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920B1 - Elasticity divisional strip - Google Patents
Elasticity divisional str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920B1 KR101257920B1 KR1020130016751A KR20130016751A KR101257920B1 KR 101257920 B1 KR101257920 B1 KR 101257920B1 KR 1020130016751 A KR1020130016751 A KR 1020130016751A KR 20130016751 A KR20130016751 A KR 20130016751A KR 101257920 B1 KR101257920 B1 KR 101257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 lane
- main
- rope
- tension adjus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선과 차선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아울러, 반대쪽 차선의 주행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를 확보하며, 차량의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가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과 차선분리대의 파손을 극소화할 수 있는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e divider, and more particularly, is installed between a lane and a lane to induce a safe driving by informing a driver of a vehicle to guide the driving, and also to visually check a driving situation of an opposite la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that secures and absorbs collision energy transferred from the vehicle when the vehicle collides to minimiz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lane separator.
일반적으로 차선 분리 시설은 교통사고의 발생 위험이 큰 곳으로 운전자의 주의가 현저히 요구되는 장소 등에 설치되어, 노면표시를 보조하여 위험구간임을 예고함과 동시에 동일 및 반대 방향의 교통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In general, lane separ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places where the driver's attention is remarkably required due to the high risk of traffic accidents, and it supports the marking of the road to announce a danger zone and spatially separate traffic flows in the same and opposite directions. It is used to draw the driver's eyes for the purpose of doing so.
차선 분리 시설로서 차선 분리봉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 차선 분리봉은 도로의 노면 위에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영구적 또는 일시적(공사 중 등)으로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차선을 알려주는 것이다.Lane separation rods are generally used as lane separation facilities. Conventional lane separating rods are installed on the road surface permanently or temporarily (such as during construction)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to inform the driver of the lane.
그러나 종래 차선 분리 시설은 차량이 옆 차선으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다수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비싸지며, 많은 수량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현상도 발생되고 있고, 단지 노면에 고정된 것일 뿐이며 시각적인 효과만을 보이는 것이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을 막지 못하여 차량이 옆 차선으로 침범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ane separation facilities are expensive to install because a plurality of vehicles are installed so as not to invade the side lanes, and the quantity of the traffic is obstructing the driver's vision. Since only the effect is seen, accidents that frequently invade the vehicle in the side lane due to the vehicle's running are not prevented.
그리고, 차선 분리 시설이 강성으로 제조되는 경우 차량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전혀 흡수하지 못하여 차선 분리 시설과 차량 모두 큰 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ane separation facility is manufactured to be rigi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ane separation facility and the vehicle both cause large breakages because they do not absorb any collision energy at the time of collis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선과 차선의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전자에게 차선을 알려줌으로써 안전운전을 유도하고, 아울러, 반대쪽 차선의 주행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야를 확보하며, 차량의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가되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차량과 차선분리대의 파손을 극소화할 수 있는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lanes and lanes to inform the driver of the lane to induce safe driving, and also to easily check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opposite la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that minimizes the damage of the vehicle and the lane separator by absorbing the collision energy transferred from the vehicle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는, 차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2개 이상의 메인 지주와; 상기 메인 지주의 사이에 세워지는 하나 이상의 장력조정 지주와; 상기 메인 지주와 상기 장력조정 지주의 사이에 걸쳐 2단 이상으로 배선되어 차선을 구획하는 차선규제 로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지주는, 노면에 고정되는 메인 베이스판, 상기 메인 베이스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지주봉, 상하 양측이 각각 상기 메인 베이스판과 상기 메인 지주봉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지주봉이 탄성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메인 지주봉에 다단으로 장착되며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단부가 각각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제1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정 지주는,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장력조정 지주봉, 상하 양측이 각각 상기 고정판과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이 탄성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에 장착되며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제2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main struts which ar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ne; At least one tensioning strut standing between the main struts; A lane regulating rope that is wired in two or more stages between the main strut and the tension adjusting strut to partition the lane, wherein the main strut is built on a main base plate fixed to the road surface and the main base plate The main support rod having a spac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is fixed to the main base plate and the main support rod, respectively, and the elastic member for resiliency of the main support rod, mounted in multiple stages on the main support rod and the end of the lane control rope And a first tens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lane-regulating rope, each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wherein the tension adjusting support includes: a fixed plate fixed to a road surface, a tension adjusting support standing on the fixed plate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Rods, both upper and lower sides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xing plate and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rod, and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rod is burnt. An elastic member to allow, and attached to the tensioning holding rod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tension adjustment means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ontrol rope lane.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의하면, 메인 지주와 장력조정지주가 기존 차선 분리봉보다 넓은 간격으로 설치되어도 차선분리 로프를 통해 차선을 보다 확실하게 표시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ain support and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is installed at a wider interval than the existing lane separation rod, the lane can be more clearly displayed through the lane separation rope,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drive safely. .
그리고, 메인 지주와 장력조정 지주가 각각 탄성부재를 통해 탄성 거동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차량 등의 파손을 감소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인 지주와 장력조정 지주에서 차선분리 로프의 장력 조정이 가능하여 큰 이동없이 차선분리 로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차선 분리대의 유지가 매우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main strut and the tensioning strut each move elastically through the elastic member, thereby absorbing collision energy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reducing damage to the vehicle. It is very easy to maintain the lane separator by easil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lane separation rope without large movemen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메인 지주와 장력조정 지주의 단면도.
도 3든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제1장력조정수단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장력조정 지주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제2장력조정수단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제2장력조정수단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에 적용된 다수의 차선규제 로프를 단일 동작으로 장력을 조정하는 구성을 보인 예시도.1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rope 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strut and tension adjusting strut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first tension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nsion adjustment strut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illustration of a second tension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means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tension in a plurality of lane-regulated rope applied to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ngle operation.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는, 차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지는 2개 이상의 메인 지주(10)와; 메인 지주(10)의 사이에 세워지는 하나 이상의 장력조정 지주(20)와; 메인 지주(10)와 장력조정 지주(20)의 사이에 걸쳐 2단 이상(도면에서는 3단을 예로 들어 도시함)으로 배선되어 차선을 구획하는 차선규제 로프(3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셋트만 도시한 것이며, 도 1에 도시된 1셋트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or more
메인 지주(10)는, 노면에 고정되는 메인 베이스판(11), 메인 베이스판(11)에 세워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메인 지주봉(12), 상하 양측이 각각 메인 베이스판(11)과 메인 지주봉(12)에 고정되며 메인 지주봉(12)이 탄성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13)으로 구성된다.The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메인 베이스판(11)은 예를 들어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앵커(11a)를 통해 도로의 노면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the
메인 베이스판(11)은 코일스프링(13)의 고정을 위하여 스프링 고정부(11b)가 구비된다.The
스프링 고정부(11b)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둘레부에 코일스프링(13)이 결합되는 돌기 형태일 수 있다. 물론, 스프링 고정부(11b)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메인 지지봉(12)은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구비된 통 구조이며 코일스프링(13)을 통해 메인 베이스판(11)에 탄성 거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파손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한다.The
메인 지지봉(12)은 코일스프링(13)의 고정을 위한 스프링 고정판(12a)이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판(12a)은 메인 지지봉(12)에 체결구 또는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메인 베이스판(11)의 스프링 고정부(11b)에 하부가 끼워진 코일스프링(13)의 상부를 누르는 방법으로 코일스프링(13)을 고정할 수 있다.The
메인 지지봉(12)이 캡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메인 지지봉(12)과 메인 베이스판(11)의 고정을 위하여 신축이 가능하거나 절첩(주름막)형의 연결부재(14)가 적용된다. 연결부재(14)는 상하단부가 각각 메인 지지봉(12)과 메인 베이스판(11)에 체결구 등을 통해 고정된다. 메인 지지봉(12)은 코일스프링(13)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고 연결부재(14)는 메인 지지봉(12)이 메인 베이스판(11)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연결부재(14)는 큰 강성을 요구하지는 않는다.When the
스프링 고정부(11b)는 코일스프링(13)이 이탈되지 않도록 끼움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재(14)가 생략될 수도 있다.The
이러한 메인 지지봉(12)은 후술하는 제1장력조정수단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하여 전후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메인 지지봉(12)은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제1장력조정수단이 적용된다. 메인 지지봉(12)은 2개 이상이 설치되며, 이때, 제1장력조정수단은 모든 메인 지지봉(12)에 적용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상기 제1장력조정수단은 메인 지주봉(12)의 내부에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장착되며 차선규제 로프(30)를 감아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조정 래치휠(15), 메인 지주봉(12)에 나사 체결되면서 단부가 장력조정 래치휠(15)에 연결되어 장력조정 래치휠(15)의 회전을 조작하는 장력조정 레버(1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first tension adjusting means is mounted to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inside the
장력조정 래치휠(15)은 차선규제 로프(30)을 팽팽하게 유지할 수 있고 느슨하게 풀리지 않도록 일방향(장력이 팽팽하도록 하는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공지의 래치휠과 래치폴(17)을 통해 실시 가능하다. 즉, 장력조정 래치휠(15)은 둘레부에 일방향의 치가 형성된 구조이며, 장력조정 래치휠(15)의 둘레부에는 탄성부재를 통해 래치폴(17)이 설치되는데, 래치폴(17)은 장력조정 래치휠(15)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탄성부재를 통해 장력조정 래치휠(15)의 치와 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tension adjusting
한편, 본 발명은 메인 지주(10)에서 모든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한 번의 작업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제1장력조정수단[장력조정 래치휠(15) 등]은 하나의 장력조정로드(18)에 함께 장착되어 일체로 움직이며, 장력조정로드(18)는 메인 장력조정레버(19)에 의해 승강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메인 지주봉(11)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8a) 등을 통해 장력조정로드(18)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장력조정 래치휠(15)과 장력조정 레버(16)의 조립체는 장력조정로드(18)에 각각 설치되고, 메인 장력조정레버(19)는 메인 지주봉(11)에 고정된 너트 등을 통해 나사 체결되면서 단부가 장력조정로드(18)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론, 장력조정 레버(16)의 승강을 위하여 메인 지주봉(11)에는 장공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tension of all the lane-regulating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메인 장력조정레버(19)를 양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조정로드(18)가 상승 또는 하강하며, 이로써 차선규제 로프(30)가 장력조정 래치휠(15)을 통해 위치가 이동함으로써 장력이 조정되고, 이러한 구성은 모든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단일 작업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main
장력조정 지주(20)는 메인 지주(1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며, 즉 도로의 노면에 앵커 등을 통해 고정되는 고정판(21), 고정판(21) 위에 코일스프링(23)을 매개로 하여 탄성 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력조정 지주봉(22)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요소는 메인 지주(10)의 구성[장력조정 지주봉(21)의 전후 내지 상하 분할 구조, 연결부재(24) 등도 포함]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은 메인 지주(10)의 제1장력조정수단을 통해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함과 아울러 장력조정 지주(20)에서도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하는데 특징이 있으며, 이는 제2장력조정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도 4와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2장력조정수단은, 장력조정 지주봉(21)에 각각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차선규제 로프(30)가 고정되는 장력조정 드럼(25), 장력조정 지주봉(21)에 나사 체결[장력조정 지주봉(21)에 고정된 너트에 나사 체결]되며 장력조정 드럼(25)을 회전시켜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하는 볼트형의 드럼 레버(26)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means, the
장력조정 드럼(25)은 예를 들어 둘레부에 차선규제 로프(30)가 1회 이상 감길 수 있는 구조이며 내부에는 차선규제 로프(30)가 관통되는 로프 관통홀(25a)이 구비될 수 있다.The
장력조정 드럼(25)의 안정된 회전을 위하여 장력조정 지주봉(21)에는 드럼 가이드(27)가 구성될 수 있다. 드럼 가이드(27)는 차선규제 로프(30)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갖는 구조이면서 장력조정 드럼(25)의 회전을 안내하는 링 형상 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벽의 형태일 수 있고, 또는 장력조정 드럼(25)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안내축일 수 있다.The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A)의 상태에서 장력조정 드럼(25)을 일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조정 드럼(25)이 회전하게 되며, 이때, 장력조정 드럼(25)은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단 드럼 레버(26)에 의해 앞쪽으로 이동함] 차선규제 로프(30)가 장력조정 드럼(25)에 감기게 되어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이 조정 즉 팽팽하게 조정된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상기 제2장력조정수단은 제1장력조정수단[장력조정 래치휠(15), 장력조정 레버(16)]이 적용될 수도 있다.
As the second tension adjusting means, a first tension adjusting means (tension adjusting
차선규제 로프(30)는 차량의 충돌시 차량이 다른 차선으로 넘어가지 않을 강도이면서 장력 조정이 가능한 유연성을 갖는 재질이며 이는 강연선 등이 가능하다.
차선규제 로프(30)는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자신의 두께가 얇고 상호 간에 넓은 간격을 확보하기 때문에 안전운전을 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메인 지주봉(12)과 장력조정 지주봉(13) 및 차선규제 로프(30)는 각각 야간 등에서도 차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표면에 야광(형광)띠(검정색과 노란색이 반복) 등이 표시(인쇄, 테이핑 등)된다.
The
본 발명에 의한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Construction method of the rope-type elastic lan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메인 지주(10)와 장력조정 지주(20)를 도로의 차선에 맞춰 설치하되,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메인 지주(10)와 장력조정 지주(20)를 용이하게 설치한다. 메인 지주(10)와 장력조정 지주(20)의 설치는, 메인 베이스판(11)과 메인 지주봉(12)의 조립체, 고정판(21)과 장력조정 지주봉(22)의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법이 가능하다.The
이어서, 차선규제 로프(30)를 메인 지주(10)와 장력조정 지주(20)에 걸쳐 배선하여 설치한다.Subsequently, the
차선규제 로프(3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차선규제 로프(30)가 느슨한 상태일 것이며, 상기 제1,2장력조정수단을 통해 차선규제 로프(30)를 팽팽하게 조정한다. 상기 제1장력조정수단의 장력조정 레버(16)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조정 래치휠(15)이 회전하면서 차선규제 로프(30)가 감기게 되어 당겨지게 되므로 차선규제 로프(30)가 팽팽하게 조정된다. 이때, 차선규제 로프(30)는 메인 지주(10)에서만 장력이 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력조정 지주(20)의 장력조정 드럼(25)은 회전하지 않는다.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이와 같이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조정한 후 상기 제2장력조정수단인 장력조정 드럼(25)의 회전을 통해 차선규제 로프(30)의 장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으며, 드럼 레버(26)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장력조정 드럼(25)이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어 차선규제 로프(30)가 감기게 되어 차선규제 로프(30)가 더욱 팽팽하게 조정된다.
Afte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10 : 메인 지주, 11 : 메인 베이스판
12 : 메인 지주봉, 13,23 : 코일스프링
14,24 : 연결부재, 15 : 장력조정 래치휠
16 : 장력조정 레버, 17 : 래치폴
20 : 장력조정 지주, 21 : 고정판
22 : 장력조정 지주봉, 25 : 장력조정 드럼
26 : 드럼 레버, 30 : 차선규제 로프10: main prop, 11: main base plate
12: main holding rod, 13, 23: coil spring
14,24: connecting member, 15: tension adjusting latch wheel
16: tension adjustment lever, 17: latch pole
20: tension adjustment post, 21: fixed plate
22: tension adjusting rod, 25: tension adjusting drum
26: drum lever, 30: lane control rope
Claims (5)
상기 메인 지주의 사이에 세워지는 하나 이상의 장력조정 지주(20)와;
상기 메인 지주와 상기 장력조정 지주의 사이에 걸쳐 2단 이상으로 배선되어 차선을 구획하는 차선규제 로프(3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지주는, 노면에 고정되는 메인 베이스판(11), 상기 메인 베이스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표면에 야광띠가 형성된 메인 지주봉(12), 상하 양측이 각각 상기 메인 베이스판과 상기 메인 지주봉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 지주봉이 탄성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메인 지주봉에 다단으로 장착되며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단부가 각각 권취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제1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장력조정 지주는, 노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1), 상기 고정판에 세워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표면에 야광띠가 형성된 장력조정 지주봉(22), 상하 양측이 각각 상기 고정판과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이 탄성 가능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상기 장력조정 지주봉에 장착되며 상기 차선규제 로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제2장력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형 탄성 차선 분리대.
Two or more main struts 10 which are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ane direction;
One or more tension adjusting struts 20 erected between the main struts;
A lane regulating rope 30 which is wired in two or more stages between the main support and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to partition the lane;
The main support, the main base plate 11 which is fixed to the road surface, the main support rod 12, which is built on the main base plate and formed with a space therein, a luminous band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ase plate respectively. And a resilient member fixed to the main support rod and allowing the main support rod to be elastic, and mounted to the main support rod in multiple stages, and end portions of the lane control ropes are respectively rotatably connected to adjust tension of the lane control rope. A first tension adjusting means,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is a fixed plate 21 fixed to the road surface,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rod 22, which is built on the fixed plate and formed with a space therein, and a luminous band is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ed plate and the tension adjustment. An elastic member each fixed to a support rod, the elastic member allowing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rod to be elastic, and a second tension adjusting means mounted to the tension adjustment support rod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lane restraint rope. Lane separa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751A KR101257920B1 (en) | 2013-02-18 | 2013-02-18 | Elasticity divisional str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16751A KR101257920B1 (en) | 2013-02-18 | 2013-02-18 | Elasticity divisional stri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7920B1 true KR101257920B1 (en) | 2013-05-02 |
Family
ID=4866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16751A KR101257920B1 (en) | 2013-02-18 | 2013-02-18 | Elasticity divisional str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92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1394A1 (en) * | 2016-03-29 | 2017-10-05 | 주식회사 이도산업 | Tension adjustment apparatus for rope type fence |
KR102099424B1 (en) * | 2019-08-28 | 2020-05-15 | 설지훈 | guide rail for ro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756Y1 (en) | 2001-02-08 | 2001-09-25 | 박진우 | Placard A Rack System |
KR200261896Y1 (en) | 2001-08-28 | 2002-02-01 | 박연 | Indicating pole for cross prevention of median strip |
JP2006349102A (en) | 2005-06-17 | 2006-12-28 | Nippon Chuzo Kk | Wire tightening device |
-
2013
- 2013-02-18 KR KR1020130016751A patent/KR1012579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7756Y1 (en) | 2001-02-08 | 2001-09-25 | 박진우 | Placard A Rack System |
KR200261896Y1 (en) | 2001-08-28 | 2002-02-01 | 박연 | Indicating pole for cross prevention of median strip |
JP2006349102A (en) | 2005-06-17 | 2006-12-28 | Nippon Chuzo Kk | Wire tighten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171394A1 (en) * | 2016-03-29 | 2017-10-05 | 주식회사 이도산업 | Tension adjustment apparatus for rope type fence |
KR102099424B1 (en) * | 2019-08-28 | 2020-05-15 | 설지훈 | guide rail for r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8665B1 (en) | Folder-type streetlight pole | |
KR101621016B1 (en) | Pole of traffic signal or street light | |
KR101257920B1 (en) | Elasticity divisional strip | |
EP3294967B1 (en) | Shade sail | |
KR101358426B1 (en) | The post structure of traffic signal | |
GB2417509A (en) | Road safety barrier | |
KR100930971B1 (en) | Strut devic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 | |
KR20160041587A (en) | The installatoin of the cross beam structure | |
KR101608448B1 (en) | Shielding plate opened by a hinge | |
KR101379245B1 (en) | A blinker device | |
KR101006727B1 (en) | Streetlight | |
KR20190003183U (en) | mounting apparatus of traffic safety sign board for temporary facilities | |
KR101314649B1 (en) | Structures having rotating means | |
JP6062724B2 (en) | Avalanche reduction | |
CN204803773U (en) | Highway wind protective screen stand fixing device | |
KR20150085596A (en) | Mounting apparatus for establishing road facility | |
KR20190142621A (en) | mounting apparatus of traffic safety sign board for guard rail | |
KR101859692B1 (en) | Safety support structure for roof structure | |
KR200378167Y1 (en) | Structure of a telegraph pole | |
KR100837678B1 (en) | A guide sign for prevent a damage | |
KR200462879Y1 (en) | road sign connection device with absorber | |
KR101073874B1 (en) | Installing structure of floor beam | |
KR101797602B1 (en) | Height adjust type road light trap device | |
KR101219200B1 (en) | Band type steel pole for traffic facility which is easy to construction | |
CN211898059U (en) | Portable temporary guardrail for road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9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