경우에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가 있었다.
드럼 타입의 건조기인 경우에는 드럼이 회전되어 건조대상물을 텀블시키기 때문에 신발류 등의 건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발류를 세탁함에 있어서는 통상 1족 또는 2족 정도의 소량을 세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기 위해 종래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럼을 구동시켜야 하고 용량이 큰 히터 및 팬을 구동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 중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이나 상면에 위치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 콘트롤러(30)을 포함 한다.
이와 같은 건조기는 드럼식 건조기로서, 드럼 내에 건조대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열풍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드럼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는 전면에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을 통해 건조모드 등 건조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고, 그에 따라 콘트롤러의 메인제어장치는 상기 열풍공급장치를 구동시켜 건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드럼으로 상기 가열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드럼식 건조기와는 달리, 드럼을 구동시키지 않고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건조공간이 다층으로 분할되어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함에 있어 에너지 효율적인 신개념의 건조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특히, 신발류나 모자류 등과 같은 종래의 건조기로 건조하기에 부적합한 대상을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건조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종래의 건조기 또는 세탁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어 그 종래의 건조기 또는 세탁기의 효용을 더하게 되고, 그와 같이 설치됨에 있어 공간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함께 구비되어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복합장치 로서 콤팩트하게 구성되는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콘테이너와;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대상물들을 다층으로 분할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개념의 다층 분할식 건조기이다.
상기 콘테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좌우 폭의 크기가 높이 보다 작고, 그 높이는 다른 건조기 또는 세탁기의 지배적인 높이와 동일한 정도이다. 그래서, 다른 세탁기 또는 건조기의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기에 적합하고, 소량의 건조대상물 건조에 적합하다.
상기 콘테이너는 비교적 좌우의 폭이 좁게 형성됨으로서 다른 세탁기나 건조기 사이드로 공간이 많지 않더라도 설치가 가능하여, 설치 공간의 제약을 아주 적게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기 및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구비할 수도 있고, 건조기 및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구비할 수도 있으며, 또는 세탁기, 건조기 및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는 다수의 선반이 구비되어 특히, 신발류의 건조에 적합하다. 종래 신발류는 드럼식 세탁기를 이용해 건조하기에는 드럼의 회전 때문에 적합한 대상물이 아니었다. 또한, 신발류의 경우에는 그 바닥 때문에 의류와는 달리 탈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데, 이와 같이 물기가 많은 신발류를 종래 드럼식 세탁기와 같은 대형 건조기를 이용해 건조하는 것은 에너지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신발류는 통상 1족 내지 2족 정도 소량으로 세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소량의 신발류를 건조하기 위해 드럼식 건조기와 같은 대형 건조기를 구동시키는 것은 또 하나의 에너지 낭비 요인이다.
또한, 비 또는 겨울철 눈 등으로 인해 신발이 젖어 이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데, 신발 바닥에는 오물이 많이 묻어 있기 때문에 이를 드럼식 건조기와 같은 건조기를 이용해 건조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또한, 드럼식 건조기는 건조 과정 중에 드럼이 회전하여 건조대상물을 텀블시키기 때문에 오물이 묻어 있는 신발류를 건조하는 것은 더더욱 부적합하다.
그리고, 주로 의류용 건조기로 사용되는 종래의 건조기를 이용해 신발류를 건조하는 것은 위생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속옷의 경우는 그 위생의 문제가 더욱 크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는 특히 신발류의 건조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수의 선반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신발을 층층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선반은 세척이 용이하다. 여기서 선반을 착탈식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세척이 더욱 용이하며, 또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더욱 용이해지며, 이 경우에는 신발의 인출입 또한 편리하다.
또한, 선반은 상기 건조공간 내에서 경사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신발의 경 우 건조를 위해 경사지게 세워 놓는 효과를 낸다. 이 경우 신발 안의 물이 아래로 모아져 건조에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선반은 층층 간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수의 선반 중 하부에 위치한 것은 신발류 건조를 위해 상부에 위치한 것은 작은 의류 등의 건조를 위해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의류는 모자류 등이 될 수 있다.
모자류 또한 탈수 드럼 내에 넣고 고속으로 회전시켜 탈수시키기에는 부적합한 종류이다. 모자류는 그 형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속 원심탈수를 거치면 그 형태가 손상될 수 있다. 그리고, 모자류에는 많은 장식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원심탈수를 거치면 그 장식 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모자류 등 또한 탈수되지 않고 물기가 많은 상태로 건조를 시킬 필요가 많은데, 이 경우에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용량이 큰 히터 및 송풍팬 등을 구동시키는 것은 에너지 효율 면에서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종류를 건조함에 있어서는 소용량의 히터 및 송풍팬을 이용해 절전 모드하에서 건조시간을 길게 하여 건조시키는 것이 에너지 절감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는 다른 기계장치로서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관련하여 열풍에 대하여 종속형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완전히 독립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종속형의 한 형태로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다른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에 구비된 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다른 기계장치는 외부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이어야 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다른 기계장치 내의 히터 및 팬에 의해 생성되는 열풍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기계장치는 파이프 등이 구비되고, 상기 콘테이너에는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어 그 열풍이 상기 건조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작동 제어 또한 상기 다른 기계장치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콘테이너는 상기 다른 기계장치의 사이드에 구비되어 또 다른 건조공간으로서 다층으로 건조대상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추가적인 건조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열풍공급장치의 위 작동 제어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콘테이너에는 다른 건조기계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를 작동 제어할 수 있는 메인 제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 입력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다른 기계장치의 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단지 열풍공급장치만이 다른 기계장치에 구비되는 것이고, 그 입력장치 및 메인제어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다른 기계장치의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메인 제어장치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열풍공급장치와 그 제어를 위한 메인 제어장치가 다른 건조기 등에 구비되게 되고,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가 건조모드 등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건조와 관련된 입력장치를 상기와 같은 다른 건조기의 것과는 달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건조기를 크게 변경할 필요도 없게 된다.
한편, 열풍 독립형의 형태로서,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콘테이너의 일측벽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로 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콘테이너의 일측벽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로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건조공간 사이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히터와, 상기 건조공간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이 작동하여 건조공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콘테이너 내로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를 통해 가열된 후 상기 건조공간으로 유입되어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다.
위에서, 히터는 콘테이너의 하부에 위치하게 될 것인데, 이는 안전성과 효율성면에서 바람직하다. 히터가 상부에 있는 것은 사용자의 신체 상부와 가까이 위치 하게 되는 꼴이 되어 안전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한, 뜨거운 공기는 위로 상승하므로 효율성 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와 송풍팬은 콘테이너 중 서로 다른 일측벽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동일한 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열풍공급장치가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그 작동 제어에 있어서는 다른 기계장치에 의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바람직한 것은 그 작동 제어를 위한 메인 제어장치가 마찬가지로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또한, 사용자로부터 건조모드 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도 다른 기계장치에 구비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제어장치는 입력장치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열풍공급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메인 제어장치는 일반적으로 마이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장치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팀공급장치 또한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기계장치에 구비된 것이 활용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스팀공급장치의 제어에 있어서도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즉, 스팀공급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일부라도 다른 기계 장치에 구비된 것을 활용하는 경우에는 양자는 그에 필요하게 적절히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열풍이 전달될 수 있도록 연결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연결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는 종래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것이며, 실시하는 자가 실시할 때 적절히 선택하여 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연결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복합장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와; 건조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기계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콘테이너와,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대상물들을 다층으로 분할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건조기 또는 세탁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복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와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종속형의 형태나 또는 독립형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나타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의 한 형태로서 열풍 및 열풍공급장치의 제어 면에서 완전히 독립된 형태를 나타낸다.
먼저,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콘테이너는 전면에 도어(211)가 구비되고, 좌측벽(212)과 우측벽(213), 후벽(214), 그리고, 바닥(21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콘테이너 내부에 형성된 건조공간에는 다수의 선반(251~253)이 구비되는데, 각각의 선반(251~253)에는 열풍의 순환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25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선반(251~253)들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져 설치되고 있다. 여기서, 각 선반(251~253)들의 경사각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반(251~253)들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테이너의 좌측벽(212)과 우측벽(213)에 선반(251~253)이 슬라이딩 지지될 수 있는 홈(217)이 마련되어 있다.
선반(251~253)은 상기 홈(217)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211)를 열고, 선반(251~253)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인출시킨 후 건조대상물을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콘테이너 내부 중 하부에는 히터(230)가 구비되고 있으며, 상부에는 송풍팬(240)이 구비되고 있다.
우측벽(213)에는 상기 히터(230)와 상기 송풍팬(240)에 대응하여 유입구(215)와 배출구(21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송풍팬(240)이 작동되면 건조공간 내부의 공기는 배출구(2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그에 따라 외부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215)를 통해 내부 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되는 공기는 히터(230)에 의해 건조공간으로 가기 전 가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콘테이터 내부에 스팀공급장치(260)가 구비되고 있다.
스팀공급장치(260)에 의해 공급된 스팀에 의해 건조대상물의 살균 또는 냄새 제거 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다층 분할식 건조기의 콘트롤을 위해 콘트롤러(220)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콘트롤러(220)는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제어장치(218)와,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각종 선택버튼(221)과 건조모드 등을 선택받기 위한 놉(222; kno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명령대로 열풍공급장치와 스팀공급장치(26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메인 제어장치(218)가 구비되고 있다.
상기 메인 제어장치(218)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입력한 건조모드에 따라 프로그램화된 제어 알고리즘으로 상기 열풍공급장치 및 스팀공급장치(26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정보 또는 건조 진행 중 건조와 관련된 정보 등등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화면(223; LCD)과 각종 LED(2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한편, 도3에는 도2와 같은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와 도1과 같은 드럼식 건조기(1)가 나란히 배치되는 복합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식 건조기는 세탁기가 될 수도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의 높이와 건조기의 높이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의 좌우 폭은 비교적 좁게 형성되고 있으며, 본 예에서는 성인용 신발 1족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건조기(1)와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가 서로 고정 결합되도록 결합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는 높이가 높고 좌우 폭이 좁아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넘어지기 쉬운 형태이므로 결합수단에 의해 건조기(1)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건조기나 세탁기는 드럼을 구동시킴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진동으로 인해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가 넘어질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결합수단을 더더욱 마련할 필요가 있다.
한편, 도4 내지 도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층 분할식 건조기 및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복합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장치를 구성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는 건조기인 경우이다.
먼저, 도4에서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콘테이너만이 건조기(1)와 분리되어 있을 뿐, 열풍공급장치(20) 및 이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장치 및 입력장치는 건조기(1)에 구비되고 있다. 여기서 메인제어장치 및 입력장치는 건조기(1)의 콘트롤러(30)에 구비된다.
그래서, 콘테이너와 건조기(1)는 열풍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전달유로(300)에 의해 연결되고 있다.
도5의 경우는, 콘테이너에 열풍공급장치(230/240)가 별도로 구비되고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열풍공급장치(230/2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장치와 입력장치는 도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건조기에 구비된 것을 활용한다.
사용자는 건조기에 구비된 콘트롤러(30)를 통해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의 작동을 위한 조작을 입력하고 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30)의 메인제어장치는 콘테이너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230/240)를 구동시킨다.
이 경우에는, 건조기(1)의 콘트롤러(30) 중 메인 제어장치와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의 열풍공급장치(230/240)가 전기적 연결수단(3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6은, 콘테이너에 열풍공급장치(230/240)와 입력장치(221/222)가 구비되고, 건조기(1)에 상기 열풍공급장치(230/240)를 제어하는 메인제어장치가 콘트롤러(30)에 구비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콘테이너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조작 명령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명령에 따라 건조기의 콘트롤러(30)에 있는 메인제어장치는 콘테이너에 있는 열풍공급장치(230/240)를 작동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콘테이너의 입력장치(221/222)와 건조기(1)의 메인제어장치가 전기적 연결수단(32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제어장치와 콘테이너의 열풍공급장치(230/240)가 또 다른 전기적 연결수단(330)에 의해 전기적으 로 연결되어 있다.
도7은 콘테이너에 열풍공급장치(230/240)와 메인제어장치(218)가 구비되고, 입력장치는 건조기(1)의 콘트롤러(30)에 구비된 경우이다.
사용자는 건조기의 콘트롤러(30)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통해 다층 분할식 건조기(200)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게 되고, 그 입력된 명령에 따라 콘테이너에 구비된 메인 제어장치(218)는 콘테이너에 구비된 열풍공급장치(230/240)를 제어하여 작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건조기의 입력장치와 콘테이너의 메인제어장치가 전기적 연결수단(34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도4 내지 도7의 형태 이외에도 다른 형태의 다층 분할식 건조기와 복합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종래의 드럼식 건조기와는 달리, 드럼을 구동시키지 않고 건조를 수행할 수 있고, 소량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기에 적합하여 에너지면에서 효율적이다.
신발류나 모자류 등과 같은 종래의 건조기로 건조하기에 부적합한 대상을 건조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의 건조기를 제공한다.
아울러, 종래의 건조기 또는 세탁기에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되어 그 종래의 건조기 또는 세탁기의 효용을 더하게 되고, 그와 같이 설치됨에 있어 공간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또한, 건조기 또는 세탁기와 함께 구비되어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복합장치 로서 콤팩트하게 구성되어 사용에 더욱 편리하고, 서로의 효용가치가 증대된다.
Claims (13)
- 건조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콘테이너와;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대상물들을 다층으로 분할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과;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선반 중 적어도 일부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선반 각각은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건조공간은 좌우의 폭이 신발 1족 정도를 올려놓을 수 있는 정도의 폭이 되어, 신발 건조로 전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다수의 선반은 상기 건조공간 내에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콘테이너의 일측벽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로 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콘테이너의 일측벽에는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로 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열풍공급장치는:상기 유입구와 상기 건조공간 사이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히터와;상기 건조공간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유로 상에 구비되는 송풍팬을;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건조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스팀공급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열풍 공급 장치를 제어하도록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메인 제어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제11항에 있어서,사용자로부터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
-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와;건조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기계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콘테이너와, 상기 건조공간에서 건조대상물들을 다층으로 분할하여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선반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상기 열풍공급장치는 상기 콘테이너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분할식 건조기를;포함하여 구성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복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9413A KR101265621B1 (ko) | 2006-08-22 | 2006-08-22 | 다층 분할식 건조기 |
PCT/KR2007/003978 WO2008023913A2 (en) | 2006-08-22 | 2007-08-21 | Drying machine with multi-layered drying chamber |
US12/310,312 US20090320314A1 (en) | 2006-08-22 | 2007-08-21 | Drying machine with multi-layered drying cha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9413A KR101265621B1 (ko) | 2006-08-22 | 2006-08-22 | 다층 분할식 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17783A KR20080017783A (ko) | 2008-02-27 |
KR101265621B1 true KR101265621B1 (ko) | 2013-05-22 |
Family
ID=3910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9413A KR101265621B1 (ko) | 2006-08-22 | 2006-08-22 | 다층 분할식 건조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090320314A1 (ko) |
KR (1) | KR101265621B1 (ko) |
WO (1) | WO200802391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 2013-10-10 | Lg Electronics Inc. |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
KR100830514B1 (ko) | 2006-06-12 | 2008-05-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US7997006B2 (en) * | 2007-01-12 | 2011-08-1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348088B1 (ko) * | 2017-01-02 | 2022-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의류건조장치 |
CN115768330A (zh) * | 2020-06-24 | 2023-03-07 | Lg电子株式会社 | 鞋护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66743A (en) * | 1996-02-26 | 1997-09-16 | Dawson; Bonnie D. | Apparel drying and deodorizing system |
EP1146161A1 (en) * | 2000-04-10 | 2001-10-17 | Whirlpool Corporation | Accessory assembly for a clothes drum type dryer |
US6928752B2 (en) * | 2003-04-04 | 2005-08-16 | Maytag Corporation |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
US7913419B2 (en) * | 2005-12-30 | 2011-03-29 | Whirlpool Corporation | Non-tumble clothes dryer |
-
2006
- 2006-08-22 KR KR1020060079413A patent/KR1012656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
- 2007-08-21 WO PCT/KR2007/003978 patent/WO200802391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8-21 US US12/310,312 patent/US20090320314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8023913A3 (en) | 2008-08-07 |
US20090320314A1 (en) | 2009-12-31 |
WO2008023913A2 (en) | 2008-02-28 |
KR20080017783A (ko) | 2008-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1903B1 (ko) | 페데스탈 건조기를 포함하는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복합장치 | |
EP2612965B1 (en) | Appliance and method for drying laundry | |
US9903067B2 (en) | Laundry machine | |
AU2012364357B2 (en)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
KR101276815B1 (ko) | 페데스탈 건조기 | |
US8997377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EP2134895B1 (en) | Cloth treating apparatus | |
RU2432424C2 (ru) | Бытовой прибор | |
KR101265622B1 (ko) | 페데스탈 건조기 | |
AU2013207188A1 (en)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
KR101265621B1 (ko) | 다층 분할식 건조기 | |
KR101362786B1 (ko) | 건조기 | |
KR20080024864A (ko) |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 |
TWI373542B (ko) | ||
RU2408752C1 (ru) | Машин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 |
JP6910771B2 (ja) | 衣類乾燥機 | |
KR20110079389A (ko) |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 |
KR100774212B1 (ko) | 복합 세탁장치 | |
JP2005130987A (ja) | 洗濯乾燥機 | |
KR101208534B1 (ko) | 건조기 | |
KR20050089343A (ko) | 드럼세탁기의 건조 제어방법 | |
KR200431764Y1 (ko) | 가구형상을 갖는 세탁물 처리기 | |
JP2017099431A (ja) | 洗濯機 | |
KR20080012007A (ko) |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