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40760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0760B1
KR101240760B1 KR1020060019037A KR20060019037A KR101240760B1 KR 101240760 B1 KR101240760 B1 KR 101240760B1 KR 1020060019037 A KR1020060019037 A KR 1020060019037A KR 20060019037 A KR20060019037 A KR 20060019037A KR 101240760 B1 KR101240760 B1 KR 10124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waste
unit
housing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266A (ko
Inventor
심용범
모창연
강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
Priority to KR102006001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760B1/ko
Publication of KR2007008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7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 형상의 건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조부의 상단으로 여닫이 가능하게 뚜껑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건조부 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전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하단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분쇄하는 분쇄교반날개가 설치되고, 내주면에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가능한 이송 가이드가 설치된 건조통; 및 상기 건조통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도록 상기 건조통 및 분쇄교반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에 의한 부피 및 무게 감량을 통해 장기간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교반을 통해서 신속한 처리와 운용비용을 절감하게 하며,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되는 장비의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 분쇄, 교반, 이송, 보관, 배출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ood trash contro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 개략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부분 절단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2: 건조부
10: 건조통 11: 힌지부
12: 뚜껑 16: 단열층
20: 분쇄교반날개 30: 이송 가이드
31: 와선형 리브 32: 단차
40: 구동부 41,41-1,41-2: 모터
44: 제1구동축 45: 제2구동축
46: 유성기어 47: 캐리어
50: 히팅부 51: 제1히팅부
52: 제2히팅부 53: 흡입구
54: 블로워팬 55: 공기순환덕트
56: 히터 57: 열풍 배출구
59: 배기덕트 60: 보관부
70: 온습도 센서 80: 온도 센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분쇄하면서 이를 가열하여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탈취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시키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 및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상온에서 쉽게 부패하여 악취를 풍기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수단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비료나 동물의 사료로 사용토록 하는 처리장치들이다.
종래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하거나 분해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물리적으로 압축 또는 분쇄하여 건조 처리하는 방법과, 단순 탈순 처리하는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들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식은 음식의 성상에 대한 제약 및 미생물의 구입, 보관, 및 유지조건 등의 단점이 있으며, 압축 분쇄하여 건조처리하는 방식은 그 실현장치의 기계적 복잡성으로 인하여 제작비용 및 잦은 고장의 단점을 갖고 있고, 열풍건조 방식은 건조통 하부의 미건조되는 부분 및 부피감량이 적은 단점이 있으며, 단순 탈수방식은 그 처리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미립자들이 함께 배출되거나 탈수구조물의 간극들 사이에 잔류됨으로써 새로운 악취의 원인이 되거나 청소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함으로써 부피 감량 및 무게 감량을 통해 장기 위생보관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시킴으로써 신속한 처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운전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뼈 등과 같은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배출 이송에 의한 고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통 형상의 건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조부의 상단으로 여닫이 가능하게 뚜껑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건조부 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전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하단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분쇄하는 분쇄교반날개가 설치되고, 내주면에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가능한 이송 가 이드가 설치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도록 상기 건조통 및 분쇄교반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략적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부분 절단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상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구동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서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건조통(10)를 포함한다. 건조통(1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시키는 분쇄교반날개(20)와,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 가이드(30)가 설치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기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40)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히팅부(50)를 포함하며, 나아가 건조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어 보관되는 보관부(60)를 포함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1)은 내부에 건조통(10)을 수납가능하게 구성된다. 하우징(1)은 건조통(10)이 수납되는 건조부(2)를 구비하며, 건조부(2)는 전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건조부(2)에 장착되는 건조통(10)이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건조부(2)의 상면에는 뚜껑(12)이 구비되며, 상기 뚜껑(12)은 하우징(1)의 외벽(3)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부(11)의 의해 하방으로 여닫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뚜껑(12)은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를 형성한다.
하우징(1)의 외벽에는 단열층(16)이 형성되어 하술될 히팅부(50)에 의해 형성된 열에너지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열효율 향상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의 건조부(2) 전면 내측 하방측벽에는 지지롤러(4)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건조부(2) 내부에 장착되는 건조통(10)의 회전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통(10)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단면적을 증가시키고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가이드(30)에 의해 보관부(60)로 배출가능하도록 소정 각도로 기울어져 하우징(1)의 건조부(2) 내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건조통(10)이 장착된 상태에서 뚜껑(1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거나, 건조통(10)을 하우징(1)으로부터 분리한 후에 건조통(10)에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공급한 후 다시 하우징(1)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뚜껑(12)은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구인 동시에 건조통(10)의 설치구의 기능을 한다. 건조통(1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회전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가이드(30)를 통한 이송이 가능하고 중력에 의해 분쇄교반날개가 설치된 하면을 향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건조통(10)의 내부 바닥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교반하기 위한 분쇄교반날개(20)가 설치되며, 내주면에는 이송 가이드(30)가 구비된다.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는 건조부(2) 하면에 형성된 구동축을 통해 구동부(40)에 의해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분쇄교반날개(20)는 상단부(22)와 하단부(24)로 2단 절곡되게 이루어져 하단부(24)는 건조통(10)의 하부와 내측면의 전단력에 의해 그리고 상단부(22)는 내측면 분쇄날개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하도록 하면서, 상단부(22)와 하단부(24)의 높이 차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이 활성화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송 가이드(30)는 건조통(10)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하고, 건조통(10)의 내외부로 이송 및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송 가이드(30)는 건조통(10)의 내주면 하부에서 상부로 와선형으로 연장된 리브(31)로 이루어지며, 와선형 리브(31)에는 소정 간격으로 단차(32)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와선형 리브(31)는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일정량의 단차(32)를 가짐으로써 건조통(10)의 역방향 구동시 와선형 리브(31)를 따라 이송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 바닥면으로 역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통(1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건조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한다. 건조통(10)의 정방향 구동시에는 음식물 쓰레기는 와선형 리브(31)를 따라 건조통(10) 내부로 이송되며 건조통 하부(10)에서 고르게 교반된다. 역방향 구 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배출모드에서 음식물 쓰레기는 와선형 리브(31)를 따라 이송되어 뚜껑(12)과 갭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보관부(60)로 배출되어 보관된다.
보관부(60)는 통으로 이루어지고, 건조통(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 가이드(30)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고 보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데, 건조부(2)의 전면측의 하방측벽은 뚜껑(12)과의 사이에 일정한 갭(g)이 형성될 수 있도록 뚜껑(12)과 접하는 전면 상방측벽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건조통(10) 내부에서 이송 가이드(30)에 의해 상방으로 이송된 음식물쓰레기가 뚜껑(12)과의 사이의 갭(g)을 통해 하부로 탈락하여 보관부(60)에 수납될 수 있다. 보관부(60)은 뚜껑(12) 하부로 하우징(1)에 형성된 전면 커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동부(40)는 구동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도록 건조통(10) 및 분쇄교반날개(20)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며, 건조통(10) 본체와 분쇄교반날개(20)가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1)의 건조부(2) 바닥면에는 건조통(1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1구동축(44)과 분쇄교반날개(20)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축(45)이 홀(9)을 통해 노출되어 있으며, 각각이 건조통(10) 본체에 형성된 축 및 분쇄교반날개(20)의 축과 연결된다. 분쇄교반날개(20)의 축은 건조통(10) 본체에 의해 자유롭게 지지되며, 제1구동축(44) 및 제2구동축(45)에 의해 건조통(10) 및 분쇄교반날개(20)가 서로 상이한 회전속도 및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40)는 구동 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에 회전축에 축설된 전달풀리(42a)에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풀리(42b)와, 상기 구동풀리(42b)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43)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기어와, 유성기어(46)를 포함한다. 구동풀리(42b) 및 구동풀리(42b)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43)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기어장치는 감속 및 동력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기어(43)는 기어장치를 통해 유성기어(46)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유성기어(46)에 연결된 제1구동축(44) 및 제2구동축(45)이 건조통 본체 및 분쇄교반날개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한다.
유성기어(46)의 선기어(미도시, 도 6 에서 캐리어(47)의 하부에 위치하고 피니언 기어(48-2)와 치합되어 있음)에는 제2구동축(45)이 연결되어 분쇄교반날개(20)를 회전시키고, 선기어의 외주면 및 링기어(48-1)의 내주면에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8-2)에 연결된 캐리어(47)에는 제1구동축(44)이 연결되어 건조통(10)을 회전시키다. 즉, 유성기어(46)에 의해 건조통(20)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44)을 제2구동축(45)에 비해 감속회전시켜 상기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가 서로 상이한 회전속도로 회전되게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40)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통(10)을 구동시키는 제1 모터(41-1)와, 분쇄교반날개(20)를 구동시키는 제2 모터(41-2)를 별도로 구비하여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되게 구성할 수 있다.
구동부(40)에 의해 상기 건조통(10) 및 분쇄교반날개(20)는 서로 상이한 속도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히팅부(50)는 건조통(20) 내부에서 분쇄 및 교반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하도록 구성된다. 히팅부(50)는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통(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제1히팅부(51)와, 상기 건조통(10)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제2히팅부(52)로 이루어진다.
제1히팅부(51)는 건조통(10) 내부를 순환하는 공기유동경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하우징(1)의 건조부(2) 외벽에 형성된 흡입구(5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풍배출구(57)를 통해 배출하여 다시 건조통(10) 유도하는 공기순환덕트(55)를 포함한다. 흡입구(53)는 하우징의 외벽에 연통되어 형성되고, 열풍배출구는 뚜껑(12)의 중심부에 건조통(10) 내부로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연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공기순환덕트(55)는 하우징(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된 부분(55-1)과, 뚜껑(12)의 상면을 따라 연장된 부분(55-2)으로 이루어지며, 뚜껑(12)이 닫혀진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어 공기가 소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기순환덕트(55)에는 흡입구(53)에 인접하여 블로워팬(54)이 설치되고, 그 후측으로 배기덕트(59)가 연통형성된다. 따라서 블로워팬(54)이 구동하면서 공기는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되어 공기순환덕트(55)를 따라 열풍배출구(57)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 데, 배기덕트(59)가 연통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로워팬(54)의 송풍압에 의해 일부의 공기는 배기덕트(59)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는 공기순환덕트(55)를 따라 순환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순환덕트(55)에는 배기덕트(59)의 연통 위치 후측으로 히터(56)가 설치되어 열풍배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배기덕트(59)는 플렉시블 호스 등을 통해 실외로 연결되어 건조통(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가 된다. 블로워팬(54)에 의한 강제송풍압으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의 공기 중 일부가 악취와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틈새를 통해 내부로 공기의 유입은 이루어지지만, 배기덕트(59) 외의 다른 부분으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내부의 악취가 장치 외부로 스며나가 실내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용량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덕트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내부에는 부압이 형성될 수 있도록 덕트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56)에 의해 재가열된 공기는 뚜껑에 형성된 열풍배출구(57)를 통해 건조통(10)의 상면에서 송풍압에 의해 내부로 불어 넣어지게 되는 데, 건조통(10) 내부에서 분쇄 및 교반되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열풍배출구(57)를 통해 불어 넣어진 가열 공기는 건조통(10)의 내면을 따라 외부로 유동하여 건조부(2)와 건조통(10) 사이를 유동한 후 다시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된다.
제2히팅부(52)는 하우징(1)의 건조부(2) 바닥면에 설치되어 건조통(10)의 하부로 열을 제공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하부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건조통(10)의 하면에는 상대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집중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제1히팅부(51)에 의해 제공되는 가열 공기에 의한 건조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이러한 부분을 제2히팅부(52)의 의한 건조통(10) 하면의 직접 가열로 보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효율을 상승시키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온습도 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온습도 센서(70)는 공기순환덕트(55)에 연결된 배기덕트(59) 입구에 설치되어 공기를 센싱함으로써 건조통(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감지한다. 이를 통해 제1히팅부(51)와 제2히팅부(52)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블로워팬(54)의 풍량을 조절하여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킨다. 건조통(1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제1히팅부(51) 및 제2히팅부(52) 및 블로워팬(54) 작동을 제어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완료를 판단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온도 센서(80)는 제2히팅부(52)의 가열 내벽에 설치되어 가열내벽의 온도를 센싱하여 제2히팅부(52)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과열 방지 및 건조 성능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 매커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뚜껑(12)을 통해 건조통(10)에 투입되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건조통(10)이 하우징(1)의 건조부(2)에 장착된다.
삭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 및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건조통(10) 및 분쇄교반날개(20)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를 구동하면서, 상기 제1히팅부(5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표면으로 유동하게 하고, 상기 제2히팅부(52)에 의해 건조통(10) 하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직접 가열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순환공기와 음식물 쓰레기 수증기 분압차를 증대시켜 건조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분쇄교반날개(20)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킴으로써 음식물 내부의 유동을 증대시켜 음식물 쓰레기로 열에너지 전달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면서, 모든 음식물 쓰레기에 균일하게 열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40)를 통해 건조통(10)과 분쇄교반날개(20)를 다른 속도 로 회전시킴으로써 건조통(1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의 상하유동을 극대화하도록 하여서 더욱 효과적으로 분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교반/분쇄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 매커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교반/분쇄 및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가 용이하게 배출가능하도록 건조통(10)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설치되며, 상기 와선형 리브(31)를 건조통(10)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기울기로 설치되도록 하여 와선형 리브(31)의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가 음의 방향으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의 안식각보다 크게 함으로써 전면으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와선형 리브(31)에 소정의 간격으로 단차(32)를 형성시킴으로써 후방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이 더욱 잘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쇄교반날개(20)를 건조통(10)보다 빠르게 회전시킴으로써 건조통(10) 하부에 있는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와선형 리브(31)를 통해 이송시키며, 상기 와선형 리브(31)를 통해 보관부(60)로 배출되게 한다.
보관부(60)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의 추가 건조를 위해 보관부(60)에 내부를 가열하는 히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보관부(60)에 수납된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보관부(60)와 함께 전면 커버(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반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 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부피 감량 및 무게 감량을 통해 장기 위생보관이 가능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교반시킴으로써 신속한 처리 및 운전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뼈와 같은 단단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배출 이송에 의한 고장 문제가 해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는 소비자가 편리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무게 감량에 의한 쓰레기 사후 처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열풍에 의한 상부 가열과 히터열의 전도에 의한 하부 가열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함으로써 건조의 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5)

  1. 통 형상의 건조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조부의 상단으로 여닫이 가능하게 뚜껑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건조부 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전면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하단부에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면서 분쇄하는 분쇄교반날개가 설치되고, 내주면에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가능한 이송 가이드가 설치된 건조통;
    상기 건조통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 및 분쇄되도록 상기 건조통 및 분쇄교반날개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기어와 상기 회전기어에 연결되는 유성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기어는 중심에 위치한 선기어와, 외주측에 위치하는 링기어 및 상기 링기어 내측으로 상기 링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치합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에 결합된 캐리어를 구비하되,
    상기 건조통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축과 상기 분쇄교반날개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축이 각각 유성기어의 선기어 및 캐리어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통과 상기 분쇄교반날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가이드는 상기 건조통의 내측면 상부에서 하부로 와선 형상으로 형성된 와선형 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선형 리브에는 소정 간격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교반날개는, 상단부 및 하단부의 2단 절곡 형상을 가져 상단부 및 하단부가 높이 차이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교반날개와 상기 건조통 본체는 서로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하우징의 건조부의 외벽으로 관통 형성된 흡입구와 상기 뚜껑의 상면에 형성되어 건조통 내부로 가열공기를 불어내는 열풍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순환덕트;
    상기 공기순환덕트에 상기 흡입구에 인접 설치되어 상기 열풍배출구를 향한 공기 흐름을 일으키는 강제 송풍압을 제공하는 블로워팬; 및
    상기 공기순환덕트에 설치되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1히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덕트(55)에는 블로워팬(54)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일부 배출되는 배기덕트(59)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 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덕트에 연통된 상기 배기덕트의 입구에는 건조통 내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습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팬에 의해 공기순환덕트의 공기 중 일부가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될 때,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하우징에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3.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는,
    상기 하우징의 건조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통의 하부를 가열하는 제2히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히팅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가열 내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건조부의 전단 하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건조통의 이송 가이드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납하는 보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부의 전단 하방측벽은 상기 뚜껑과 밀착되는 전단 상방측벽 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상기 건조통에 의해 이송되어진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뚜껑과 상기 건조통 사이의 갭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60019037A 2006-02-28 2006-02-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ctive KR101240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37A KR101240760B1 (ko) 2006-02-28 2006-02-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9037A KR101240760B1 (ko) 2006-02-28 2006-02-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66A KR20070089266A (ko) 2007-08-31
KR101240760B1 true KR101240760B1 (ko) 2013-03-07

Family

ID=38614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037A Active KR101240760B1 (ko) 2006-02-28 2006-02-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5250A (zh) * 2016-03-10 2017-09-19 J·C·高 食物废弃物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194B1 (ko) * 2008-10-30 2011-02-22 이윤종 자동차의 연료 저감 장치
KR100928519B1 (ko) * 2009-02-02 2009-11-26 (주)조은티이씨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WO2011115322A1 (ko) * 2010-03-19 2011-09-22 주식회사 경동정밀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CN110292978B (zh) * 2018-03-23 2024-05-03 张掖市农业科学研究院 一种粉碎机
CN117490367B (zh) * 2023-12-29 2024-03-08 河北沛然世纪生物食品有限公司 一种用于枣碎加工的烘干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811A (ja) * 1998-02-27 1999-09-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生ゴミ処理機
KR200157041Y1 (ko) 1995-09-13 1999-09-15 진병규 잔반 처리장치
JP2005305326A (ja) * 2004-04-22 2005-11-04 Shizuoka Seiki Co Ltd 厨芥処理装置
KR100529025B1 (ko) 2003-11-17 2005-11-16 최동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041Y1 (ko) 1995-09-13 1999-09-15 진병규 잔반 처리장치
JPH11244811A (ja) * 1998-02-27 1999-09-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生ゴミ処理機
KR100529025B1 (ko) 2003-11-17 2005-11-16 최동각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5305326A (ja) * 2004-04-22 2005-11-04 Shizuoka Seiki Co Ltd 厨芥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5250A (zh) * 2016-03-10 2017-09-19 J·C·高 食物废弃物处理设备
KR20170106160A (ko) * 2016-03-10 2017-09-20 제임스 천 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79255B1 (ko) * 2016-03-10 2018-07-17 제임스 천 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266A (ko) 200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1318B2 (ja) マイクロ波回転乾燥機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71381A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06010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6255550A (ja) 生ごみ乾燥処理機
KR100903744B1 (ko) 배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JP200017639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21949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1056178A (ja) マイクロ波乾燥機
JP3581872B2 (ja) 生ゴミ処理機
JP2001033158A (ja) バッチ式回転乾燥機
KR101207207B1 (ko) 음식폐기물 복합처리장치
JPH08136129A (ja) 含水物乾燥処理装置
JP4056667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4016899A (ja) 発酵処理装置
KR10157885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90073390A (ko) 도어 배출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의 건조로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KR100831951B1 (ko) 음식물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200420419Y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처리장치
JP2003024910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1578853B1 (ko) 음식물 처리장치
CN219551057U (zh) 一种动物血粉生产加工用烘干装置
CN212633822U (zh) 一种用于将厨余转换为生化有机物的处理装置
KR0123213Y1 (ko) 잔반 건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112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