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247762B1 -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7762B1
KR101247762B1 KR1020110017073A KR20110017073A KR101247762B1 KR 101247762 B1 KR101247762 B1 KR 101247762B1 KR 1020110017073 A KR1020110017073 A KR 1020110017073A KR 20110017073 A KR20110017073 A KR 20110017073A KR 101247762 B1 KR101247762 B1 KR 101247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ip
waste heat
engine
suppli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704A (ko
Inventor
이승재
박건일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7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7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8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air bubbles or air layers gas filled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ercharger (AREA)

Abstract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는 선박에 구비되고,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터보차저와; 상기 터보차저를 통해 공급된 배기가스와, 작동 유체(Working Fluid)를 공급받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열교환된 작동 유체(Working Fluid)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과 동축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터빈에 의해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공기 압축부와; 상기 공기 압축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선박의 선저를 향해 공급가능하게 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Waste Heat Recycling System for Ship Resistance Re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의 폐열을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발생시켜서 선박의 운항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 저항을 감소시킨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환경, 에너지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모든 나라에서 이슈가 되고 있으며, 환경 에너지 산업은 21세기에 가장 각광받는 유망산업으로 기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랭킨 사이클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의 경우에는 작동유체로 물을 사용하여 고온의 열원에 대해서는 효율적인 작동 유체이나, 열원 온도가 중저온(70~400)일 경우에는 시스템의 효율이 저하되면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박과 같이 엔진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그대로 배출시키지않고, 효율적으로 재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종래 선박의 폐열회수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엔진(2)에서 발생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이코노마이저(3)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이코노마이저(3)에서는 고온의 스팀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코노마이저(3)를 경유한 배기가스의 온도는 여전히 수 백도에 이르는 고온 상태이므로 터빈(4)으로 공급되어 제너레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는 콘덴서(5)를 통해 응축된 응축수 중의 일부가 펌프(6)에 의해 상기 이코노마이저(3)로 재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2)은 냉각을 위해 쿨러유닛(7)이 상기 엔진(2)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해수를 이용하여 쿨러유닛(7)의 냉각과 상기 콘덴서(5)의 냉각을 도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종래의 폐열회수 시스템을 통해 엔진(2)에서 발생된 고온의 배기 가스가 갖는 폐열을 이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이에 대한 기술적 대응 방안이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선박의 운항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압축공기가 필요한 공급원에 공급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에 구비되고,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터보차저와; 상기 터보차저를 통해 공급된 배기가스와, 작동 유체(Working Fluid)를 공급받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열교환된 작동 유체(Working Fluid)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과; 상기 터빈과 동축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터빈에 의해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공기 압축부와; 상기 공기 압축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선박의 선저를 향해 공급가능하게 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분당 회전수와 선박의 항해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선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공기 압축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 탱크와; 상기 에어 탱크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선박의 선저를 향해 분사 가능하게 하는 분사기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압축부는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덕트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 유닛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Fa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은 제어부에 의해 분당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는 상기 선박의 선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유체는, 유기혼합물(Organic Compound)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박의 폐열을 재사용하고, 상기 선박의 이동에 따라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엔진의 작동 상태와 비례하여 선저로 배출되는 압축 공기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적은 비용으로, 엔진의 폐열 회수와, 선박의 이동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선박의 폐열 회수 시스템을 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제어부 및 제어부와 연계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엔진의 분당 회전수에 따른 조절 밸브의 개도량의 비례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작동 순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에는 추진을 위한 엔진(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엔진(2)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는 터보차저(100)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가스는 터보차저(100)에 구비된 블레이드(미도시)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터보차저(100)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터보차저(100)로 공급된 배기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스 중의 일부는 이코노마이저(10)로 공급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나머지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상기 엔진(2)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와, 작동 유체가 공급되어 서로 간에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는 유기 냉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냉매는 유기혼합물(organic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 냉매를 사용하는 작동 유체는 비교적 저열원(400℃ 이하)을 이용하여 터빈(300)을 가동시키기 위한 유체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는 비등점이 낮아 저온에서도 기화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터빈(300) 내부에서 증기 상태로 블레이드를 회전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작동 유체는 주로 프레온(freon) 계열의 냉매와, 프로판(propane) 등의 탄화수소계(hydro carbon series)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엔진(2)은 주위에 쿨러(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쿨러(40)는 후술할 복열기(20)를 통해 열교환된 작동 유체를 통해 공급된 가열 공기를 공급받아 엔진(2)으로 공급시킬 수 있다.
상기 쿨러(40)는 터보차저(100)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소정의 온도로 하강시켜 엔진(2)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엔진(2) 주위에는 상기 쿨러(40)와 함께 오일 쿨러(42)와 자켓쿨러(4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오일 쿨러(42)는 엔진 오일 또는 미션 오일과 같은 오일류의 냉각을 도모하고, 자켓쿨러(44)는 엔진(2)에 구비된 자켓 내부로 공급되는 오일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다.
작동 유체는 터빈(300)을 경유하여 복열기(recuperator)(2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복열기(20)에서는 터빈(300)을 경유한 고온의 작동유체가 공급되고, 상기 작동유체는 복열기(20)를 경유하여 콘덴서(30)로 이동되며, 상기 콘덴서(30)에서는 펌프(32)에 의해 공급된 해수에 의해 상기 작동유체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콘덴서(30)를 통과하여 펌프(33)에 의해 펌핑된 저온의 작동유체는, 상기 터빈(300)을 경유한 고온의 작동 유체와 상기 복열기(20)에서 열교환을 통해 소정의 온도로 상승되어 상기 쿨러(40)로 이동되거나, 상기 오일쿨러(42) 및 상기 자켓쿨러(44) 중의 어느 하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압축부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압축부(400)는 터빈(300)에 구비된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며, 소정의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압축부(400)는 용량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상기 터빈(300)의 회전과 연동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소정의 용량(HP)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기 압축부(40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용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선박의 크기 및 상기 터빈(300)의 용량에 따라서 상기 공기 압축부(400)의 용량도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압축부(400)에는 공기 압축을 위해 스크류 타입 또는 터보 타입의 압축부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류 타입의 공기 압축부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케이싱 내부에 스크류가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고압의 압축 공기가 발생되는 방식이고, 상기 터보 타입의 공기 압축부는 케이싱 내부에 배치된 터보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공기도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압축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말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압축부(400)는 덕트 유닛(410)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덕트 유닛(410)은 일단이 선박에 구비된 상부갑판의 외측으로 연장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기 압축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 유닛(410)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41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팬(412)은 1개 또는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 공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공기 공급부(500)는 상기 공기 압축부(400)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 탱크(5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탱크(510)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선박의 선저를 향해 분사 가능하게 하는 분사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탱크(51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분사기(52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조절 밸브(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520)는 선박의 선수측의 라운드진 굴곡을 따라 좌, 우 양측으로 각각 연장 배치된 분사노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520)는 해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기(미도시)를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에 대해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앞서 설명한 공기 압축부(400)의 작동 상태와, 에어 탱크(510)에 분사기(520)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량 및 팬(412)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엔진(2)의 작동 상태에 따라 상기 압축 공기량과 팬(412)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엔진(2)의 작동 상태 및 운항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아 에어 탱크(510)와 팬(412)의 작동 상태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탱크(512)는 조절 밸브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온/오프 및 개도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2)의 분당 회전수가 저속에서 고속으로 변화될 경우에는, 상기 조절 밸브를 통해 다량의 압축 공기가 공급되도록 개도량을 풀 오픈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상기 엔진(2)의 분당 회전수가 고속에서 저속으로 변화될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경우와는 다르게 개도량이 클로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2)의 분당 회전수와 비례하여 상기 조절 밸브의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엔진(2)의 분당 회전수를 저 알피엠에서부터 고 알피엠까지 세분화하고, 상기 세분화된 분당 회전수에 비례하여 조절 밸브의 개도량에 대해 미리 맵핑(mapping)을 실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엔진(2)의 분당 회전수 변화에 따른 조절 밸브의 개도량이 안정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팬(412)은 공기 압축부(400)에 항시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항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2)의 분당 회전수 변화량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분당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팬(412)은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팬은 모두 제어부(600)에 의해 분당 회전수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팬(412)은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 다수개로 구성하는 것보다는 최소한의 갯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덕트 유닛(410)은 최소한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박이 운항 되면서 엔진(2)이 작동되고, 상기 엔진(2)에서 240℃ 내지 250℃의 온도 범위를 갖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터보차저(100)로 공급된다.
상기 터보차저(100)는 배기가스와 외부 공기가 동시에 공급되고, 상기 배기가스 중의 일부는 이코노마이저(10)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열교환기(200)로 공급된다.
상기 열교환기(200)는 배기가스에 의해 작동 유체가 소정의 온도로 상승 되면서 상기 작동 유체를 가열할 수 있다.
작동 유체는 터빈(300)으로 공급되고, 블레이드(미도시)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 사용되면서 상기 터빈(300)의 작동을 도모한다.
상기 작동 유체는 상기 터빈(300)을 경유한 후에 고온 상태로 복열기(20)로 이동되고, 상기 작동유체는 복열기(20)를 경유하여 콘덴서(30)로 이동되며, 상기 콘덴서(30)에서는 펌프(32)에 의해 공급된 해수에 의해 상기 작동유체의 냉각이 이루어진 후에, 터빈(300)을 경유한 고온의 작동 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소정의 온도로 상승되어 상기 쿨러(40), 상기 오일 쿨러(42) 및 상기 자켓쿨러(44)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동된다.
상기 엔진(2) 주위에 배치된 오일 쿨러(42)는 상기 엔진(2)에 주입된 오일의 냉각을 도모하고, 자켓쿨러(44)는 엔진(2)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자켓(Jacket)의 내부를 따라 순환되면서 엔진(2)의 과열을 방지한다.
상기 오일 쿨러(42)와 자켓쿨러(44)를 경유한 작동 유체는 쿨러(40)에서 배출된 작동 유체와 혼합되어 열교환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엔진(2)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동안 위에서 설명된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터빈(300)은 공기 압축부(400)와 동축으로 샤프트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터빈(300)의 작동과 함께 압축 공기가 발생된다.
제어부(600)는 선박에 구비된 엔진(2)이 작동(ST10)되면, 상기 엔진의 분당 회전수 상태를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엔진(2)이 고 알피엠 상태로 작동(ST20)될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작동 상태에 비례하여 공기 압축부(4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팬(412)의 분당 회전수가 증가(ST32)되도록, 상기 팬(4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팬(412)은 제어부(600)에 의해 외부 공기를 다량 흡입하여, 덕트 유닛(410)을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공기 압축부(400)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고압의 압축 공기를 발생(ST42)시킨다.
상기 압축공기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에어 탱크(510)로 이동 공급되고, 제어부(600)는 상기 에어 탱크(510)의 압력 상태에 대해 별도로 구비된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제어부(600)는 상기 엔진(2)이 고 알피엠으로 작동될 경우에는, 분사기(5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이 증가되도록 조절 밸브(미도시)의 개도량이 제어되도록 제어(ST52)하여, 상기 분사기(520)를 통해 압축 공기가 선저를 통해 배출되도록 제어(ST62)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분사기(520)에서는 다량의 압축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공급되면서, 선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해수와 선저의 직접적인 마찰 발생을 감소시켜서, 상기 선박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0)는 선박에 구비된 엔진(2)이 작동(ST10)되면, 상기 엔진의 분당 회전수 상태를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엔진(2)이 저 알피엠 상태로 작동(ST20)될 경우에는 상기 엔진(2)의 작동 상태에 비례하여 공기 압축부(40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팬(412)의 분당 회전수가 유지 또는 감소(ST34) 되도록, 상기 팬(412)에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팬(412)은 제어부(600)에 의해 분당회전수가 유지 또는 감소되면서, 흡입되는 외부 공기량 또한 유지 또는 감소된다.
상기 팬(412)의 작동에 따라 흡입된 외부 공기는 덕트 유닛(410)을 통해 이동되고, 공기 압축부(400)는 외부 공기를 공급받아 고압의 압축 공기를 발생(ST44)시킨다.
상기 압축공기는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에어 탱크(510)로 이동 공급되고, 제어부(600)는 상기 에어 탱크(510)의 압력 상태에 대해 별도로 구비된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제어부(600)는 상기 엔진(2)이 저 알피엠으로 작동될 경우에는, 분사기(52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이 유지 또는 감소 되도록, 조절 밸브(미도시)의 개도량을 제어(ST54)하여, 상기 분사기(520)를 통해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양이 선저를 통해 유지 또는 감소된 상태로 배출되도록 제어(ST64)한다.
상기 분사기(520)에서는 압축 공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공급되면서, 선저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층은 해수와 선저의 직접적인 마찰 발생을 감소시켜서, 상기 선박의 이동 속도가 증가될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선박에 구비된 엔진(2)에서 버려지는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이동에 따른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운항이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 엔진
100 : 터보차저
200 : 열교환기
300 : 터빈
400 : 압축부
410 : 덕트유닛
412 : 팬
500 : 공기 공급부
510 : 에어 탱크
520 : 분사기
600 : 제어부

Claims (7)

  1. 선박에 구비되고,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에 의해 작동되는 터보차저;
    상기 터보차저를 통해 공급된 배기가스와, 작동 유체(Working Fluid)를 공급받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열교환된 작동 유체(Working Fluid)에 의해 구동되는 터빈;
    상기 터빈과 동축에 연결 배치되고, 상기 터빈에 의해 압축공기가 발생되는 공기 압축부;
    상기 공기 압축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선박의 선저를 향해 공급가능하게 하는 공기 공급부; 및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엔진의 분당 회전수와 선박의 항해 속도에 따라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선저로 배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공기 압축부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 탱크;
    상기 에어 탱크에서 압축된 공기를 공급받아, 선박의 선저를 향해 분사 가능하게 하는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부는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덕트 유닛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유닛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팬(Fan)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은 제어부에 의해 분당회전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상기 선박의 선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유체는, 유기혼합물(Organic Compound)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KR1020110017073A 2011-02-25 2011-02-25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Active KR101247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073A KR101247762B1 (ko) 2011-02-25 2011-02-25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073A KR101247762B1 (ko) 2011-02-25 2011-02-25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04A KR20120097704A (ko) 2012-09-05
KR101247762B1 true KR101247762B1 (ko) 2013-03-25

Family

ID=4710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073A Active KR101247762B1 (ko) 2011-02-25 2011-02-25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159B1 (ko) * 2012-10-12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KR101444157B1 (ko) * 2012-10-12 2014-09-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폐열회수장치
KR101400022B1 (ko) * 2012-10-25 2014-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폐열 회수 장치
CN103016349A (zh) * 2012-12-21 2013-04-03 洛阳蓝海实业有限公司 一种空压机余热回收利用节能装置
KR101379432B1 (ko) * 2013-02-28 2014-04-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엔진 폐열 회수장치
KR102117381B1 (ko) * 2014-01-24 2020-06-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기냉매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의 에너지 절감 장치
KR101588679B1 (ko) * 2014-03-21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저항 감소장치
KR102016415B1 (ko) * 2018-03-09 2019-08-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축 공기 생성 장치
KR102095311B1 (ko) * 2018-06-11 202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압축 공기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276A (ja) 1999-09-28 2001-04-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摩擦抵抗低減船およびその設計方法並びに摩擦抵抗低減船の運行方法
JP2003252294A (ja) 2002-03-05 2003-09-10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ハイブリッド型舶用推進装置
JP2010023631A (ja) 2008-07-17 2010-02-04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噴出気体供給方法及び噴出気体制御装置
KR20110010602A (ko) * 2008-04-01 2011-02-01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선박의 마찰 저항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7276A (ja) 1999-09-28 2001-04-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摩擦抵抗低減船およびその設計方法並びに摩擦抵抗低減船の運行方法
JP2003252294A (ja) 2002-03-05 2003-09-10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ハイブリッド型舶用推進装置
KR20110010602A (ko) * 2008-04-01 2011-02-01 내셔널 매리타임 리서치 인스티튜트 선박의 마찰 저항 저감 장치
JP2010023631A (ja) 2008-07-17 2010-02-04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船舶の噴出気体供給方法及び噴出気体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704A (ko)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762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저항 감소 장치
CN101107425B (zh) 用于利用废热产生电力的方法和设备
US104729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a working fluid at an inlet of a pressurization device of a heat engine system
KR101310963B1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장치
EP36311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a working fluid at an inlet of a pressurization device of a heat engine system
KR101886080B1 (ko) 차량의 폐열 회수시스템
JP6489856B2 (ja) 排熱回収装置、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排熱回収方法
WO2013059687A1 (en) Heat engine and heat to electricity systems and methods with working fluid mass management control
CN105156163A (zh) 波动热源余热利用有机朗肯循环系统
JP2009085044A (ja) 圧縮機およ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814878B1 (ko) 선박 추진 시스템 및 선박 및 선박 추진 시스템의 운전 방법
CN103939215A (zh) 利用燃气轮机余热的有机朗肯循环发电装置
JP5527513B2 (ja) 流体機械駆動システム
US20140318131A1 (en) Heat sources for thermal cycles
JP5951593B2 (ja) 排熱回収装置、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排熱回収方法
KR20170135066A (ko)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JP2016160868A (ja) 低温熱回収システム
KR20140065289A (ko) 폐열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200456118Y1 (ko) 온도차를 이용한 발전장치를 장착한 에너지절약형 선박
JP6854262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
HK111684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generation using waste h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