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64026B1 -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026B1
KR101264026B1 KR1020110094437A KR20110094437A KR101264026B1 KR 101264026 B1 KR101264026 B1 KR 101264026B1 KR 1020110094437 A KR1020110094437 A KR 1020110094437A KR 20110094437 A KR20110094437 A KR 20110094437A KR 101264026 B1 KR101264026 B1 KR 10126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frequency
indicator signal
frequency band
recei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0872A (ko
Inventor
이정륜
허근행
신윤재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9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026B1/ko
Priority to PCT/KR2012/001866 priority patent/WO2013042850A1/ko
Publication of KR2013003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0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42Selecting at relay station its transmit and receive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92Adapting at the relay station communication parameters for supporting cooperative relaying, i.e. transmission of the same data via direct - and relay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간 별도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중계기간 신호 전달이 가능하며, 중계기간 간섭 발생시 이를 이용하여 중계기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경우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의 우선 순위가 있는 중계기에 더 많은 주파수를 할당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RELAY, FRAME STRUCTURE FOR RELAY, METHOD FOR ALLOCATING FREQUENCY IN RELAY USING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할당하는 중계기 및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을 이용하여 중계기간 별도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할당하는 중계기 및 주파수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4세대 이동 통신의 표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계기를 포함하는 셀 내 간섭문제는 이 분야의 큰 이슈이다. 간섭은 셀 내에 존재하는 중계기의 단말 간 링크 사이에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110), 제1 중계기(121) 및 제1 단말(131)이 서로 링크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기지국(110)과, 제2 중계기(123) 및 제2 단말(133)이 서로 링크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중계기(121)와 통신하는 제1 단말(131)과 제2 중계기(123)과 통신하는 제2 단말(133)이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제1 중계기(121)와 제2 중계기(123)의 근접성에 의해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피하기 위해 각 중계기(121,123)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는 기법이 제안되었다.
도 2는 중계기와 단말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4세대 이동 통신의 경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는 도 2와 같이 중계기가 단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링크 구간인 다운 링크(down link) 서브 프레임(sub frame) 구간과 단말이 중계기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업 링크(up link) 서브 프레임 구간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공개특허 제2010-0099847에 개시되어 있다.
중계기는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송신 모드로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는 수신 모드로 동작한다. 반면에 단말은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수신 모드로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 모드로 동작한다.
기지국(110)과 연결된 중계기들(121,123)은 기지국(110)과 동기가 맞춰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과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시간대가 비슷하게 할당되어 있다. 그러므로 셀 내의 기지국(110)과 연결된 중계기들은(121,123)은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과 업 링크 서브 프레임으로 나누어진 시간에 따라 거의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동시에 수신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중계기가 다른 중계기에게 별도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는 중계기간 통신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주파수 대역 할당을 위해서는 제1 중계기(121)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제2 중계기(123)에 전송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중계기(121)는 제2 중계기(123)에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쳐 주파수 대역의 정보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기지국(110)과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쳐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계기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정보와 같이 정보량이 적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복잡한 절차를 거치는 것은 제1 중계기(121)와 연결된 단말의 서비스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중계기간 별도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할당하는 중계기 및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가 제공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중계기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 그룹에 속한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상기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중계기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며,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며,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은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까지의 주파수 자원을 상기 중계기에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된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가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되는 구간인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방사되는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을 포함하는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간 별도의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중계기간 신호 전달이 가능하며, 중계기간 간섭 발생시 이를 이용하여 중계기에 주파수를 할당하는 경우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의 우선 순위가 있는 중계기에 더 많은 주파수를 할당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중계기와 단말간의 통신에 사용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송수신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지표 신호를 재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지표 신호를 추가로 전송 받는 경우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의 성능을 비교 평가 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중계기간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말을 이용하여 중계기간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기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802.16j나 802.16m에서 정의 하고 있는 non-transparent mode의 중계기 프레임 구조에서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너지 탐지 구간은 단말이 전송하는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여기서 지칭하는 단말이란 중계기 자신에 연결된 단말뿐 아니라 중계기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다른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탐지 구간은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 구간에서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지표 신호는 중계기가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과 관련 된 정보로서, 여러 중계기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각 중계기에 주파수 할당을 위한 기준 신호로서 주파수 지표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단말과 연결된 중계기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될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단말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파수 지표 신호를 주변에 방사한다.
이어서,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기들은 주파수 지표 신호를 코딩/디코딩 하지 않고 신호의 존재 유무와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된 주파수의 위치로 신호가 나타내는 의미를 판별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송수신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기지국(410), 제1 중계기(421), 제2 중계기(423), 제1 단말(431) 및 제2 단말(4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421, 423)는 이동 중계기일 수 있다.
제1 중계기(421)는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에게 연결된 제1 단말(431)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2 중계기(423)는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에게 연결된 제2 단말(433)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제1 단말(431)은 제1 중계기(421)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1 중계기(421) 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에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제2 단말(433)은 제2 중계기(423)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2 중계기(423) 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에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한다.
이때 제1 중계기(421)는 제1 중계기(421)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1 단말(431)이 방사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며, 제2 중계기(423) 또한 제1 단말(431)이 방사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1 중계기(421)는 제2 중계기(423)와 직접 네트워크 진입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주파수 지표 신호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간 간섭을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 수신되는 다른 중계기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분할하고, 각 중계기에 분할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중계기간 간섭 완화를 위해 주파수를 할당을 수행하는 중계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600)는 전송부(610), 수신부(620),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 주파수 할당부(6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전송부(610)는 중계기(600)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한다.
수신부(620)는 중계기(600)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 및 중계기(600)의 주변에 있는 다른 중계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들은 각 단말과 연결된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수신부(620)는 이러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설정될 수 있다. 매 주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자원 사용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 주기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이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며, 따라서 수신부(620)는 T 주기마다 주파수 지표 신호를 주변의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는 수신부(62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정보를 재 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정보를 재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서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1
는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감지되는 n 번째 주기에서의 특정 그룹내의 i 번째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2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3
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4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5
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를 나타낸다.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을 재 설정하기 위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을 우선 선택한다.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 사이의 주파수 자원이기 때문이다.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 (630)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801),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를 이용하여 n+1 번째 주기에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을 재 설정한다.
n+1 번째 주기에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은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재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6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7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8
여기서,
Figure 112011072940648-pat00009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0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1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2
는 수렴 변수,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3
는 재 설정된 n+1번째 주기에서의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을 각각 의미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802)과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의 중간 값을 가지도록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01)을 재 설정 함으로써 각 중계기에 주파수 자원을 공평하게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은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될 것이다.
주파수 할당부(640)는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2)과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로부터 재 설정된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3)과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까지의 주파수 자원을 중계기(600)에 할당한다.
만약 수신부(62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가 두 개 인 경우, 즉 제2 주파수 지표 신호 또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 만이 수신된 경우에는 주파수 할당부(640)는 주파수 자원을 반으로 분할하여 중계기(600)에 할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4
부터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5
까지의 주파수 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6
는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2)과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7
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과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3)의 중간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내의 모든 중계기가 각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을 이용하여 서로 주파수 지표 신호를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계기가 서로 멀리 떨어져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나눠서 사용하게 되면 셀 내의 중계기가 증가하였을 경우 하나의 중계기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폭이 줄어들어 오히려 통신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620)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경우에만 다른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계기(600)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을 구성하고, 그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중계기(1001)와 제2 중계기(1002)가 그룹 A를 구성하며, 제2 중계기(1002),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가 그룹 B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중계기(1001)에서 전송되는 신호로 인해 제2 중계기(1002)는 간섭을 받으나 제3 중계기(1003) 및 제 4 중계기(1004)는 간섭을 받지 않는다. 즉 제1 중계기(1001)와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는 서로 겹치는 주파수 자원을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한다 하더라도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지표 신호는 그룹 A에 속한 제1 중계기(1001)와 제2 중계기간(1002)에 연결된 단말들을 통해 서로 교환되며, 그룹 B에 속한 제2 중계기(1002),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에 연결된 단말들을 통해 서로 교환된다.
이와 같이 그룹을 구성하여 그룹 내의 중계기간에 주파수 지표 신호를 교환하여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그룹이 다른 중계기 연결된 단말들끼리는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셀 내에 포함된 중계기의 개수가 아닌 그룹에 포함된 중계기의 수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자원이 분할되는 개수가 정해지므로 전체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600)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우선 순위가 있어 더 많은 주파수 자원의 할당이 필요한 경우 전송부(610)는 중계기(600)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620)는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주파수 지표 신호를 단말로부터 전송 받으며, 따라서 중계기(600)가 할당 받은 주파수 자원이 확장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지표 신호를 추가로 전송 받는 경우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중계기(600)가 주파수 자원을 추가로 할당 받기 위해 단말에 추가적으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 받을 주파수 대역을 전송하는 경우 도 11(a)와 같이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중계기(600)와 연결된 단말로부터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주파수 자원의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주파수 지표 신호가 에너지 탐지 구간에 수신된다.
따라서, 주파수 할당부(640)는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1) 및 추가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3)을 기준으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게 되며, 중계기(600)는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1) 및 추가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3)을 기준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할당 받는 주파수 자원이 확장되게 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주파수 지표 신호의 추가로 인해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이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고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S1200)에서 중계기(600)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S1210)에서는 중계기(600)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 및 중계기(600) 주변에 있는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계(S1210)는 중계기(600)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 그룹에 속한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210)에서는 중계기(60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계기(600)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한다.
단계(S1210)은 우선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그 후,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한다.
이어서, 단계(S1230)에서는 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계기(600)에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보다 상세하게 중계기(600)에서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계기(600)에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3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및 중계기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의 성능을 비교 평가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을 참조하면 우측 그래프가 본 발명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한 경우로서 주파수 효율 면에서 큰 성능 향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셀 내에서 중계기 수가 증가할 수록 셀 전체의 수율 증가 량에서 차이를 보이며 통신 성능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중계기간 네트워크 진입 절차를 거치지 않고 단말을 이용하여 중계기간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한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송수신 기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b)는 802.16j나 802.16m에서 정의 하고 있는 non-transparent mode의 중계기 프레임 구조에서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에너지 탐지 구간은 단말이 전송하는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구간으로서 여기서 지칭하는 단말이란 중계기 자신에 연결된 단말뿐 아니라 중계기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다른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너지 탐지 구간은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며 이 구간에서는 다른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지표 신호는 중계기가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자원과 관련 된 정보로서, 여러 중계기간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각 중계기에 주파수 할당을 위한 기준 신호로서 주파수 지표를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단말과 연결된 중계기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될 주파수 대역 정보를 전송 받는 경우, 단말은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파수 지표 신호를 주변에 방사한다.
이어서,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는 중계기들은 주파수 지표 신호를 코딩/디코딩 하지 않고 신호의 존재 유무와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된 주파수의 위치로 신호가 나타내는 의미를 판별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중계기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송수신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무선 통신 시스템(400)은 기지국(410), 제1 중계기(421), 제2 중계기(423), 제1 단말(431) 및 제2 단말(43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421, 423)는 이동 중계기일 수 있다.
제1 중계기(421)는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에게 연결된 제1 단말(431)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제2 중계기(423)는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에게 연결된 제2 단말(433)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전송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제1 단말(431)은 제1 중계기(421)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1 중계기(421) 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에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제2 단말(433)은 제2 중계기(423)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2 중계기(423) 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에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한다.
이때 제1 중계기(421)는 제1 중계기(421)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제1 단말(431)이 방사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며, 제2 중계기(423) 또한 제1 단말(431)이 방사한 제1 중계기(421)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1 중계기(421)는 제2 중계기(423)와 직접 네트워크 진입절차를 거치지 않고서도 제2 중계기(423)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제2 단말(433)이 방사한 주파수 지표 신호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간 간섭을 해결하기 위해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의 에너지 탐지 구간에 수신되는 다른 중계기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이용하여 주파수를 분할하고, 각 중계기에 분할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중계기간 간섭 완화를 위해 주파수를 할당을 수행하는 중계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600)는 전송부(610), 수신부(620),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 주파수 할당부(6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전송부(610)는 중계기(600)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한다.
수신부(620)는 중계기(600)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 및 중계기(600)의 주변에 있는 다른 중계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들은 각 단말과 연결된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수신부(620)는 이러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은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설정될 수 있다. 매 주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 자원 사용의 비효율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는 에너지 탐지 구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T 주기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이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되며, 따라서 수신부(620)는 T 주기마다 주파수 지표 신호를 주변의 단말로부터 수신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는 수신부(62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정보를 재 설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 정보를 재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에서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8
는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감지되는 n 번째 주기에서의 특정 그룹내의 i 번째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72940648-pat00019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0
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1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2
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를 나타낸다.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630)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을 재 설정하기 위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을 우선 선택한다.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 사이의 주파수 자원이기 때문이다.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 (630)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801),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를 이용하여 n+1 번째 주기에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을 재 설정한다.
n+1 번째 주기에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은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재 설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3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4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6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1),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7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8
는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
Figure 112011072940648-pat00029
는 수렴 변수,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0
는 재 설정된 n+1번째 주기에서의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을 각각 의미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802)과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의 중간 값을 가지도록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01)을 재 설정 함으로써 각 중계기에 주파수 자원을 공평하게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2)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803)은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될 것이다.
주파수 할당부(640)는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2)과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로부터 재 설정된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3)과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까지의 주파수 자원을 중계기(600)에 할당한다.
만약 수신부(62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가 두 개 인 경우, 즉 제2 주파수 지표 신호 또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 만이 수신된 경우에는 주파수 할당부(640)는 주파수 자원을 반으로 분할하여 중계기(600)에 할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자원을 할당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은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1
부터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2
까지의 주파수 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3
는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2)과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의 중간 위치,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4
는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1)과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813)의 중간 위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셀 내의 모든 중계기가 각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을 이용하여 서로 주파수 지표 신호를 교환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계기가 서로 멀리 떨어져서 간섭을 일으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주파수 자원을 나눠서 사용하게 되면 셀 내의 중계기가 증가하였을 경우 하나의 중계기사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폭이 줄어들어 오히려 통신 성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부(620)는 다른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경우에만 다른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중계기(600)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을 구성하고, 그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중계기(1001)와 제2 중계기(1002)가 그룹 A를 구성하며, 제2 중계기(1002),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가 그룹 B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중계기(1001)에서 전송되는 신호로 인해 제2 중계기(1002)는 간섭을 받으나 제3 중계기(1003) 및 제 4 중계기(1004)는 간섭을 받지 않는다. 즉 제1 중계기(1001)와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는 서로 겹치는 주파수 자원을 단말과의 통신에 사용한다 하더라도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주파수 지표 신호는 그룹 A에 속한 제1 중계기(1001)와 제2 중계기간(1002)에 연결된 단말들을 통해 서로 교환되며, 그룹 B에 속한 제2 중계기(1002), 제3 중계기(1003) 및 제4 중계기(1004)에 연결된 단말들을 통해 서로 교환된다.
이와 같이 그룹을 구성하여 그룹 내의 중계기간에 주파수 지표 신호를 교환하여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는 경우 그룹이 다른 중계기 연결된 단말들끼리는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도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셀 내에 포함된 중계기의 개수가 아닌 그룹에 포함된 중계기의 수에 따라 전체 주파수 자원이 분할되는 개수가 정해지므로 전체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계기(600)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에 우선 순위가 있어 더 많은 주파수 자원의 할당이 필요한 경우 전송부(610)는 중계기(600)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되어야 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부(620)는 둘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 주파수 지표 신호를 단말로부터 전송 받으며, 따라서 중계기(600)가 할당 받은 주파수 자원이 확장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지표 신호를 추가로 전송 받는 경우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중계기(600)가 주파수 자원을 추가로 할당 받기 위해 단말에 추가적으로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 받을 주파수 대역을 전송하는 경우 도 11(a)와 같이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중계기(600)와 연결된 단말로부터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 및 주파수 자원의 확장을 위한 추가적인 주파수 지표 신호가 에너지 탐지 구간에 수신된다.
따라서, 주파수 할당부(640)는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1) 및 추가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3)을 기준으로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게 되며, 중계기(600)는 기존의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1) 및 추가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1103)을 기준으로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할당 받는 주파수 자원이 확장되게 된다.
도 11(b)를 참조하면 주파수 지표 신호의 추가로 인해 중계기(600)에 할당되는 주파수 자원이 확장됨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 12를 참고하여 각 단계에서 수행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계(S1200)에서 중계기(600)의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S1210)에서는 중계기(600)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중계기(600)에 연결된 단말 및 중계기(600) 주변에 있는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계(S1210)는 중계기(600)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 그룹에 속한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210)에서는 중계기(600)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중계기(600)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한다.
단계(S1210)은 우선 중계기(600)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고,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한다.
그 후,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한다.
이어서, 단계(S1230)에서는 재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계기(600)에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보다 상세하게 중계기(600)에서 재 설정된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된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중계기(600)에 주파수 자원을 할당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3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중계기 프레임 구조 및 중계기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할당 방법의 성능을 비교 평가 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을 참조하면 우측 그래프가 본 발명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한 경우로서 주파수 효율 면에서 큰 성능 향상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파수 할당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셀 내에서 중계기 수가 증가할 수록 셀 전체의 수율 증가 량에서 차이를 보이며 통신 성능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중계기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 그룹에 속한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 삭제
  3.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재 설정부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중계기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며,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며,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은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재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5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6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7

    여기서,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8
    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의 상기 중계기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Figure 112011072940648-pat00039
    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의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Figure 112011072940648-pat00040
    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n번째 주기에서의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Figure 112011072940648-pat00041
    는 수렴 변수,
    Figure 112011072940648-pat00042
    는 재 설정된 n+1번째 주기에서의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을 각각 의미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은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까지의 주파수 자원을 상기 중계기에 할당하는 주파수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경우,
    상기 전송부는 상기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10.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의 주변 중계기가 보내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값 이상인 중계기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중계기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중계기 그룹에 속한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11. 삭제
  12.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중계기에 수신된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은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을 통해 상기 주파수 할당 기준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중계기의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상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 내에서의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보다 하위에 위치하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을 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된 주파수 대역은 각각의 주파수 지표 신호를 전송한 단말에 연결된 중계기를 통해 재 설정되며,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2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로부터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1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재 설정된 상기 제3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의 중간 위치까지의 주파수 자원을 상기 중계기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15.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기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우선 순위가 부여되는 경우, 상기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을 통해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둘 이상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16. 중계기의 다운 링크 서브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로 주파수 지표 신호가 수신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계기의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설정된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상기 중계기에 연결된 단말 및 상기 중계기 주변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중계기들과 연결된 단말들로부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를 방사하는 단말을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는 상기 업 링크 서브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주기 마다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에너지 탐지 구간에서 상기 주파수 지표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삭제
KR1020110094437A 2011-09-20 2011-09-20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26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37A KR101264026B1 (ko) 2011-09-20 2011-09-20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PCT/KR2012/001866 WO2013042850A1 (ko) 2011-09-20 2012-03-15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4437A KR101264026B1 (ko) 2011-09-20 2011-09-20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872A KR20130030872A (ko) 2013-03-28
KR101264026B1 true KR101264026B1 (ko) 2013-05-13

Family

ID=4791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4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4026B1 (ko) 2011-09-20 2011-09-20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4026B1 (ko)
WO (1) WO201304285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456A1 (ko) * 2013-07-05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를 위해 중계기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049B1 (ko) * 2014-05-22 2015-05-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홉 셀룰러 네트워크에 포함된 기지국 및 중계기와, 상기 기지국의 제어 방법
EP4562945A1 (en) * 2023-04-24 2025-06-04 ZT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resource information ind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0113A1 (en) 2009-04-10 2010-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protocol for newly joining relay stations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US20110090841A1 (en) 2009-10-16 2011-04-21 Mitre Corporation Relay Multiple Access Wireless Networks
US20110199913A1 (en) 2010-02-17 2011-08-18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cast scheduling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cooperation gains in relay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172B1 (ko) * 2007-08-21 2009-05-11 (주)에프알텍 주파수 변환 중계 방법 및 장치
KR20100099655A (ko) * 2009-03-03 2010-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중계국의 데이터 수신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60113A1 (en) 2009-04-10 2010-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resource allocation protocol for newly joining relay stations in relay enhanced cellular systems
US20110090841A1 (en) 2009-10-16 2011-04-21 Mitre Corporation Relay Multiple Access Wireless Networks
US20110199913A1 (en) 2010-02-17 2011-08-18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Multicast scheduling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cooperation gains in relay networ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2456A1 (ko) * 2013-07-05 2015-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를 위해 중계기를 선택 또는 재선택하는 방법
US10225844B2 (en) 2013-07-05 2019-03-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ng or reselecting relay for proximity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0872A (ko) 2013-03-28
WO2013042850A1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6533B2 (ja) 制御チャネルシグナリングを介したビーム切替コマンドの送信
EP2395679B1 (en) Method for allocating backhaul link resources in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using same
CN101960787B (zh) 在移动站和具有中继站的系统中通信的方法
US9020515B2 (en) Communication system of performing uplink communication and downlink communication using overlapping radio resource
CN101326754B (zh) 在tdd无线通信系统中的频域未调度发送
KR101356524B1 (ko) 릴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0956756B1 (ko)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중계국-단말 간 간섭 회피를 위한 주파수 재사용 장치 및 방법
US20120250526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Data Transfer with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14270751A (zh) 传送通过单个下行链路控制信息调度的多个传输块的重复
KR20100064191A (ko) 다중 홉 릴레이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장치, 및 통신 시스템
US2024034841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storage media for communication
CN105814952A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下行链路功率分配的方法、基站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919837A (zh) 用于tdd系统中的dl/ul资源配置的方法和设备
US20120034865A1 (en) Base station, relay st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CN104205663A (zh) 用于干扰控制的方法和装置
CN105101250A (zh) 一种用于降低d2d带内干扰对蜂窝传输的影响的方法
KR101784040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인접 셀 간 간섭을 회피하기 방법 및 장치
CN108886796A (zh) 用户装置
KR101264026B1 (ko) 중계기, 중계기의 프레임 구조, 이를 이용한 중계기의 주파수 할당 방법
JPWO2008050539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1400715B1 (ko) 협력 전송 기법 및 네트워크 코딩 전송 기법을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2201502B1 (ko) 무선 채널 할당 시스템, 기지국장치 및 단말, 그리고 무선 채널 할당 방법
KR101205577B1 (ko) 중계기 및 온-오프 신호를 이용한 중계기의 전송대역 분할방법
CN104041103A (zh) 无线通信系统、中继系统以及中继数据的方法
EP291812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measurements and rep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