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40825B1 -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825B1
KR101240825B1 KR1020110127055A KR20110127055A KR101240825B1 KR 101240825 B1 KR101240825 B1 KR 101240825B1 KR 1020110127055 A KR1020110127055 A KR 1020110127055A KR 20110127055 A KR20110127055 A KR 20110127055A KR 101240825 B1 KR101240825 B1 KR 101240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inding
tie
hole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식
Original Assignee
김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식 filed Critical 김호식
Priority to KR1020110127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8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65B13/027Hand-held tools for applying straps having preformed connecting means, e.g. cable 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산업용 장비들의 배선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장비들에 수반되는 케이블 등의 결속대상물을 단정하게 묶어 정리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해제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로 구성된 타이밴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의 일측에는 내부의 통공(16)과 통하는 개방부(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결속대상물의 결속에 사용된 후에 타이밴드를 절단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Reusable tie-band}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각종 산업용 장비들의 배선과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장비들에 수반되는 케이블 등의 결속대상물을 단정하게 묶어 정리할 수 있고, 사용 후에는 해제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을 포함하여 산업 전반에서 결속대상물을 단정하게 정리하고 흩어짐을 방지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하여 타이밴드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타이밴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이밴드(10)는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밴드(10)는 결속대상물을 묶는 밴드부(11)가 하우징부(15)의 통공(16)을 관통하여 묶음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하우징부(15)에 관통된 밴드부(11)의 톱니부(12)가 스토퍼(17)에 걸려져 고정됨으로써, 밴드부(11)를 일방향으로 당겨 조임조작은 가능하나, 반대방향으로 밴드부(11)를 빼내는 조작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묶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칼이나 니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타이밴드(10)를 절단하여야 하므로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종래기술에 의한 타이밴드(10)는 일회성에 한정되어 자원 및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고 다량의 폐기물이 배출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타이밴드(10)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미 견고히 결속작업을 완료하고 난 직후 또는 후에, 예컨대, 결속되어 있는 결속대상물들(미도시)과 관련한 변경 내지 수정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 또한 결속된 밴드를 절단하여 폐기하고 새로운 타이밴드로 필요한 작업을 다시 행할 수 밖에 없다. 즉, 작업자의 실수든 아니든 상관없이 상기와 같은 경우가 빈번히 발생될 수 있기에, 이 또한, 번거로움 및 시간상의 손실과 다량의 폐기물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가 제안된 바 있고, 이의 선행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20687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0687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하우징부의 일측에 내부의 통공과 통하는 개방부를 형성하는 것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에 의해, 신속히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간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반면, 결속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와 더불어 결속상태의 안정성이 미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문제점들은 타이밴드의 잠재 수요자로 하여금 타이밴드의 사용을 꺼리게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재사용이 가능하면서도, 결속 전 또는 후, 결속대상물과 관련한 수정 내지 변경이 자유롭도록 조임 정도의 조절이 용이한 타이밴드가 사용 현장에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결속대상물의 결속이 이루어진 후에 결속력 유지 및 결속상태의 안정성 확보와 함께, 절단하지 않고도 밴드부를 하우징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신속히 결속을 해제시킬 수 있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조임 정도의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편의성을 제공하고, 폐기물 저감 및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간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로 구성된 타이밴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의 일측에는 내부의 통공(16)과 통하는 개방부(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를 제공한다.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가로대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대의 타측에는 한 쌍의 탄성턱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턱 사이에는 밴드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제1개방부(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턱 및/또는 가로대의 모서리에는 모따기 및/또는 모깍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개방부의 간격은 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턱의 일측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이밴드에 따르면 결속대상물의 결속에 사용된 후에 타이밴드를 절단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으므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원 및 비용의 절약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폐기물을 감소시킬 수 있어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탄성턱 및 제2개방부에 의해 톱니부와 스토퍼가 완전히 격리되므로써, 톱니부나 스토퍼의 손상을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며, 조임의 정도를 손쉽게 조절가능한 임시묶음상태 및/또는 대기상태가 제공되어 변경 내지 수정 등의 작업이 얼마든지 반복 가능하므로 타이밴드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폐기물 배출을 대폭 줄여주게 되며, 결속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11)를 하우징부(15)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낭비를 줄이고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구성이 비교적 간결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타이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밴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밴드의 해제과정 또는 수정변경과정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이밴드의 해제대기 또는 결속대기 상태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측단면도;
도 7a는 상기 도 6의 'B'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단면도;
도 7b은 상기 도 6의 'C'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밴드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타이밴드의 결속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되는 밴드부(11)와,
그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로 구성된 타이밴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의 일측에는 내부의 통공(16)과 통하는 개방부(57)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5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된 밴드부(11)와, 그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 외에,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15)의 일측에 내측의 통공(16)과 통하도록 개방된 개방부(57)가 형성된다. 상기 개방부(57)는 제1개방부(55) 및 제2개방부(56)로 구성되고 대략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5)의 일측에 가로대(51)가 구비되고, 그 가로대(51)의 타측에는 한 쌍의 탄성턱(52)이 설치되며, 그 양 탄성턱(52) 사이에는 제1개방부(55)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개방부(55)를 끼고 있는 양 탄성턱(52)과 가로대(51) 사이에 제2개방부(56)가 마련된다.
제1개방부(55)와 제2개방부(56)는 서로 통하도록 개방형성되고, 제1개방부(55) 및 제2개방부(56)는 또한 통공(16)과 상호 통하도록 개방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대(51)는 밴드부(11)에 인장력이 증가할 때 생기는 밴드부(11)의 압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양 탄성턱(52)은 통공(16)을 관통하여 스토퍼(17)와 치합된 밴드부(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상기 가로대(51)와 양 탄성턱(52)은 결속 후, 견고한 결속력과 결속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탄성턱(52)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탄성적 유동에 의해 제1개방부(55)의 간격(t)이 확장되고 복원된다.
상기 제1개방부(55)의 간격(t)은 후술하는 슬릿(58)과 관련하여 밴드부(11)의 두께(e)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제2개방부(56)의 폭(z)은 통공(16)의 폭(q)보다 크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면 밴드부(11)의 진출입에 수월하다.
도 3에서 제2개방부(56)의 폭(z)은 일예로, 통공(16)의 폭(q)보다 큰 하우징부(15)의 양 외측면 사이의 길이(z)를 나타내고 있다.
탄성턱(52)을 포함하여 제2개방부(56)의 구조에서, 도6을 참조하면, 제2개방부(56)에 위치한 밴드부(11)의 기울기(θ)가 과도하게 커지면 밴드부(11)의 진출입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제2개방부(56)에 진입된 밴드부(11)의 기울기(θ)는 통공(16)과 제2개방부(56)가 만나는 접면을 기준하여 일정각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2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58)이 탄성턱(52)의 일측에 구비되되, 슬릿(58)을 양 탄성턱(52)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양 탄성턱(52)의 각각에 구비하는 것이 좋다.
도 2에서는 슬릿(58)이 통공(16)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공(16)과 수평방향 또는 경사지게 설치(미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릿(58)의 형성이 더 포함되므로써 탄성턱(52)의 유동폭이 커져 제1개방부(56)의 간격(t)이 더 확장되어 밴드부(11)를 통과시키기가 보다 수월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1개방부(55)의 간격(t)을 더 작게 할 수 있고, 이는 밴드부(11)에 대한 탄성턱(52)의 억지력이 증가하여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릿(58)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개방부(55)의 간격(t)은 밴드부(11)의 두께(e)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슬릿(58)이 하나도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개방부(55)의 간격(t)은 밴드부(11)의 폭(w)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 도 7a, 도 7b,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를 경사지게 형성하기위해 모따기 및/또는 모깍기 등을 더 형성하여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6의 "B"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B'"로 나타낸 도 7a를 참조하면, 제2개방부(56)를 향하는 양 탄성턱(52)의 각 일측면의 일부에 일예로 모따기와 같은 경사면(52a)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경사면(52a)은 제2개방부(56)를 향하는 양 탄성턱(52)의 각 일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52a)의 형성은 밴드부(11)의 역방향(도5에서 R방향) 진행 시 톱니부(12)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양 탄성턱(52)의 제1개방부(55)와 접하는 모든 모서리들 중, 어느 두 개이상의 모서리는 또한 모따기 및/또는 모깍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8에서는, 통공(16)쪽의 모서리 2개 및 그 반대측 모서리 2개에 대한 탄성턱모따기(52b)를 나타낸다.
탄성턱모따기(52b)가 구비되므로써 밴드부(11)를 통공(16)에서 제2개방부(56)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시키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또한, 도 7b는 도 6의 "C"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부(11)가 꺾이는 부분에 대한 가로대(51)의 모서리는 가로대모따기(51a)처럼 모따기 및/또는 모깍기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턱(52)의 경사면(52a) 및/또는 가로대모따기(51a)의 적절한 형성에 의해 제2개방부(56)에 위치한 밴드부(11)의 기울기(θ) 및 마찰력의 정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57)는, 해제시 또는 결속시, 밴드부(11)의 위치 및 상태변경을 위한 이동통로로 작용한다.
먼저, 해제시를 살펴보면, 통공(16)에서 스토퍼(17)에 의해 치합결속된 상태인 밴드부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에 의해(밴드부를 비틀면서 제1개방부(55)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제1개방부(55)사이로 빠져나오게 한다.), 양 탄성턱(52)사이의 제1개방부(55)를 거쳐 제2개방부(56)로 이동된다.
이로써 제2개방부(56)에 위치한 밴드부(11)는, 도5도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개방부(56)와 탄성턱(52)에 의해서 스토퍼(17)로부터 완전히 격리된다.
따라서 밴드부(11)는 치합에 의한 결속된 상태로부터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상태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2개방부(56)에 위치한 밴드부(11)는 치합해제상태이므로 전후진 어느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에따라, 도5를 참조하면, 제2개방부(56)에 놓인 밴드부(11)는 R방향이든 F방향이든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결속대상물(미도시)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 R방향으로 밴드부(11)를 끝까지 이동시키면 밴드부(11)가 하우징부(15)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므로써 최종해제상태가 되어 결속대상물(미도시)은 밴드부(11)의 구속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결속대상물(미도시)을 해체하고 난 후,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50)는 아무런 손상없이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결속시 결속과정은 2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첫째는,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타이밴드(10)와 마찬가지로서, 밴드부(11)를 결속대상물(미도시)에 감싸서 통공(16)에 삽입 관통시켜 반대측으로 빠져나온 밴드부(11)를 잡아당겨 조이는 것이다.
둘째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밴드부(11)를 결속대상물(미도시)에 감싸서 통공(16)에 삽입시키되, 통공(16)의 전부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고 통공(16)의 일부만을 통과하여 제2개방부(56)로 빠져나오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밴드부(11)를 제2개방부(56)로 인출하기 위해서, 밴드부(11)는 약간 비스듬하게 통공(16)에 삽입(미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개방부(56)에 밴드부(11)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통공(16)에 삽입 관통시켜 반대측으로 빠져나온 밴드부(11)를 제1개방부(55)를 거쳐 제2개방부(56)로 이동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최종 결속을 하기에 앞서, 변경 내지 수정 등의 작업이 예상될 때 결속대상물(미도시)의 묶음을 임시적인 상태나 대기상태로 사용하는 데 둘째방법은 유용하다.
이어서 결속할 준비가 완료되면 제2개방부(56)에 있던 밴드부(11)를 제1개방부(55)를 거쳐 통공(16)으로 이동시키고 조여서 결속시킨다.
임시 또는 대기상태가 가능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특징의 하나로서 도5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제2개방부(56)에 위치한 밴드부(11)는 소정의 각도로 꺾이게 되어 그에따른 마찰력으로 인해 일정 정도의 묶음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결속되어 있는 결속대상물들(미도시)과 관련한 변경 또는 수정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밴드부(11)를 하우징부(15)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도, 밴드부(11)를 제2개방부(56)로 이동시킨 다음, R방향 또는 F방향으로 이동시켜 밴드부(11)의 조임정도를 적절히 조절하여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내지 수정 등의 작업을 마친 후에 제2개방부(56)에 있던 밴드부(11)를 제1개방부(55)를 거쳐 통공(16)으로 이동시키고 조여주면 다시 결속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변경 내지 수정 등의 작업이 얼마든지 반복 가능하므로 타이밴드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폐기물 배출을 대폭 줄여주게 되며, 결속후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11)를 하우징부(15)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간낭비를 줄이고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50)의 결속작업은, 결속대상물(미도시)의 외면에 밴드부(11)를 둘러 감싼 후 그 끝단을 하우징부(15)의 통공(16) 내로 삽입, 관통시킨 후 통공(16)의 출구측으로 빠져나온 밴드부(11)를 잡아당겨 조인다.
이로써, 톱니부(12)가 스토퍼(17)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되면서 결속작업이 완료되고, 이후에는 스토퍼(17)의 고정역할로 인해 결속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결속상태의 봉인이 필요한 경우, 제1개방부(55)를 포함한 양 탄성턱(52)과 그 주변에 별도의 봉인용 스티커를 둘러 싸서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50)를 해제시키기 위해서,
밴드부(11)가 통공(16)을 관통하여 스토퍼(17)와 치합되어 결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11)를 비틀어 양 탄성턱(52) 사이의 제1개방부(55)를 벌리면서 그 벌어진 틈으로 밴드부(11)의 일측을 제2개방부(56)로 조금만 밀어넣으면 밴드부(11)의 나머지마저 손쉽게 제2개방부(56)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단 밴드부(11)가 제2개방부(56)로 이동되면 도 6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밴드부(11)가 스토퍼(17)와는 완전히 격리된다.
그리고 제2개방부(56)로 이동된 밴드부(11)는 소정의 각도로 굴곡이 져 있고, 이로인해 밴드부(11)에 소정의 마찰력이 작용하여 묶여있던 결속대상물(미도시)이 일시에 흩어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어서 제2개방부(56)에 있는 밴드부(11)를 역방향(도5에서 R방향)으로 밀어서 빼내면 최종적인 해제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탄성턱 및 제2개방부에 의해, 밴드부(11)는 스토퍼(17)로부터 완전히 격리된 상태이므로 톱니부(12)와 스토퍼(17)간의 접촉이나 마찰이 전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톱니부(12) 및 스토퍼(17)의 손상을 근원적으로 방지해 준다.
이렇게 해서 원 상태로 복귀된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는 아무런 손상없이 반복해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11 : 밴드부 12 : 톱니부
15 : 하우징부 16 : 통공
17 : 스토퍼 50 :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밴드
51 : 가로대 51a : 가로대모따기
52 : 탄성턱 52a : 경사면
52b : 탄성턱모따기 55 : 제1개방부
56 : 제2개방부 57 : 개방부
58 : 슬릿

Claims (5)

  1. 긴 띠형태이며 일면에 톱니부(12)가 마련되는 밴드부(11)와,
    상기 밴드부(1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스토퍼(17)를 갖는 통공(16)이 형성된 하우징부(15)로 구성된 타이밴드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5)의 일측에는 내부의 통공(16)과 통하는 개방부(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가로대가 구비되고, 상기 가로대의 타측에는 한 쌍의 탄성턱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탄성턱 사이에는 밴드부가 통과될 수 있도록 제1개방부(5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턱 또는 가로대의 모서리에는 각각 모따기 또는 모깍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부의 간격은 밴드부의 폭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턱의 일측에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KR1020110127055A 2011-11-30 2011-11-30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Active KR101240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55A KR101240825B1 (ko) 2011-11-30 2011-11-30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055A KR101240825B1 (ko) 2011-11-30 2011-11-30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825B1 true KR101240825B1 (ko) 2013-03-11

Family

ID=4818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055A Active KR101240825B1 (ko) 2011-11-30 2011-11-30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8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29A (ko) 2015-03-31 2016-10-11 엘에프피(주) 반도체 아이씨 트레이용 고온 사용 가능한 이에스디 기능 벨트
KR20200082524A (ko) * 2018-12-29 2020-07-08 김성훈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141361B1 (ko) 2019-02-08 2020-08-05 이광현 밀봉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38A (ja) * 1992-12-23 1995-03-17 Trw Carr France Snc 合成樹脂製ケーブルタイ
JP2004099063A (ja) 2002-09-05 2004-04-02 Kitagawa Ind Co Ltd バンド式保持具
KR200416248Y1 (ko) 2006-02-09 2006-05-15 강판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한 케이블 타이
JP2007112511A (ja) 2005-08-12 2007-05-10 Panduit Corp 解放可能な直列式ケーブルタ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5238A (ja) * 1992-12-23 1995-03-17 Trw Carr France Snc 合成樹脂製ケーブルタイ
JP2004099063A (ja) 2002-09-05 2004-04-02 Kitagawa Ind Co Ltd バンド式保持具
JP2007112511A (ja) 2005-08-12 2007-05-10 Panduit Corp 解放可能な直列式ケーブルタイ
KR200416248Y1 (ko) 2006-02-09 2006-05-15 강판규 결속 및 해제가 용이한 케이블 타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29A (ko) 2015-03-31 2016-10-11 엘에프피(주) 반도체 아이씨 트레이용 고온 사용 가능한 이에스디 기능 벨트
KR20200082524A (ko) * 2018-12-29 2020-07-08 김성훈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703310B1 (ko) * 2018-12-29 2024-09-04 김성훈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KR102141361B1 (ko) 2019-02-08 2020-08-05 이광현 밀봉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5149B (zh) 可重複使用的束帶
US20150121680A1 (en) Reusable cable tie
JPH0478842B2 (ko)
KR101240825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타이밴드
EP2307778A1 (de) Kunststoffschelle
EP2590283A1 (en) A Tie for Fixing an Article to a Surface
JP2007091295A (ja) 結束具及びその結束用固定具,結束バンド
KR101399742B1 (ko) 케이블 타이
KR200454874Y1 (ko) 케이블타이
KR20170038560A (ko) 케이블 타이
KR200420687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타이
DE602004001775T2 (de) Vorrichtung in einem spannband
KR102703310B1 (ko) 재사용이 용이한 케이블타이
US20110061209A1 (en) Cable tie
KR200340052Y1 (ko) 결속 해제 가능한 케이블타이
JP4291920B2 (ja) 電線等の結束具
JP6166993B2 (ja) 合成樹脂製結束バンド
JP7075184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固定方法
JP2005501782A (ja) ケーブルバンド
KR200467862Y1 (ko) 밴드 케이블
JP2000118554A (ja) 結束具
DE202004017224U1 (de) Vorrichtung zum Bündeln, Umschlingen und Halter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Kabeln
CN216469717U (zh) 一种改进式扎带
DE10200405386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ündeln, Umschlingen und Haltern von Gegenständen, insbesondere Kabeln
JP2017226451A (ja) 再利用可能な結束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