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41957B1 -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 Google Patents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957B1
KR101241957B1 KR1020130010752A KR20130010752A KR101241957B1 KR 101241957 B1 KR101241957 B1 KR 101241957B1 KR 1020130010752 A KR1020130010752 A KR 1020130010752A KR 20130010752 A KR20130010752 A KR 20130010752A KR 101241957 B1 KR101241957 B1 KR 10124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fixing bolt
fixed
plat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고원이앤씨
Priority to KR102013001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68Window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1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burglary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의 사각홀에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판체가 위치하게 하여 채광, 투입, 조명 등의 기능을 하도록 한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관한 것이며, 판체(11)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홀(12)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슬릿홀(13)이 각각 형성되는 도어(10); 십자형태의 프레임(21)이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되고, 프레임(21)의 중앙 부분이 사각홀(12)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프레임(21)의 내측으로 홈부(22)가 형성되는 십자프레임(20); 사각의 판체(31) 일측에 공간부(32)가 형성되고, 공간부(32)가 개폐되도록 개폐문(33)이 설치되며, 판체(31)의 타측에 고정볼트(3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불투명판(30); 사각의 판체(41) 일측에 관통홀(42)이 형성되고, 관통홀(42)에 다수의 창살(43)이 형성되며, 판체(41)의 타측에 고정볼트(4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창살판(40); 사각의 판체(51) 일측에 투명부(52)가 형성되고, 판체(51)의 타측에 고정볼트(53)가 고정되되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며,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투명판(50); 사각의 판체(61) 전면 일측에 홈부(62)가 형성되고, 홈부(62)에 삽입되도록 조명박스(63)가 형성되며, 조명박스(63)의 하단이 홈부(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조명박스(63)의 박스전면(63-1)에 다수의 엘이디(64)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엘이디(64)는 조명박스(63)의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기판(65)에 설치되어 전원모듈(66)에 연결되고, 전원모듈(66)은 배터리(67)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며, 판체(61)의 타측에 고정볼트(69)가 고정되되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조명판(6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이 십자프레임(20)의 4곳에 형성된 각각의 홈부(22)를 따라 이동하되 그중 한개가 도어(10)의 사각홀(1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 A door of utility wheel having well lighting and ventilation }
본 발명은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앙의 사각홀에 여러가지 기능을 가진 판체가 위치하게 하여 채광, 투입, 조명 등의 기능을 하도록 한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도어는 공간을 나누는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서, 특히 실내외 실외를 구분하는 현관문의 경우 방범의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관문을 닫으면 일반적으로 외부의 채광이 단절되어 어둡고, 통풍도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채광이란 실내공간에 창문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채광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 받아 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반사판을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직접 채광 방식은 태양광의 입사공간이 적어 실내공간으로의 자연채광이 적게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자연채광이라고 하면 창문을 통하여 채광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통상적인 건축물의 문(도어)은 채광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채광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구성으로 생각되어 오고 있었다. 따라서 도어를 통한 채광은 생각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채광을 원한다면 건축물의 도어를 열어 놓는 방법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겨울철 등 외기의 온도가 낮을 경우, 실내의 온기가 외부로 유출되므로 장시간 도어를 열어 놓아 채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09900930호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편광판을 회전시키면 편광판의 편광 정도에 따라 빛이 차단되는 구조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경우 정밀한 편광판을 이용하여야 하므로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수직 상태를 정확히 맞추어 설치하는 것이 힘들었다.
그리고 도어에 기계장치를 두면 고장났을 경우 수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자연채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그리고 도어에 십자 프레임을 내장하여 4가지 기능판을 선택적으로 십자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어 사각홀에 위치시켜 각각의 기능을 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불투명판 창살판 투명판 조명판의 다양한 기능판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도어가 설치된 곳은 대부분 어두운 곳이므로 비상시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조명을 할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화재시 등을 대비하여 비상용품을 내장한 공간부를 두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체(11)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홀(12)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슬릿홀(13)이 각각 형성되는 도어(10); 십자형태의 프레임(21)이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되고, 프레임(21)의 중앙 부분이 사각홀(12)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프레임(21)의 내측으로 홈부(22)가 형성되는 십자프레임(20); 사각의 판체(31) 일측에 공간부(32)가 형성되고, 공간부(32)가 개폐되도록 개폐문(33)이 설치되며, 판체(31)의 타측에 고정볼트(3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불투명판(30); 사각의 판체(41) 일측에 관통홀(42)이 형성되고, 관통홀(42)에 다수의 창살(43)이 형성되며, 판체(41)의 타측에 고정볼트(4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창살판(40); 사각의 판체(51) 일측에 투명부(52)가 형성되고, 판체(51)의 타측에 고정볼트(53)가 고정되되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며,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투명판(50); 사각의 판체(61) 전면 일측에 홈부(62)가 형성되고, 홈부(62)에 삽입되도록 조명박스(63)가 형성되며, 조명박스(63)의 하단이 홈부(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조명박스(63)의 박스전면(63-1)에 다수의 엘이디(64)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엘이디(64)는 조명박스(63)의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기판(65)에 설치되어 전원모듈(66)에 연결되고, 전원모듈(66)은 배터리(67)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며, 판체(61)의 타측에 고정볼트(69)가 고정되되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조명판(6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이 십자프레임(20)의 4곳에 형성된 각각의 홈부(22)를 따라 이동하되 그중 한개가 도어(10)의 사각홀(1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연채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선택적으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에 내장된 십자 프레임을 따라 움직이는 4가지 기능판이 선택적으로 십자프레임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각각의 기능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불투명판, 창살판, 투명판, 조명판의 다양한 기능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상시에 조명판의 조명과 불투명판에 내장된 물품을 이용해 비상 상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건축물의 도어가 설치된 곳은 대부분 어두운 곳이므로 비상시 내장된 배터리에 의해 조명을 할 수 있게 되며, 화재시 등에 불투명판에 내장된 비상용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불투명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투명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창살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조명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조명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에 사용되는 십자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도어(10)에 형성된 사각홀(12)에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을 선택적으로 위치시켜 각각의 기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어(10)는 판체(11)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홀(12)을 중심으로 사방에 슬릿홀(13)이 각각 형성된다.
도어(10)의 내부에 십자프레임(20)이 내장되어 고정되되, 십자프레임(20)은 십자형태의 프레임(21)이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된다. 십자프레임(20)은 프레임(21)의 중앙 부분이 사각홀(12)에 위치되도록 고정되고, 프레임(21)의 내측으로 홈부(2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따라서 십자프레임(20)의 홈부(22)에 삽입된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이 홈부(22)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불투명판(30)은 사각의 판체(31) 일측에 공간부(32)가 형성되고, 공간부(32)가 개폐되도록 개폐문(33)이 설치된다. 공간부(32)에는 화재시 사용되어야 할 물티슈와 기타 용품 등을 내장하여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다.
불투명판(30)은 판체(31)의 타측에 고정볼트(3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된다. 고정볼트(34)가 슬릿홀(13)의 길이만큼 이동하게 되고, 고정되어야 할 위치에서 고정볼트(34)를 돌리면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불투명판(30)은 평소에 도어(10)의 사각홀(12)에 위치하여 사각홀(12)을 막고 있게 된다. 따라서 사각홀(12)을 막았을 때 이 상태에서 불투명판(30)은 도 1의 슬릿홀(13) 하단에 고정볼트(34)가 위치하게 되어 불투명판(30)이 더 이상 내려오지 않게 된다.
창살판(40)은 사각의 판체(41) 일측에 관통홀(42)이 형성되고, 관통홀(42)에 다수의 창살(43)이 형성되며, 판체(41)의 타측에 고정볼트(4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된다. 고정볼트(44)는 전술한 불투명판(30)의 고정볼트(34)와 마찬가지로 작동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 설명할 고정볼트(53)(69)도 동일한 작동을 하게 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창살판(40)은 사각홀(12)에 위치할 때, 방범창 역할을 하여 사각홀을 통하여 모르는 사람으로 부터 거주자가 보호될 수 있게 된다.
투명판(50)은 채광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어(10)에 형성된 사각홀(12)에 위치시켜 투명판(50)을 통해 빛이 들어오게 한다.
투명판(50)은 사각의 판체(51) 일측에 투명부(52)가 형성되고, 판체(51)의 타측에 고정볼트(53)가 고정되되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된다. 투명판(50) 또한 불투명판(30), 창살판(40)과 같이 십자프레임(20)의 내에서 움직이게 되고, 이동 거리는 슬릿홀(13)의 길이만큼 움직이게 된다.
조명판(60)은 도어(10)에 설치되어 현관의 어두운 곳을 비추어주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비상시에 내장된 건전지에 의해 현관을 조명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조명판(60)은 사각의 판체(61) 전면 일측에 홈부(62)가 형성되고, 홈부(62)에 삽입되도록 조명박스(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명박스(63)의 하단이 홈부(62)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조명박스(63)의 박스전면(63-1)에 다수의 엘이디(64)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엘이디(64)는 조명박스(63)의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기판(65)에 설치되어 전원모듈(66)에 연결되고, 전원모듈(66)은 배터리(67)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배터리(67)는 조명박스(63)의 박스전면(63-1) 일측에 형성된 배터리커버(67-1)를 통해 교환할 수 있다.
그리고 박스전면(63-1)의 다른쪽에 스위치를 형성하여 전원모듈에 연결해 엘이디(64)를 점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엘이디(64)의 점멸에 관련된 기술은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면 되므로 내용 설명을 생략한다.
조명판(60)의 판체(61) 타측에 고정볼트(69)가 고정되되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은 불투명판, 창살판, 투명판 등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이 십자프레임(20)의 사방 4곳에 형성된 각각의 홈부(22)를 따라 이동하되 그중 한개가 도어(10)의 사각홀(1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 기능하게 된다. 사각홀(12)에 아무것도 위치하지 않으면 도어(10)는 그냥 통풍을 위한 기능을 하게 된다.
10 : 도어 11 : 판체
12 : 사각홀 13 : 슬릿홀
20 : 십자프레임 21 : 프레임
22 : 홈부 30 : 불투명판
31 : 판체 32 : 공간부
33 : 개폐문 34 : 고정볼트
40 : 창살판 41 : 판체
42 : 관통홀 43 : 창살
44 : 고정볼트 50 : 투명판
51 : 판체 52 : 투명부
53 : 고정볼트 60 : 조명판
61 : 판체 62 : 홈부
63 : 조명박스 63-1 : 박스전면
64 : 엘이디 65 : 엘이디기판
66 : 전원모듈 67 : 배터리
67-1 : 배터리커버 68 : 손잡이
69 : 고정볼트

Claims (1)

  1. 판체(11)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사각홀(12)이 일측에 형성되고, 사각홀(12)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슬릿홀(13)이 각각 형성되는 도어(10);
    십자형태의 프레임(21)이 도어(10)의 실내측과 실외측 판체(11) 사이에 고정되고, 프레임(21)의 중앙 부분이 사각홀(12)에 위치되도록 고정되며, 프레임(21)의 내측으로 홈부(22)가 형성되는 십자프레임(20);
    사각의 판체(31) 일측에 공간부(32)가 형성되고, 공간부(32)가 개폐되도록 개폐문(33)이 설치되며, 판체(31)의 타측에 고정볼트(3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3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불투명판(30);
    사각의 판체(41) 일측에 관통홀(42)이 형성되고, 관통홀(42)에 다수의 창살(43)이 형성되며, 판체(41)의 타측에 고정볼트(44)가 고정되되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44)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창살판(40);
    사각의 판체(51) 일측에 투명부(52)가 형성되고, 판체(51)의 타측에 고정볼트(53)가 고정되되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며, 고정볼트(53)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투명판(50);
    사각의 판체(61) 전면 일측에 홈부(62)가 형성되고, 홈부(62)에 삽입되도록 조명박스(63)가 형성되며, 조명박스(63)의 하단이 홈부(62)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조명박스(63)의 박스전면(63-1)에 다수의 엘이디(64)가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엘이디(64)는 조명박스(63)의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기판(65)에 설치되어 전원모듈(66)에 연결되고, 전원모듈(66)은 배터리(67)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며, 판체(61)의 타측에 고정볼트(69)가 고정되되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슬릿홀(13)을 따라 움직이게 설치되고, 고정볼트(69)가 도어(10)의 판체(11)에 선택적으로 압착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조명판(60); 으로 구성되고, 상기 불투명판(30), 창살판(40), 투명판(50), 조명판(60)이 십자프레임(20)의 4곳에 형성된 각각의 홈부(22)를 따라 이동하되 그중 한개가 도어(10)의 사각홀(12)에 선택적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KR1020130010752A 2013-01-31 2013-01-31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Expired - Fee Related KR10124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52A KR101241957B1 (ko) 2013-01-31 2013-01-31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52A KR101241957B1 (ko) 2013-01-31 2013-01-31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957B1 true KR101241957B1 (ko) 2013-03-11

Family

ID=4818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7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41957B1 (ko) 2013-01-31 2013-01-31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96B1 (ko) 2013-12-27 2014-03-06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574698B1 (ko) 2015-11-04 2015-12-04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선택적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504A (ja) 2006-12-01 2008-06-1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サンシェード構造
KR100990930B1 (ko) 2010-08-26 2010-11-01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218704B1 (ko) 2012-09-28 2013-01-09 (주)경진건축사사무소 다수의 기능이 있는 기능휠이 구비되어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7504A (ja) 2006-12-01 2008-06-19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サンシェード構造
KR100990930B1 (ko) 2010-08-26 2010-11-01 (주)성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218704B1 (ko) 2012-09-28 2013-01-09 (주)경진건축사사무소 다수의 기능이 있는 기능휠이 구비되어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96B1 (ko) 2013-12-27 2014-03-06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574698B1 (ko) 2015-11-04 2015-12-04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선택적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101693796B1 (ko) * 2016-06-29 2017-01-06 (주)해동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자연채광을 도모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930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TW201629311A (zh) 具有防水觸控鍵盤的鎖
KR101241957B1 (ko)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다기능 도어
KR101162274B1 (ko) 건축물의 투입구 겸용 자연채광이 가능한 도어
KR101272109B1 (ko) 녹화수단을 구비한 센서 조명기구
KR101252016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건축물의 통풍 가능 도어
KR101148814B1 (ko) 자연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구조
KR101217515B1 (ko) 채광과 통풍이 가능한 건축물의 도어
KR20150001902U (ko) 태양집열판과 led모듈이 구성된 실내외 벽돌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101302468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KR20100000917U (ko) 건축물 외장재용 엘이디 멀티 판넬
IT202100003830U1 (it) Segnalatore lampeggiante per la chiusura mobile di un vano di accesso
CN206330053U (zh) 感应灯
KR20100003278U (ko) 바닥재용 엘이디 블록
KR101370396B1 (ko) 통풍과 채광이 가능한 건축물의 현관문
KR20120005554U (ko) 개폐식 검침창을 구비한 전력량계기함
KR200439178Y1 (ko) 조명램프를 갖는 분전반
RU173691U1 (ru) Подсвеч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KR100770971B1 (ko) 기능성 건축용 붙박이 창.
KR102317650B1 (ko) 커튼 조명 장치
KR102651270B1 (ko) 미디어 파사드 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15137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용 프레임
KR20140135363A (ko) 조명등을 구비한 도어록
JP6008526B2 (ja) 開閉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